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139A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139A
KR20110002139A KR1020090059574A KR20090059574A KR20110002139A KR 20110002139 A KR20110002139 A KR 20110002139A KR 1020090059574 A KR1020090059574 A KR 1020090059574A KR 20090059574 A KR20090059574 A KR 20090059574A KR 20110002139 A KR20110002139 A KR 2011000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flow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262B1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2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여 2종류의 열교환매체가 충분히 열교환되어 열교환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파이프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조립성을 높이며, 소형화가 가능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응축기, 과냉, 플레이트, 판형 열교환기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여 2종류의 열교환매체가 충분히 열교환되어 열교환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파이프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조립성을 높이며, 소형화가 가능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방 시스템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즉, 응축기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 환매체로서 공기를 이용하는 공랭식, 액체를 이용하는 수랭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수랭식 응축기가 열교환효율이 높은데 반해, 제조가 어려워 비교적 제조가 용이한 공랭식 응축기가 대부분 이용되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수랭식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개략도, 및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랭식 응축기(1)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수랭식 응축기(1)는 연통홀(13,14,15,16)이 형성된 플레이트(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응축영역(10) 및 과냉각(Sud-cooling)이 이루어지는 과냉영역(20)을 형성하며, 상기 응축영역(10) 및 과냉영역(20)과 연결되는 기액분리기(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랭식 응축기(1)는 상기 응축영역(10)의 일측에 냉각수가 유입/배출되는 제1입구파이프(11)와 제1출구파이프(12) 및 냉매가 유입되는 제3입구파이프(13)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영역(10)을 순환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기(30)로 이동되도록 상기 응축영역(10)과 기액분리기(3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31) 및 상기 기액분리기(3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과냉영역(2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기액분리기(30)와 과냉영역(2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과냉영역(20)의 일측에는 냉각수가 유입/배출되는 제2입구파이프(21)와 제2출구파이프(22) 및 상기 제2연결부(32)를 통해 과냉영역(20)으로 유입된 냉매가 배출되는 제3출구파이프(2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응축영역(10)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11), 제1출구파이프(12), 제3입구파이프(13) 및 제1연결부(31)와 적층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 내지 제4연통홀(13,14,15,16)이 형성되며, 상기 과냉영역(20)은 상기 제2입구파이프(21), 제2출구파이프(22), 제2연결부(32), 제3출구파이프(23)와 적층방향으로 연통되는 또 다른 제1연통홀 내지 제4연통홀(13,14,15,16)이 형성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1)는 상기 냉매 및 냉각수가 상기 응축영역(10) 및 과냉영역(20)의 영역에서 플레이트(2)의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두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응축기(1)의 냉각수 흐름을 설명하면, (도 2의 실선, 및 도 3 (a) 참조), 냉각수는 상기 응축영역(10) 및 과냉영역(20)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데, 먼저, 상기 응축영역(10)에서 냉각수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연통홀(13,14,)을 따라 각 플레이트(2)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출구파이프(12)를 통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과냉영역(20)에서 냉각수는 상기 응축영역(10)과 같이, 상기 제2입구파이프(2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연통홀(13,14)을 따라 각 플레이트(2)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출구파이프(2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도 2의 점선, 및 도 3 (a)에 도시한 상기 응축기(1)의 냉매 흐름은, 상기 응축영역(10)의 제3입구파이프(13)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연통홀(15,16)을 따라 각 플레이트(2)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연결부(31)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30)로 유입되고, 상기 기액분리기(3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연결부(32)를 통해 상기 과냉영역(20)으로 유입되며, 상기 연통홀(15,16)을 따라 각 플레이트(2)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제3출구파이프(23)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이를 조립해야하므로 판형 열교환기를 각각 형성한 후, 이를 브레이징 또는 조립해야하므로 추가적인 부품 및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가되고, 제조가 어려워 생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응축기는 각각의 열교환부에 냉각수가 유입, 배출되는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각각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되며 차량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응축영역 및 과냉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 추가되는 공정 없이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응축기에 비교하여 냉각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파이프를 줄일 수 있어 파이프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소형화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복수의 플레이트(110)가 적층되어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가 교대로 각각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제2유동부(102)는 일정영역이 응축영역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정영역이 과냉각(Sub-cooling)이 이루어지는 과냉영역을 형성하는 열교환부(100); 상기 열교환부(100)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1입구파이프(210) 및 배출되는 제1출구파이프(220); 상기 열교환부(100)에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2입구파이프(310) 및 배출되는 제2출구파이프(320); 상기 제2열교환매체의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400); 상기 제2유동부(102)의 응축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400)를 연결하는 제1연결파이프(510) 및 상기 기액분리기(400) 와 상기 제2유동부(102)의 과냉영역을 연결하는 제2연결파이프(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응축영역을 유동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하며, 다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제2유동부(102)의 과냉영역을 유동한 후,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부(101)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117, 117')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 및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2유동부(102)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제1접합부(117, 117')의 돌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118, 118')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이 모두 폐쇄된 플레이트(110)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의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 된 제2플레이트(110b)가 교대로 적층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는 이웃하는 접합부(117,117')(118,118') 끼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열교환부(100) 일측 단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가 타측 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 및 제2연결파이프(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연통홀(111)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통홀(112)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제3연통홀(113) 및 제4연통홀(114)은 각각 상기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연통홀(111) 내지 