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117B1 -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117B1
KR100545117B1 KR1020030008398A KR20030008398A KR100545117B1 KR 100545117 B1 KR100545117 B1 KR 100545117B1 KR 1020030008398 A KR1020030008398 A KR 1020030008398A KR 20030008398 A KR20030008398 A KR 20030008398A KR 100545117 B1 KR100545117 B1 KR 10054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water inlet
raceway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314A (ko
Inventor
코이치 하토리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21F15/08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making use of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가 밸브의 도수로(道水路)에 유입할 때에 밸브를 회전시키지 않기 위한 것이다. 전환 밸브는 모두 역수(力水)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출수구(出水口)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물 입구를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한다. 도수로는 밸브의 축선과 평행한 면과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고 있으면서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면을 포함하는 홈을 가지고, 도수로는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물 입구와 특정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면서 밸브가 다른 회전위치에서 그 밖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평행한 면은 밸브의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물 입구에서 해당 밸브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거의 직교하면서 물 출구의 어느 하나는 홈에 개구한다.
압력수, 밸브, 도수로, 전환 밸브, 위사 삽입 노즐, 물 분사식 직기

Description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Selector Value and Pressure Water Feeder of Water Jet Lo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서의 2A-2A선을 따라 얻은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서의 2B-2B선을 따라 얻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1) 및 (B2)는 밸브가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A2) 및 (B1)는 밸브가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전환 밸브가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2의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2의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2의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전환 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2의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선택되는 제2의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밸브가 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밸브가 비선택 정지 위치에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압력수 공급장치 12, 14, 80, 100, 110, 130, 160: 전환 밸브
16, 18: 압력수 공급원 20, 22, 82, 112, 142, 162: 밸브 본체
24, 26, 84, 114, 144, 164: 밸브
32: 액츄에이터 38, 40: 물 입구
42, 44, 46, 48: 물 출구 50, 52, 86, 116, 146, 166: 도수로
66: 밸브의 축선(회전중심) 68, 70: 홈을 형성하는 면
80: 전환 밸브 82: 밸브 본체
84: 밸브
90, 92, 94, 120, 122, 124, 150, 152, 154, 170, 172, 174: 수로
96, 98: 벽면 126, 128: 구멍
132, 134: 오목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물 분사 직기에서의 압력수의 전환에 이용되는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물 분사식 직기의 위사 삽입에 이용되는 압력수를 위한 전환밸브는 일반적으로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위사 삽입 노즐과 같은 단말 출수구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밸브 본체에 구비하면서 물 입구와 1개의 물 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밸브 본체에 삽입 연결되는 밸브에 구비하고 있으며, 밸브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물 입구와 1개의 물 입구와 물 출구를 도수로에 의해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전환 밸브를 이용한 위사 삽입용 압력수 공급장치의 하나로서 특개평 10-1847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 밸브 본체에 배치된 밸브를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식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구동시켜서,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를 전환 밸브에 의해서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의 1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종래의 전환 밸브에서는 밸브에 설치된 도수로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압력수가 밸브의 도수로에 유입하여 그 도수로를 통과할 때에 그 압력수가 도수로의 벽에 충돌하여 밸브를 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전기식 액츄에이터는 밸브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작동한다.
그 결과, 밸브 본체가 한쪽과 다른 쪽에 서로 회전되어서 밸브와 밸브 본체와의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압력수의 누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물 입구와 도수로 및 도수로와 물 출구에서 순간적으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그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 분사되는 압력수의 분사가 약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수가 밸브의 도수로에 유입할 때에, 밸브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모두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출수구의 1개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해당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물 입구를 상기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축선과 평행한 면과 상기 축선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고 있으면서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면을 포함하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특정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밸브의 다른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상기 특정의 물 출구는 다른 그 밖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평행한 면은 상기 밸브의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에서 해당 밸브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거의 직교하고 있으며, 물 출구의 어느 하나는 상기 홈에 개구한다.
