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616B1 -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616B1
KR100542616B1 KR1020050086800A KR20050086800A KR100542616B1 KR 100542616 B1 KR100542616 B1 KR 100542616B1 KR 1020050086800 A KR1020050086800 A KR 1020050086800A KR 20050086800 A KR20050086800 A KR 20050086800A KR 100542616 B1 KR100542616 B1 KR 10054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girder
tension bracket
chord
stee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근
노옥근
노실근
Original Assignee
우경건설 주식회사
노윤근
노옥근
노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건설 주식회사, 노윤근, 노옥근, 노실근 filed Critical 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탈부착이 자유로운 인장 브라켓을 사용하여, PC강재의 긴장력을 도입하면 트러스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한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는 상현재와 하현재 및 사재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와; 상기 트러스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현재와 하현재에 걸쳐 배치되는 PC강재로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상기 PC강재를 고정 정착시키기 위해 상현재 및 하현재에 부착 설치되는 인장브라켓과;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에 고정 부착되면서, PC강재를 지지하는 새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인장 브라켓, 트러스 거더, PC강재

Description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temporary tension bracket for truss gir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가 교각 및 교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트러스 거더의 정, 부모멘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러스 거더 12: 상현재
14: 하현재 16: 사재
20: PC강재 30: 인장 브라켓
32: 본체부 33: 사각판상체
34: 측판 35: 볼트공
36: 정착부 37: 삼각판상체
38: 보강살 39: 정착구
40: 인장 브라켓 42: 본체부
43: 사각판상체 44: 보강측판
45: 볼트공 46: 정착부
47: 삼각판상체 48: 보강살
49: 정착구 50: 새들
본 발명은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에 탈부착이 자유로운 인장 브라켓을 부착하고, 이 인장 브라켓에 PC강재을 정착한 후 이 PC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트러스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한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러스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은 상현재, 하현재, 사재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에 이 트러스 거더의 하현재의 단부에 정착부를 설치하고, 이 정착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하현재에 따라 PC강재를 배치하며, 이 PC강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로 상기 정착부에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PC강재에 의해서 하현재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연직방향의 하중으로 하현재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저감시켜, 하현재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러스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인장력이 발생하는 하현재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도록 한 결과, 하현재의 단면적을 작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에 대해서는 인장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지 않기 때문에, 상현재의 단면적을 작게 설정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써, 트러스 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에 탈부착이 자유로운 인장 브라켓을 부착하고, 이 인장 브라켓에 PC강재을 정착한 후 이 PC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트러스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한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는 상현재와 하현재 및 사재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와; 상기 트러스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현재와 하현재에 걸쳐 배치되는 PC강재로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상기 PC강재를 고정 정착시키기 위해 상현재 및 하현재에 부착 설치되는 인장브라켓과;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에 고정 부착되면서, PC강재를 지지하는 새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가 교각 및 교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는 상현재(12)와 하현재(14) 및 사재(16)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10)와;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걸쳐 배치되는 PC강재(20)로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상기 PC강재(20)를 고정 정착시키기 위해 상현재(12) 및 하현재(14)에 부착 설치되는 인장브라켓(30)과; 상기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고정 부착되면서, PC강재(20)를 지지하는 새들(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브라켓(3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체(33)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사각판상체(33)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측판(34)이 구비되며, 상면에 볼트공(35)이 형성된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측판(34)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삼각판상체(37)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간에 다수개의 보강살(38)을 가지며, 배면에 정착구(39)가 형성된 정착부(36)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삼각판상체(37)는 필요에 따라 그 측면 외측에 별도의 정착구(39)를 설치하여 PC강재(20)를 정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의 설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단일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 및 하현재(14)의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의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30)을 볼트로 결합 설치하고, 상기 단일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 및 하현재(14)의 적절한 위치에 새들(50)을 정착한 후, 상기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30)에 PC강재(20)를 단일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에서 하현재(14)로 다시 하현재(14)에서 상현재(12)로 PC강재(2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단일 조립식 인장 브라켓(30)에 PC강재(20)를 정착시킨 후, 상기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인장력을 받는 하현재(14)와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12)는 공히 단면적이 작게 설정됨으로써, 궁극적으로 트러스 거더(10)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트러스 거더의 정, 부모멘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는 상현재(12)와 