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43A -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 Google Patents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43A
KR20030082243A KR1020020020894A KR20020020894A KR20030082243A KR 20030082243 A KR20030082243 A KR 20030082243A KR 1020020020894 A KR1020020020894 A KR 1020020020894A KR 20020020894 A KR20020020894 A KR 20020020894A KR 20030082243 A KR20030082243 A KR 2003008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implant
alveolar bone
alveolar
type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정
Original Assignee
황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정 filed Critical 황순정
Priority to KR102002002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43A/ko
Publication of KR2003008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Transmandibula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절단된 치조골 부위에 관통형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이 관통형 임플란트를 상승시켜 치조골을 악골로부터 띄우는 방식으로 치조골이 신장되게 하는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악골로부터 치조골부위를 절단하고, 치조골을 악골로부터 띄워 치조골과 악골의 사이에 가골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관통형 임플란트와, 몸체부의 외주면에 관통형 임플란트의 내주면 나사골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형 임플란트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헤드부에는 각진 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되어 렌치홈에 끼워진 기구를 통해 회전되면서 관통형 임플란트를 승하강시키는 골이동 나사와, 시술부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골이동 나사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대로 구성한 것으로, 치조골 신장장치로서의 기본적인 작용을 수행한다 할 때 타 장치에 비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시술이 용이하며, 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골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대상자의 신체구조에 따른 시술이 가능하고, 가골형성부위와 각 부재의 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가골형성부위의 감염우려가 없으며,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골이동 나사의 높이가 관통형 임플란트의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변함이 없으므로 저작에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Alveolar bone distractor using hole type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된 치조골 부위에 관통형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이 관통형 임플란트를 상승시켜 치조골을 악골로부터 띄우는 방식으로 치조골이 신장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은 물론 골신장 부위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며, 골의 신장방향을 대상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임플란트란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인공치근, 즉 픽스쳐를 심은 후 매식된 픽스쳐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게 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치아수복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받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가 치아 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한편, 치조골의 흡수나 소실이 심한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식립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자가골이식, 골재생유도술, 치조골 신장술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잇몸뼈)의 높이를 증가시켜주고 있는데, 자가골 이식 또는 골재생유도술은 연조직의 부족, 이식골 또는 재생골의 흡수, 골질의 불확실성 등의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치조골 신장술이 새로운 치료술로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 제 287407 호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치조골(10)과 악골(11)에 치조골 고정편(23) 및 악골 고정편(25)이 각각 나사(24)(26)에 의해 고정되고, 두개의 고정편(23)(25)에 간격 조절핀(21)과 가이드 봉(28)(29)이 연결되어 간격 조절핀(21)을 정방향(A) 또는 역방향(B)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두 고정편(23)(25)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의 높이를 증대시켜 가골(15)을 신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 287407 호에 따른 치조골 증대장치는 일단 설치해놓으면 가이드에 의해 한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골 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없고, 골이 신장된 후 2차 수술을 통해 장치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장치의 설치 후 장치의 일부가 1차 수술에서 사용한 절개선을 뚫고 나와 점막의 상피세포가 장치를 따라 2차적으로 성장하여 들어가 골 신장부위에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절단되는 치조골의 높이가 최소한 6∼7㎜ 정도는 되어야 하므로 치조골 흡수가 심한 악골에서는 골절 위험성과 하치조신경으로 인해 구치부(어금니부위)와 같은 장소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치조골을 상승시킬 때 간격 조절핀도 같이 상승하므로 이러한 간격 조절핀이 저작시 다른 치아에 걸리게 되어 골 신장기간 중에는 저작을 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절단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관통형 임플란트와, 관통형 임플란트에 나사결합되는 골이동 나사와, 골이동 나사를 공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대로 구성하여 골이동 나사를 회전시키면 골이동 나사는 지지대에 의해 제위치에서 공회전되면서 관통형 임플란트만 상승할 수 있어 관통형 임플란트가 식립된 치조골이 상승하여 악골과 치조골 사이에서 가골이 신장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지지대의 설치방향에 따라 골신장방향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며, 신장되는 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염의 우려가 없고, 관통형 임플란트만 식립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골신장 후 별도의 수술없이 그대로 빼내면 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며, 골이동 나사가 회전되어도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어 골 신장기간중에도 저작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부재 상세도로서,
(a)는 관통형 임플란트의 사시도.
(b)는 관통형 임플란트의 단면도.
(c)는 골이동 나사의 사시도.
(d)는 골이동 나사의 단면도.
(e)는 관통형 임플란트와 골이동 나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최초 설치시 상태.
