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760B1 -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760B1
KR100542760B1 KR1020010046116A KR20010046116A KR100542760B1 KR 100542760 B1 KR100542760 B1 KR 100542760B1 KR 1020010046116 A KR1020010046116 A KR 1020010046116A KR 20010046116 A KR20010046116 A KR 20010046116A KR 100542760 B1 KR100542760 B1 KR 10054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projection
lens
total reflection
reflectio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198A (ko
Inventor
여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760B1/ko
Priority to US10/209,472 priority patent/US6760162B2/en
Publication of KR2003001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차를 보정함과 아울러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는 액정패널과; 다수의 렌즈들로 조합되어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 및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전반사미러와; 다수의 렌즈들로 조합되어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전반사미러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정하는 제2 렌즈군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축과 상기 전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 렌즈군 쪽으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이루는 각(θ)은 30˚~ 90˚범위이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PROJECTION LENS SYSTEM OF PROJEC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액정패널을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사렌즈계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투사렌즈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사렌즈계를 일직선상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도시된 투사렌즈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광학엔진부 11 : 조명계
12, 44, 61 : 액정패널 13, 48, 54 : 투사렌즈계
14,32,38,42,58 : 전반사미러 15, 50, 60 : 스크린
20 : 광원 22, 24 : FEL
26 : PBS 어래이 28 : 집광렌즈
30, 34 : 다이크로익미러 46 : 다이크로익 프리즘
52 : 광학부 70 : 제1 렌즈군
90 : 제2 렌즈군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차를 보정함과 아울러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화면 및 고화질 영상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소형의 영상을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확대투사하는 투사형 장치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투사장치는 스크린에 화상이 투사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투사 방식과 후면투사 방식으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후면투사장치는 주변환경이 밝은 곳에서도 비교적 밝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더욱 각광받고 있다. 후면투사장치로는 프로젝션 텔레비젼(Projection Television)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프로젝션 TV는 소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이하 "CRT"라 함) 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CRT 방식의 프로젝션 TV는 CRT 브라운관 자체가 차지하는 크기로 인하여 소형화 및 박형화에 한계가 있어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에 필요한 휘도를 얻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브라운관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보완함과 아울러 두께가 얇으면서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TV가 주목받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 PDP(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Electro-Luminescence) 등이 있다.
LCD를 이용한 프로젝션 TV는 광원에서 나오는 광을 LCD에 투사시키고 액정패널의 영상을 투사렌즈계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결상시킨다. 이렇게 소형이면서 고화질의 액정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게 되므로 대화면의 영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패널을 이용하여 프로젝션 시스템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정패널을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은 CRT와 대비하여 고해상도와 고휘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기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패널을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은 조명계(11), 액정패널(12), 투사렌즈계(13)로 이루어진 광학엔진부(10)와, 전반사미러(14), 스크린(15)을 구비한다.
광학엔진부(10)에서 조명계(11)는 광을 발생하여 액정패널(12)에 조사되도록 한다. 액정패널(12)은 조명계(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영상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투사렌즈계(13)는 액정패널(12)로부터 입사된 영 상을 확대투사하여 스크린(15)에 결상시킴으로써 시청자는 스크린(15)에 결상된 화상을 보게 된다. 이 경우, 투사렌즈계(13)에 의해 투사된 영상은 전반사미러(14)에 의해 전반사되어 광의 진행 경로가 바뀌면서 스크린(15) 쪽으로 진행하여 스크린(15)에 결상된다. 여기서, 투사된 영상이 전반사경(14)에 의해 광의 진행경로가 바뀌지 않고 스크린(15)의 뒤쪽에서 바로 투사되는 경우 시스템의 두께는 매우 커지게 되므로 전반사미러(14)을 이용하여 광의 경로를 바꿈으로써 시스템 두께를 줄인다.
이를 상세히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시스템은 광원(20)과 제1 다이크로익미러(30) 사이에 배열된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Fly Eye Lens;이하 "FEL" 이라 함)(22, 24), 편광 분리 어래이(Polarizing Beam Splitter Array; 이하 "PBS 어래이" 라 함)(26) 및 집광렌즈(28)를 구비한다.