상기 전환 밸브에서, 도수로에 유입한 압력수는 밸브의 축선과 평행한 면에 충돌하여 그 면을 누르지만, 그 면에 거의 직각으로 충돌하기 때문에 밸브의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중심에서 떨어져서 작용함으로서 밸브에 회전 토오크를 발생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그 면을 직각 방향으로 누르는 힘과의 거리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밸브에 작용하는 회전 토오크가 작아지고 밸브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있어서 압력수는 밸브의 평행한 면을 통해서 밸브를 밸브 본체에 누르고, 밸브를 소정의 회전위치(회전 각도 위치)에 적극적으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밸브의 유동에 기인하는 도수로와 물 출구와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 통로가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물 입구와 상기 물 출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재(延在)하고 있으면서 밸브의 외주면에 개방하고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압력수는 상기 평행한 면에 충돌한 후, 그 평행한 면을 따라서 밸브 본체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후의 압력수가 다른 벽면에 충돌하고 물 입구측에 굴곡하지 않기 때문에 굴곡에 의한 압력 손실을 발생하지 않고 회전력을 밸브에 작용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에 연결되고 해당 밸브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연재하는 제1의 수로와 상기 물 출구의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물 입구에서 상기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70°보다도 작은 각도로 상기 제1의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 에 연재하여 상기 제1의 수로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회전중심을 향한 제2의 수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제2의 수로의 내벽 가운데 상기 물 입구에 대향하는 곳에 상기 직선에 대해서 90°± 20 °로 교차하는 벽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 도수로에 유입한 압력수는 제2의 수로의 상기 벽면에 충돌하여 상기 벽면을 누르지만, 그 벽면에 거의 직각으로 충돌하기 때문에 밸브에는 회전력은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벽면에 충돌하는 압력수는 벽면을 통해서 밸브를 밸브 본체에 누르고, 밸브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적극적으로 유지한다. 그 때문에 밸브의 유동에 기인하는 도수로와 물 출구와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 통로가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출구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해당 밸브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1의 수로와 상기 물 출구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의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제1의 수로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회전중심을 향한 제2의 수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제2의 수로의 내벽의 가운데 상기 물 입구에 대향하는 곳에 상기 물 입구를 향해서 개구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있어서 물 입구에서 제1의 수로에 유입한 압력수는 구멍의 단부벽(즉 구멍의 내부 저벽(底壁))에 충돌하여 여러 방향으로 튀어서 되돌 아오고 여러 방향에서 구멍의 주위벽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압력수가 구멍 벽을 통해서 밸브를 누르는 때에 밸브에 작용하는 힘(압력)의 방향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좌우 방향으로 거의 균형을 이루고 밸브는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압력수는 구멍 벽을 통해서 밸브를 밸브 본체에 눌러서 밸브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적극적으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밸브의 유동에 기인하는 도수로와 물 출구와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 통로가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상기 제1의 수로의 축선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물 입구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재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물 입구에서 도수로에 유입한 압력수는 구멍의 단부벽에 충돌하고 그 단부벽을 누르지만 구멍이 제1의 축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밸브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좌우 방향으로 보다 균형을 이루고 밸브는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특정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밸브의 다른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다른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상기 밸브의 적어도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의 일부를 해당 도수로에 노출시켜서 상기 물 입구에 대향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다른 전환 밸브에 있어서 도수로에 유입한 압력수는 물 입구에서 직진하여 본체의 내벽 가운데 도수로를 통해서 물 입구에 대향하는 내벽에 충돌 한다. 이 때문에 밸브는 눌려지지 않고 회전력은 밸브에 작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는 상기 제1의 전환 밸브와 상기 전환 밸브의 밸브를 구동시키는 전용 전기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그와 같이 하면 밸브를 회전위치에 유지하는 힘이 불충분한 전기식 액츄에이터라도 밸브는 도수로에 유입하는 압력수에 의해서 소정의 회전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압력수 공급장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의 어느 하나에 1이상의 제2의 전환 밸브와 상기 제1의 전환 밸브에 연결된 제1의 압력수 공급원과 상기 제2의 전환 밸브에 연결된 1이상의 제2의 압력수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 밸브의 밸브는 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식 액츄에이터의 의해서 구동되도록 하여도 좋다.
복수의 전환 밸브의 밸브를 연결하여 전기식 액츄에이터를 복수의 전환 밸브별로 설치하는 필요성을 없앤 경우, 일반적으로는 한쪽의 전환 밸브의 밸브가 회전하면 다른 쪽의 전환 밸브의 밸브가 회전되기 때문에, 압력수에 기인하는 밸브의 회전이 서로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압력수 공급장치의 경우 압력수가 전환 밸브의 도수로를 통과할 때에, 상기 밸브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밸브에 연결된 다른 전환 밸브의 밸브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비선택 전환 밸브가 그 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선택 전환 밸브의 밸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선택된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를 손상하지 않고, 그것과 반대로 선택된 전환 밸브가 그 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비선택 전환 밸브의 밸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비선택 전환 밸브에 서의 압력수의 외부에의 배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압력수가 밸브를 밸브 본체에 누르고 밸브의 회전을 적극적으로 규제하는 상기 전환 밸브를 이용한 경우, 한쪽의 밸브는 소정의 회전위치에 유지되어 한쪽의 밸브에 연결된 다른 쪽의 밸브의 압력수의 통과에 기인하는 회전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출수구는 각각 위사 삽입 노즐으로도 좋다. 또한 압력수 공급원을 전환 밸브마다 구비하는 압력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각 전환 밸브의 단말 출수구에는 대응하는 압력수 공급원의 압력수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10)는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는 다색 위사 삽입의 물 분사식 직기에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은 위사 삽입 가능한 위상에 각각 대응되고 있다.