(b)는 골 신장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치조골 11 : 악골
15 : 가골 100 : 관통형 임플란트
101 : 나사산 102 : 나사골
103 : 돌출부 200 : 골이동 나사
201 : 몸체부 202 : 나사산
203 : 헤드부 204 : 렌치홈
300 : 지지대 301 : 치관
302 : 임시 임플란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부위를 절단하고, 치조골(10)을 악골(11)로부터 띄워 치조골(10)과 악골(11)의 사이에 가골(15)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101)과 나사골(102)이 형성되어 치조골(10)에 식립되는 관통형 임플란트(100)와, 몸체부(201)의 외주면에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내주면 나사골(102)에 대응되는 나사산(202)이 형성되어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헤드부(203)에는 6각형의 렌치홈(204)이 형성되어 이 렌치홈(204)에 끼워진 6각 렌치와 같은 기구를 통해 회전되면서 관통형 임플란트(100)를 승하강시키는 골이동 나사(200)와, 시술부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골이동 나사(200)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대(300)로 구성된다.
이때,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상부 골이동 나사 접촉부위에는 골이동 나사(200)와의 사이에 치태나 음식물이 끼이지 않도록 축방향을 중심으로 6각형의 돌출부(103)가 형성되며, 지지대(300)는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있는 경우 인접치아에 치관(301)을 덮어 고정하고,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없는 경우 골핀이나 임시 임플란트(302)를 식립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300)를 제외한 상기한 모든 부재는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티타늄 계열의 금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지지대(300)는 치과기공과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제작의 용이함과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치아보철용 치관(crown)에 사용하는 합금(Ni-Co-Mo)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된 치조골(10) 부위에 관통형 임플란트(100)를 매식하는 방법으로 식립하며,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있는 경우에는 치관(301)을 덮거나 인접치가 없는 경우에는 골핀이나 임시 임플란트(302)를 식립한 후 치과기공과정을 통해 이들을 앞뒤로 연결하는 지지대(300)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지지대(300)를 통해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내주면에 골이동 나사(200)를 나사 결합하면 간단하게 모든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지지대(300)의 위치에 따라 골신장 방향을 정할 수 있으므로 치과기공과정에서 시술 대상자의 악골이나 치조골 등의 신체 구조를 감안하여 지지대(300)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장치가 설치된 다음 골이동 나사(2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골이동 나사(200)는 지지대(300)에 의해 공회전하면서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지만 골이동 나사(200)의 몸체부(201)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관통형 임플란트(100)는 각 나사(102)(202)간 작용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외주면 나사산(101)은 치조골(10)과 나사결합되어 강하게 홀딩하고 있고 치조골(10)은 악골(11)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치조골(10) 역시 관통형 임플란트(100)가 상승하는 만큼 상승하게 되며, 시일이 지나면 이 치조골(10)과 하부의 악골(11) 사이에 가골(15)이 자라나 채워지게 되어 치조골(10)이 신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에서 관통형 임플란트(100)는치조골(10)에 매식하는 방법으로 식립되는 것이므로 치조골(10)이 약 3∼4㎜정도만 되어도 사용이 가능하여 상악골과 같이 피질골이 얇아 치조골(11)의 골절이 우려되거나 하악골에서 하치조신경 위의 치조골(10)이 심하게 위축되어 하치조신경을 건드릴 위험이 있는 부위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으며,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길이가 짧아 제거할 때 새로이 신장된 가골(15)이 소실되지 않고, 골이동 나사(200)가 치조골(10)을 직접 통과하지 않고 관통형 임플란트(100)를 통해 치조골(10)내에 들어가므로 가골(15)이 감염될 가능성이 기존의 장치물보다 적게 된다.
