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91B1 - 치조골 신장장치 - Google Patents

치조골 신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91B1
KR100545891B1 KR1020040017694A KR20040017694A KR100545891B1 KR 100545891 B1 KR100545891 B1 KR 100545891B1 KR 1020040017694 A KR1020040017694 A KR 1020040017694A KR 20040017694 A KR20040017694 A KR 20040017694A KR 100545891 B1 KR100545891 B1 KR 10054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lveolar
alveolar bone
movable plat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594A (ko
Inventor
황순정
정성민
이종호
김명진
Original Assignee
황순정
정성민
이종호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정, 정성민, 이종호, 김명진 filed Critical 황순정
Priority to KR102004001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8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16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for bone lengthening or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절단된 치조골 상단부에 암나사를 가진 가동판을 고정하고 이 가동판을 골이동나사를 통해 상승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에 의해 치조골을 원하는 높이와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실이 있는 치조골을 상부골과 하부골로 절단하고, 상부골을 하부골로부터 띄워 상부골과 하부골의 사이에 가골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암나사를 가지고 상부골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동판과,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태로 가동판의 암나사에 나사결합되어 그 저부가 상부골을 관통하여 하부골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골이동나사와, 골이동나사와 하부골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골이동나사를 지지하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장치가 매우 간단하여 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장치가 대부분 골내부에 위치되지 않아 감염의 우려가 적음은 물론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이 체내에서 서서히 녹아 제거되므로 별도의 2차 수술이 필요없으며, 별도의 치과기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조골 신장장치{Apparatus to distract alveolar bone}
도 1은 특허 제 287407 호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특허 제 372259 호에 따른 치조골 증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등록실용신안 제 213508 호에 따른 치조골 증강장치의 구성도.
도 4는 특허출원 제 2002-20894 호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가동판 상세도로서,
도 6a는 견인홀이 없는 경우.
도 6b는 견인홀이 있는 경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골이송나사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8a는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8b는 도 8a를 측면에서 본 경우.
도 8c는 가동판을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1 : 상부골 102 : 하부골 103 : 가골
104 : 철사나 고무줄 110 : 가동판 111 : 암나사
112 : 돌출부 113 : 리브 114 : 견인홀
115 : 체결공 116: 스크류 120 : 골이동나사
121 : 숫나사 130 : 지지판
본 발명은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된 치조골 상단부에 암나사를 가진 가동판을 고정하고 이 가동판을 골이동나사를 통해 상승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에 의해 치조골을 원하는 높이와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치아수복방법의 하나인 임플란트 방법은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인공치근, 즉 임플란트를 심은 후 매식된 임플란트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는 방식으로, 기존의 보편적인 치아수복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받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 방법이 치아 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한편, 치조골의 흡수나 소실이 심한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식립 자체가 불가 능하므로 자가골이식, 골재생유도술, 치조골 신장술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잇몸뼈)의 높이를 증가시켜주고 있는데, 자가골 이식 또는 골재생유도술은 연조직의 부족, 이식골 또는 재생골의 흡수, 골질의 불확실성 등의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치조골 신장술이 새로운 치료술로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 제 287407 호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치조골(10)과 악골(11)에 치조골 고정편(23) 및 악골 고정편(25)이 각각 나사(24)(26)에 의해 고정되고, 두개의 고정편(23)(25)에 간격 조절핀(21)과 가이드 봉(28)(29)이 연결되어 간격 조절핀(21)을 정방향(A) 또는 역방향(B)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두 고정편(23)(25)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의 높이를 증대시켜 가골(15)을 신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 287407 