광원(20)의 램프에서 출사된 가시광영역의 광은 타원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1 FEL(22)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1 FEL(22)은 입사광을 셀(cell) 단위로 분할하여 제2 FEL(24)의 각 렌즈 셀에 포커싱(focusing)되게 한다. 제2 FEL(22)은 입사광을 특정한 부분에 대한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PBS 어래이(26)쪽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PBS 어래이(26)는 입사광을 어느 하나의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 즉 P파와 S파로 분리하고, PBS 어래이(26)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1/2파장판(도시하지 않음)는 투과된 P파를 S파로 변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PBS 어레이(26)에 의해 입사광이 모두 한 방향의 선편광 즉, S파로 변환됨으로써 광원(20)에서 출사된 거의 모든 광이 후술할 액정패널(44R, 44G, 44B)에 입사하게 된다. 집광렌즈(28)는 PBS 어래이(26)로부터의 입사광을 액정패널(44)에 집속시킨다. 집광렌즈(28)와 액정패널(44) 사이에는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미러(30, 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다이크로익 미러(30)는 입사광 중 적색광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녹색광 및 청색광을 투과시킨다.
제1 다이크로익미러(30)와 적색 액정패널(44R) 사이에 배열된 제1 전반사미러(32)와, 제1 다이크로익미러(30)와 제2 전반사미러(38) 사이에 배열된 제2 다이크로익미러(34) 및 제1 릴레이렌즈(36)와, 녹색 액정패널(44G)과, 제2 전반사미러(38)와 청색 액정패널(44B) 사이에 배열된 제2 릴레이렌즈(36) 및 제3 전반사미러(42)와, 액정패널(44R, 44G, 44B)의 삼면에 배치된 다이크로익 프리즘(46)과, 투사렌즈(48) 및 스크린(50)을 추가로 구비한다.
제1 전반사미러(32)는 제1 다이크로익미러(30)에서 반사되는 입사되는 적색광을 전반사시켜 적색 액정패널(44R)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적색 액정패널(44R)은 투과형 LCD로서, 제1 전반사미러(32)로부터 입사된 적색광을 다이크로익 프리즘(46) 쪽으로 진행시키게 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34)는 제1 다이크로익미러(30)로부터 투과되어 입사되는 광 중 녹색광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청색광을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제2 다이크로익미러(34)에서 반사된 녹색광은 녹색 액정패널(44G)로 입사되게 된다. 녹색 액정패널(44G)은 투과형 LCD로서, 제2 다이크로익미러(34)로부터 입사된 녹색광을 다이크로익 프리즘(46) 쪽으로 진행시키게 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34)로부터 투과된 청색광은 제1 및 제2 릴레이렌즈(36, 40)와 제2 및 제3 전반사미러(38, 42)를 경유하여 청색 액정패널(44B)에 입사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렌즈(36, 40)는 필드렌즈로서 청색광의 초점을 지연시켜 청색 액정패널(44B)에 재결상시킨다. 청색 액정패널(44B)은 투과형 LCD로서, 제3 전반사미러(42)로부터 입사된 청색광을 다이크로익 프리즘(46) 쪽으로 진행시키게 한다.
적색, 녹색, 청색 액정패널(44R, 44G, 44B)은 입사되는 적색, 녹색, 청색광을 영상신호에 따라 각 삼색광의 화상을 구현한다. 이 경우, 적색, 녹색, 청색 액정패널(44R, 44G, 44B) 각각에 입사되어진 S파는 액정패널에 의해 P파로 변환되어 출사되게 된다.
