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407B1 - 치조골 증대 장치 - Google Patents

치조골 증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407B1
KR100287407B1 KR1019980052791A KR19980052791A KR100287407B1 KR 100287407 B1 KR100287407 B1 KR 100287407B1 KR 1019980052791 A KR1019980052791 A KR 1019980052791A KR 19980052791 A KR19980052791 A KR 19980052791A KR 100287407 B1 KR100287407 B1 KR 10028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bone
fixing piece
jaw
fix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957A (ko
Inventor
오희균
홍석진
조규종
Original Assignee
오희균
홍석진
조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균, 홍석진, 조규종 filed Critical 오희균
Priority to KR101998005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4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턱뼈(악골)에서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뼈(치조골)의 높이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치조골 증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조골과 악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각각 연결되어 치조골과 악골 사이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핀과, 상기 고정편의 간격 조절시 고정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구강내로 간격 조절핀만 노출되어 있어 연조직의 손상 및 불편감을 줄이고,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강내 청결 유지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치조골 증대 장치
본 발명은 치조골 증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턱뼈(악골)에서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뼈(치조골)의 길이를 늘이는 데 사용되는 치조골 증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치조골을 증대술은 악골이나 발치 등으로 인해 치조골의 퇴축이 심한 환자, 외상 또는 악골에 발생한 종양 수술로 인해 치조골의 결손을 가진 환자, 치조골의 높이가 부족하여 인공치아의 매식이 곤란한 환자 등 충분한 길이의 인공치아 매식을 위하거나 틀니의 안정성과 보철물의 심미성을 위해 시술되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라 치조골을 증대시키기 위해 자가골 또는 동종골이나 인공 성형 이식재를 이용한 다양한 골이식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골이식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이식골의 흡수와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자가골 이식시에는 공여부의 손상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술후 보철물 장착까지 장기간 동안 환자는 무치악 상태로 지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식부가 감염되어 있거나 클 경우에는 수술이 여러 단계로 시행되어야 하고 골이식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이식골의 흡수로 인해 결과가 불만족스러운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보완해 주는 방법의 하나로 신연 골형성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신연 골형성법은 신연(distraction)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골절단술이나 피질골절단술을 시행한 다음 골이식을 하지 않고 가골을 점차적으로 신연시킴으로써 골면 사이에 신생골이 형성되게 하여 골의 길이를 늘이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신연 골형성법은 주로 사지(limb)의 길이를 늘이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하악골뿐만 아니라 상악골, 협골 등 안면골을 신연시키는데 적용되어 이에 대한 임상 및 실험적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신연 골형성법을 이용한 치조골증대술은 1996년 Chin과 Toth, 그리고 Block 등이 신연골형성법을 이용한 치조골 증대술에 대하여 보고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분절 골편(Bone segment)의 고정과 안정성의 부족, 감염의 위험성, 임프란트를 이용한 장치의 고정으로 인한 신연 기간의 연장, 인접 구강점막의 손상과 감염 위험 등 실제로 임상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장치를 생체 친화성이 양호한 티타늄(Ti)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크기가 작고 구강내로는 간격 조절핀만 노출시킴으로써 연조직의 손상 및 불편감을 줄이고,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치조골 증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증대 장치는, 치조골과 악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각각 연결되어 치조골과 악골 사이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과; 상기 고정편의 간격 조절시 고정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증대 장치가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악골 10 : 치조골
15 : 가골 21 : 간격 조절핀
21a : 작동부 21b, 21b' : 나사산부
23 : 치조골 고정편 23a : 암나사부
23b : 가이드 홀 23c : 나사 홀
24 : 나사 25 : 악골 고정편
25a : 암나사부 25b : 가이드 홀
25c : 나사 홀 26 : 나사
28, 29 : 가이드 봉 31, 41, 51 : 간격 조절핀
33, 43, 53 : 치조골 고정편 35, 45, 55 : 악골 고정편
38, 39, 48, 49, 58, 59 : 가이드 봉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증대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10)과 악골(11)에 치조골 고정편(23) 및 악골 고정편(25)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고정편(23)(25)에 간격 조절핀(21)과 가이드 봉(28)(29)이 연결되어 상기 간격 조절핀(21)을 회전시킴으로써 두 고정편(23)(25)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악골(11)로부터 치조골(10)의 높이를 증대시켜 가골(15)을 신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두 개의 고정편(23)(25)과 간격 조절핀(21)은 상호 나사 조립되어 상기 간격 조절핀(21)이 정 방향(A)으로 회전하면 고정편(23)(25)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반대 방향(B)으로 회전하면 고정편(23)(2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치조골 고정편(23)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뼈인 치조골에 나사(24)로 고정되어 상기 간격 조절핀(21)을 회전시키게 되면 악골로부터 치조골(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악골 고정편(25)은 턱뼈인 악골(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나사(26)로 고정되어 상기 치조골 고정편(23)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개의 고정편(23)(25)은 긴 판형으로 나사(24)(26)를 체결할 수 있도록 도 2a에서와 같이 각각 4개의 나사홀(23c)(25c)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간격 