압력수 공급장치(10)는 제1 및 제2의 전환 밸브(12 및 14)를 이용하여 전환 밸브에 각각 대응된 급수 펌프와 같은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16 및 18)에서의 압력수를 제 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전환 밸브(12 및 14)는 각각 밸브 본체(20 과 22)와 대응하는 밸브 본체 내에 각도를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24 및 26)와 밸브 본체(20 및 22)를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28 및 30)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24 및 26)는 일체적으로 제작되어 있고 또한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식 액츄에이터(32)의 구동축(34)에 커플링(36)에 의해서 연결되어 직기와 동기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동시에 회전 구동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28 및 30)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12 및 14)의 밸브 본체(20 및 22) 및 케이스(28 및 30)는 각각 압력수를 위한 1개의 물 입구(38 및 40)와 2개의 물 출구(42, 44 및 46, 48)를 가지고 있다.
전환 밸브(12 및 14)의 밸브(24 및 26)는 각각 압력수를 대응하는 밸브 본체의 물 출구의 1개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도수로(50 및 52)를 가지고 있다.
물 입구(38 및 40)는 각각 파이프(54 및 56)를 통해서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16 및 18)에 연결되어 있다. 각 밸브 본체(20 및 22)에 형성되는 제1 및 제의 물 출구(42 및 46)는 각각 파이프(58 및 60)를 통해서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되어 있다. 각 밸브 본체(20 및 22)에 형성되는 제2 및 제4의 물 출구(44 및 48)는 각각 파이프(62 및 64)를 통해서 제1 및 제2의 배출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54, 56, 58, 60, 62, 64)의 각각은 물림쇠와 멈춤나사에 의해서 대응하는 케이스(28 또는 30)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수 공급원(16 및 18)은 각각 직기와 동기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회수탱크(도시하지 않음)내의 물을 흡입하고 압력수로 하여 파이프(54 및 56)를 통해서 물 입구(38 및 40)에 공급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 및 제1 및 제2의 배수구는 모두 압력수를 분사 또는 배출하는 단말 출수구로서 작용한다.
밸브(24 및 26)는 각각 물 입구(38 및 40)를 도수로(50 및 52)에 의해서 도 3(A1) 및 (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출구(42 및 46)에 연결시키는 선택 정지 위치와 도 3(A2) 및 (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출구(44 및 48)에 연결시키는 비선택 정지 위치에 전동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각도를 이루고 회전된다.
선택 정지 위치는 그 전환 밸브 및 대응하는 위사 삽입 노즐이 선택된 것에 의해서 공급된 압력수를 대응하는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위치이다. 이것에 대해서 비선택 정지 위치는 그 전환 밸브 및 대응하는 위사 삽입 노즐이 선택되지 않고 공급된 압력수를 대응하는 배출구에서 회수탱크에 회수하기 위한 위치이다.
양쪽 전환 밸브(12, 14)에서 한쪽의 전환 밸브는 대응하는 위사 삽입 노즐이 선택되면 그 위사 삽입 노즐에 압력수를 공급하도록 구동되어, 그 때 다른 쪽의 전환 밸브는 대응하는 위사 삽입 노즐과 함께 비선택되기 때문에 압력수를 회수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수법으로 밸브(24 및 26)가 액츄에이터(32)에 의해서 동시에 구동된다.
그러나 밸브(24, 26)는 일체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밸브(24)가 도 3(A1)에 나타내는 선택 정지 위치에 이동될 때, 밸브는 도 3(B1)에 나타내는 비선택 정지 위치에 이동되고 밸브(26)가 도 3(B2)에 나타내는 선택 정지 위치에 이동될 때, 밸브(24)는 도 3(A2)에 나타내는 비선택 정지 위치에 이동되고 있다.
도수로(50 및 52)의 각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밸브(24 및 26)의 축선(즉, 회전중심)(66)과 평행한 면(실시예에서는 축선(66)을 포함하는 면)(68)과 축선(66)의 방향에 서로 이간하면서 축선(66)과 교차하는 2개의 면(70, 70)(한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형성된 유로홈(流路溝)을 포함하고 있다.
도수로(50 및 52)의 각각은 도시한 예에서는 원형 단면의 직경 방향에 연장하고 대응하는 밸브 본체의 내주면에 개방하는 U자형 또는 コ자형의 유로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면(68)은 유로홈의 저면(底面)으로서 작용하고 면(70)은 유로홈의 측면으로서 작용한다.
면(68)은 도시한 예에서는 대응하는 물 입구에서 유입하는 압력수가 충돌하는 제1 및 제2의 물의 충돌면(68a, 68b)과 제1 및 제2의 물의 충돌면(68a 및 68b)에 각각 계속 또한 대응하는 물 출구에 연결되는 연결면(68c, 68d)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물의 충돌면(68a, 68b)은 서로 교차하고 있다.
