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303B1 -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303B1
KR100543303B1 KR1020010078533A KR20010078533A KR100543303B1 KR 100543303 B1 KR100543303 B1 KR 100543303B1 KR 1020010078533 A KR1020010078533 A KR 1020010078533A KR 20010078533 A KR20010078533 A KR 20010078533A KR 100543303 B1 KR100543303 B1 KR 10054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coil
reel
coiled
sof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586A (ko
Inventor
이재용
윤재원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릴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스크랩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킬 수 있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연공장에서 발생되는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키기 위한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 있어서, 코일형 스크랩을 절단하는 씨어의 출측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소프트롤, 소프트롤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형 스크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에서 안내된 코일형 스크랩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소프트롤, 가이드부, 권취부, 스크랩

Description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F COIL TYPE SCRA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소프트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이동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권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서 릴이 확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소프트롤 40 : 가이드부
60 : 권취부 72 : 심압대
S : 코일형 스크랩
본 발명은 압연공장에서 제조되는 코일형 소재의 톱부와 테일부에서 주로 발생되는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키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형 소재의 톱부와 테일부를 권취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장에서 제조되는 코일형 소재는 톱부와 선단부에 스크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랩 제거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코일형 소재의 스크랩 제거장치를 통한 스크랩이 제거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미세할 경우에는 라인을 정지시킨 후, 씨어(200a, 200b)에서 시트 스크랩(202)을 낱장으로 컷트하여 스크랩 박스(204)로 바로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크랩의 길이가 10여m 이상으로 길 경우에는 텐션릴(206)에서 코일형 스크랩(208)으로 권취하여 코일카(210)를 이용하여 인출한 후, 스키드(212) 위에 올려진 코일형 스크랩을 푸셔(pucher)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크랩 작업에 있어서, 코일형 스크랩을 권 취할 경우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텐션릴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스크랩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킬 수 있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공장에서 발생되는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키기 위한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 있어서, 코일형 스크랩을 절단하는 씨어의 출측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소프트롤, 소프트롤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형 스크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에서 안내된 코일형 스크랩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소프트롤의 홈에 일측이 치합되어 회동하는 가이드테이블, 가이드테이블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의 선단에 설치되는 리더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부는 다수개의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고정판에 확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릴,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모터가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베이스, 슬라이딩베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 릴의 선단부 전방에 설치되어 릴을 확동시키는 심압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다.
여기서 심압대는 릴의 선단측으로 돌출된 콘과, 이 콘이 설치되는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콘은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는 씨어(10)의 출측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소프트롤(20)과, 코일형 스크랩(S)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와, 코일형 스크랩(S)을 권취하는 권취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소프트롤(2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씨어(10) 출측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롤로써 원주면에 다수개의 환(還)형 홈(22)이 형성되며, 양 선단에는 고정블록(24)이 설치되어 소프트롤(20)을 축지지한다.
또한 고정블록(24)의 하부에는 승하강실린더(26)가 설치되어 소프트롤(20)은 고정블록(24)에 축지지된 상태로 승하강된다.
아울러 승하강실린더(26)의 상하한에는 승하강실린더(26)의 승하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8)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부(4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롤(20)에 치합되어 회동하는 가이드테이블(42)과, 가이드테이블(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4)와, 슬라이더(44)의 선단에 설치되는 리더롤(46)로 이루 어진다.
가이드테이블(42)은 소프트롤(20) 측에 대응되는 선단에 다수개의 홈(42a)이 형성되어 소프트롤(20)에 형성된 환형 홈(22)에 치합되며, 하부에는 회동실린더(43)가 설치되어 회동실린더(43)의 신축에 따라 소프트롤(20)의 원주면과 밀착되어 회동한다.
또한 내부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42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더(44)의 가이드(44a)가 삽입된다.
