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798B1 -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798B1
KR100543798B1 KR1020050087154A KR20050087154A KR100543798B1 KR 100543798 B1 KR100543798 B1 KR 100543798B1 KR 1020050087154 A KR1020050087154 A KR 1020050087154A KR 20050087154 A KR20050087154 A KR 20050087154A KR 100543798 B1 KR100543798 B1 KR 10054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oad
wall plate
drain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봉
김남훈
김태원
원장현
Original Assignee
(주)삼원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원기술단
Priority to KR102005008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산을 절토하여 건설되는 도로 양 측면의 비탈면에 토사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물 식재대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식물 식재대에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여 도로의 양측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연 친화적인 옹벽으로 구성될 수 있는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도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비탈면(101)의 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의 사이에 적층되며 내부에는 토사(50)가 채워지고 식물(51)을 식재하는 식재공간(22)이 형성되게 'X'자 형상으로 형성된 옹벽판(20)과, 상기 옹벽판(2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옹벽판(2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수공(21)과, 상기 배수공(21)에 대응되는 유도관(31)이 상면에 설치되고 옹벽판(20)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지지관(30)과, 상기 지지관(3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측벽(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플랜지(32)와, 상기 지지관(3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지지관(30)의 저면에 연결된 배수관(4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도로, 옹벽, 식재대, 배수관

