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157B1 -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157B1
KR100547157B1 KR1020030082654A KR20030082654A KR100547157B1 KR 100547157 B1 KR100547157 B1 KR 100547157B1 KR 1020030082654 A KR1020030082654 A KR 1020030082654A KR 20030082654 A KR20030082654 A KR 20030082654A KR 100547157 B1 KR100547157 B1 KR 10054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energy value
displayed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910A (ko
Inventor
윤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157B1/ko
Priority to US10/990,408 priority patent/US20050110892A1/en
Publication of KR2005004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5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9Analysis, i.e. separating and studying components of a greater wh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7Processing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2Digital image input directly from a still digital camera or from a storage medium mounted in a still digita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5Digital image input from a still imag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88Printing, e.g. prints or r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캡쳐장치(예;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캡쳐(capture)된 화상 중에서 초점이 적절하게 잡힌 화상만을, 또는 캡쳐된 화상에서 초점이 잡힌 영역의 화상 일부분만을 출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화상의 출력은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용지, 토너, 잉크 등)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of employ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캡쳐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112, 212 : 제어부
114, 214 : 표시장치 200 : 화상캡쳐장치
300 : 화상처리장치 311 : 화상 분할부
310 : 초점 처리부 312 : 화상 선택부
320 : 초점 판단부 322 : 하이패스 필터부(HPF)
324 : 에너지값 산출부 332 : 초점 판단 결과 알림부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화상을 캡쳐(capture)하는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화상의 초점 상태를 확인하여 초점이 적정하게 잡힌 화상만이 화상형성장치(예; 프린터)에 의해 출력되도록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중에서 초점이 적절하게 잡힌 화상만을, 또는 캡쳐된 화상에서 초점이 잡힌 영역의 화상 일부분만을 출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화상의 출력은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용지, 토너, 잉크 등)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화상저장매체(예;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하기 전에 상기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캡쳐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형성장치(예; 프린터)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캡쳐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장치 연결 인터페이스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저장 디바이스(예;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읽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가 채용되고 있다. 외부장치 연결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화상형성장치(10)는 제어부(12)와, 표시장치(14), 조작패널부(OPE; operating panel equipment)(16), 메모리부(18), 인쇄부(22), 인쇄 구동부(24), 및 디지털 카메라(2)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32)와, 메모리 카드(4)와 같은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읽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2)는 메모리부(18)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8)의 상기 데이터들은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저장된다. 조작패널부(16)는 키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를 포함하며, 상기 키 데이터 발생시 키 데이터를 제어부(12)에 입력시킨다. 표시장치(14)는 제어부(12)의 각종 동작에 따른 처리결과 등을 표시하는데, 이 표시장치(14)는 예를 들어 LCD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조작패널부(16)와 한 몸체의 모듈 형태를 취한다. 메모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4)는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으며, 메모리 카드(4)와 같은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화상 테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외부장치 연결 인터페이스부(32)도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으며, 화상캡쳐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2)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인쇄부(22)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해당 화상 데이터가 인쇄 구동부(24)를 통해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즉, 인쇄부(22)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2 또는 34)를 경유한 화상 데이터가 인쇄 구동부(24)를 통해 인쇄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는 디지털 카메라(2)와 같은 외부장치가 외부장치 연결 인터페이스부(32)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포트(port; 42)와, 메모리 카드(4)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가 메모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4)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메모리 디바이스 슬롯(144)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의 화상형성장치(10)는 컴퓨터(PC)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도 물론 포함하지만, 이하에 설명할 본 발명과의 연관성이 없으므로 PC와 관련한 구성요소들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화상형성장치(10)는 포트(42)에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2)에 담겨있는 화상 또는 슬롯(44)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4)에 저장된 화상 등을 인쇄한다. 이하, 화상형성장치(10)의 인쇄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즉,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2)는 인터페이스부(32)(34)에서 화상 데이터가 들어오는지 검사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화상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4)가 슬롯(44)에 장착되면, 제어부(12)는 이를 인식하여 메모리 카드(4)에 저장된 화상을 검색하여 표시장치(14)에 표시한다. 표시장치(14)에 표시된 화상을 보고 사용자는 색인 프린트를 하거나 원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인쇄 명령을 내린다. 상기 인쇄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4)에서 해당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제어부(12)는 이를 감지하고 인쇄부(22)를 제어하여 인쇄 구동부(24)를 통해 상기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카메라(2)가 인터페이스부(32)에 연결되면, 제어부(12)는 이를 인식하여 디지털 카메라(2)에 의해 캡쳐된 화상을 검색하여 표시장치(14) 또는 디지털 카메라(2)의 표시장치(미도시)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보고 사용자는 색인 프린트를 하거나 원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인쇄 명령을 내린다. 