면(70, 70)은 도시한 예에서는 축선(66)에 수직의 면으로서 따라서 도 3에서 지면(紙面)과 평행한 서로 이간하는 면이다. 그러나 면(70)은 축선(66)과 반드시 직교로 교차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각각 다른 각도로 축선(66)과 교차하여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압력수 공급장치(10)는 전환 밸브(12, 14)의 밸브(24, 26)의 상기와 같은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밸브(24, 26)와 함께 각도를 이루고 회전되는 스토퍼(stopper)(72)와 스토퍼(72)의 각도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정판(74)(한쪽은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스토퍼(72)는 커플링(36)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 조정판(74)은 스토퍼(72)의 각도회전 가능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케이스(28)에 설치되어 있다.
적어도 직기의 가동 중은 압력수 공급원(16 및 18)에서 소정의 값에 가압된 압력수가 각각 대응하는 전환 밸브(12, 14)에 공급되어 있다. 전환 밸브(12 및 14)의 물 입구(38 및 40)의 축선은 밸브(24 및 26)의 축선(66) 즉, 회전 구동 중심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물 입구(38 또는 40)에서 도수로(50 또는 52)에 유입하는 물은 대응하는 밸브(24 또는 26)의 축선(66) 즉, 회전 구동 중심을 향해서 진행한다.
압력수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이 선택되면 전환 밸브(12)가 선택 상태로 놓여져 제2의 위사 삽입 노즐과 전환 밸브(14)가 비선택 상태로 놓여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전환 밸브(12)의 밸브(24)가 도 3(A1)에 나타내는 선택 정지 위치에 변위되는 것에 대해서, 전환 밸브(14)의 밸브(26)가 도 3(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선택 정지 위치에 변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력수 공급원(16)에서의 압력수는 전환 밸브(12)에 의해서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되지만 압력수 공급원(18)에서의 압력수는 전환 밸브(14)에 의해서 배수구에서 회수 탱크에 배출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이 선택 상태로 놓여지면 전환 밸브(14)의 밸브(26)는 도 3(B2)에 나타내는 선택 정지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대해서 전환 밸브(12)의 밸브(24)는 도 3(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선택 정지 위치로 변위된 다. 이것에 의해서 압력수 공급원(18)에서의 압력수는 전환 밸브(14)에 의해서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되지만, 압력수 공급원(16)에서의 압력수는 전환 밸브(12)에 의해서 배출구를 통해서 회수 탱크에 배출된다.
도 3(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12)가 선택 정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면 물 입구에서 그 도수로(50)에 유입한 압력수는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향해서 진행하고 축선(66)과 평행한 면(68), 특히 물의 충돌면(68a)(실시예에서는 축선(66)을 포함한다)에 충돌하여 그 면(68a)을 누른다.
그러나 압력수는 물의 충돌면(68a)에 거의 직각으로 충돌하기 때문에 물의 충돌면(68a)을 형성하고 있는 벽을 누르는 압력수의 압력(=물의 충돌면(68a)에 대해서 직각 방향의 힘)과 밸브(24)의 회전중심 즉, 축선(66)과의 거리는 거의 영(0)이 되고 좌우 모두 회전 토오크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실시예에서는 물의 충돌면(68a)은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포함하기 때문에 압력과 밸브(24)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더욱 작아지면서 충돌 영역에서의 좌우 각각의 회전 토오크가 균형을 이루고 밸브(24)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수로(50)에 유입한 압력수는 밸브(24)를 물의 충돌면(68a)을 통해서 밸브 본체(20)에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24)는 소정의 회전위치, 특히 선택 정지 위치로 적극적으로 유지된다.
전환 밸브(14)도 선택위치에 유지될 때에는 전환 밸브(12)와 동일한 형태로 작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발생한다.
상기 결과, 밸브(24)의 유동에 기인하는 도수로(50)와 물 출구(42)와의 연결 방해를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서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환 밸브(12, 14)의 유로홈은 모두 선택시에는 각각의 위사 삽입 노즐에 대응하는 물 출구의 방향에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밸브 본체의 내면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선택시 도수로(50, 52)에 유입한 압력수는 충돌면(68a)에 충돌한 후, 면(68a, 68c)을 따라서 밸브 본체에 도달할 수 있고, 그 결과 면(68a)에 충돌 후의 압력수가 다른 벽면에 충돌 또는 굴곡하지 않고 압력수의 충돌과 굴곡에 의한 압력 손실을 발생하지 않고 회전력을 밸브에 작용시키지 않는다.
도수로로서 상기와 같은 유로홈을 밸브에 형성하는 대신에 복수의 수로를 밸브에 형성하여도 좋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환 밸브(80)는 밸브 본체(82)와 밸브 본체(82)에 각도를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밸브(84)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82)는 즉, 서술한 전환 밸브(14)(또는 12)와 동일한 형태로 1개의 물 입구(40)(또는 38)와 2개의 물 출구(46, 48)(또는 42, 44)를 가지고 있다. 물 출구(46, 48)는 각각 다른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된다.