Description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BREAST WALL CONSTRUCTION OF ROAD HAVE PLANT MEMBER}
도 1은 종래의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측단면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벽 20 : 옹벽판
21 : 배수공 22 : 식재공간
23 : 통공 30 : 지지관
31 : 유도관 32 : 플랜지
40 : 배수관 50 : 토사
51 : 식물 101 : 비탈면
본 발명은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을 절토하여 건설되는 도로 일측 또는 양 측면의 비탈면에 토사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물 식재대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식물 식재대에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여 도로의 양측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특히 자연 친화적인 옹벽으로 구성될 수 있는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위치에 있어, 도로를 건설할 때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건설하게 된다.
이러한 도로는 주변과 환경을 무시하고 콘크리트 옹벽만이 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옹벽은 수직하게 입설되는 콘크리트 옹벽이 이용된다.
즉, 도로를 건설할 때에는 도로의 구간에 따라서 산을 절토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산을 절토할 때에는 도 1과 같이 도로(10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비탈면(101)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탈면(101)은 계절의 변화 또는 악천우시 그 비탈면(101)이 붕괴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비탈면(10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옹벽(102)을 설치하고, 그 옹벽(102)의 내부에 배수로(103)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비탈면 보호시설을 설치한다.
이러한 비탈면 보호시설은 콘크리트를 소정의 두께로 타설하여 비탈면(101)의 표면에 옹벽(102)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콘크리트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옹벽은 자연미가 없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삭막함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는 물론,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 및 탑승객의 건강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여행중이거나 운전중인 승객 또는 운전자가 지루함을 느끼면서 주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탈면의 일측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된 측벽의 사이에 식물 식재대를 다단으로 적층하고, 식물을 식재하여 자연 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식물 식재대의 내부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비탈면의 표면으로 배수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수시켜,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비탈면의 표면에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공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사이에 적층되며 내부에는 토사가 채워지고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게 'X'자 형상으로 형성된 옹벽판과, 상기 옹벽판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옹벽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수공과, 상 기 배수공에 대응되는 유도관이 상면에 설치되고 옹벽판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지지관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지지관의 저면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측단면 상세도이다.
차량이 주행가능하도록 건설된 도로(100)에는 양측에 형성되는 비탈면(101)의 표면에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비탈면(101)의 측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측벽(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측벽(10)은 하부와 상부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측벽(10)의 전면 하부는 크고 상부는 좁게 일측이 단턱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1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옹벽판(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X'자 형상의 옹벽판(20)이 다수개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적층되어 있되, 그 옹벽판(20)에는 토사(50)가 채워지고 식물(51)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공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옹벽판(20)의 하부에는 토사(50)가 유입되고 식물의 뿌리가 성장할 수 있도록 통공(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판(2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직사각형 형태의 통공(23)이 형성된다.
부연 하자면, 도 3에서는 상기 측벽(10)을 설치시 후방 비탈면(101)에 대한 전방으로 성토를 실시한 후 측벽(10)이 입설되는 단면 구조를 설명하고 있고, 상기 측벽(10)이 입설된 사이에 다수개의 옹벽판(20)이 다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옹벽판(20)에 다수개의 통공이(23)이 형성되어 그 통공(23)을 통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10)을 다단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그 측벽(10)의 크기에 따라서, 하부에 설치되는 옹벽판(20)은 크게 형성하고 상부에 설치되는 옹벽판(20)은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옹벽판(20)의 중앙부에는 옹벽판(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공(2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옹벽판(20)의 중앙부 저면에는 그 옹벽판(20)을 지지하는 지지관(3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지지관(30)의 상면에는 배수공(21)에 대응되는 유도관(31)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관(30)의 양측 단부에는 측벽(10)에 부착되는 플랜지(3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관(30)은 옹벽판(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사각 플랜지(32)가 각각 형성되고, 그 플랜지(32)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체결 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관(30)에는 상부에 유도관(31)이 상,하부로 돌출되어 배수공(21)과 삽입된다.
부연 하자면, 상기 지지관(30)은 유도관(31)이 상부 옹벽판(20)의 배수공 (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30) 중 최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관(30)에는 그 지지관(3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배수관(40)이 설치되어 있ㅇ어 도로에 매설된 배수로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비탈면(101)에 옹벽을 설치할 때에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측벽(10)을 설치한 후 상기 측벽(10)의 하부 사이에 지지관(30)을 다수개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관(3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32)를 측벽(10)의 내벽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관(30)중 최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관에 배수관(40)이 연결되어 배수처리 효율이 강화된 옹벽 구조물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벽(10)의 사이에 옹벽판(20)을 설치하되, 그 옹벽판(20)의 중앙부 저면이 지지관(30)에 의해서 지지됨과 동시에 배수공(21)과 유도관(31)을 일치시키고, 상기 옹벽판(20)의 하부에 토사(50)를 공급하면 그 토사(50)는 옹벽판(2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23)을 중앙으로 유입되어 옹벽판(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지지관(30) 및 옹벽판(2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측벽(10)의 최상부까지 옹벽판(20)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 비탈면(101)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을 설치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옹벽판(20)에 형성된 식재 공간(22)에서 식물(51)이 생장하여 자연 친화적인 옹벽이 제공되고, 특히 식재 공간(22)에서 성장하는 식물(51)에 의해서 도로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1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는 측벽(10)을 다수개 입설한 후, 그 양측에 지지관(30)을 체결하여 긴 구간에 시공이 가능함은 설명을 하지 않아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옹벽 구조물은 도로 뿐만 아니라, 건축 단지 또는 산과 접한 건축물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조경 기능을 강화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은, 도로의 측면에 형성되는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의 옹벽판을 적층하고, 그 옹벽판에 형성된 식재 공간에 식물이 성장하게 되므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동시에 식물 식재대의 설치에 따라 옹벽의 개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비탈면(101)의 표면에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공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101)의 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의 사이에 적층되며 내부에는 토사(50)가 채워지고 식물(51)을 식재하는 직사각 형태의 식재 공간(22)이 형성되게 'X'자 형상으로 형성된 옹벽판(20)과, 상기 옹벽판(2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옹벽판(20)의 중앙부 교차된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수공(21)과, 상기 배수공(21)에 대응되는 유도관(31)이 상,하부에 돌출되고 옹벽판(20)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고 길이방향 양측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측벽(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플랜지(32)가 형성된 지지관(30)과, 상기 지지관(3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지지관(30)의 저면에 연결된 배수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0)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전방 일측이 단턱을 가지도록다단으로 형성되고, 측벽(10)의 사이에 적층되는 옹벽판(20)은 하부는 크고 상부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옹벽판(20)의 하부에는 토사(50)가 유입되는 통공(23)이 형성되며, 상 기 지지관(30)에는 유도관(31)이 배수공(21)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KR1020050087154A 2005-09-16 2005-09-16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KR10054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154A KR100543798B1 (ko) 2005-09-16 2005-09-16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154A KR100543798B1 (ko) 2005-09-16 2005-09-16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798B1 true KR100543798B1 (ko) 2006-01-23

Family

ID=3717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154A KR100543798B1 (ko) 2005-09-16 2005-09-16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4730A (zh) * 2011-12-27 2013-07-03 上海中交水运设计研究有限公司 综合利用地下空间的滨水景观建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4730A (zh) * 2011-12-27 2013-07-03 上海中交水运设计研究有限公司 综合利用地下空间的滨水景观建筑
CN103184730B (zh) * 2011-12-27 2016-02-10 上海中交水运设计研究有限公司 综合利用地下空间的滨水景观建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798B1 (ko) 화분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KR100543798B1 (ko) 식물 식재대가 설치된 도로의 옹벽 구조물
KR100734812B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100541973B1 (ko) 식생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JP5669915B1 (ja) 路面用排水溝
KR100635927B1 (ko)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US20060193694A1 (en) Block for embankment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60081270A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JP3418077B2 (ja) 植栽用壁体
KR100793684B1 (ko)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457B1 (ko) 비탈면의 붕괴 방지용 블럭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CN220266221U (zh) 一种可排水路缘石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KR200376567Y1 (ko) 식재공이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KR200354767Y1 (ko) 도로의 법면 보호공 구조
KR100467089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