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119B1 -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119B1
KR100545119B1 KR1019997006243A KR19997006243A KR100545119B1 KR 100545119 B1 KR100545119 B1 KR 100545119B1 KR 1019997006243 A KR1019997006243 A KR 1019997006243A KR 19997006243 A KR19997006243 A KR 19997006243A KR 100545119 B1 KR100545119 B1 KR 10054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connecting rod
link
wiper ar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024A (ko
Inventor
토마스 코틀라르스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10)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아암의 다른 자유단부 섹션에는, 유리창에서 작동하며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종축에 나란하게 또한, 유리창면에 대해 평행하고 종축에 대해서 횡으로 향하는 진동축을 중심으로 힌지식 링크 연결되어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섹션(38)이 서로 떨어져 있는 두개의 횡단면이 U-자형인 연결장치(12)의 레그(34, 36) 사이에 안내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4)의 링크수단은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외이퍼 블레이드 연결장치(12)의 링크수단과 상호 작동하는 반면, 다른 단부에 있는 커넥팅 로드(16)에, 틸팅링크(20)에 속해 있는 제 1 링크부(18)가 제공되며, 이 링크부의 다른 제 2 링크부에서는 와이퍼장치의 구동수단(24)이 작동한다. 특히 가격이 저렴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아암-커넥팅 로드(16, 116, 216)와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장치(12)가 금속 박판으로 일체로서 제조될 때 얻어진다.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 틸팅링크, 연결장치, 링크부

Description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Wiper assembly for motor vehicle windows having a longitudinally extended, driven wiper arm which is guided on the motor vehicle at one end}
본 발명은 청구항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DE-AS 19 05 352)의 종래 와이퍼 장치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장치는 금속박판으로 생산되고 상기 장치에는 플러그인 부싱이 제공되며, 이 부싱 내에는 예비 제작된 중실의 커넥팅 로드가 삽입되어 계속된 가공과정에서 고정되어야한다. 여기서 요구되는 비후(thickening) 비용외에도, 연결장치와 커넥팅 로드의 플러그인 연결이 와이퍼가 작동될 때에 가속 또는 정지되어야 할 질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와이퍼 장치의 구동부품의 적합한 설계에 의해 고려되어야만 한다.
청구항 1항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와이퍼 아암용 연결장치와 커넥팅 로드는 단 하나의 작업 단계로 생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인 부싱의 배치가 생략된다. 이로써 -중실 커넥팅 로드의 생략과 관련하여- 무게가 감소되며 이는 구동 부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동시에 가격을 떨어뜨린다.
청구범위에 따른 또다른 종래의 와이퍼 장치(DE 34 20 274 A1)의 경우, 횡단면이 U-자 형이며 금속박판으로 되어 있는 틸팅링크의 제 1 링크부가 제조되고 이어서 상기 링크부와 예비 제조된 커넥팅 로드 사이의 중첩섹션 영역에서 또다른 작업과정으로 상기 커넥팅 로드와 리벳연결이 된다. 그러나 여기에 필요한 제조비용은 상당하다. 더욱이 중첩섹션은 와이퍼가 작동될 때 가속되고 제동되어야 하는 질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구동부품의 설계 비용을 높인다.
청구항 2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의 경우 와이퍼-커넥팅 로드와 틸팅링크의 제 1 링크부는 가격이 저렴하게 단 하나의 작업과정에서 생산될 수 있다. 특히 고정 수단과 중첩섹션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실 커넥팅 로드의 작업생략으로 인한 무게의 감소는 와이퍼 장치의 구동 부품의 설계시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 장치와 틸팅링크의 제 1 링크부가 금속박판으로 일체로 생산될 때에 특히 진보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나오게 되는데, 이는 이 경우 이미 설명한 각각의 방법에 대한 장점들이 보완되기 때문이다.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 영역에서 와이퍼 아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커넥팅 로드는 박판의 변형에 의해 강화된다. 즉 이러한 변형에 의해 전체 와이퍼 아암의 영역에서의 와이퍼 상태와 굽힘모멘트는 서너배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그리고 각각에 속한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나타나 있다.
도 1은 와이퍼 장치에 속하며 구동수단을 포함한 와이퍼 아암과 점선으로 표시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2는 선 II-II를 따라서 나타낸 도 1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섹션의 절단면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의 영역에 있는, 도 2와 상이한 와이퍼 아암의 다른 횡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의 영역에 있는, 도 2와 상이한 와이퍼 아암의 가능한 또다른 횡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연결장치와 커넥팅 로드가 이로부터 제조되는, 금속 박판 플레이트의 일부의 평면도.
