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238B1 - 서브쿨 응축기 - Google Patents

서브쿨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238B1
KR100541238B1 KR1020040029531A KR20040029531A KR100541238B1 KR 100541238 B1 KR100541238 B1 KR 100541238B1 KR 1020040029531 A KR1020040029531 A KR 1020040029531A KR 20040029531 A KR20040029531 A KR 20040029531A KR 100541238 B1 KR100541238 B1 KR 10054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receiver
gas
header pip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177A (ko
Inventor
김기헌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2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8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기에서의 냉매 흐름에 고압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냉각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쿨 응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복수개의 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냉매유입구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서브쿨 존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응축기, 서브쿨, 수액기, 기액계면, 오리피스 호울, 냉매패스, 냉매유입구

Description

서브쿨 응축기 {Sub-Cool Condenser}
도 1 : 종래의 서브쿨 응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구비되는 수액기의 하단 부위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 : 제1헤더 파이프 12,22,32 : 제2헤더 파이프
14,23,33 : 수액기 15,24,34 : 냉매유동관
15a,15c,24a,24b,34a,34b : 냉매 유입구
15b,24c,24d,34c,34d : 냉매유출구 14b,23b,34b : 분리 칸막이
14c,23a,33a : 오리피스 호울 14d,23c,33c : 건조제
14e,23d,33d : 메시망 14f : 캡
B1,B2 : 기액계면 Z1 : 상부 수액 존
Z2 : 하부 수액 존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강제 냉각시키되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서브쿨 존을 구비한 열교환기인 서브쿨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유니트 중에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강제로 냉각시킴으로써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응축기에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 튜브의 설계 구조에 따라 패럴렐 플로우 타입(Parallel Flow Type)과 서펜타인 플로우 타입(Serpentine Flow Typ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서브쿨 존(Sub-Cool Zone)에 의해 냉매를 과냉각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서브쿨 응축기가 개발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브쿨 응축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헤더 파이프(header pipe : 110,120) 사이에 다수의 냉매 튜브(130)들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냉매 튜브(130)의 사이에는 방열핀(140)들이 개재되어 있으며, 헤더 파이프(110,120)의 내부에는 냉매 튜브(130)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몇개의 패스 구간으로 변경시 키기 위한 배플(111,111',121)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일측의 헤더 파이프(120)에는 수액기(receiver-drier : 1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수액기(150)는 일정량의 냉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냉매 중의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열교환 부하의 변동에 따라 응축기에서 필요로 하는 냉매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수액기(150)에서는 여분의 냉매를 일정량 저장한 상태에서 기 ·액 분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기 ·액 분리된 냉매 중에 액상의 냉매는 응축기의 최종 패스 구간에 구비된 서브쿨 존(S)을 거치게 됨으로써 과냉이 이루어져 증발기(미도시)로 보내어진다. 한편, 수액기(150)의 냉매 유입구(151)와 냉매 유출구(152)는 수액기(150)의 기액계면(氣液界面)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응축기의 패스 구간을 따라 유동된 냉매는 수액기(150)의 기액계면 아래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151)를 통해 수액기(150)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서브쿨 응축기에서는 냉매의 흐름에 있어서 고압이 발생할 경우, 냉매의 흐름에 저항이 생겨 냉매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밸브와 같은 별도의 기능성 부품을 설치하여 고압의 냉매를 일부 배출하고 있으나, 부품 추가에 따른 비용 부담의 문제와 장치의 컴팩화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액기에서의 냉매 흐름에 고압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냉각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쿨 응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는,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복수개의 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냉매유입구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서브쿨 존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실시예는 냉매의 패스 구조가 3패스로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한다.