밸브(84)는 물 입구(40)을 도수로(86)에 의해서 한쪽의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하는 물 출구(46)에 연결시키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와 다른 쪽의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하는 물 출구(48)에 연결시키는 제2의 선택 정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도수로(86)는 Y자형으로 연결된 3개의 수로(90, 92, 9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수로(90, 92, 94)는 밸브(84)의 외주면에서 밸브(84)의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다. 수로(90 및 92)는 밸브(84)가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밸브 본체(82)의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밸브(84)의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향해서 연재한다.
수로(94)는 밸브(84)가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에서 물 출구(46)에 연결되도록 물 출구(46)에서 축선(66)을 향해서 연장하고 수로(90)에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84)가 회전하여 제2의 선택 정지 위치에서 물 출구(48)에 연결되면서 수로(92)에 연결된다. 수로(94)는 수로(90과 92)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α)로 교차한다.
밸브(84)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90)가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수로(94)가 물 출구(46)에 연결된 때에 물 입구(40)에 대향하는 벽면(96)과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92)가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수로(94)가 물 출구(48)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 물 입구(40)에 대향하는 벽면(98)과 수로(94)의 내벽에 가지고 있다.
벽면(96 및 98)은 물 입구(40)에서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β)로 각각 수로(90 및 92)로 교차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α는 30°, β는 90°로 되어 있다. 즉 벽면(96 및 98)은 각각 밸브의 제1 및 제2의 선택 정지 위치에서 물 입구(40)에서 축선(66)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서 90°로 교차하고 있다. 수로(94)는 수로(90 및 92)와 30°로 교차하고 있다.
벽면(96 또는 98)은 물 입구(40)에 대향하는 곳의 전체를 포함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물입구(40)에 대향하는 곳의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벽면(96 또는 98)의 형상은 도시의 예에서는 평면이지만 반구형상, 반원추 형상 등의 볼록면, 오목면 등 다른 적절한 면으로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전환 밸브에 있어서 물 입구(40)에서 수로(90 또는 92)에 유입한 압력수는 수로(94)의 벽면(96 또는 98)에 충돌하여 해당 벽면(96 또는 98)을 누르지만 그 벽면(96 또는 98)에 거의 직각으로 충돌하기 때문에 벽면(96 또는 98)을 누르는 압력수의 압력(=벽면에 대해서 직각 방향의 힘)과 밸브(84)의 회전중심 즉 축선(66)과의 거리는 작고, 밸브(84)에는 회전력은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벽면(96 또는 98)에 충돌하는 압력수는 벽면(96 또는 98)을 통해서 밸브(84)를 밸브 본체(82)에 눌러서 밸브(84)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적극적으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밸브(84)의 유동에 기인하는 도수로(86)와 물 출구(46, 48)와의 연결 통로 방해가 방지되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의 전환 밸브(80)에서 β는 90°±20°의 범위내의 각도, α는 70°보다도 작은 각도로 할 수 있다.
즉, 수로(94)는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있는 수로(90 또는 92)에 대해서 70°보다도 작은 각도α로 교차시킬 수 있다.
또한, 벽면(96 및 98)은 각각 물 입구(40)에서 회전중심 즉, 축선(66)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서 90°±20°의 각도 범위내의 각도β로 각각 수로(90 및 92) 와 교차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환 밸브(100)는 수로(90)가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수로(94)가 물 출구(46)에 연결되어 있는 때, 90°±20°의 각도 범위내의 각도β로 수로(92)와 교차하는 벽면(96)을 구비하고 있지만 벽면(98)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상기의 전환 밸브(80)와 상이하다.
그러나 이 전환 밸브(100)는 물 출구(46)와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되어 물 출구(48)가 전환 밸브(80)와 다르고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 밸브(80)와 동일한 형태로 작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발생한다. 전환 밸브(100)에서 물 출구(46)를 배출구에 연결시켜서 물 출구(48)를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시켜도 좋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환 밸브(102)는 물 입구(40)에서 축선(66)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한 벽면(96 및 98)의 각도β는 75°로 하고, 물 입구(40)에 연결된 수로(90 또는 92)에 대한 수로(94)의 각도α는 30°로 하고 있다.
도 7은 상기의 전환 밸브(102)에서 압력수가 도수로(86)의 벽면을 누르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밸브에 대한 회전력(회전 토오크)을 벽면(96 및 98)이 밸브(84)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B)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A)에 대해서 비교하는 도면이다.
벽면(96, 98)을 구비하는 경우, 압력(F)는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98)에 수직인 힘(A1)과 벽면(98)을 따르는 방향의 힘(B1)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벽면(96, 98)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압력(F)은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94)의 내벽면에 수직인 힘(A0)과 내벽면을 따른 방향의 힘(B0)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밸브(84)에 작용하는 회전 토오크는, (B)에 나타내는 벽면(96, 98)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벽면(98)에 수직인 힘(A1)과, 힘(A1)과 회전중심 즉, 축선(66)의 거리(L1)와의 곱인 것에 대해서 벽면(96, 98)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수로(94)의 내벽면에 수직인 힘(A0)과, 힘(A0)과 축선(66)의 거리(L0)와의 곱이다.