도 7은 커넥팅 로드와 틸팅링크의 제 1 링크부가 이로부터 제조되는, 금속 박판 플레이트의 일부의 평면도.
도 1에서 나타낸 와이퍼 아암(10)에는 연결장치(12)가 속해 있고, 점선으로 표시된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이 연결 장치를 이용해서 와이퍼 아암과 링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연결장치(12)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또다른 단부는 제 1 링크부(18)와 연결되어 있고, 이 제 1 링크부(18)가 와이퍼 아암의 틸팅링크(20)에 속한다. 또한 제 2 링크부(22)도 와이퍼 아암(10)에 속하며, 이 제 2 링크부(22)에는 와이퍼 아암(10)을 위한 구동수단(24)이 작용한다. 이러한 구동수단(24)은 양방향 화살표 26의 방향으로 힌지식 왕복운동하는 와이퍼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장치(12)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와 제 1 링크부(18)와 틸팅레버(28)를 함께 구성하며, 이 틸팅레버(28)는 유리창 표면에 대해 확실히 평행하게 놓인 링크축(29)을 중심으로 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4)와 함께 양방향 화살표 30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유리창에서 떨어질 수 있고 다시 유리창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이 틸팅 운동은 따라서 유리창 표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확실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샤프트(24)는 자동차에 지지되므로 틸팅링크(20)의 제 2 링크부(22)가 와이퍼 아암(10)의 구동측 단부를 이루게 되며, 이 자유 단부에는 연결장치(12)가 장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연결장치(12)는 확실한 U-자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연결장치(12)의 U-자형 베이스(32)는 유리창에 대해서 평행한 면에 놓이게 된다. 이 두개의 U-자형 레그(34, 36)는 U-자형 베이스에서 유리창을 향해 연장된다.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연결장치(12)의 두개의 U-자형 레그(34, 36)사이에는 길게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4)의 후면부(38)가 놓여 있으며, 이 후면부(38)에는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은 링크수단, 예를 들어서 링크핀이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핀은 마찬가지로 링크수단을 구성하는 연결장치(12)의 베어링 리세스(40, 42)로 돌출한다.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14)의 후면부(38)에 있는 링크수단과 연결장치(12)의 두개의 U-자형 레그(34, 36)에 있는 베어링 리세스(40, 42)는 유리창 표면과 평행하고 또한 종축과 나란하게 놓여있는 와이퍼 장치의 부품(14, 28)의 종축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링크축(44)이 생기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링크축을 중심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4)는 진동운동(양방향 화살표 46)을 실행하게 되고, 이 운동으로써, 와이퍼 작동중 와이퍼 블레이드는 변화하는 표면구조에 맞게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이 입체구형으로 휘어져 있을 경우 조정된다. 두개의 U-자형 레그(34, 36)는 와이퍼가 작동할 때에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적절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과 3에서 나타난 것 처럼, 틸팅링크(20)의 제 1 링크부(18)는 마찬가지로 하나의 U-자형 횡단면을 갖게 된다. 또한 이 U-자형 횡단면은 U-자형 베이스(48)와,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두개의 U-자형 레그(50, 5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그는 U-자형 베이스에서 유리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 2 링크부(22)는 두개의 U-자형 레그 사이에 숄더(54)로서 삽입(dip)되고 또한 상기 링크부에는 구동측의 베어링이 제공되는 반면, 두개의 U-자형 레그(50, 52)에는 틸팅링크의 틸팅레버측 베어링이 배열된다.
도 1에서 보여 주듯이, 틸팅레버(28)는 일체로 제조된다. 연결장치(12)의 U-자형 베이스(32)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로 넘어가게 되고, 이어서 이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는 제 1 링크부(18)의 U-자형 베이스(48)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연결장치(12)의 U-자형 레그(34, 36)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를 지나서 하나의 몸체로서 계속 연장되고 제 1 링크부(18)의 U-자형 레그(50, 52)로 넘어가게 된다.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연결장치(12)의 U-자형 레그(34, 36)와 U-자형 레그(50, 52)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영역에서 자신의 자유단(56, 58)이 도 2에서 보이는것 처럼 서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강화 폴딩은 연결장치(12)와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사이의 전환영역(60) 또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와 제 1 링크부(18)사이의 전환영역(62)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의 강화변형의 실시예와는 무관하게 도 4(11b) 또는 도 5(21b)에 따른 형태가 실시될 수 있다. 폴딩의 또다른 실시예도 고려될 수 있다. 모든 가능한 변형의 목적은, 틸팅레버(28)의 필요한 강도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의 틸팅레버(12, 16, 18)가 이로부터 일체로 제조되는 금속박판 두께의 선정도 물론 상기 목적에 기여한다.