하현재(14) 및 사재(16)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10)와;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걸쳐 배치되는 PC강재(20)로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상기 PC강재(20)를 고정 정착시키기 위해 상현재(12) 및 하현재(14)에 부착 설치되는 인장브라켓(40)과; 상기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고정 부착되면서, PC 강재(20)를 지지하는 새들(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브라켓(4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체(43)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사각판상체(43)의 하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결합된 보강측판(44)이 구비되며, 그 측면에 볼트공(45)이 형성된 본체부(42)와; 상기 본체부(42)의 사각판상체(43)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삼각판상체(47)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간에 다수개의 보강살(48)을 가지며, 상기 보강살(48)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49)가 형성된 정착부(46)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사각판상체(43)는 필요에 따라 그 측면 외측에 별도의 정착구(49)를 설치하여 PC강재(20)를 정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의 설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중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 및 하현재(14)의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의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40)을 볼트로 결합 설치하고, 상기 이중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 및 하현재(14)의 적절한 위치에 새들(50)을 정착한 후, 상기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40)에 PC강재(20)를 이중 트러스 거더(10)의 상현재(12)에서 하현재(14)로 다시 하현재(14)에서 상현재(12)로 PC강재(2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이중 조립식 인장 브라켓(40)에 PC강재(20)를 정착시킨 후, 상기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인장력을 받는 하현재(14)와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14)는 공히 단면적이 작게 설정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중 트러스 거더(10)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는 단일 및 이중 트러스 거더에 탈부착이 자유스러운 인장 브라켓을 부착한 후, PC강재의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트러스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경간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현재(12)와 하현재(14) 및 사재(16)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10)와;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걸쳐 배치되는 PC강재(20)로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상기 PC강재(20)를 고정 정착시키기 위해 상현재(12) 및 하현재(14)에 부착 설치되는 인장브라켓(30, 40)과; 상기 상현재(12)와 하현재(14)에 고정 부착되면서, PC강재(20)를 지지하는 새들(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브라켓(3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체(33)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사각판상체(33)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측판(34)이 구비되며, 상면에 볼트공(35)이 형성된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측판(34)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삼각판상체(37)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간에 다수개의 보강살(38)을 가지며, 배면에 정착구(39)가 형성된 정착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브라켓(4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체(43)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사각판상체(43)의 하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결합된 보강측판(44)이 구비되며, 그 측면에 볼트공(45)이 형성된 본체부(42)와;
    상기 본체부(42)의 사각판상체(43)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삼각판상체(47)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간에 다수개의 보강살(48)을 가지며, 상기 보강살(48)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49)가 형성된 정착부(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KR1020050086800A 2005-09-16 2005-09-16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KR100542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00A KR100542616B1 (ko) 2005-09-16 2005-09-16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00A KR100542616B1 (ko) 2005-09-16 2005-09-16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616B1 true KR100542616B1 (ko) 2006-01-11

Family

ID=3717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00A KR100542616B1 (ko) 2005-09-16 2005-09-16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158A (zh) * 2015-05-22 2016-06-01 柏嘉(西安)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优力型钢桁-砼组合连续刚构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158A (zh) * 2015-05-22 2016-06-01 柏嘉(西安)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优力型钢桁-砼组合连续刚构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0889273B1 (ko) 라멘교 시공방법
KR100719959B1 (ko)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KR101204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20100042448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0542616B1 (ko) 조립식 인장 브라켓이 장착된 트러스 거더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20080083374A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JP3847604B2 (ja) 床版の打替工法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34172B1 (ko) 피시 빔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20060053030A (ko) 네트형 슬래브 외부 강선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100881700B1 (ko) 장 경간용 피피씨 거더를 이용한 조립식 라멘교 시공방법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KR20090045826A (ko) 조립식 라멘교 시공방법
KR19990046597A (ko) 프리스트레스트박스형교량
KR200384817Y1 (ko) 만곡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20230034002A (ko)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32941B1 (ko)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KR200360711Y1 (ko)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0698354B1 (ko)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장치가 설치된 구조용 빔의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