다이크로익 프리즘(46)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액정패널(44R, 44G, 44B)로부터의 각 삼색광의 화상 정보를 얻어 입사되는 적색, 녹색, 청색광을 합성한다. 즉, 다이크로익 프리즘(46)은 적색 및 청색광을 투사렌즈(48)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녹색광을 투사렌즈(48) 쪽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적색, 녹섹, 청색의 화상을 합성하게 된다. 투사렌즈(48)는 다이크로익 프리즘(46)으로부터 입사되는 화상을 스크린(50)에 확대 투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젝션 시스템은 시스템의 크기를 소형화시키면서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경량화의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화면의 크기는 크게 하면서 시스템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액정패널(44)로부터 투사렌즈(48)까지의 투사거리를 짧게 해야만 한다. 투사렌즈계는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즈군과,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제1 렌즈군 과 제2 렌즈군 사이에 광경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전반사미러를 위치시켜 "L"자형 투사렌즈계를 구성함으로써 프로젝션 시스템의 두께 및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L"자형 투사렌즈계는 투사거리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제2 렌즈군의 음의 굴절율을 크게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왜곡(Distortion), 코마(Coma) 수차, 비점수차(Astigmatism) 등의 수차가 크게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차를 보정함과 아울러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다수의 렌즈들로 조합되어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 및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전반사미러와; 다수의 렌즈들로 조합되어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전반사미러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정하는 제2 렌즈군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축과 상기 전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 렌즈군 쪽으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이루는 각(θ)은 30˚~ 90˚범위이다.
상기 액정패널,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은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2.0 < bfl / fl < 2.8
0.6 < │f2/f1 │< 1.0
4.0 < d / f2 < 5.0
여기서, bfl(back focal length)은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한 상기 제1 렌즈군에 포함된 렌즈에서부터 상기 액정패널까지의 초점거리, fl(focal length)은 상기 전반사미러, 상기 제 1 렌즈군 및 제 2 렌즈군을 포함한 투사렌즈계 전체의 초점거리, f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 f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 d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각각 의미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사렌즈계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은 광을 발생하는 조명계와 조명계로부터 광을 영상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광학부(52)와, 전반사미러(56)를 포함하여 액정패널로부터의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계(54)와, 투사렌즈계(54)로부터의 광경로를 스크린(60) 쪽으로 진행시키는 제2 전반사미러(58)와, 제2 전반사미러(58)로부터의 영상을 결상시키는 스크린(60)을 구비한다.
광학부(52)에서 조명계는 광을 발생하여 액정패널로 조사되게 한다. 액정패널은 조명계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영상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전반사미러(56)에 의해 "L"자 형태를 가지는 투사렌즈계(54)는 액정패널로부터 입사된 영상을 확대투사하여 스크린(60)에 결상시킨다.
투사렌즈계(54)를 도 4 및 도 5와 결부하여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투사렌즈계(54)는 액정패널(61)과 스크린(60) 사이에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70)과,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90)과, 제1 렌즈군(70)과 제2 렌즈군(90) 사이에 배치된 전반사미러(56)를 구비한다.
제1 렌즈군(70)은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구면렌즈(72)와,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비구면렌즈(74)와, 양과 음의 구면렌즈(76, 78)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렌즈(77)와,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구면렌즈(80)로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의 조합에 의해 제1 렌즈군(70)은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게 된다. 제1 렌즈군(70)은 액정패널(61)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 및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반사미러(56)는 제1 렌즈군(70)을 투과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시켜 제2 렌즈군(90) 쪽으로 진행시키게 한다. 전반사미러(56)는 제1 렌즈군(70)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축과 전반사미러(56)에 의해 반사되어 제2 렌즈군(90) 쪽으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이루는 각(θ)이 30˚~ 90˚사이의 범위에서 광경로가 변환되게 한다. 전반사미러(56)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반사미러(56)의 반사면이 평면 또는 비구면 전반사미러로 이루어진다.