조절핀(21)이 결합되는 암나사부(23a)(25a)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23a)(25a)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봉(28)(29)이 삽입되도록 두 개의 가이드 홀(23b)(25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편(23)(25)의 밑면은 치조골(10) 및 악골(11)에 밀착되게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상기 암나사부(23a)(25a)와 가이드 홀(23b)(2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간격 조절핀(21)은 긴 봉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23)(25)과 결합된 부분에는 오른 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나사산부(21b)가 위치되고, 상기 나사산부(21b)의 상단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각 모양으로 된 작동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간격 조절핀(21)은 그 작동부(21a)는 치조골 증대 시술시 구강내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하여 외부에서 치조골(10)과 악골(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치조골 증대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가이드 봉(28)(29)은 상기 고정편(23)(25)의 간격을 조절할 때 고정편(23)(25)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골편이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는데, 어느 한쪽이 상기 치조골 고정편(23)이나 악골 고정편(25)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나사(24)(26)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각 부품은 생체 친화성이 양호한 티타늄(Ti)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넓은 치조골을 증대시키는 경우에서 외측 골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특히 장기간 동안 서서히 치조골의 높이를 증대시키는 경우 등 보다 큰 외력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좁은 치조골을 증대시키는 경우에서 외측 골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하나, 상기한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큰 외력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치조골 고정편(33)과 악골 고정편(35)에 각각 두 개의 나사 홀(33c)(35c)이 형성되어 치조골과 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두 고정편(33)(35)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간격 조절핀(31)과 가이드 봉(38)(39)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두 고정편(33)(35)은 그 길이가 상기 제1 실시예의 고정편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것은 악골과 치조골의 외측 골면이 좁은 치조골을 증대시키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치조골을 증대시키는 경우에서 외측 골면이 편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특히 장기간 동안 서서히 치조골의 높이를 증대시키는 경우 등 보다 큰 외력이 필요할 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넓은 치조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정편(43)(45)의 본체부(43a)(45a)에 4개의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정편(43)(45)은 그 본체부(43a)(45a)에서 치조골과 악골의 골면에 길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43b)(45b)가 각각 형성되고, 이 연장부(43b)(45b)에는 4개씩의 나사홀(43c)(45c)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도 두 고정편(43)(4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핀(41)과 가이드 봉(48)(4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는 고정편(43)(45)에 연장부(43b)(45b)가 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치조골과 악골의 골면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나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골편이 편평하지 않으면서도 불규칙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환자에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3 실시예와 달리 좁은 치조골을 증대시키는 경우에서 외측 골면이 편평하지 않으면서 불규칙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상기 제3 실시예와는 다르게 큰 외력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 고정편(53)(55)의 본체부(53a)(55a)는 좁은 치조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나 본체부(53a)(55a)의 양단에 쉽게 휘어지는 연장부(53b)(55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3b)(55b)에는 나사 고정을 위해 나사홀(53c)(55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53b)(55b)가 외측 골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므로 치조골이나 악골이 편평하지 않으면서 불규칙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고정편(53)(55)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핀(51)과 가이드 봉(58)(59)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증대 장치의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조골의 높이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치조골(10)과 악골(11) 사이의 가골(15)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먼저, 치조골(10)과 악골(11)에 간격 조절핀(21)으로 연결된 두 고정편(23)(25)을 각각 나사(24)(26)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두 고정편(23)(25)에 연결된 간격 조절핀(21)의 상단부인 조절부(21a)는 구강내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간격 조절핀(21)을 도 1에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두 고정편(23)(25)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악골(11)과 치조골(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벌어진 틈새에서 가골(15)이 신연되어 치조골(10)의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 고정편(23)(25)이 티타늄 나사(24)(26)로 악골(11)과 치조골(10)에 각각 고정되고, 상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28)(2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보다 정확한 간격 조절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간격 조절핀(21)의 상단부가 구강내로 노출되므로 치료 경과에 따라 간격 조절핀(21)을 회전시켜 치조골(10)의 높이를 서서히 증대시킬 수 있어 연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치조골 증대 장치는 생체 친화성이 양호한 티타늄(Ti)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가이드 봉과 간격 조절핀 등이 구비되어 악골과 치조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 위험성을 줄이고, 고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신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내로 간격 조절핀이 노출되어 치조골과 악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강내 청결 유지가 용이함과 더불어 연조직의 손상 및 불편감을 줄이고,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치조골과 악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각각 연결되어 치조골과 악골 사이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과;