한편, 치조골(10)이 신장된 후에는 별도의 수술없이 모든 장치를 그 위치에서 해체할 수 있으며, 관통형 임플란트(100)를 빼낸 자리에 치아 수복용 임플란트를 매식하게 되면 별도의 드릴링 공정없이 곧바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이를 감안하여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직경이 표준형 임플란트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게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제거 후 곧바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가 짧은 관통형 임플란트가 절단된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고, 여기에 상부의 지지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골이동 나사가 나사결합되어 골이동 나사를 회전시키면 각 나사간 작용에 의해 관통형 임플란트와 치조골이 골이동 나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므로 치조골을 악골로부터 띄워 그 사이에 가골이 성장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로서의 기본적인 작용을 수행한다 할 때 타 장치에 비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함은 물론 시술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골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대상자의 신체구조에 따른 시술이 가능하며, 가골형성부위와 각 부재의 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가골형성부위의 감염우려가 없고,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골이동 나사의 높이가 관통형 임플란트의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변함이 없으므로 저작에 방해되지 않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부위를 절단하고, 상기 치조골(10)을 상기 악골(11)로부터 띄워 상기 치조골(10)과 상기 악골(11)의 사이에 가골(15)이 형성되게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에 있어서,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101)과 나사골(102)이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10)에 식립되는 관통형 임플란트(100);
    몸체부(201)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내주면 나사골(102)에 대응되는 나사산(20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헤드부(203)에는 각진 형상의 렌치홈(204)이 형성되어 상기 렌치홈(204)에 끼워진 기구를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관통형 임플란트(100)를 승하강시키는 골이동 나사(200); 및
    시술부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골이동 나사(200)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임플란트(100)의 상부 골이동 나사 접촉부위에는 상기 골이동 나사(200)와의 사이에 치태나 음식물이 끼이지 않도록 축방향을 중심으로 돌출부(1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있는 경우 인접치아에 치관(301)을 덮어 고정하고, 시술부위의 인접부위에 치아가 없는 경우 골핀이나 임시 임플란트(302)를 식립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KR1020020020894A 2002-04-17 2002-04-17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KR20030082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94A KR20030082243A (ko) 2002-04-17 2002-04-17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94A KR20030082243A (ko) 2002-04-17 2002-04-17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43A true KR20030082243A (ko) 2003-10-22

Family

ID=3237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94A KR20030082243A (ko) 2002-04-17 2002-04-17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31B1 (ko) * 2010-07-26 2011-04-11 황호춘 치조골 재생 장치
WO2012087640A2 (en) * 2010-12-20 2012-06-28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KR101706599B1 (ko) * 2015-12-17 2017-0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치조골 신장기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252A (en) * 1995-05-08 1999-11-09 Samchukov; Mikhail L.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hape, mass, and strength of alveolar and intramembranous bone
KR200213508Y1 (ko) * 2000-09-04 2001-02-15 이동환 치조골 증강장치
KR100287407B1 (ko) * 1998-12-03 2001-05-02 오희균 치조골 증대 장치
US6280191B1 (en) * 1999-09-03 2001-08-28 Christopher B. Gordon Distractor suitable for permanent implantation into bone
KR100372259B1 (ko) * 2000-08-17 2003-02-17 이동환 치조골 증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252A (en) * 1995-05-08 1999-11-09 Samchukov; Mikhail L.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hape, mass, and strength of alveolar and intramembranous bone
KR100287407B1 (ko) * 1998-12-03 2001-05-02 오희균 치조골 증대 장치
US6280191B1 (en) * 1999-09-03 2001-08-28 Christopher B. Gordon Distractor suitable for permanent implantation into bone
KR100372259B1 (ko) * 2000-08-17 2003-02-17 이동환 치조골 증강장치
KR200213508Y1 (ko) * 2000-09-04 2001-02-15 이동환 치조골 증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31B1 (ko) * 2010-07-26 2011-04-11 황호춘 치조골 재생 장치
WO2012087640A2 (en) * 2010-12-20 2012-06-28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WO2012087640A3 (en) * 2010-12-20 2012-08-16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and method
US8574302B2 (en) 2010-12-20 2013-11-05 Warsaw Orthopedic, Inc. Bone augmentation device
KR101706599B1 (ko) * 2015-12-17 2017-0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치조골 신장기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KR20190065034A (ko) * 2017-12-01 2019-06-11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thur et al. Modified technique using multiple zygomatic implants in reconstruction of the atrophic maxilla: a technical note.
CA2387845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idge preservation and implant treatment
US9980792B2 (en) Hybrid temporary anchorage device impla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491304B2 (en) Dental implant fixture
AU2015226166B2 (en) Dental implant
KR20050022738A (ko) 치과용 임플란트
EP3017785A1 (en) System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KR20100096327A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7021010A1 (en) Osseointegrated alveolar implant prosthesis
Le Gall Localized sinus elevation and osteocompression with single-stage tapered dental implants
US6368108B1 (en) Method for immediately placing a non-occlusive dental implant prosthesis
EP2231056B1 (en) Dental implant that increases bone support
Yukna Placement of hydroxyapatite-coated implants into fresh or recent extraction sites
KR20030082243A (ko)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WO2019212372A1 (en) Medical implant and medical implant system for malar process of the maxilla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0545891B1 (ko) 치조골 신장장치
CN210019727U (zh) 一种野战口腔种植定位器钻孔装置
Lofano et al.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a technique for stabilizing bone grafts in the atrophic maxilla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RU2799138C1 (ru) Двухэтапный имплантат из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я
US20230141066A1 (en) Dental implant to be placed in the posterior upper jaw
RU2246281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винтовой имплантат
RU2098040C1 (ru) Литая культевая штифтовая вкладка
Lazzara Transplantation of a preosseointegrated implant from the mental area to a maxillary sinus graft.
US20120034574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