호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는 일단 설치해놓으면 가이드에 의해 한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골 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없고, 골이 신장된 후 2차 수술을 통해 장치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장치의 설치 후 장치의 일부가 1차 수술에서 사용한 절개선을 뚫고 나와 점막의 상피세포가 장치를 따라 2차적으로 성장하여 들어가 골 신장부위에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절단되는 치조골의 높이가 최소한 6∼7㎜ 정도는 되어야 하므로 치조골 흡수가 심한 악골에서는 골절 위험성과 하치조신경으로 인해 구치부(어금니부위)와 같은 장소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치조골을 상승시킬 때 사용되는 간격 조절핀이 긴 경우 간격 조절핀이 저작시 다른 치아에 걸리게 되어 골 신장기간 중에는 저작을 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다른 예로서 도 2와 같이 특허 제 372259 호에 따른 치조골 증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골(1)과 하부골(1')로 양단된 함몰 치조골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판(2)과 측면 잇몸부(3)에 피스(4)로 고정되는 고정판(5)을 일체로 연결한 단면
Figure 112004010829963-pat00001
형상의 지지체(가)를 형성하고, 상부골(1)의 일측에 뚫린 구멍(6)으로 관통되어 하부골(1')에 대접되는 원통관(7)과, 절단된 상부골(1)을 피스(4')로 고정한 익편(8)이 일체가 되게 단면 "ㄱ"자 형상의 유동체(나)를 형성하며, 상기 유동체(나)의 승강이 제어되는 높이 조절용 볼츠(9)를 원통관(7)의 내부로 나사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함몰된 치조골을 상부골(1)과 하부골(1')로 절단하고 연질의 하부골(1')에 재치되는 받침판(2)에 지지되는 높이 조절용 볼트(9)로써 치조골의 사이틈을 벌려 치조골을 수직적으로 신장하게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 372259 호에 따른 치조골 증강장치의 경우 지지체와 유동체 등 거의 모든 장치가 골내에 위치하게 되어 상처의 치유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감염의 우려가 높고, 장치의 제거가 어려우며, 장치를 제거하면 그 자리에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큰 홀이 형성될 수밖에 없어 여기에 골이 채워질 때까지 4∼6개월 기다린 후 임플란트 시술에 들어가야 하며, 그 기간동안 신장된 치조골이 다시 퇴축하는 단점이 있으며, 골형성 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은 여전히 내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치물이 상부골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상부골의 근심 또는 원심의 한쪽 끝에 위치하므로 상부골이 균일하게 신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3과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 213508 호에서는 상하부로 양단된 함몰 치조골의 상부 중앙을 관통시킨 상부 치조골(31)의 피질골(32)에 치합 고정되는 나사부(33)를 내외면으로 형성한 원통으로 된 고정체(다)와; 하부 치조골(31')의 망상골(34)과 대접되는 원추상의 쐐기(35)와; 이에 가압되는 다수개의 확개편(36)(36')을 저단부에 일체로 성형한 앙카볼트(라)가 고정체(다)의 내부로 승강되게 하여서 된 치조골의 증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고정된 하부 치조골(31')의 수질골(34)에 대접되는 원추형으로 된 쐐기(35)의 반발력으로 앙카볼트(라)와 나사결합되어 상승되는 고정체(다)에 치합된 상부 치조골(31)이 상승되게 함으로써 치조골을 수직적으로 신장하고 신장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 213508 호에 따른 치조골 증강장치는 고정체가 골내부에 위치되므로 치유기간이 길어지고 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벌어진 확개편이 원통으로 된 고정체(다)의 직경보다 커서 고정체(다)에서 앙카볼트를 돌려서 뺄 수 없어 장치의 제거가 매우 어려우며, 고정체의 직경이 후에 매식될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크므로 고정체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골이 채워질 때까지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쐐기에 의해 확개편이 벌어져 앙카볼트가 지지된다하더라도 쐐기 및 확개편의 폭이 좁아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된 확개편이 쐐기에 의해 벌어지려면 망상골이 상당한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망상골은 골구조가 미약하여 이러한 하중을 견디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를 감안하여 도 4와 같이 특허출원 제 2002-20894 호에서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부위를 절단하고, 치조골(10)을 악골(11)로부터 띄워 치조골(10)과 악골(11)의 사이에 가골(15)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치조골(10)에 식립되는 관통형 임플란트(40)와, 몸체부의 외주면에 관통형 임플란트(40)의 내주면 나사골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형 임플란트(4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관통형 임플란트(40)를 승하강시키는 골이동 나사(50)와, 시술부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골이동 나사(50)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대(60)로 구성함으로써 지지대(60)의 설치방향에 따라 골신장방향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며, 신장되는 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염의 우려가 없고, 관통형 임플란트(40)만 식립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골신장 후 별도의 수술없이 그대로 빼내면 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며, 골이동 나사(50)가 회전되어도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어 