    상기 고정편의 간격 조절시 고정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증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치조골과 악골에 복수개의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증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과 간격 조절 수단은 상호 나사 조립되어,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이 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편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증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긴 핀(pin)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편과 결합된 부분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나있는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상단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인 작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증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복수개의 긴 봉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의 양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가이드 수단이 삽입되어 있도록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증대 장치.
KR1019980052791A 1998-12-03 1998-12-03 치조골 증대 장치 KR10028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791A KR100287407B1 (ko) 1998-12-03 1998-12-03 치조골 증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791A KR100287407B1 (ko) 1998-12-03 1998-12-03 치조골 증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57A KR20000037957A (ko) 2000-07-05
KR100287407B1 true KR100287407B1 (ko) 2001-05-02

Family

ID=1956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791A KR100287407B1 (ko) 1998-12-03 1998-12-03 치조골 증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243A (ko) * 2002-04-17 2003-10-22 황순정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KR100444947B1 (ko) * 2000-05-23 2004-08-18 장상건 임플랜트 시술시의 치조골확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046B1 (ko) * 2000-10-12 2003-10-17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치조골확장기
JP6545403B2 (ja) * 2016-12-08 2019-07-17 カンケンテクノ株式会社 脱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47B1 (ko) * 2000-05-23 2004-08-18 장상건 임플랜트 시술시의 치조골확장 장치
KR20030082243A (ko) * 2002-04-17 2003-10-22 황순정 관통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조골 신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5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5258B1 (en) Telescopic bone plate for use in bone lengthening by distraction osteogenesis
McCarthy The role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mandible in unilateral craniofacial microsomia
Klesper et al. Vertical distraction osteogenesis of fibula transplant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a preliminary study
Cohen et al.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human craniofacial skeleton: initial experience with a new distraction system
Klein et al. Lengthening of the hypoplastic mandible by gradual distraction in childhood—a preliminary report
Spiessl New concepts in maxillofacial bone surgery
US7588579B2 (en)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upper jaw
EP0748616B1 (en) Dental implant
Reinert et al. Stability of bone grafting and placement of implants in the severely atrophic maxilla
Rachmiel et al. Multiple segmental gradual distraction of facial skeleton: an experimental study
JP4920861B2 (ja) 上顎ディストラクタ
Hierl et al. A novel modular retention system for midfacial distraction osteogenesis
Urbani Alveolar distraction before implantation: a report of five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0287407B1 (ko) 치조골 증대 장치
Stucki-McCormick et al.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U2597281C1 (ru) 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Brusati et al. On the feasibility of intraoral maxillo-malar osteotomy
BE1013397A3 (nl) Apparaat voor intraorale distractieosteotomie ter verbreding van de onderkaak.
Guerrero et al. Surgical implant repositioning: a clinical report.
Riediger et al. Le Fort III osteotomy: a new internal positioned distractor
Brener The mandibular ramus donor site
Wiens et al. The use of distraction osteogenesis to treat hemifacial microsomia: a clinical report
Berry et al. Nasal augmentation using the mandibular coronoid as an autogenous graft: report of case
Mattick Osteogenic distraction within the craniofacial complex
Singh Surgically Assissted Rapid Canine Distalization Using Modified Hyrax Appliance-A Clinic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