즉, 한쌍의 헤더 파이프(11,12) 사이에 다수의 냉매 튜브(13)들이 연결되어 있고, 헤더 파이프(11,12)의 내부에는 각각 배플(11a,12a,12b)이 설치됨으로써, 냉매 튜브(13)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유로가 배플(11a,12a,12b)에 의해 방향이 변경되어 3개의 냉매패스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헤더 파이프(11)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기 위한 입구(11b)가 구비되어 있고, 제2헤더 파이프(12)에는 수액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11b)를 통해 응축기 내로 들어온 냉매는 제1헤더 파이프(11)로부터 제2헤더 파이프(12)쪽으로 향하는 제1냉매패스를 형성하면서 응축되어 수액기(14)로 들어가고, 수액기(14)에서는 기체 상태와 액체 상태로 혼합되어 있는 냉매가 기 ·액 분리되어 순수 액상 냉매는 수액기(14)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출구(14a)를 통해 증발기(미도시)쪽으로 송출되고 기액상 혼합 냉매(액상 냉매중에 기체가 다량 포함된 액냉매)는 다시 제2헤더 파이프(12)를 통해 제2냉매패스와 제3냉매패스를 거치면서 재응축(또는 과냉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의 제1냉매패스 부위가 냉매 응축부가 되고, 제2,3냉매패스 부위는 서브쿨 존이 된다.
이러한 3패스 구조의 서브쿨 응축기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이루는 구성은 다음과 같이 개시된다. 먼저, 제2헤더 파이프(12)와 수액기(14)는 도 3에 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체형(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일체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사이에는 제2헤더 파이프(12)와 수액기(14)를 연통시키는 냉매유동관(15)이 구비되어 있다. 이 냉매유동관(15)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냉매패스를 경유한 냉매가 제2헤더 파이프(12)로부터 수액기(14)로 유입되도록 연통된 제1냉매유입구(15a)와, 이 제1냉매유입구(15a)를 통해 수액기(14) 내부로 들어온 냉매가 기 ·액 분리된 후 기액상 혼합 냉매가 제2냉매패스측을 향해 흐르도록 수액기(14)로부터 제2헤더 파이프(12)로 연통된 냉매유출구(15b)와, 제2냉매패스를 거쳐 제2냉매패스를 경유한 냉매가 제2헤더 파이프(12)로부터 다시 수액기(14)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통된 제2냉매유입구(1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액기(14)의 내부에는 제2냉매패스와 제3냉매패스의 경계 연장선상에서 수액기(14) 내부를 상하 2개의 수액 존(受液 zone)으로 구분하는 냉매 분리용 분리 칸막이(14b)가 설치되는데, 이 분리 칸막이(14b)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수액 존(Z1)에서 하부 수액 존(Z2)으로 수액기(14)의 하단부를 향해 관통된 오리피스 호울(1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출구(15b)는 분리 칸막이(14b)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냉매패스를 경유한 냉매는 제2헤더 파이프(12)에서 1차적으로 기·액 분리되어 기액상 혼합 냉매가 비중차에 의해 냉매유동관(15)의 상측으로 흘러 제1냉매유입구(15a)를 통해 수액기(14)로 들어가게 되는데, 수액기(14)의 상부 수액 존(Z1)에서 2차적으로 기 ·액 분리가 일어나 순수 액상 냉매는 분리 칸막이(14b)의 오리피스 호울(14c)을 통해 하부 수액 존(Z2) 즉 수액기(14)의 하단부로 배출되고, 기액상 혼합 냉매는 냉매유출구(15b)를 통해 제2냉매패스를 거치게 된다. 또, 제2냉매패스와 제3냉매패스(즉, 서브쿨 존)를 경유하여 과냉각된 냉매는 제2냉매유입구(15c)를 통해 하부 수액 존(Z2)으로 모인 뒤, 출구(14a)를 통해 증발기측으로 송출된다. 한편, 분리 칸막이(14b)를 경계로 하여,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에는 각각 기 ·액 분리된 냉매에 의해 기액계면(B1,B2)이 형성되는데, 제2헤더 파이프(12)로부터 수액기(14) 내로 기액상 혼합 냉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냉매유입구(15a)는 제1기액계면(B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냉매유입구(15c)는 제2기액계면(B2)의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 칸막이(14b)에 형성되는 오리피스 호울(14c)은 냉매유입구(15a,15c) 및 냉매유출구(15b)보다 크기가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냉매유 ·출입구(15a,15b,15c)보다 크기가 클 경우에는 서브쿨 존을 경유하는 냉매량보다 증발기로의 냉매 송출량이 더 많아져 냉각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액기(14)의 내부에, 분리 칸막이(14b)의 상측으로는 상부 수액 존(Z1)으로 유입된 냉매 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는 건조제(14d)가 설치되고, 분리 칸막이(14b)의 하측으로는 하부 수액 존(Z2)으로 이동한 냉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시망(14e)이 설치된다. 아울러, 수액기(14)의 하단부에는 나사 조립되는 캡(14f)이 설치됨으로써 수액기(14)로부터의 냉매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 는데, 이 실시예는 냉매의 패스 구조가 4패스로 이루어진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1헤더 파이프(21)와 제2헤더 파이프(22)에 각각 설치된 배플(21a,21b,22a,22b)에 의해 제1∼제4냉매패스가 형성되고, 제1헤더 파이프(21)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 및 유출되기 위한 입구(21c)와 출구(21d)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제2헤더 파이프(22)에는 수액기(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2,3,4냉매패스 부위가 서브쿨 존이 되는데, 최종 패스인 제4냉매패스를 경유한 냉매는 제1헤더 파이프(21)의 출구(21d)를 통해 증발기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수액기(23)와 제2헤더 