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19B1 -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19B1
KR100545819B1 KR1020030032265A KR20030032265A KR100545819B1 KR 100545819 B1 KR100545819 B1 KR 100545819B1 KR 1020030032265 A KR1020030032265 A KR 1020030032265A KR 20030032265 A KR20030032265 A KR 20030032265A KR 100545819 B1 KR100545819 B1 KR 10054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ulley
belt
disposed
waf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063A (ko
Inventor
김명진
황찬영
안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로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로보텍
Priority to KR102003003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81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초기에 적은 스트로크만을 작용시켜도 웨이퍼퀄츠는 더 큰 스트로크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퀄츠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평판형의 제1 베이스(10); 상기 제1 베이스(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평판형의 제2 베이스(2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에 배치되되고, 웨이퍼퀄츠(Q)가 장착되는 평판형의 제3 베이스(3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연부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 풀리(P1-4)로서, 제1 및 제2 풀리는 제2 베이스(20)의 한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벨트(b1)로 연결되고, 제3 풀리(P3)는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제2 풀리(P2)와 벨트(b2)로 연결되며, 제4 풀리(P4)는 제3 풀리와 같은 쪽으로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제3 풀리와 벨트(b3)와 연결되는 4개의 풀리(P1-4); 상기 제1 벨트(b1)와 제1 베이스(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 상기 제3 벨트(b3)와 제3 베이스(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 상기 제1 베이스(10)에 대해 제2 베이스(2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1 가이드(52); 상기 제2 베이스(20)에 대해 제3 베이스(3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2 가이드(54); 및 상기 제1 베이스(10)에 장착되어 제2 베이스(2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2 베이스 이동수단(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Apparatus for loading wafer quartz}
도 1은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웨이퍼퀄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가 축소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가 신장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벨트 이송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의 정면도.
본 발명은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구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초기에 적은 스트로크만을 작용시켜도 웨이퍼퀄츠는 더 큰 스트로크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퀄츠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이퍼퀄츠(wafer quartz)란 다수의 웨이퍼, 대략 25개 내지 52개의 웨이퍼를 적재하고, 웨이퍼를 적재한 상태로 반도체처리공정, 구체적으로는 미완성된 웨이퍼들을 열처리공정이나 화학적 처리공정에 투입하기 위한 기구이다.
도 1에는 이런 웨이퍼퀄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퀄츠(Q)는 대략 반원통형 형상으로서, 다수의 웨이퍼(W)가 웨이퍼퀄츠(Q)에 나란히 장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후처리공정, 구체적으로는 열처리공정이나 화학처리공정에 웨이퍼를 투입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렇게 웨이퍼를 다수(구체적으로 25-52개) 장착한 웨이퍼퀄츠(Q)는 후처리공정에 투입되기 위해 반도체 공정중에 자동으로 일정 거리 이송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웨이퍼퀄츠의 이동에 필요한 거리와 동일한 스트로크로 웨이퍼퀄츠를 장착한 구동장치가 이동해야만 했다. 이 경우, 구동장치의 이동거리가 길어야만 하므로 반도체 제조공장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고 또한 구동장치가 상대적으로 필요한 이동거리만큼 대형화되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구학적인 텔레스코프 원리를 이용하여, 웨이퍼퀄츠를 이동시켜야 하는 구동장치 자체는 필요한 거리보다 훨씬 작은 거리를 이동하여도 실제로 웨이퍼퀄츠는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절감하고 장치도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웨이퍼를 적재하는 웨이퍼퀄츠(Q)의 로딩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평판형의 제1 베이스(10);
상기 제1 베이스(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평판형의 제2 베이스(2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에 배치되되고, 웨이퍼퀄츠(Q)가 장착되는 평판형의 제3 베이스(3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연부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 풀리(P1-4)로서, 제1 및 제2 풀리는 제2 베이스(20)의 한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벨트(b1)로 연결되고, 제3 풀리(P3)는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제2 풀리(P2)와 벨트(b2)로 연결되며, 제4 풀리(P4)는 제3 풀리와 같은 쪽으로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제3 풀리와 벨트(b3)와 연결되는 4개의 풀리(P1-4);