제6연통홀(116)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1유동부(101) 또는 제2유동부(102)를 좌ㆍ우로 구분하여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 출되는 구획부(121);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의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1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는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유동부(102)의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2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가 상기 제4연통홀(114) 및 제5연통홀(115) 사이에 상기 구획부(121) 연장선상의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110b)가 상기 구획부(121) 연장선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의 적층 시 상기 돌출부(122)와 오목부(123)가 접합되는 영역은 상기 구획부(121)와 함께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의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1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는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 중 일부는 상기 구획부(121)가 상기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을 구획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레이트(110) 중 일부는 상기 제3연통홀(113), 제4연통홀(114), 제5연통홀(115), 또는 제6연통홀(116)이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플레이트(110) 의 적층방향으로 연통되지 못하도록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10)는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도록 둘레면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가 제1연통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가 제2연통홀(112)과 연통되며,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를 통해 제1연통홀(111)로 유입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1-1영역; 및 상기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를 통해 이동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2연통홀(112)로 이동되는 1-2영역을 거쳐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고,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며,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1영역;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2영역;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되는 A-3영역;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4영역;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5영역; 을 거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는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응축영역 및 과냉영역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별도의 열교환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추가되는 공정 없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응축영역 및 과냉영역의 고정을 위한 부품뿐만 아니라 종래의 응축기와 비교하여 냉각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파이프를 줄일 수 있어 제조 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응축기에 비교하여 냉각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파이프를 줄일 수 있어 파이프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소형화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응축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 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1000)의 플레이트(1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1000)의 제1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1000)의 제2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열교환부(100), 각각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배출되는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각각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배출되는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2입구파이프(310), 기액분리기(400),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제1열교환매체와 제2열교환매체가 교대로 유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플레이트(110)가 적층되어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및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2유동부(102)는 상기 제1유동부(101)와 교번되도록 형성되며, 일정영역은 제2열교환매체가 응축되는 응축영역 및 나머지영역은 상기 과냉각(Sub-cooling)이 이루어지는 과냉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응축영역은 상측에 과냉영역은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의 각 공간을 유동하는 제1열 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는 각각 유동되어 열교환될 뿐 서로 혼합되지 않으며, 이를 위한 플레이트(11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기액분리기(400)는 상기 열교환부(100)와는 별도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응축영역을 통과한 제2열교환매체의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응축영역과 기액분리기(400)는 제1연결파이프(51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기액분리기(400)와 과냉영역은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유입되어 제2유동부(102)의 응축영역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하며, 다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100)의 과냉영역을 유동한 후,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종래와 비교하여 과냉영역에 제1열교환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파이프가 필요치 않으며,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필요치 않아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열교환부(100)가 복수의 플레이트(110)에 의해 형성되는 데, 이 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부(101)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117, 117')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 및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2유동부(102)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제1접합부(117, 117')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118, 118')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좌측에 후측에서 전측으로 상기 제1연통홀(111), 제3연통홀(113), 제6연통홀(116), 및 제2연통홀(11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우측에 후측에서 전측으로 제4연통홀(114), 및 제5연통홀(115)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동일한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은 동일한 방향의 제1접합부(117, 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은 상기 제1접합부(117, 117')와 반대 방향의 제2접합부(118, 118')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부(100)를 구성하는 기본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도 5 (a) 참조)와,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하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110b)(도 5 (b) 참조)가 이용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가 교대로 적층되고, 이 때, 이웃하는 접합부(117과 117', 118과 118')는 서로 접합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가 적층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110a)가 하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110b)가 그 상측에 위치된 경우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a) 및 제2플레이트(110b)가 형성하는 공간을 살펴보면, 상기 제1플레 이트(110a)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2접합부(118)와, 상기 제2플레이트(110b)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2접합부(118')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공간을 통해 제2열교환매체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는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므로, 상기 제1유동부(101)의 상ㆍ하측에는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형성된다.
또,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도 5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3유통홀 내지 제6유통홀이 모두 폐쇄된 플레이트(110)를 이용한다.