제2 렌즈군(90)은 두 매의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볼록렌즈(82, 84)와, 한 매의 플라스틱 비구면렌즈(86)와, 양의 굴절율을 가지는 구면렌즈(88)로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의 조합에 의해 제2 렌즈군(90)은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가지게 된다. 제2 렌즈군(90)에서 제1 및 제2 볼록렌즈(82, 84)와 비구면렌즈(86)는 에지(edge) 부분이 서로 접촉되게 형성된다. 제2 렌즈군(90)은 전반사미러(56)로부터의 출사된 광의 왜곡(Distortion), 비점수차(Astigmatism)를 보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투사렌즈계(54)는 다음과 같은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2.0 < bfl / fl < 2.8
여기서, bfl(back focal length)은 액정패널(61)로부터 제1 렌즈군(70)에 포함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구면렌즈(80)까지의 초점거리를 나타내며, fl(focal length)는 렌즈 전체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수학식 1은 투사렌즈계(54)의 bfl과 fl의 비, 즉 레트로(retro) 비에 관한 것으로 액정패널(61)과 스크린(60) 사이에서 투사렌즈계가 설치될 수 있는 크기를 정하여 준다. 레트로비가 2.8 이상의 값을 가지게 되면 투사렌즈계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수차를 보정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레트로비의 값이 2.0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면 수차특성 및 광학특성이 좋아지게 되지만 시스템 구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레트로비의 값은 수학식 1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0.6 < │f2/f1 │< 1.0
여기서, f1은 제1 렌즈군(70)의 초점거리를 나타내며 f2는 제2 렌즈군(90)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수학식 2는 제1 렌즈군(70)과 제2 렌즈군(90)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차를 보정할 수 있는 조건을 나타내는 식이다. 제1 및 제2 렌즈군(70, 90)의 초점거리의 비가 1.0 이상이면 제2 렌즈군(70)의 굴절력이 약하게 되어 수차 보정에는 유리하나 대화면 구현시 스크린(60)과 투사렌즈계(54)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시스템의 박형화에 불리하게 된다. 또한, 두 렌즈군(70, 90)의 초점거리의 비가 0.6 이하이면 제2 렌즈군(90)의 굴절력이 강하게 되어 투사렌즈계(54)의 소형화 및 초광각화가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제2 렌즈군(90)의 제1 볼록렌즈(82)의 R2면이 반구에 가깝게 되어 생산이 불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비점수차, 상면만곡이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f1과 f2의 비는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0 < d8 / f2 < 5.0
여기서, d8은 제1 렌즈군(70)과 제2 렌즈군(9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f2은 제2 렌즈군(70)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수학식 3은 제1 렌즈군(70)과 제2 렌즈군(90) 사이에서 전반사미러의 배치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식이다. 상기 수학식에서 d8과 f2의 비가 4.0 이하이면 제1 및 제2 렌즈군(70, 9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제1 및 제2 렌즈군(70, 90) 사이에 배치되는 전반사미러(56)의 배치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수학식에서 d8과 f2의 비가 5.0 이상이면 투사렌즈계(54)의 시스템이 길어지게 되어 시스템의 박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이에 따라, d8과 f2의 비는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편, 투사렌즈계(54)는 렌즈계 전체를 움직여 화상을 포커싱(focusing)하게 되면 스크린(60)의 중심과 액정패널(61)의 중심이 불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상이 스크린(60)의 크기를 벗어나 상하로 영상이 이탈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생산 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투사렌즈계(54)는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사렌즈계(54)를 구성하는 일부 렌즈들을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focusing)한다. 다시 말하면, 제1 렌즈군(70)을 이동시키거나 제1 렌즈군(70)에 포함된 구면렌즈(72) 혹은 제2 렌즈군(90)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61) 상의 초점에 화상이 포커싱될 뿐만 아니라, 스크린(60)에서 영상의 이탈이 없는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다음 표 1은 투사렌즈계의 설계시 적용될 수 있는 도 5에 도시된 각 렌즈면의 곡률반경(r), 렌즈면들간의 간격(d), 각 렌즈의 굴절율(Nd)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초점거리는 1.0mm, 투사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상수인 Fnumber는 2.35이며, 2ω는 86.33˚이다. 이때, ω는 투사렌즈계와 스크린 사이의 화각을 나타낸다.