상기 제1 벨트(b1)와 제1 베이스(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
상기 제3 벨트(b3)와 제3 베이스(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
상기 제1 베이스(10)에 대해 제2 베이스(2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1 가이드(52);
상기 제2 베이스(20)에 대해 제3 베이스(3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2 가이드(54); 및
상기 제1 베이스(10)에 장착되어 제2 베이스(2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2 베이스 이동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60)에 의해 제2 베이스(20)가 움직이면, 제1 벨트(b1)가 회전함으로써, 제2 벨트(b2)와 제3 벨트(b3)가 차례로 회전하게 되어, 제3 벨트에 연결된 제3 베이스(30)가 제2 베이스의 스트로크보다 훨씬 큰 스트로크로 움직이게 되는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있어서, 제2 풀리(P2)는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로 구성되고, 제2 풀리의 소직경부는 제1 풀리와 연결되며 제2 풀리의 대직경부는 제3 풀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의 직경비는 1.2: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동수단(60)은 볼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완전히 신장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는 고정된 평판형의 제1 베이스(10)와, 역시 평판형의 제2 및 제3 베이스(20,30)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10)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지만, 제2, 제3 베이스들(20,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행정거리를 왕복운동할 수 있다. 제2 베이스(20)는 제1 베이스(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3 베이스는 제2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웨이퍼퀄츠는 제3 베이스에 장착된다.
제2 베이스(20)의 일측연부,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2 베이스의 상연부에는 제2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두개씩 4개의 풀리(P1-4)가 장착된다. 제1 및 제2 풀리는 제2 베이스(20)의 한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벨트(b1)로 연결되고, 제3 풀리(P3)는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제2 풀리(P2)와 벨트(b2)로 연결되며, 제4 풀리(P4)는 제3 풀리와 같은 쪽으로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 단부에 배 치되어 제3 풀리와 벨트(b3)와 연결된다. 즉, 제2, 제3 풀리(P2,P3)는 각각 제2 베이스(2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뒤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제3 베이스(30)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풀리 P1, P2 사이의 간격보다 풀리 P3, P4의 간격이 더 긴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제3 풀리(P3)는 제2 풀리(P2)와 비스듬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고, 또한 제2 풀리(P2)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의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리(P2)를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의 이단으로 구성하고, 제2 풀리의 소직경부는 제1 풀리(P1)와 연결되며 제2 풀리의 대직경부는 제3 풀리(P3)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제1 벨트(b1)보다 제3 벨트(b3)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벨트(b3)에 연결된 제3 베이스(30)는 더 큰 스트로크로 이동할 수 있다. 가급적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의 직경비는 1.2:1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제3 베이스는 제2 베이스의 이동거리의 1.2배 정도를 이동할 수 있다.
또, 제1 벨트(b1)는 제1 연결부(41)에 의해 제1 베이스(10)에 연결되고, 제3 벨트(b3)는 제2 연결부(42)에 의해 제3 베이스(30)에 연결된다. 가급적, 웨이퍼퀄츠(Q)가 최대한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수축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41)는 가급적 우측 끝에 위치하고, 제2 연결부(42)는 좌측 끝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제2 베이스(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벨트(b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벨트(b2)도 회전하게 되며, 제2 벨 트에 연결된 제3 벨트(b3)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 벨트에 연결된 제3 베이스(30)가 도 3의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베이스(30)에 장착된 웨이퍼퀄츠(Q)는 제2 베이스(20)가 이동한 거리와 제3 베이스(30)가 이동한 거리를 합한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0)에 대해 제2 베이스(2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1 가이드(52)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에 형성되는바, 이런 제1 가이드로는 선형가이드가 바람직하다. 또, 제2 베이스(20)에 대해 제3 베이스(3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2 가이드(54)가 제2 베이스와 제3 베이스에 형성되는바, 역시 선형가이드가 바람직하다. 이런 선형가이드는 당분야에 널리 이용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구체적으로는 안내레일과 안내레일을 타고 구르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제1 베이스(10)에는 제2 베이스(2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2 베이스 이동수단(6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동수단으로는 볼스크류가 바람직하다. 즉 볼스크류 자체는 제1 베이스에 장착되고, 볼스크류에 맞물려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면 볼스크류를 타고 전후진하는 이동부분은 제2 베이스(20)에 연결된다. 이렇게 할 경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제2 베이스(20)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퀄츠 로딩장치에 의하면, 기구학적인 텔레스코프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제2 베이스의 이동거리보다 훨씬 큰 거리로 웨이퍼퀄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퀄츠를 이동시켜야 하는 구동장치 자체는 필요한 거리보다 훨씬 작은 거리를 이동하여도 실제로 웨이퍼퀄츠는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공간을 절감하고 장치도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4)

