KR100547867B1 -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67B1
KR100547867B1 KR1020030036081A KR20030036081A KR100547867B1 KR 100547867 B1 KR100547867 B1 KR 100547867B1 KR 1020030036081 A KR1020030036081 A KR 1020030036081A KR 20030036081 A KR20030036081 A KR 20030036081A KR 100547867 B1 KR100547867 B1 KR 10054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data packet
burst data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828A (ko
Inventor
박길용
기현철
오윤제
박태성
원신희
김성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6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 광출력제어(Automatic Power Control, 이하 'APC'라 함)회로 및 그의 피크레벨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APC 회로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니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피크레벨비교기; 상기 피크레벨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업/다운 카운터; 상기 업/다운 카운터에서 설정된 모듈레이션 전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레벨비교기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광 전류로부터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 상기 검출된 출력전압의 피크와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저속의 소자로서 높은 데이터 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APC 회로의 복잡도와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APC 회로, 피크레벨, 비교기, 피크검출

Description

자동 광출력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방식의 버스트 모드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버스트 모드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의 피크레벨비교기에 대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에 대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의 피크레벨비교기에 대한 회로도.
본 발명은 자동 광출력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이하, 'APC'라 함)에 관한 것이다.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트래픽 양이나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망의 해결책으로 수동소자를 이용한 수동형 광 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PON'이라 함)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 PON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Network)에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ONU는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TDMA'라 함)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OLT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는 각각의 ONU 끼리 신호의 충돌을 피하기 위함이다. 하나의 ONU는 OLT로부터 할당받은 시간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며, 이 때 다른 ONU들은 레이저를 오프(off)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지 못하게 한다. 이런 방법으로 ONU들은 레이저를 시간에 맞게 온/오프(on/off) 시킨다. 이렇게 온/오프(on/off)를 반복하는 레이저들은 계속 모드(continuous-mode)로 동작하는 레이저보다 에이징(aging)이 더 빨리 일어난다. 즉, 온/오프(on/off)를 반복하는 레이저들은 출력파워의 변화가 빨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오프(on/off)를 반복하는 레이저들은 이러한 출력파워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APC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주위 환경의 변화(온도)에 의해서도 레이저의 출력파워가 변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APC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APC 동작을 수행하는 APC 회로는 통상적으로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검출된 광 전류(photo current)를 피드백(feedback) 루프를 통하여 출력파워를 제어한 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방식의 버스트 모드 APC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20)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10)에서 방사(emission)된 광 출력파워에 비례한 광 전류(photo current)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이 때 출력된 광 전류는 전류/전압변환기(I/V converter)(30)에서 전압으로 변환되고 피크 검출기(peak detector)(40)에서 그 전압의 피크 값(peak-pwr)을 찾아낸다. 비교기(comparator)(50)는 상기 피크 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VREF)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드라이버(driver)(60)로 전달하고, 드라이버(60)는 그 차이값에 의거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출력을 변화시킨다. 피크 검출기(40)에서 검출된 피크 값(peak-pwr)이 기준전압(VREF)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의 버스트 모드 APC 회로는 버스트의 초기 상태에서 잘못된 파워 레벨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피크검출기(40)가 전류/전압변환기(30)의 출력으로부터 피크값을 검출함에 있어서 유한한 피크값 검출 시간이 소요되는 바, 정확한 피크값 검출 시간 전까지는 잘못된 전압 레벨과 기준전압(VREF)과 비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곧 APC 회로의 오동작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아날로그 방식의 APC 회로를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버스트 모드 APC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식의 버스트 모드 APC 회로는 피크레벨비교기(peak level comparator)(140),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150) 및 드라이버(driver)(160)를 포함한다.
피크레벨비교기(140)는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120)로부터 출력되는 광 전류 데이터로부터 피크값(VPD)을 찾아내고 그 피크값(VPD)을 외부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후단의 업/다운 카운터(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업/다운 신호(up/down signal)를 생성한다.
업/다운 카운터(150)는 피크레벨비교기(140)에서 출력되는 업/다운 신호(up/down signal)에 따라 업(up) 또는 다운(down) 카운트(count)를 수행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110)의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의 양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모듈레이션 전류의 양에 대한 정보는 레이저 다이오드(LD)(110)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160)로 전달된다.
드라이버(60)는 그 정보에 의거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출력을 변화시킨다.