도 1에서 도시된 틸팅레버(28 또는 12, 16, 18)의 실시예와는 무관하게, 연결장치(12)만이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에 일체로 가공되고 또한 제 1 링크부(18)의 구조가 종래의 방법으로, 즉 종래 기술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실시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만이 제 1 링크부(18)와 함께 일체로 제조되고 또한 연결장치(12)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방법으로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에 연결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금속박판 플레이트(100)의 기본적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점선(102, 104, 106)은 플레이트(100)가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굽힘 에지를 나타낸다. 폴딩이 적절할 경우 도 6에 따른 그림에 의해 도 2에 따른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횡단면이나 아니면 도 5에 따른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216)의 횡단면이 나타나게 된다. 박판 플레이트(100)에는 이미 리세스(140, 142)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리세스는 굽힘과정 이후에 연결장치(12)의 베어링 리세스(40, 42)가 된다.
도 7에서 나타나 있는 금속박판 플레이트(200)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와 제 1 링크부(18)의 일체형 제조를 위한 초기 형태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박판 플레이트(200)는 점선으로 나타난 굽힘에지(202, 204)로서 접히거나 또는 굽혀져야 한다. 이 경우 제 1 링크부의 영역에는 U-자 형태가 도 3에 따라 생기는 반면, 와이퍼 아암- 커넥팅 로드(16) 영역에서의 폴딩은 도 2 또는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여 주듯이, 박판 플레이트(200)에는 베어링 리세스(206)가 동시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또한 최종조립 후에 이에 맞는 지지수단과 제 2 링크부(22)(도 2)와 함께 틸팅링크(20)가 된다.
두개의 박판 플레이트(100, 200)를 도 5와 도 6처럼 서로 연결하게 되면, 단하나의 박판 플레이트가 나오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적절한 폴딩과 변형후 도 1에 따른 틸팅레버(28)가 된다. 어떤 경우에도, 평평하게 구성되고 가격이 저렴하게 생산되며 요구하고 있는 디자인과 작은 무게를 갖는 와이퍼 아암이 얻어지며 또한 상기 아암은 재료의 두께가 적절하게 선택되고/또는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횡단면이 적절하게 구성될 경우 요구하는 강도를 갖게 된다.

Claims (4)

  1.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10)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아암의 다른 하나의 자유 단부 섹션에는 유리창에 놓일 수 있는 세장형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진동축(44)을 중심으로 종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힌지식으로 링크연결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한 섹션은 U-자형 횡단면의 연결장치(12)의 서로 이격배치되는 두개의 레그(34, 36) 사이로 안내되고, 또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링크수단은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한 단부에 장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연결장치(12)의 링크수단과 상호 작동하며, 상기 커넥팅 로드(16)의 다른 단부에는 틸팅링크(20)에 속해 있는 제 1 링크부(18)가 제공되고, 이 링크의 다른 제 2 링크부(22)에는 와이퍼장치의 구동수단(24)이 작용하고, 상기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용 연결장치(12)는 금속박판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상기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구역에서는, 상기 금속박판이 서로 접촉하여 평행한 평면을 규정하는 두개의 층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 116, 216),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용 연결장치(12) 및 상기 틸팅로드(20)의 제 1 링크부(18)는 금속박판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 116, 216)는 상기 금속박판의 변형에 의해 강화되는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커넥팅 로드(16)의 구역 내의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금속박판의 하나의 자유 단부가 다른 단부에 대해서 위치되도록 접히는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KR1019997006243A 1997-11-13 1998-10-23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KR100545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0190A DE19750190A1 (de) 1997-11-13 1997-11-13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langgestreckten, einendig am Kraftfahrzeug geführten, angetriebenen Wischerarm
DE19750190.7 1997-11-13
PCT/DE1998/003112 WO1999025591A1 (de) 1997-11-13 1998-10-23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langgestreckten, einendig am kraftfahrzeug geführten, angetriebenen wischer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24A KR20000070024A (ko) 2000-11-25
KR100545119B1 true KR100545119B1 (ko) 2006-01-24