A1>A0인 이지만, 도 7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L1<<L0이기 때문에 회전 토오크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된다.
A0 ×L0>A1×L1
따라서, 벽면(96, 98)을 밸브(84)에 형성하는 바와 같이 밸브(84)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현저하게 저감된다. 그 때문에 전환 밸브(102)에 있어서도 전환 밸브(80)와 동일한 형태로 작용하고 동일한 효과를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환 밸브(110)는 밸브 본체(112)와 밸브 본체(112)에 각도를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밸브(114)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112)는 이미 서술한 전환 밸브(14)(또는 12)와 동일한 형태로 1개의 물 입구(40)(또는 38)와 2개의 물 출구(46, 48)(또는 42, 44)를 가지고 있다. 물 출구(46, 48)는 각각 다른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된다.
밸브(114)는 물 입구(40)를 도수로(116)에 의해서 제1의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하는 물 출구(46)에 연결시키는 제1의 선택 정지 위치와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하는 물 출구(48)에 연결시키는 제2의 선택 정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도수로(166)는 Y자형으로 연결된 3개의 수로(120, 122, 1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수로(120, 122, 124)는 밸브(114)의 외주면에서 밸브(114)의 축선(66)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다.
수로(120, 122)는 밸브(114)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물 입구(40)에 연결된다. 수로(124)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120)가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 물 출구(46)에 연결되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122)가 물 입구(40)에 연결되어 있는 때에 물 출구(48)에 연결된다.
더욱이, 밸브(114)는 밸브(114)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회전된 상태에서 물 입구(40)를 향해서 개구하는 구멍(126 및 128)을 수로(124)의 내벽 가운데 물 입구(40)를 대향하는 곳에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구멍(126 및 128)은 각각 수로(120 및 122)에 동축에 접속되는 원통형상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전환 밸브(110)에 있어서 물 입구(40)에서 수로(120 또는 122)에 유입한 압력수는 구멍(126 또는 128)의 단부벽(즉, 구멍의 내부 저벽(底壁))에 충돌하여 여러 방향으로 튀어서 되돌아오고, 여러 방향에서 구멍(126 또는 128)의 주벽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압력수가 구멍(126 또는 128)의 벽을 통해서 밸브(114)를 누를 때에 밸브(114)에 작용하는 압력의 방향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114)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좌우 방향으로 거의 균형을 이루고, 밸브(114)는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압력수는 구멍 벽을 통해서 밸브(114)를 밸브 본체(112)에 눌러서 밸브(114)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적극적으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밸브(114)의 유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도수로(116)와 물 출구(46 또는 48)와의 방해가 방지되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압력수 분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멍(126 및 128)은 각각 수로(120 및 122)의 축선을 포함하는 상태로, 물 입구(40)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밸브(110)에 의하면 또한 물 입구(40)에서 도수로(116)에 유입한 압력수는 구멍(126 또는 128)의 단부벽에 충돌하여 그 단부벽을 누르지만, 구멍(126 및 128)이 각각 밸브(114)의 축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밸브(114)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좌우 방향에서 보다 균형을 이루고 밸브(114)는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구멍(126 및 128)은 각각 대응하는 수로(120 및 122)와 동축으로 되어 있지만 대응하는 수로(120 및 122)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하여도 좋다. 또한, 구멍(126 및 128)은 수로(124)와 교차하는 방향이면 수로(120 및 122)와 교차하는 방향 등, 적절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도 좋다.
구멍(126 및 128)의 축선과 직각의 단면적은 대응하는 수로(120 및 122)와 동일한 크기라도 좋고, 대응하는 수로(120 및 122)보다 크거나 또는 작게 하는 등, 대응하는 수로(120 및 122)와 다르게 하여도 좋다. 구멍(126 및 128)의 단부벽의 벽면(내부 저면)은 평탄면으로 하여도 좋고, 원추형의 오목면 또는 볼록면으로 하여도 좋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환 밸브(130)는 구멍(126 및 128)의 구멍 벽을 단부벽과 주위벽을 겸하는 원추 형상의 내부 저벽과 수로(120 및 122)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위벽에 의해서 전체 주위벽이 형성되어서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구멍(126 및 128)의 내부에 원추 형상의 오목부(132 및 134)를 형성하고 있다. 원추 형상의 내부 저벽의 벽면(오목부(132 및 134))의 꼭지각은 120° 정도로 하고 있다.
전환 밸브(130)에 있어서도 전환 밸브(110)와 동일한 형태로 작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작용 효과를 발생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환 밸브(140)는 밸브 본체(142)와 밸브 본체(142)에 각도를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144)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142)는 이미 서술한 전환 밸브(14)(또는 12)와 동일한 형태로 1개의 물 입구(40)(또는 38)와 2개의 물 출구(46, 48)(또는 42, 44)를 가지고 있다.