골 신장기간중에도 저작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도면상의 61은 지지대(60)를 고정할 때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있는 경우 이를 덮어주는 치관을 나타내고, 62는 지지대(60)를 고정할 인접 치아가 없는 경우 식립하는 임시임플란트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2-20894 호에 따른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역시 장치의 대부분이 골 내부에 위치되므로 상기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상처치유 지연, 감염 우려, 장치 제거 곤란 등의 문제를 가지게 되며, 관통형 임플란트의 직경이 후에 매식될 임플란트의 직경과 같거나 작지만, 관통형 임플란트의 위치가 임플란트 식립할 위치와 다른 경우 관통형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생긴 홀이 임플란트 식립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문제도 있고, 지지대를 기공과정을 통해 별도로 만들어야 함은 물론 인접치아가 없는 경우 골핀이나 임시용 임플란트 를 식립해야 하므로 부재의 수가 증가되고 시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함몰된 치조골을 상부골과 하부골로 절단하여 상부골의 상단부에 암나사를 갖는 가동판을 고정하고, 이 가동판의 암나사에 골이동나사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그 저부가 하부골의 상단부에 위치되게 하며, 골이동나사의 저부와 상부골의 상단부 사이에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을 위치시켜 구성함으로써 골이동나사가 지지판에 의해 침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가동판의 암나사가 상승하면서 기 절단되어 있는 치조골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악골과 치조골의 사이에 가골이 형성되게 할 수 있어 치조골 신장장치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매우 간단하고, 가동판을 원하는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어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제거 후 곧바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며,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이 인체 내부에서 서서히 녹아 없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2차 수술이 필요없는 치조골 수직신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실이 있는 치조골을 상부골(101)과 하부골(102)로 절단하고, 상부골(101)을 하부골(102)로부터 띄워 상부골(101)과 하부골(102)의 사이에 가골(103)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암나사(111)를 가지고 상기 상부골(10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동판(110)과, 외주에 숫나사(121)가 형성된 상태로 가동판(110)의 암나사(111)에 나사결합되어 그 저부가 상부골(101)을 관통하여 하부골(10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골이동나사(120)와, 골이동나사(120)와 하부골(102)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골이동나사(120)를 지지하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동판(110)은 상면에서는 암나사(111)의 주위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부(112)를 이루고 하면은 전체가 수평으로 이루어져 원하는 시술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가동판(110)의 돌출부(112) 양측에는 각각 리브(113)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리브(113)에는 견인홀(114)을 각각 형성하여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고, 견인홀(114)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수성 재료로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PGA (Polyglycol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LA(Poly Lactic Acid) 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가수분해와 신체대사에 의해 물이나 이산화탄소로 바뀌어 서서히 몸밖으로 배출되는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4는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철사나 고무줄을 나타내고, 115는 상부골(10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나타내고, 116은 체결공(115)을 통해 가동판(110)을 상부골(101)에 체결해주는 스크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작용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조골의 소실이 있는 부위를 골절단 기구를 사용하여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단하며, 상기 절단된 상부골(101) 상단부에 가동판(110)을 다수의 스크류(116)로 결합하고, 가동판(110)의 암나사(111) 부위에는 골이동나사(120) 외주의 숫나사(121)를 나사결합하여 골이동나사(120)의 저부가 하부골(102)의 상단부에 위치되게 한 후 골이동나사(120)를 돌리면 골이동나사(120)가 하부골(10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공회전하면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고, 골이동나사(120)의 외주에 형성된 숫나사(121)에는 가동판(110)의 암나사(111)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골이동나사(120)의 회전에 따라 가동판(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으며, 가동판(110)은 상부골(101)에 스크류(116)로 결합되어 있어 가동판(110)의 이동에 따라 상부골(101)이 이동하면서 상부골(101)과 하부골(102)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시일이 지나면 상부골(101)과 하부골(102)의 벌어진 사이에 가골(103)이 자라나 치조골이 신장되는 것이다.