도 3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C 회로의 피크레벨비교기(140)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첫 번째 버스트 데이터가 들어오는 동안,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120)의 기생 커패시턴스(CPD)(130)는 외부에서 설정한 기준전압(VREF)이 될 때까지 충전(precharge)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버스트 데 이터 패킷에서 커패시턴스(CPD)(130)는 모니터 포토다이오드의 전류(IPD)까지 충전이 되며 데이터 스위치(141)에 의해 발생된 전류 펄스에 의해 방전된다.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끝났을 때, 커패시턴스(CPD)(130)에 충전된 전압(VPD)은 비교기(142)에서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비교기(142)의 비교결과 VPD > VREF 이면, IPD > IREF 이므로 비교기(142)는 LD(110)의 파워를 낮추기 위해 업/다운 카운터(150)에 다운(down)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비교결과 IPD < IREF 이면 비교기(142)는 LD(110)의 파워를 높이기 위해 업/다운 카운터(150)에 업(up)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업/다운 카운터(150)는 피크레벨비교기(140)로부터 업/다운 카운트(up/down count) 신호를 받아 업(up)이나 다운(down)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피크레벨비교기(140)에서 더 이상의 업/다운 카운트(up/down count) 신호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반복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방식 APC 회로는 LD(110)에서 출력이 될 때에만 비교기(142)의 기능을 수행하여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 APC 회로보다는 훨씬 간편하고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패킷이 들어올 때 패킷 내의 데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데이터 스위치(141)를 구성해야 하므로 데이터 율이 높은 회로 설계에서는 고속 데이터 스위치를 구성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디지털 APC 회로는 데이터가 입력될 때, 그 데이터의 하이(high) 구간을 데이터 스위치를 통해 검출하므로 기가비트급 버스트 모드에 적용하기가 어 렵다. 이는 종래의 디지털 APC 회로를 기가비트급 버스트 모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가비트급 데이터 스위치를 구성하여야 하는데, 기가비트급 데이터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또한 기가비트급 데이터 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해 상당히 속도가 빠른 모스(MOS: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저속의 소자로서 높은 데이터 율의 디지털 APC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복잡도와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APC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의 APC 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고속 동작이 필요 없고 피크 검출기 구조를 채택한 피크레벨비교기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PC 회로는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에 있어서,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니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피크레벨비교기와, 상기 피크레벨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업/다운 카운터에서 설정된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APC 회로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 APC 회로는 피크레벨비교기(peak level comparator)(240),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 (250) 및 구동부(driver)(260)를 포함한다.
피크레벨비교기(240)는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2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VPD)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예컨대, 업/다운 카운트(up/down count))를 발생한다. 피크레벨비교기(240)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burst data packet)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에는 하이(high)상태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로우(low)를 나타내거나 그 반대인 클럭신호에 의해 피크레벨비교기(240)의 동작이 제어된다.
업/다운 카운터(250)는 피크레벨비교기(2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이 때, 모듈레이션 전류는 LD(210)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바이어스 전류와 함께 구동부(260)에서 구동된다. 즉, LD(210)가 어떤 파워 레벨을 가지고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가 구동부(260)로부터 구동되어야한다. 따라서, 업/다운 카운터(250)에서는 일정한 출력파워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모듈레이션 전류의 양을 조절하고 그 정보를 구동부(260)에 전달한다.
구동부(260)는 업/다운 카운터(250)에서 설정된 모듈레이션 전류를 구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C 회로의 피크레벨비교기(240)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크레벨비교기(240)는 전압검출기(241)와 전압비교기(242)를 포함한다.
전압검출기(241)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도 4의 '220')에서 출력된 광 전류로부터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전압비교기(242)는 전압검출기(241)에서 검출된 출력전압의 피크와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전압검출기(241)는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PD)(도 4의 '220')에서 출력된 광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광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부(MN1, Q1)와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트랜지스터부에서 발생된 전압을 충전하고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커패시터부(C, MN2)를 포함하며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끝나는 시점에 그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시간동안 커패시터부(C, MN2)에 충전되었던 전압을 출력전압으로 검출한다.
트랜지스터부(MN1, Q1)와 커패시터부(C, MN2) 각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랜지스터부는 게이트에 기 설정된 기준전압이 연결되고 드레인에 상기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광 전류가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와 드레인의 전압차에 의한 드레인전압을 발생하는 제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MN1)와, 베이스에 상기 제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연결되고 에미터에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와 에미터의 전압차에 의한 컬렉터 전류를 발생하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이하, 'BJT'라 함)(Q1)를 포함한다.
또한 커패시터부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부에서 발생된 전압을 충전하는 커패시터(C)와,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제2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MN2)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D(210)에서 출력된 광의 일부는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20)를 통해 광 전류로 변환되며 이 데이터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 동안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20)의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230)를 통해 프리-차지(pre- charge)된다.
그리고,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20)의 광 전류(IPD)가 피크레벨비교기(240)의 입력으로 들어오면, 그 광 전류(IPD)의 값에 비례하여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전압은 상승한다. 즉, 광 전류(IP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전압은 같이 상승한다. 한편,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 전압은 외부의 전압(예컨대, 기준전압)(VREF)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과 게이트 간의 전압 차에 의해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전압은 BJT(Q1)을 통해 커패시터(C)에 충전된다.
이 때, BJT(Q1)은 베이스와 이미터간의 전압차에 의해 컬렉터 전류가 제어됨으로써 다이오드로써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BJT(Q1)과 커패시터(C)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피크 검출기(peak detector)의 역할을 수행한다.
커패시터(C)에는 병렬적으로 제2 NMOS 트랜지스터(MN2)가 연결되어 있다.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ck)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클럭신호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다.