밸브(144)는 물 입구(40)를 도수로(146)에 의해서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되는 물 출구(46)에 연결시키는 선택 정지 위치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 출구(48)에 연결시키는 비선택 정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밸브(144)의 도수로(146)는 밸브(144)가 선택 정지 위치 및 비선택 정지 위치의 어느 하나에 정지되어 있어도 물 입구에 연결시키는 입구측 수로(150)와 밸브(144)가 선택 정지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때는 물 입구(40)를 물 출구(46)에 연결시키면서 비선택 정지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때는 물 입구(40)를 물 출구(48)에 연결시키는 출구측 수로(152)와 양쪽 수로(150 및 152)를 연결시키는 중앙 수로(154)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측 수로(150)와 출구측 수로(152)는 어느 하나도 중앙 수로(154)에 연결된 중앙 수로 연결부와 중앙 수로의 직경 치수보다도 길게 또한 밸브(144)의 주위 방향에 연재하는 물 출구 연결부에 의해서 밸브(144)의 주위 방향에 연장하고 또한 밸브(144)의 외주면에 개방하는 홈형상 오목부에 형성하고 있다. 중앙 수로(154)는 밸브(144)의 축선(66)을 통해서 밸브(144)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수로(146)는 밸브(144)의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물 입구(40)와 물 출구(46)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밸브(144)의 다른 회전위치에서 물 입구(40)와 물 출구(48)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밸브(144)의 적어도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밸브 본체(142)의 내벽의 일부를 해당 도수로(146)를 통해서 물 입구(40)에 대향시킨다.
도수로(146)는 밸브 본체(142)의 일부가 물 입구(40)의 적어도 중심의 부분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수로(146)는 밸브 본체(142)의 내벽(내주벽)의 일부가 물 입구(40)의 전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환 밸브(140)에 있어서 수로(152)가 어느 하나의 물 출구(46, 48)에 연결되어 있어도 도수로(146)에 유입한 압력수 가운데, 중심을 통과하여 가장 고속의 압력수는 물 입구(40)에서 입구측 수로(150), 중앙 수로(154) 및 출구측 수로(152)를 직진하여 통과하고, 밸브(142)의 양쪽 주위면에 충돌한다.
이와 같이 압력수가 고속일 경우, 높은 에너지의 부분이 내벽에 충돌하지 않 고 도수로(146)를 통과하기 때문에, 도수로(146)에 유입하는 압력 유체에 의한 회전력은 밸브(144)에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환 밸브(160)는 밸브 본체(162)와 밸브 본체(162)에 각도를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164)를 포함한다. 밸브(162)는 이미 서술한 전환 밸브(14)(또는 12)와 동일한 형태로 1개의 물 입구(40)(또는 38)와 2개의 물 출구(46, 48)(또는 42, 44)를 가지고 있다.
밸브(164)는 물 입구(40)를 도수로(166)에 의해서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되는 물 출구(46)에 연결시키는 선택 정지 위치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 출구(48)에 연결시키는 비선택 정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도수로(166)는 밸브(164)가 선택 정지 위치에 정지될 때에 물 출구에 연결되는 수로(170)와 밸브(164)가 비선택 정지 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 물 출구에 연결되는 수로(172)와 밸브(164)가 선택 정지 위치 및 비선택 정지 위치의 어느 하나에 정지되어 있어도 어느 하나의 물 출구에 연결되는 수로(174)를 구비하고 있다.
수로(170, 172)는 밸브(164)의 외주면에서 축선(66)을 향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수로(174)에 연결되어 있다. 수로(174)는 중심측이 축선(66)이 되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수로(170, 172)와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다. 밸브 본체(162)의 내주면의 일부는 수로(170 및 174)는 수로(172 및 174)를 통해서 물 입구(40)에 대향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수로(166)는 밸브 본체(162)의 내벽의 일부가 물 입구(40)의 전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 입구에 유입한 압력수는 도수로(166)의 내벽에 회전력을 부여하지 않고 밸브 본체(162)의 내벽에 도달한다. 따라서 전환 밸브(160)도 전환 밸브(140)와 동일한 형태로 작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발생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환 밸브에 있어서도 소정의 회전위치 특히, 선택 회전위치 또는 비선택 회전위치는 하나만으로도 좋고 2개 또는 그 이상으로도 좋다. 또한 밸브의 구동 수단으로서 전용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대신에 직기의 주축의 회전력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캠과 링크 등의 운동 변환 기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복수의 전환 밸브를 이용한 압력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압력수 공급원을 전환 밸브마다 설치하는 대신에 압력수 공급원을 복수의 전환 밸브에서 함께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압력수가 밸브의 도수로에 유입할 때에 밸브를 회전하지 않는 발며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출수구의 1개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해당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물 입구를 상기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축선과 평행한 면과 상기 축선의 방향에 서로 이간하고 있으면서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면을 포함하는 홈을 가지며,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특정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밸브의 다른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와 상기 특정의 물 출구는 다른 그 밖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상기 평행한 면은 상기 밸브의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에서 상기 밸브 본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거의 직교하고 있으며 물 출구의 어느 하나는 상기 홈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물 입구와 상기 물 출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으면서 밸브의 외주면에 개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3.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물 출구의 1개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물 입구를 상기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물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연재하는 제1의 수로와 상기 물 출구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상기 물 입구에서 상기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70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상기 제1의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의 수로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회전중심을 향하는 제2의 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로의 내벽의 가운데 상기 물 입구에 대향하는 곳에 상기 직선에 대해서 90°±20°로 교차하는 벽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 직기의 전환 밸브.