이때, 골이동나사(120)의 저부가 위치하는 하부골(102)의 상단부는 통상 골밀도가 낮은 망상골로 이루어지므로 골이동나사(120)가 제대로 지지되지 못하고 골이동나사(120)의 힘에 의해 골이 침하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130)을 하부골(102)과 골이동나사(120)의 사이에 개재한 것으로, 골이동나사(120)가 지지판(130)에 의해 침하되지 않는 상태로 공회전 될 수 있어 치조골의 신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조골은 통상 협측(볼 방향)에서 흡수가 많이 일어나게 되어 설측(혀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치조골을 신장할 경우에도 설측으로 경사져서 골신장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가동판(110)의 견인홀(114)에 철사나 고무줄(104)을 묶어 이를 대합치에 고정하게 되면 치조골을 협측으로 당겨 그 신장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견인홀(114)이 없는 가동판(110)을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판(110)은 중앙의 암나사(111) 주위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돌출부(112)를 이루고 있는데, 일반적인 시술의 경우 가동판(110)을 치은(잇몸) 속에 그대로 위치시켜 저작의 편의성을 도모하면 되지만, 치은을 박리하지 않고 치은 밖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동판(110)의 위아래를 뒤집어 돌출부(112)가 하방향을 향하게 하여 치은의 위에 가동판(110)이 위치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가동판(110)이 치은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어 상처치유가 지연되거나 절개부가 벌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에서 가동판(110)을 고정하는 스크류(116)는 치조골에 2㎜정도만 매식되어도 되고 이와 함께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130)을 사용하므로 치조골이 약 3∼4㎜정도만 되어도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적용이 가능하여 상악골과 같이 피질골이 얇아 치조골의 골절이 우려되거나 하악골에서 하치조신경 위의 치조골이 심하게 위축되어 하치조신경을 건드릴 위험이 있는 구치부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치조골 신장장치는 장치의 대부분이 연조직과 골내부에 위치되므로 상처치유가 지연되고, 감염의 위험성이 크며, 누공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장치물의 설치 및 제거가 복잡한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경우 가동판(110), 골이동나사(120), 지지판(130)으로만 이루어져 지지판(130), 골이동나사(120)의 일부, 가동판(110)을 고정하는 스크류(116)의 일부만이 골내에 위치되고, 특히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130)은 골내에서 서서히 녹아 없어지므로 장치의 설치 또는 제거시 상처의 크기가 적고, 누공이 형성될 염려가 없으며, 장치물의 설치 및 제거가 매우 간단하고, 골이동나사(120)가 암나사(111)를 통해 골내에 들어가므로 가골(103)이 감염될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된다.