  1.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웨이퍼를 적재하는 웨이퍼퀄츠(Q)의 로딩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평판형의 제1 베이스(10);
    상기 제1 베이스(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평판형의 제2 베이스(2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에 배치되되고, 웨이퍼퀄츠(Q)가 장착되는 평판형의 제3 베이스(30);
    상기 제2 베이스(20)의 일측연부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 풀리(P1-4)로서, 제1 및 제2 풀리는 제2 베이스(20)의 한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벨트(b1)로 연결되고, 제3 풀리(P3)는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제2 풀리(P2)와 벨트(b2)로 연결되며, 제4 풀리(P4)는 제3 풀리와 같은 쪽으로 제2 베이스(20)의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제3 풀리와 벨트(b3)와 연결되는 4개의 풀리(P1-4);
    상기 제1 벨트(b1)와 제1 베이스(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
    상기 제3 벨트(b3)와 제3 베이스(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
    상기 제1 베이스(10)에 대해 제2 베이스(2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1 가이드(52);
    상기 제2 베이스(20)에 대해 제3 베이스(30)가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제2 가이드(54); 및
    상기 제1 베이스(10)에 장착되어 제2 베이스(2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2 베이스 이동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60)에 의해 제2 베이스(20)가 움직이면, 제1 벨트(b1)가 회전함으로써, 제2 벨트(b2)와 제3 벨트(b3)가 차례로 회전하게 되어, 제3 벨트에 연결된 제3 베이스(30)가 제2 베이스의 스트로크보다 훨씬 큰 스트로크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퀄츠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P2)는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로 구성되고, 제2 풀리의 소직경부는 제1 풀리와 연결되며 제2 풀리의 대직경부는 제3 풀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퀄츠 로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P2-1)와 소직경부(P2-2)의 직경비가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퀄츠 로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이 볼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퀄츠 로딩장치.
KR1020030032265A 2003-05-21 2003-05-21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KR10054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65A KR100545819B1 (ko) 2003-05-21 2003-05-21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65A KR100545819B1 (ko) 2003-05-21 2003-05-21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63A KR20040100063A (ko) 2004-12-02
KR100545819B1 true KR100545819B1 (ko) 2006-01-24

Family

ID=3737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265A KR100545819B1 (ko) 2003-05-21 2003-05-21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8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63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4381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ハンドラの素子搬送装置
KR101670190B1 (ko) 팔레트 반송 장치 및 팔레트 반송 방법
KR101940199B1 (ko) 핸드 유닛 및 이동탑재 방법
KR101969527B1 (ko) 팰릿 반송 장치
KR101889846B1 (ko) 팰릿 반송 장치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KR100545819B1 (ko) 웨이퍼퀄츠 로딩 장치
KR100854436B1 (ko) 반도체 패키지 핸들링장치
JP2000343523A (ja) ダイシング装置のスピンドル移動機構
JP2003120777A (ja) カムを用いた送り機構およびコネクターの組立機
KR100678597B1 (ko) 슬라이드 포크
KR100188752B1 (ko) 다기능 전용 공작기계의 공작물 이송장치 및 그 방법
JP505802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2004001990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トランスファ装置
JP2002226029A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2099113B1 (ko) 부품 실장 장치
KR200356000Y1 (ko) 적재물 양방향 이송 장치
JP4265425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JPH05231426A (ja) 直線スライドユニット
TW202404732A (zh) 型鋼全時加工方法
KR100228818B1 (ko) 피치 가변형 6툴 헤드
KR200145232Y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KR200227708Y1 (ko) 공작기계의테이블이송용기대구조
JP2007269445A (ja) ワークの搬送装置
JP3900069B2 (ja) 3軸移動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