  4.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물 출구의 1개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와 해당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물 입구를 상기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물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1의 수로와 상기 물 출구의 어느 하나에 연결 또는 상기 제1의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의 수로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회전중심을 향하는 제2의 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로의 내벽의 가운데, 상기 물 입구에 대향하는 곳에 상기 물 입구를 향해서 개구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제1의 수로의 축선을 포함하는 상태로 상기 물 입구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6.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입구와 적어도 1개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물 출구의 1개에 연결되는 복수의 물 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해당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물 입구를 다른 물 출구의 1개에 연결시키는 도수로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물 입구와 특정의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밸브의 다른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물 입구와 다른 물 출구를 연결 가능하게 하며,
    상기 도수로는 더욱이 상기 밸브의 적어도 1개의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의 일부를 상기 도수로에 노출시켜서 상기 물 입구에 대향시키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밸브의 내벽의 일부를 상기 물 입구의 적어도 중심부분에 대향시키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8. 삭제
  9. 삭제
KR1020030008398A 2002-06-24 2003-02-11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KR100545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2957 2002-06-24
JP2002182957A JP4038080B2 (ja) 2002-06-24 2002-06-24 水噴射式織機の切替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314A KR20040000314A (ko) 2004-01-03
KR100545117B1 true KR100545117B1 (ko) 2006-01-24

Family

ID=2999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398A KR100545117B1 (ko) 2002-06-24 2003-02-11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38080B2 (ko)
KR (1) KR100545117B1 (ko)
CN (1) CN100494533C (ko)
TW (1) TW5833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444A (ko) * 2017-12-15 2019-06-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색 워터 제트 직기에 의한 제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87B1 (ko) * 2005-05-23 2007-01-16 백경태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JP5491387B2 (ja) 2009-05-27 2014-05-14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バルブ装置及び電子部品の温度調整装置
KR101210208B1 (ko) * 2010-07-23 2012-12-0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다방향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파워트레인용 항온 시스템
CN110388481B (zh) * 2018-04-19 2022-02-0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球阀
JP7435268B2 (ja) 2019-06-07 2024-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流路切替弁
CN114607803B (zh) * 2022-03-29 2024-04-19 南通市通州区磊香利纺织品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分水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7124C2 (de) * 1995-12-16 2001-04-19 Lpkf D O O Drehschieberventil zur wahlweisen Druck- oder Saugluftbeaufschlag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444A (ko) * 2017-12-15 2019-06-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색 워터 제트 직기에 의한 제직 방법
KR102147774B1 (ko) 2017-12-15 2020-08-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색 워터 제트 직기에 의한 제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7321A (zh) 2004-01-14
TW583363B (en) 2004-04-11
KR20040000314A (ko) 2004-01-03
TW200400294A (en) 2004-01-01
JP4038080B2 (ja) 2008-01-23
JP2004027394A (ja) 2004-01-29
CN100494533C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6088B2 (en) High pressure fluid spray nozzle incorporating a flow controlled switching valve
KR100545117B1 (ko)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US20070044856A1 (en) Diverter valve for water systems
US20100206394A1 (en) Apparatus for blocking fluid flow in a pipe line and system for forming bypass using the same
US8752583B2 (en) Multi-way valve of a fuel system of a gas turbine
KR20170135285A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CN107530719A (zh) 用于直线尖端和喷雾嘴的流量控制
KR20170135282A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KR20200092607A (ko) 양방향 펌프
KR100502849B1 (ko)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 장치
JP4724167B2 (ja) 水噴射式織機の切替弁
WO2007112532A1 (en) Valve for a fluid flow control system
EP3695146A1 (en) Valve and closure member
KR101799777B1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EP3710170B1 (en) High pressure nozzle
KR101842273B1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AU2019357892A1 (en) High pressure fluid spray nozzle incorporating a flow controlled switching valve
SU11741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аквалет
KR102617837B1 (ko) 연동 제어형 2중 삼방밸브
US11084056B2 (en) Color change system
JPS6138274A (ja) 回転形四方弁
WO2024102656A1 (en) Ball valve with downstream residue purge
KR20020080714A (ko) 삼방밸브
AU2015385182A1 (en) Rotary nozzle for a high-pressure cleaning device
CN117108792A (zh) 一种多路旋转阀及具有多路旋转阀的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