한편 가이드테이블(42)의 하부에는 평행한 복수개의 슬라이딩실린더(45)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실린더(45)의 피스톤로드(45a)는 슬라이더(44)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실린더(45)가 신축됨에 따라 슬라이더(44)가 가이드테이블(42)의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44)는 가이드테이블(4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슬라이더(44)의 일측과 가이드테이블(42)은 슬라이딩실린더(45)로 연결 설치되므로 슬라이더(44)가 가이드테이블(42)의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테이블(42)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딩실린더(45) 사이에는 포텐시오메터(47)가 설치되고, 슬라이더(44)에 설치된 연결고리(44b)와 연결된다.
리더롤(46)은 슬라이더(44)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리더롤고정판(48)에 축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더(44)의 신장시 후술하는 릴(62)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한편 슬라이더(44)의 일측에는 리더롤(46)의 홈 포지션을 감지하기 위한 홈포지션감지센서(49)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권취부(6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크랩(S)의 선단이 고정되는 릴(62)과, 릴(62)이 설치된 고정판(64)을 회전시키는 모터(66)와, 모터(66)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베이스(68)와, 슬라이딩베이스(68)를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70)와, 릴(62)의 선단부 전방에 설치되어 릴(62)을 확동시키는 심압대(72)로 이루어진다.
릴(62)은 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고정판(64)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판(64)에 고정 설치된 릴(62)의 각 세그먼트는 가요성부재로 이루어져 선단이 후술하는 심압대(72)의 콘(74)에 삽입될 때 확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6)는 슬라이딩베이스(68)에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딩베이스(68)가 이동함에 따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모터(66)와 고정판(64) 사이에는 스핀들(65)이 연결 설치되어 모터(66)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고정판(64)을 통하여 릴(62)에 전달된다.
슬라이딩베이스(68)는 지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76)의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76)의 상부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송실린더(7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피스톤로드(71)는 모터(66)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피스톤로드(71)의 신축에 따라 모터(66)가 이동하게 된다.
즉 피스톤로드(71)가 신축함에 따라 모터(66)가 고정 설치된 슬라이딩베이스가(68) 베이스(76)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모터(66)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고정판(64)의 일측에는 터치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고정판(64)이 이동되는 경로의 측방에 감지센서(78)가 설치되어 고정판(64)에 설치된 릴(62)의 홈 포지션을 감지하게 된다.
심압대(72)는 릴(62)과 마주하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콘(74)과, 이 콘(74)이 설치되는 고정블록(8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콘(74)과 고정블록(80) 사이에 베어링(82)이 설치되어 콘(74)이 회전하도록 하므로 릴(62)의 내측면과 콘(74)의 외측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62)이 심압대(72)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릴(62)의 중심부가 콘(74)에 결합되어 릴(62)이 전진함에 따라 릴(62)이 확동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진행하고 있는 스트립에 결함이 발생되면 압연라인을 정지시키고 스트립을 출측 씨어(100)에서 절단하고, 품질이 문제가 없는 스트립은 마그네트 콘베이어(102)와 디플렉터롤(104)을 통해서 텐션릴(106)에 권취한다.
다음으로 시어(100)의 출측 상부에 위치한 게이트(108)가 상방으로 회동하고, 게이트(108)가 상방으로 회동하면 소프트롤(20)이 승하강실린더(26)에 의해 상승되고, 소프트롤(20)이 상승함에 따라 가이드테이블(42)의 일측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리더롤(46)과 슬라이더(44)는 슬라이딩실린더(45)가 신장함에 따라 가 이드테이블(42)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실린더(70)가 작동하면 모터(66)가 고정 설치된 슬라이딩베이스(45)가 이동하여 모터(66)와 모터(66)에 연결 설치되는 릴(62)이 이동하게 된다.
릴(62)이 이동하여 릴(62)의 선단부가 심압대(72)의 콘(74)에 닿게 되면 릴(62)이 이동함에 따라 릴(62)의 선단부가 확동된다.
이 때 릴(62)은 확동시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릴(62)의 원주면의 직경이 각 부분에서 동일하도록 하여 릴(62)의 권취시 코일형 스크랩(S)이 일측으로 연속적으로 빗나가는 텔리스코핑(Telescoping)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모터(66)를 작동시켜 세그먼트의 홈 사이가 슬라이더(44)의 선단과 일치하도록 하여 슬라이더(44)를 통하여 안내된 코일형 스트립(S)이 릴(62)의 홈 사이에 끼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코일형 스크랩(S)을 권취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코일형 스크랩(S)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동되는 코일형 스크랩(S)은 가이드테이블(42)과 슬라이더(44)를 따라 안내되어 릴(62)의 홈에 끼워지게 된다.
릴(62)의 홈에 코일형 스크랩(S)의 선단부가 끼워지면 모터(66)를 릴(62)의 원주속도가 코일형 스크랩(S)의 진입속도와 동일하도록 회전시켜 코일형 스크랩(S)이 권취되도록 한다.
이 때 코일형 스크랩(S)은 릴(62)의 세그먼트가 이루는 원주면에 밀착되도록 리더롤(46)이 코일형 스크랩(S)을 릴(62)의 중심쪽으로 가압하여 코일형 스크랩(S)이 릴(62)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코일형 스크랩(S)이 모두 감기면 소프트롤(20)과 슬라이더(44)를 북귀시키고 이송실린더(70)를 이동시켜 릴(62)을 원래의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킨다.
이 때 릴(62)은 심압대(72)의 콘(74)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선단부가 축소되며, 선단부가 축소되므로 릴(62)에 권취되어 있던 코일형 스크랩(S)이 미끄러지면서 스크랩박스(110)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랩박스(110)에 낙하된 코일형 스크랩(S)은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일형 스크랩(S)을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코일형 스크랩(S)이 씨어(100)에서 절단되어 가이드테이블(42)로 안내되면 압연라인의 공정을 복귀하여 바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코일형 스크랩(S)을 제거시키기 위한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절약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는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생산성이 증대된다.