파이프(2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사이에 제1,2냉매유입구(24a,24b)와 냉매유출구(24c)가 형성된 냉매유동관(24)이 구비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수액기(23)의 하단부에 모인 액상의 냉매가 제4냉매패스를 경유하여 출구(21d)로 배출될 수 있도록 냉매유동관(24)의 하단측에 제2냉매유출구(24d)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 오리피스 호울(23a)을 구비한 냉매 분리용 분리 칸막이(23b)가 제2냉매패스와 제3냉매패스의 경계 연장선상에서 수액기(23) 내부를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으로 구분함으로써 상,하부 수액 존(Z1,Z2)에는 각각 제1,2기액계면(B1,B2)이 형성되는데, 수액기(23)의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으로 연통된 제1냉매유입구(24a)와 제2냉매유입구(24b)는 각각 제1기액계면(B1)과 제2기액계면(B2)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에는 각각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제(23c)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메시망(23d)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실시예는 냉매의 패스 구조가 5패스로 이루어진 예이다. 즉, 제1헤더 파이프(31)와 제2헤더 파이프(32)에 각각 설치된 배플(31a,31b,32a,32b,32c)에 의해 제1∼제5냉매패스가 형성되는데, 제2헤더 파이프(32)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기 위한 입구(32d)가 구비됨과 아울러 수액기(33)가 설치되고, 제1헤더 파이프(31)에는 응축기로부터 증발기쪽으로 냉매를 배출시키는 출구(31c)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냉매패스 부위가 냉매 응축부를 형성하고, 제3,4,5냉매패스 부위가 서브쿨 존이 되는데, 최종 패스인 제5냉매패스를 경유한 냉매는 제1헤더 파이프(31)의 출구(31c)를 통해 증발기측으로 배출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수액기(33)와 제2헤더 파이프(3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사이에 냉매유동관(34)이 구비되는데, 오리피스 호울(33a)을 구비한 냉매 분리용 분리 칸막이(33b)가 제3냉매패스와 제4냉매패스의 경계 연장선상에서 수액기(33) 내부를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으로 구분하게 되고,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에 대하여 각각 냉매유입구(34a,34b)와 냉매유출구(34c,34d)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냉매유입구(34a)와 제2냉매유입구(34b)는 각각 상부 수액 존(Z1)의 제1기액계면(B1)과 하부 수액 존(Z2)의 제2기액계면(B2)의 상부측에 구비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상부 수액 존(Z1)과 하부 수액 존(Z2)에는 각각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제(33c)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메시망(33d)이 설치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브쿨 응축기는,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냉매유동관과 함께 수액기가 일체로 구비된 컴팩트한 구조와 더불어, 수액기의 내부를 상부 수액 존과 하부 수액 존으로 분리하는 분리 칸막이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수액기의 상부 수액 존과 하부 수액 존을 향하는 냉매유입구는 각각 해당 수액 존의 기액계면 보다 상측에 위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매 응축부를 경유하여 일측의 헤더 파이프로 유입된 냉매는 일차적으로 기 ·액 분리가 이루어져 이 중에 기액상 혼합 냉매가 수액기의 상부 수액 존으로 유입되고, 상부 수액 존에서 이차적으로 기 ·액 분리되어 순수 액상 냉매만이 곧바로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증발기로 송출되거나 최종 냉매패스의 서브쿨 존에서 과냉각된 뒤 증발기로 송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수액 존에 남은 기액상 혼합 냉매는 선두의 서브쿨 존으로 보내어져 재응축(또는 과냉각)된 뒤에 수액기의 하부 수액 존으로 도입되어 재차 기 ·액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순수 액상 냉매만이 증발기로 송출되거나 최종 냉매패스의 서브쿨 존에서 과냉각된 뒤 증발기로 송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수액기로 유입된 냉매는 기상과 액상의 분리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순수 액상의 냉매만이 증발기측으로 송출됨으로써 냉각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분리 칸막이의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 내의 냉매중 순수 액상 냉매가 즉시 배출되므로, 응축기와 수액기측에 고압의 냉매압이 작용하더라도 냉매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냉매패스가 3∼5패스로 이루어진 경우만을 참조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냉매패스의 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개시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한 진정한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브쿨 응축기는, 냉매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냉각 성능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공기조화장치의 효율 증대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복수개의 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냉매유입구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서브쿨 존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서브쿨 응축기.