상기 인쇄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4)에서 해당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제어부(12)는 이를 감지하고 인쇄부(22)를 제어하여 인쇄 구동부(24)를 통해 상기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캡쳐장치의 표시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장치는 표시된 화상의 초점이 정확히 맞았는지를 판단하기에 그 화면이 너무 작아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 출력시 품질이 아주 열악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화상의 초점이 정확이 맞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의 해상도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해상도 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화상캡쳐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는 자체에 마련된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화상이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캡쳐된 화상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점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캡쳐된 화상을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하기에 부적절할 정도로 품질이 나쁜 화상이 출력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 소모품)을 낭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화상을 캡쳐(capture)하는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화상의 초점 상태를 확인하여 초점이 적정하게 잡힌 화상만이 화상형성장치(예; 프린터)에 의해 출력되도록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중에서 초점이 적절하게 잡힌 화상만을, 또는 캡쳐된 화상에서 초점이 적절하게 잡힌 영역의 화상 일부분만을 출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화상의 출력은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용지, 토너, 잉크 등)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화상저장매체(예;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하기 전에 상기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캡쳐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구하기 위한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화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하이패스 필터(high pass filter)이다.
본 발명 화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초점 판단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의 초점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초점 판단 결과 알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값이 소정의 임계 에너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한다.
본 발명 화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 화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모듈화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 또는 화상캡쳐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 및 상기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에너지 값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기술은, 실제적인 구현기술로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하이패스 필터 반경(High Pass Filter Radius)의 스케일이 0~100이고, 이 스케일 범위에서 상기 하이패스 필터 반경을 20으로 설정했을 때, 상기 에너지 값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에너지 값이 0으로 측정되면 초점이 잡히지 않은 이미지로 규정하고, 0이 아닌 그 이상이면 초점이 잡힌 이미지로 규정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에너지 값은 하이패스 필터 반경을 20으로 설정했을 때 0인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을 캡쳐하는 화상캡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캡쳐장치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 및 상기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방법은, 소정의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 단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 단계;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해 하이패스 필터링(high pa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패스 필터링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 및 초점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초점 판단 결과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종래기술 및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구성부재와 본 발명에 의한 구성부재가 동일한 경우에는 종래기술에서 사용하였던 도면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 화상캡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300)는 화상형성장치(100) 및/또는 화상캡쳐장치(200)와 연관되어 화상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 이 초점 처리부(310)와, 화상 분할부(311), 화상 선택부(312), 초점 판단부(320), 하이패스 필터부(HPF; High Pass Filter; 322), 에너지값 산출부(324), 초점 판단결과 알림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점 판단부(3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장치(114) 또는 화상캡쳐장치(200)의 표시장치(214)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한다. 초점 처리부(310)는 표시장치(114)(214)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화상형성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화상 분할부(311)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영역으로 분할한다. 화상 선택부(312)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의 소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하이패스 필터부(322)는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고, 에너지값 산출부(324)는 하이패스 필터부(322)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구한다. 에너지값 산출부(324)는 상기 에너지값을 구하기 위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한다. 초점 판단 결과 알림부(332)는 초점 판단부(320)에 의한 상기 화상의 초점 판단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알려준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300)는 에너지값 산출부(324)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값이 소정의 임계 에너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화상만 화상형성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300)는 이용 가능성이 있는 화상만 출력되게 함으로써 필요없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3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형성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때,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화상처리장치(300)의 해당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부(118)에 저장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2)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300)는 펌웨어(firmware) 형태로 모듈화되어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화상캡쳐장치(200)에 채용될 수 있는데, 이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화상처리장치(300)가 화상캡쳐장치(200)에 채용되는 경우, 화상처리장치(300)의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는 화상캡쳐장치(2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화상캡쳐장치(300)의 제어부(212)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300)에 의해 초점이 판단된 화상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해 출력되는데, 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종래기술의 화상형성장치(1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12)와, LCD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114)와, 조작패널부(116), 메모리부(118), 인쇄부(122), 인쇄 구동부(124), 디지털 카메라(200)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32), 메모리 카드(400)와 같은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읽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34), 상기 외부장치가 인터페이스부(132)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포트(142), 및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가 인터페이스부(134)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슬롯(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118)는 화상처리장치(3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를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하고, 제어부(112)는 메모리부(118)에 저장된 상기 프로 그램을 구현하여 초첨이 맞는 화상만이 출력되도록 한다. 조작 패널부(116)는 사용자가 해당 화상의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키 버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화상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방법은,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장치(114) 또는 화상캡쳐장치(200)의 표시장치(214)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 단계(S100)와, 상기 표시장치(114)(214)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화상형성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 단계(S200)를 포함한다.