렌즈면 r d Nd
s1 4.50289 0.301758 1.618808
s2 2.53018 0.840242
s3 5.92254 0.181055 1.486403
s4 2.05829 0.740070
s5 8.17683 0.347021 1.490423
s6 2.08055 0.905273
s7 0.0 0.331934 1.800485
s8 -8.62906 4.319051
s9 3.95635 0.232957 1.770094
s10 -286.54312 1.569140
s11 -6.63867 0.392285 1.490423
s12 -3.79238 0.282176
s13 -2.90122 0.168984 1.800485
s14 5.74535 0.619810 1.618808
s15 -2.71648 0.060352
s16 7.16995 0.581789 1.694847
s17 -3.85948 2.508600
s18 0.00000 0.000000
표 1에 나타낸 비구면렌즈의 렌즈면들(s5, s6, s11, s12)에 대한 형상을 결정하는 비구면 계수들은 다음 수학식 4과 같은 비구면식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1019139569-pat00001
여기서, X(r)는 광축으로부터 높이 r지점에서의 비구면에 대한 세그(Sag) 값, c는 광축에서의 렌즈면의 곡률이며, K는 코닉(Conic) 상수, a1, a2, a3, a4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렌즈면의 형상에 대한 계수 값들은 표 2와 같다.
렌즈면 s5 s6 s11 s12
K 0.0 0.0 0.0 0.0
a1 0.294763E-01 0.747054E-02 0.121644E-01 0.429228E-01
a2 -0.112262E-01 -0.195586E-01 0.122678E-01 0.139820E-01
a3 0.290756E-02 0.469941E-02 -0.304741E-02 0.814854E-03
a4 -0.319147E-03 -0.875964E-03 0.181762E-03 0.598569E-03

도 6a 내지 도 6c는 투사렌즈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투사렌즈계의 구면수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초점이 결상되는 평면의 높이에 따라 구면수차의 값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투사렌즈계의 초점를 벗어나는 구면수차의 범위가 대략 +0.5mm ~ -0.3mm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도 6b는 투사렌즈계의 상면만곡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초점이 결상되는 평면의 높이에 따라 상면만곡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투사렌즈계의 초점를 벗어나는 상면만곡의 범위가 대략 +0.02mm ~ -0.05mm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도 6c는 투사렌즈계의 왜곡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초점이 결상되는 평면의 높이에 따라 왜곡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높이가 증가할수록 왜곡이 점점 심화되고 있으며 투사렌즈계의 초점를 벗어나는 왜곡의 범위가 대략 +0.0mm ~ -1.5mm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사렌즈계의 수차 특성은 종래의 수차 특성에 비해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의 특성을 보정함과 아울러 투사렌즈계의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는 액정패널과 스크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투사렌즈계의 크기를 한정함으로써 수차, 상면만곡 및 비점수차 등의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는 투사렌즈계를 구성하는 렌즈, 혹은 렌즈군을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이 일치되어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61)과;
    다수의 렌즈들(72, 74, 77, 80)로 조합되어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 및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렌즈군(70)과;
    상기 제1 렌즈군(7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전반사미러(56)와;
    다수의 렌즈들(82, 84, 86, 88)로 조합되어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전반사미러(56)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정하는 제2 렌즈군(8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렌즈군(70)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축과 상기 전반사미러(56)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 렌즈군(80) 쪽으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이루는 각(θ)은 30˚~ 90˚범위이고,
    상기 액정패널,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은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조건식)
    2.0 < bfl / fl < 2.8
    0.6 < │f2/f1 │< 1.0
    4.0 < d / f2 < 5.0
    여기서, bfl(back focal length)은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한 상기 제1 렌즈군에 포함된 렌즈에서부터 상기 액정패널까지의 초점거리, fl(focal length)은 상기 전반사미러, 상기 제 1 렌즈군 및 제 2 렌즈군을 포함한 투사렌즈계 전체의 초점거리, f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 f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 d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각각 의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비구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비구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미러는 유리와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미러의 반사면이 평면 전반사미러와 비구면 전반사미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을 이동시켜 포커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미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렌즈군의 구면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을 이동시켜 포커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KR1020010046116A 2001-07-31 2001-07-31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KR10054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16A KR100542760B1 (ko) 2001-07-31 2001-07-31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US10/209,472 US6760162B2 (en) 2001-07-31 2002-07-30 Projection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16A KR100542760B1 (ko) 2001-07-31 2001-07-31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198A KR20030012198A (ko) 2003-02-12