  2.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제1∼3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제2,3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제1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1냉매유입구와 상기 제2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냉매유출구 및 상기 제3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2냉매유입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냉매패스측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제1,2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서브쿨 응축기.
  3.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제1∼4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제2∼4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제1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1냉매유입구와 상기 제2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제1냉매유출구와 상기 제3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2냉매유입구와 상기 제4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제2냉매유출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냉매패스측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제1,2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서브쿨 응축기.
  4. 한쌍의 헤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배플에 의해 냉매 응축부와 서브쿨 존을 포함한 제1∼5냉매패스를 가지되 상기 서브쿨 존은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된 수액기를 경유한 제3∼5냉매패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와 일체화되면서 그 사이에 상기 냉매 응축부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1냉매유입구와 상기 제3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제1냉매유출구와 상기 제4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부터 상기 수액기로 연통되는 제2냉매유입구와 상기 제5냉매패스측에서 상기 수액기로부터 상기 일측 헤더 파이프로 연통되는 제2냉매유출구가 형성된 냉매유동관을 구비하고,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순수 액상 냉매와 기액상 혼합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순수 액상 냉매는 오리피스 호울을 통해 수액기의 하단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상 혼합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3냉매패스측으로 보내는 분리 칸막이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칸막이를 경계로 상기 수액기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매의 제1기액계면과 제2기액계면의 상측으로 상기 제1,2냉매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서브쿨 응축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칸막이의 오리피스 호울은 상기 냉매 유입구 및 냉매 유출구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쿨 응축기.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의 내부에, 상기 분리 칸막이의 상측으로는 건조제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칸막이의 하측으로는 이물질 제거용 메시망이 설치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서브쿨 응축기.
KR1020040029531A 2004-04-28 2004-04-28 서브쿨 응축기 KR10054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531A KR100541238B1 (ko) 2004-04-28 2004-04-28 서브쿨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531A KR100541238B1 (ko) 2004-04-28 2004-04-28 서브쿨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77A KR20050104177A (ko) 2005-11-02
KR100541238B1 true KR100541238B1 (ko) 2006-01-10

Family

ID=3730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531A KR100541238B1 (ko) 2004-04-28 2004-04-28 서브쿨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2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77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267A (en) Multistage gas and liquid phase separation type condenser
EP1365200B1 (en) Multistage gas and liquid phase separation condenser
KR101316858B1 (ko) 차량용 컨덴서
KR20170079223A (ko) 일체형 수냉식 응축기
JP2002130866A (ja) 空調用凝縮器
JP7470909B2 (ja) マイクロチャネル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WO2001001051A1 (fr) Condenseur de fluide frigorigene
JP2001174103A (ja) 冷媒凝縮器
KR102011278B1 (ko) 응축기
KR100541238B1 (ko) 서브쿨 응축기
KR10062244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279353Y1 (ko) 수액기일체형응축기
KR10108196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10002139A (ko) 응축기
KR10085851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85851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875904B1 (ko) 보조 열교환기를 구비한 과냉각용 응축기
JP2003106708A (ja) 冷凍システム、冷凍サイクル用凝縮装置及びレシーバタンク付き熱交換器
KR101336493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858515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WO2021214849A1 (ja) 空気調和機、冷凍機及び分配器
KR20120129677A (ko) 차량용 컨덴서
KR100590652B1 (ko) 서브쿨 응축기
KR20080026914A (ko) 다중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응축기
KR100462721B1 (ko) 에어컨용 콘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