초점 판단 단계(S100)는, 화상캡쳐장치(200)에 담겨있는 화상 중에서 또는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출력 대상 화상을 선택하는 단계(S112); 사용자가 조작패널부(116)를 이용하여 초점 확인 기능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4);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S115);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S116);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해 하이패스 필터링(high pa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단계(S118); 상기 하이패스 필터링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구하기 위한 에너지값 산출 단계(S122, S124); 및 상기 산출 단계(S124)에서 산출된 에너지값을 소정의 설정된 임계 에너지값과 비교하여 어느 값이 더 큰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S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초점 처리 단계(S200)는, 상기 비교판단 단계(S126)에서 상기 산출된 에너지값이 상기 임계 에너지값 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판단 대상 화상의 초점이 적정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들(S212)(S214)(S312)과, 상기 비교판단 단계(S126)에서 상기 산출된 에너지값이 상기 임계 에너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판단 대상 화상의 초점이 부적절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해당 화상의 출력을 금지하는 단계(S22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조작패널부(116)를 통해 출력대상 화상을 선택하면(S112), 초점 처리부(310) 또는 제어부(112; 도 3)(212; 도 4)는 사용자가 초점 확인 기능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S114). S114 단계에서 사용자가 초점 확인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종래와 같이 선택된 화상을 출력한다(S312). 그러나, S114 단계에서 사용자가 초점 확인 기능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화상 분할부(311)는 선택된 화상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예; 9개 영역)으로 분할한다(S115). 화상 선택부(322)는 사용자로 하여금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역에서 원하는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소정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6c에 도시한 것처럼 전체 영역을 선택하도록 한다(S116). S116 단계에서 원하는 영역이 선택되었으면, 하이패스 필터부(322)는 상기 영역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하이패스 필터링을 하여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한다(S118)(S122). S122 단계에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이 획득되었으면, 에너지값 산출부(324)는 FFT를 이용하여 상기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값을 산출한다(S124). S124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값이 산출되었으면, 초점 판단부(320)는 상기 에너지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 에너지값을 비교하여 어느 값이 큰가를 판단한다(S126).
S126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값이 상기 임계 에너지값 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면, 초점 처리부(310)는 판단 대상 화상의 초점이 적절함을 초점 판단 결과 알림부(332) 또는 표시장치(114)(2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어 출력되게 한다(S212)(S214)(S312). 그러나, S126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값이 상기 임계 에너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초점 처리부(310)는 상기 판단 대상 화상의 초점이 부적절함을 초점 판단 결과 알림부(332) 또는 표시장치(114)(214)를 통해 또는 부저(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해당 화상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S222). 본 발명은 초점이 적절하게 맞은 화상만 출력되게 하고, 초점이 부적절하게 맞은 화상의 출력은 방지함으로써 필요없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화상을 캡쳐(capture)하는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화상의 초점 상태를 확인하여 초점이 적정하게 잡힌 화상만이 화상형성장치(예; 프린터)에 의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용지, 토너, 잉크 등)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중에서 초점이 적절하게 잡힌 화상만을, 또는 캡쳐된 화상에서 초점이 잡힌 영역의 화상 일부분만을 출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화상의 출력은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없는 자원(예; 인쇄용지, 토너, 잉크 등)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 또는 화상저장매체(예;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하기 전에 상기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캡쳐장치에 의해 캡쳐된 화상의 초점이 적절하게 잡혔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캡쳐장치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7)

  1. 소정의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구하기 위한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하이패스 필터(high pass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소정의 임계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값 산출수단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판단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의 초점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초점 판단 결과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화상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모듈화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화상을 캡쳐하는 화상캡쳐장치에 마련된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모듈화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1. 화상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 및
    상기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초점 판단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의 초점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초점 판단 결과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화상을 캡쳐하는 화상캡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캡쳐장치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 및
    상기 고주파 성분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캡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초점 판단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의 초점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초점 판단 결과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캡쳐장치.