Family

ID=784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43A KR100545119B1 (ko) 1997-11-13 1998-10-23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27739B1 (ko)
EP (1) EP0951410B1 (ko)
JP (1) JP2001508010A (ko)
KR (1) KR100545119B1 (ko)
CZ (1) CZ295373B6 (ko)
DE (2) DE19750190A1 (ko)
WO (1) WO1999025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5208B2 (en) * 1997-08-14 2006-06-06 Robert Bosch Gmbh Joint part for a windshield wiper
JP3174772B2 (ja) * 1999-06-25 2001-06-11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アーム
DE19957741A1 (de) * 1999-12-01 2001-06-07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039053A1 (de) * 2000-08-10 2002-02-28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teil für einen Scheibenwischer
FR2838090B1 (fr) * 2002-04-05 2004-09-17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realise a partir d'un troncon de profile tubulaire
WO2004065187A1 (de) * 2003-01-20 2004-08-05 Robert Bosch Gmbh Wischarm für scheibenwischer
DE102006013965A1 (de) 2006-02-02 2007-08-16 Robert Bosch Gmbh Wischerar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ES2529690T3 (es) * 2007-10-01 2015-02-24 Federal-Mogul S.A.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2175A (en) * 1920-02-18 1920-12-14 John R Oishei Cleaner for windshields and the like
FR1012968A (fr) * 1950-02-17 1952-07-21 Magneti Marelli Spa Bras porte-balai pour essuie-glace
US3576044A (en) 1968-02-05 1971-04-27 Sev Marchal Means for attaching the arm of a windshield wiper to the blade support thereof
US4133071A (en) * 1976-11-08 1979-01-09 Sprague Devices, Inc. Windshield wiper arm
US4293974A (en) * 1980-05-19 1981-10-13 Trico Products Corporation Arm to blade connector
JPS606660U (ja) 1983-06-24 1985-0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パ装置
FR2671527B1 (fr) * 1991-01-16 1995-09-08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WO1996018529A1 (en) * 1994-12-16 1996-06-20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Systems, Inc. Windshield wiper ar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24A (ko) 2000-11-25
DE19750190A1 (de) 1999-05-20
EP0951410B1 (de) 2004-07-28
JP2001508010A (ja) 2001-06-19
WO1999025591A1 (de) 1999-05-27
CZ243399A3 (cs) 1999-12-15
DE59811717D1 (de) 2004-09-02
US6327739B1 (en) 2001-12-11
CZ295373B6 (cs) 2005-07-13
EP0951410A1 (de) 199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0978B1 (en) Wiper blade
US7891043B2 (en) Winshield wiping device
JP4112639B2 (ja) 自動車の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CN1974280B (zh) 刮水片
US6505377B1 (en) Wiper arm
KR100545119B1 (ko) 하나의 단부가 자동차에서 안내되며 구동되는 종방향 연장된 와이퍼 아암을 가진 자동차 차창용 와이퍼 장치
KR100963607B1 (ko) 특히 차량용 와이퍼 암 및 윈도우 와이핑 장치, 및 그제조 방법
JP2001513053A (ja) 自動車において案内されて往復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を備えた、自動車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
KR20050006196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6691366B1 (en) Wiper system
US6343403B1 (en) Wip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frame for wiper device
KR20040089080A (ko) 와이퍼 아암
KR19980701424A (ko) 리프트 제어식 전면유리 와이퍼 기구용 와이퍼 아암(wiper arm for a lift-controlled windscreen wiper device)
US3042955A (en) Windshield wiper arm
KR100687456B1 (ko) 와이퍼 시스템
JP2002503181A (ja) ワイパブレード
US3113334A (en) Windshield wiper system
US3383731A (en) Windshield wiper arm and blade assembly
KR20010075282A (ko) 와이퍼 시스템용 구동 장치
JP4635714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2001503704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アームおよび該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アームの製造方法
JPH10338100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4180966B2 (ja) ワイパ駆動装置
JP2006176127A (ja) ワイパ駆動装置
KR20010101876A (ko) 자동차 윈드스크린용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