그리고, 치조골이 신장된 후에는 별도의 2차 수술없이 모든 장치를 제 위치에서 간단히 해체할 수 있으며, 장치가 제거되면 치조골에 골이동나사(120)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작은 직경의 홀만 형성되므로 이 홀에 골이 채워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치아 수복용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고, 골이동나사(120)가 위치했던 홀이 임플란트 식립할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라도 홀의 직경이 작아 장치물을 제거한 직후 골이동나사(120)가 위치했던 홀에 바로 인접하게 임플란트를 문제없이 식립할 수 있어 신장된 치조골이 퇴축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부에 암나사를 갖는 가동판이 절단된 상부골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가동판의 암나사에는 골이동나사가 나사결합되 어 이루어지며, 골이동나사의 지지역할을 하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이 절단된 하부골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것이므로 장치가 매우 간단하여 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장치가 대부분 골내부에 위치되지 않아 감염의 우려가 적음은 물론 장치물 제거 즉시 치과 수복용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가동판에 견인홀을 구성할 경우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이 체내에서 서서히 녹아 제거되므로 별도의 2차 수술이 필요없으며, 별도의 치과기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Claims (3)

  1. 소실이 있는 치조골을 상부골(101)과 하부골(102)로 절단하고, 상기 상부골(101)을 상기 하부골(102)로부터 띄워 상기 상부골(101)과 상기 하부골(102)의 사이에 가골(103)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암나사(111)를 가지고 상기 상부골(10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동판(110);
    외주에 숫나사(121)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동판(110)의 암나사(111)에 나사결합되어 그 저부가 상기 상부골(101)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골(10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골이동나사(120); 및
    상기 골이동나사(120)와 상기 하부골(102)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골이동나사(120)를 지지하는 흡수성 재료로 된 지지판(13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10)은,
    상면에서는 상기 암나사(111)의 주위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부(112)를 이루고, 하면은 전체가 수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10)의 돌출부(112) 양측에는 각각 리브(1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113)에는 견인홀(11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KR1020040017694A 2004-03-16 2004-03-16 치조골 신장장치 KR10054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94A KR100545891B1 (ko) 2004-03-16 2004-03-16 치조골 신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94A KR100545891B1 (ko) 2004-03-16 2004-03-16 치조골 신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594A KR20050092594A (ko) 2005-09-22
KR100545891B1 true KR100545891B1 (ko) 2006-01-24

Family

ID=3727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694A KR100545891B1 (ko) 2004-03-16 2004-03-16 치조골 신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8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31B1 (ko) 2010-07-26 2011-04-11 황호춘 치조골 재생 장치
WO2012087640A2 (en) * 2010-12-20 2012-06-28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WO2013103261A1 (ko) * 2012-01-05 2013-07-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신장기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31B1 (ko) 2010-07-26 2011-04-11 황호춘 치조골 재생 장치
WO2012087640A2 (en) * 2010-12-20 2012-06-28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WO2012087640A3 (en) * 2010-12-20 2012-08-16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US8574302B2 (en) 2010-12-20 2013-11-05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WO2013103261A1 (ko) * 2012-01-05 2013-07-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신장기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KR20190065034A (ko) * 2017-12-01 2019-06-11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KR102197949B1 (ko) * 2017-12-01 2021-01-04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594A (ko)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969B2 (en) Methods for placing anatomical healing abutments
US8075564B2 (en)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US8128402B2 (en) Tubular bone anchoring element
AU740104B2 (en) Combination distrac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CA2249948C (en) Bone implant
EP0133194A2 (en) Oral implant for oversized dental support openings
US20130177872A1 (en)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JP2009532169A (ja) インプラント治療用リーマー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WO19910144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anchoring an implant,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moting growth of bone tissue
KR20160026885A (ko)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CA2903821A1 (e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support mechanism
US3952414A (en) Bone implant
KR20100025706A (ko) 상악동 내 수압에 의한 골막거상기 및 그 골막거상 시술방법
WO2001093775A1 (de) Subgingivale verbindungsvorrichtung
KR100545891B1 (ko) 치조골 신장장치
KR20030082243A (ko)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KR20080033221A (ko) 보조나사를 이용한 즉시 장착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955081B1 (ko) 날개부를 구비한 임플란트 치유 지대주
RU48753U1 (ru) Челюстной имплантат
RU2253405C1 (ru) Внутрикостно-поднадкостничный имплантат
RU2288669C2 (ru) Способ первично-отсроченной 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RU48755U1 (ru) Внутрикостно-поднадкостничный имплантат
JP2008093426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