  15. 소정의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가를 판단하는 초점 판단 단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화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초점 처리 단계;
    상기 표시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획득하기 위해 하이패스 필터링(high pa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패스 필터링에 의해 획득된 상기 화상의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구하는 에너지 값 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에너지 값이 설정된 에너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의 초점 정확도가 상기 설정된 초점 정확도 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규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표시된 화상의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 및
    초점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초점 판단 결과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7. 삭제
KR1020030082654A 2003-11-20 2003-11-20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KR10054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54A KR100547157B1 (ko) 2003-11-20 2003-11-20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US10/990,408 US20050110892A1 (en) 2003-11-20 2004-11-18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54A KR100547157B1 (ko) 2003-11-20 2003-11-20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910A KR20050048910A (ko) 2005-05-25
KR100547157B1 true KR100547157B1 (ko) 2006-01-26

Family

ID=3458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654A KR100547157B1 (ko) 2003-11-20 2003-11-20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10892A1 (ko)
KR (1) KR100547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082A (ja) * 2004-06-28 2006-01-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操作パネル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100673952B1 (ko) * 2004-10-20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JP5596027B2 (ja) 2008-06-18 2014-09-24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カテーテル
US8486735B2 (en) * 2008-07-30 2013-07-16 Raytheon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incremental wavelength variation to analyze tissue
US9060704B2 (en) 2008-11-04 2015-06-23 Sarcos Lc Method and device for wavelength shifted imaging
WO2011041728A2 (en) 2009-10-01 2011-04-07 Jacobsen Stephen C Needle delivered imaging device
US20120013929A1 (en) * 2010-07-13 2012-01-1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705270B2 (ja) * 2013-05-27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9716807B2 (en) * 2014-10-13 2017-07-25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for estimating watermark signal strength, an embedd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related arran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337A (en) * 1985-01-14 1986-04-29 Phillips Edward H Step-and-repeat alignment and exposure system
US4838682A (en) * 1986-05-05 1989-06-13 Allergan, Inc. Ocular topology system
KR970010204B1 (en) * 1988-05-11 1997-06-23 Sanyo Electric Co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focus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EP0738070B1 (en) * 1990-03-24 1999-12-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5103254A (en) * 1990-05-29 1992-04-0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subject highlighting and motion detection
US6727949B1 (en) * 1993-09-29 2004-04-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with moving image and still image focus control based on changing threshold value
US5640619A (en) * 1993-12-14 1997-06-17 Nikon Corporation Multiple point focus detection camera
US5847836A (en) * 1995-08-29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built-in image-sensing apparatus and using strobe-light means electric-consump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6583811B2 (en) * 1996-10-25 2003-06-24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system for recording data and reproducing images using correlation data between frames
US6480285B1 (en) * 1997-01-28 2002-11-12 Zetetic Institute Multiple layer confocal interference microscopy using wavenumber domain reflectometry and background amplitude reduction and compensation
AUPO797897A0 (en) * 1997-07-15 1997-08-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dia device (ART18)
JP3882346B2 (ja) * 1998-07-17 2007-02-14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2296493A (ja) * 2001-03-30 2002-10-09 Fuji Photo Optical Co Ltd ピント状態検出装置
US20030002870A1 (en) * 2001-06-27 2003-01-02 Baron John M. System for and method of auto focus indications
JP4092636B2 (ja) * 2002-11-01 2008-05-28 フジノン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3841046B2 (ja) * 2002-12-02 2006-11-0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0892A1 (en) 2005-05-26
KR20050048910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157B1 (ko)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JP2006281663A (ja) 画像処理パラメータ値の設定方法
KR100838926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US8456713B2 (en) Image combin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ombin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104113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8537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599374B2 (en) Printing method that ensures security of printed matter,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CN102209173A (zh) 图像形成装置以及印刷方法
CN107179885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20080170044A1 (en)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US10761783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adjustment item data
US200900666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080043607A (ko) 미리 보기 기능을 이용한 인쇄 시스템 및 방법
JP74094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186739A (ja) ユーザー認証装置、ユーザー認証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7654B2 (ja) 撮像装置
CN105867092B (zh) 打印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585315B1 (ko) 자기테스트 자동 리포팅기능이 포함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방법
US115741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56484B1 (ko) 영상 인쇄기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영상인쇄기
KR20070010528A (ko)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시스템의 화상처리방법
JPH1185422A (ja) 情報処理装置、印刷設定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201002597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3285517A (ja) 印刷診断装置および印刷診断方法並びに印刷診断用プログラム
JP608380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