Claims (5)

  1. 압연공장에서 발생되는 코일형 스크랩을 제거시키기 위한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스크랩을 절단하는 씨어의 출측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소프트롤;
    상기 소프트롤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형 스크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된 코일형 스크랩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소프트롤의 홈에 일측이 치합되어 회동하는 가이드테이블, 가이드테이블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설치되는 리더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다수개의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확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릴, 상기 릴이 고정되는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가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베이스, 상기 슬라이딩베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릴의 선단부 전방에 설치되어 릴을 확동시키는 심압대로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는 상기 릴의 선단측으로 돌출된 콘, 상기 콘이 설치되는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은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KR1020010078533A 2001-12-12 2001-12-12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KR10054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33A KR100543303B1 (ko) 2001-12-12 2001-12-12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33A KR100543303B1 (ko) 2001-12-12 2001-12-12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586A KR20030048586A (ko) 2003-06-25
KR100543303B1 true KR100543303B1 (ko) 2006-01-20

Family

ID=2957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533A KR100543303B1 (ko) 2001-12-12 2001-12-12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50B1 (ko) * 2011-12-22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151A (ja) * 1985-09-20 1987-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スクラツプ巻取装置
JPS6272721U (ko) * 1985-10-22 1987-05-09
JPH1043931A (ja) * 1996-08-05 1998-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ボーラ及びスクラップ巻取り方法
JP2001071028A (ja) * 1999-09-08 2001-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巻取装置
KR20030035574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업 커트 쉬어에서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20030039278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결속용 폐 밴드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151A (ja) * 1985-09-20 1987-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スクラツプ巻取装置
JPS6272721U (ko) * 1985-10-22 1987-05-09
JPH1043931A (ja) * 1996-08-05 1998-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ボーラ及びスクラップ巻取り方法
JP2001071028A (ja) * 1999-09-08 2001-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巻取装置
KR20030035574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업 커트 쉬어에서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20030039278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결속용 폐 밴드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586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004B1 (ko) 확장가능한 권취기 맨드릴
FI117698B (fi) Parannettu menetelmä ja laite liikkuvan rainan rullaamiseksi rullatuksi rainarullaksi
JP5586341B2 (ja) 巻線機及び空芯コイルの製造方法
US6039283A (en) Thin strip coiling system
JP2002541041A (ja) 巻き取り心棒と巻き戻し機械用の巻芯を準備する方法及び装置
EP0999904B1 (en) Coiling machine for hot rolled stock such as strip or sheet
CA2101803A1 (en) Air horn for web winding machine
RU2005141424A (ru) Мот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ат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меюща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ую систему управления намоткой витков
KR100543303B1 (ko) 코일형 스크랩 제거장치
CN212353005U (zh) 成型鼓
JP2644455B2 (ja) アンコイラマシン
CN217675854U (zh) 一种便于下料的收卷装置
KR200494994Y1 (ko) 그립퍼 세그먼트의 마모 및 스트립 끼임 방지가 가능한 맨드릴
GB1226938A (ko)
KR20040031143A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US20070187545A1 (en) Machine for winding thin metal ribbon continuously on spools
US20080217456A1 (en) Coiling Method and Device for Rolled or Drawn Long Products
KR200255824Y1 (ko) 나선형 홈을 맨드렐 세그멘트 표면에 갖는 코일 권취기
CN102325610B (zh) 用于开始卷绕和完成卷绕金属带的带卷取机
CN219985774U (zh) 一种铜线收线成卷机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515602B1 (ko) 스트립 절단용 환도 장착장치
CN114103206A (zh) 成型鼓
CN210709848U (zh) 一种带有换卷臂的间隙式收卷机
JPH05191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