예를 들어,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 클럭신호는 하이(high)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로우(low)라면, 클럭신호(ck)가 하이(high)인 경우(즉,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인버터(243)를 통해 로우(low) 신호가 들어오게 되어 제2 NMOS 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 전압은 0V가 되어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는 OFF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일 때, 커패시터(C)에는 전압(VPD)이 충전된다.
만약, 패킷이 들어오지 않을 때(ck=low), CMOS 인버터를 통해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는 온(on) 상태가 되어 이를 통해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은 방전된다.
이것은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동안에만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0)의 전류를 검출(detect)하여 이를 충전하고,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없는 동안에는 제2 NMOS 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 전압에 5V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를 턴 온 시켜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동안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은 전압비교 기(242)의 입력전압(VPD)이 된다. 즉, 전압비교기(242)에서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상기 비교 결과 VPD > VREF 라면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0)의 광 전류(IPD )가 외부에서 설정된 기준 전류값(IREF)보다 큼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압비교기(242)는 업/다운 카운터(250)로 다운(down)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VPD < VREF 라면 모니터 포토다이오드(PD)(20)의 광 전류(IPD)가 외부에서 설정된 기준 전류값(IREF) 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LD(210)의 광 출력을 높이기 위해 전압비교기(242)는 업/다운 카운터(250)로 업(up) 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수 패킷이 지나간 후, VPD와 VREF가 같아진다면 APC 회로가 원하는 목표까지 도달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전압비교기(242)는 더 이상의 업/다운(up/down)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피크레벨비교기(240)의 후단에는 래치(latch)(미도시)가 업(up)이나 다운(down) 신호 각각에 대해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무한대의 홀드 타임(hold time)을 가지고 있어서 피크 검출기(peak detector)가 광 전류의 피크(peak)치를 찾는 과도기 상태에서 올바르지 못한 파워 레벨을 찾지 않도록 해 준다. 또한 이러한 래치(lacth)는 곧 바로 6-bit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250)에 연결되어 있어서 LD(210)의 모듈레이션 전류를 직접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크레벨비교기(240)의 후단에 래치(latch)가 연결되는 것은 디지털방식 APC 회로에서도 통 상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래치(latch)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였으며 래치(latch)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도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크레벨비교기는 피크검출기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속 동작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PC 회로는 상기 피크레벨비교기를 적용함으로써 저속의 소자로서 높은 데이터 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APC 회로의 복잡도와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 광출력제어회로에 있어서,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니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피크레벨비교기와,
    상기 피크레벨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업/다운 카운터에서 설정된 모듈레이션 전류(modulation current)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레벨비교기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에 동기된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광 전류로부터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출력전압의 피크와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기는
    상기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광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광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부와,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부에서 발생된 전압을 충전하고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커패시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기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끝나는 시점에 그 버스트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시간동안 상기 커패시터부에 충전되었던 전압을 출력전압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부는
    게이트에 기 설정된 기준전압이 연결되고 드레인에 상기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광 전류가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와 드레인의 전압차에 의한 드레인전압을 발생하는 제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와,
    베이스에 상기 제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연결되고 에미 터에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와 에미터의 전압차에 의한 컬렉터 전류를 발생하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부는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부에서 발생된 전압을 충전하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버스트 데이터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제2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KR1020030036081A 2003-06-04 2003-06-04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KR10054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081A KR100547867B1 (ko) 2003-06-04 2003-06-04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081A KR100547867B1 (ko) 2003-06-04 2003-06-04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828A KR20040104828A (ko) 2004-12-13
KR100547867B1 true KR100547867B1 (ko) 2006-01-31

Family

ID=3738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081A KR100547867B1 (ko) 2003-06-04 2003-06-04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828A (ko) 200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06915A1 (en) Optical pulse emitter
US6044095A (en) Light emitting device drive circuit
JP4557481B2 (ja) 半導体レーザ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US7940823B2 (en) Laser turn-on accelerator independent of bias control loop bandwidth
US5329210A (en) High-speed driver for an LED communication system or the like
US9525480B2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optical network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emitting element
US7991032B2 (en) Laser drive
EP1357717B1 (en) Automatic detection threshold control device for burst mode optical receiver
CN107534494B (zh) 包括驱动器的光学信号模块及其驱动方法
US20160118970A1 (en) Peak detector using charge pump and burst-mode transimpedance amplifier
US6975813B1 (en) Light output control device
KR100575981B1 (ko) 버스트모드 광 수신기의 피크 및 바텀 검출기
US7203213B2 (en) Laser turn-on accelerator independent of bias control loop bandwidth
JPH11266049A (ja) 発光素子駆動装置
KR20030082074A (ko) 버스트모드 광 수신기
CN114175531B (zh) 光接收器和站侧装置
US20060280211A1 (en) Laser driver analog loop control and method
KR100547867B1 (ko) 자동 광출력제어회로
JPH11261147A (ja) 発光素子制御装置
JP5226559B2 (ja) レーザー出力自動制御回路
US10778170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passive optical network
JP5499937B2 (ja) Ponシステム、その子局側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JPWO2017208310A1 (ja) 光受信器および光信号受信方法
JP4146711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Qiu et al. A burst-mode laser transmitter with fast digital power control for a 155 Mb/s upstream 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