KR100542760B1 true KR100542760B1 (ko) 2006-01-20

Family

ID=1971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116A KR100542760B1 (ko) 2001-07-31 2001-07-31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60162B2 (ko)
KR (1) KR100542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91B1 (ko) * 2002-07-02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투사장치의 투사렌즈계
JP2004354437A (ja) * 2003-05-27 2004-12-16 Fuji Photo Optical Co Ltd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KR100531383B1 (ko) * 2003-11-05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의 초 광각 줌 렌즈
KR100698754B1 (ko) * 2005-05-09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US7802883B2 (en) 2007-12-20 2010-09-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smetic contact lenses having a sparkle effect
JP6496977B2 (ja) 2013-03-13 2019-04-10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光学系、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378A (ja) * 1993-12-24 1995-07-21 Nec Corp 投影レンズ
JPH09297262A (ja) * 1996-05-08 1997-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レンズ
JPH11142731A (ja) * 1997-11-12 1999-05-28 Canon Inc 投射レンズ及びそれを有した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JPH11305117A (ja) * 1998-04-24 1999-11-05 Sony Corp 投射レンズ及び投射レンズの焦点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484A (en) * 1992-01-06 1995-08-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tro-focus type lens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US5267063A (en) * 1992-07-02 1993-11-30 At&T Bell Laboratories Gradient index mirror for providing a collimated beam for liquid crystal displays and the like
JP3466002B2 (ja) * 1995-07-13 2003-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トロフォーカス型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378A (ja) * 1993-12-24 1995-07-21 Nec Corp 投影レンズ
JPH09297262A (ja) * 1996-05-08 1997-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レンズ
JPH11142731A (ja) * 1997-11-12 1999-05-28 Canon Inc 投射レンズ及びそれを有した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JPH11305117A (ja) * 1998-04-24 1999-11-05 Sony Corp 投射レンズ及び投射レンズの焦点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3010A1 (en) 2003-03-20
KR20030012198A (ko) 2003-02-12
US6760162B2 (en)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484A (en) Retro-focus type lens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US5973848A (en) Retrofocus projection lens system and multivisio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A2269484C (en) Projection lens and focus adjusting method for projection lens
US6461001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H09218379A (ja) 広画角液晶プロジェクションレンズシステム
CN113504633B (zh) 一种投影系统
JP2981497B2 (ja) レトロフォーカス型レンズ
CN212781467U (zh) 镜头、投影光机以及近眼显示系统
US20040001186A1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50086076A (ko) 대화각 고해상도를 제공하는 배면 투사 광학계
CN112162383A (zh) 镜头、投影光机以及近眼显示系统
KR100531010B1 (ko) 광각 투사 렌즈
KR100542760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투사렌즈계
KR100531383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초 광각 줌 렌즈
JP3285538B2 (ja) 投写型表示装置
US5539580A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a liquid crystal projector
KR0138743B1 (ko) 배면투사방식 텔레비젼용 투사렌즈시스템
CN114690377B (zh) 一种光学投影系统以及电子设备
CN114545611A (zh) 4k超短焦投影镜头
US5373394A (en) Projection lens system for a video projector
CN114545588A (zh) 投影镜头和投影设备
KR100385885B1 (ko) 프로젝터용 투사광학계
US5695266A (en)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KR100343967B1 (ko) 투사렌즈계
CN116859557B (zh) 投影镜头及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4

Effective date: 200509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01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4

Effective date: 200509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