즉,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응축영역과 과냉영역 모두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가 교번되어 적층됨으로써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를 교대로 형성하며, 상기 제3유통홀 내지 제6유통홀은 상기 제2유동부(102)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3유통홀 내지 제6유통홀 모두 폐쇄된 플레이트(110)를 이용하여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구분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의 유입/배출을 위한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상기 제2열교환매체의 유입/배출을 위한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2출구파이프(320), 기액분리기(400)와 연결을 위한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 구파이프(220)는 상기 열교환부(100)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제2출구파이프(320),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는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가 좌측 하부에 각각 후열(도면에서 제1열로 표시함)과 전열(도면에서 제2열)로 표시함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가 열교환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면 제1열 또는 제2열의 상ㆍ하측에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제2출구파이프(320),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형성되는 데(도면에서 우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는 응축영역이 형성되는 상측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 및 제2연결파이프(520)는 과냉영역이 형성되는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액분리기(400)를 통과한 낮은 온도의 제2열교환매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연통홀(111)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통홀(112)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 프(51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제3연통홀(113) 및 제4연통홀(114)은 각각 상기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홀(111) 내지 제6연통홀(116)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1유동부(101) 또는 제2유동부(102)를 좌ㆍ우로 구분하여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획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상기 구획부(121)는 하측방향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도면에서 각각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구획부(121)에 의해 구획되는 전ㆍ후열에 형성된 유로를 의미한다.
상기 구획부(121)는 플레이트(110)의 조립 시 동일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구획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구획부(121)와 함께 적층이 용이하며 실링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둘레면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열교환매체와 제2열교환매체의 열교환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비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드(125)는 상기 구획부(121)의 형성 방향과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121)의 양 단부인 상기 제3연통부와 제6연통부 사이(도면에서 좌측) 및 상기 제4연통부와 제5연통부 사이는 제1열 및 제2열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매체 또는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1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구획부(121)를 연장하여 제1열과 제2열이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110a)에 형성된 제1접합부(117)와 동일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한 오목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110b)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110b)에 형성된 제1접합부(117')와 동일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의 적층 시, 서로 접합된다.
상기 오목부(123)와 돌출부(122)가 각각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 레이트(110b)를 접합하여 열교환부(100)를 형성할 경우에, 제2유동부(102) 영역은 상기 오목부(123)와 돌출부(122)가 서로 접합되어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구획됨으로써 상기 제1열과 제2열을 구획하고, 제1유동부(101) 영역은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를 형성한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서 좌측인 상기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은 상기 제2유동부(102)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응축기(1000) 내부를 유동하는 제1열교환매체와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가 제1연통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가 제2연통홀(112)과 연통되며,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고,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가 상기 열교환부(100) 좌측 하부 1열에,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가 상기 열교환부(100) 좌측 하부 2열에,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가 상기 열교환부(100) 우측 상부 1열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가 상기 열교환부(100) 우측 하부 1열에,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가 상기 열교환부(100) 우측 상부 2열에,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가 상기 열교환부(100) 우측 하부 2열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응축기(1000) 내부의 제1열교환매체 흐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를 통해 제1연통홀(111)로 유입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1-1영역; 및 상기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를 통해 이동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2연통홀(112)로 이동되는 1-2영역을 거쳐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를 통해 배출된다.
더욱 상세하게, 1-1영역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를 통해 유입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연통홀(11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열의 전체 제1유동부(101) 영역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며, 1-2영역은 상기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는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를 통해 이동된 제1열교환매체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연통홀(11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제1열교환매체의 흐름은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유-턴(U-turn) 형태로 순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배출되는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의 흐름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1영역;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2영역;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되는 A-3영역;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4영역;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5영역; 을 거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A-1영역 및 A-2영역은 응축영역을, A-3 영역은 기액분리기(400) 유동 영역을 A-4영역 및 A-5 영역은 과냉영역을 형성하는 데, 상기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되는 유-턴 타입의 흐름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다른 플레이트(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다른 제2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열교환매체의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일정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일부 플레이트(110)의 구획부(121)가 상기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을 사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 중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폐쇄되어 그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a) 및 (b)는 상기 도 5 (a) 및 (b)에 도시한 제1플레이트(110a) 및 제2플레이트(110b)와 동일하되, 상기 구획부(121)가 상기 제3연통 홀(113)과 제6연통홀(116)을 구획하도록 연장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11 (a) 및 (b)에 도시한 플레이트(110)는 도 12 및 도 13에서 상기 응축영역 중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면에서 상측 부분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 11 (c)에 도시한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4연통홀(114) 및 제5연통홀(115)이 폐쇄된 형태이며, 도 11 (d)에 도시한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3연통홀(113) 및 제6연통홀(116)이 폐쇄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B-1영역; 상기 제3연통홀(113)이 폐쇄된 영역까지 제3연통홀(11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B-2영역; 상기 제4연통홀(114)이 폐쇄된 영역까지 제4연통홀(11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B-3영역;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따라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B-4영역; 상기 제5연통홀(115)이 폐쇄된 영역까지 제5연통홀(115)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B-5영역; 상기 제6연통홀(116)을 따라 최상측까지 이동되면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B-6영역;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 리기(400)로 이동되는 B-7영역;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B-8영역;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B-9영역; 을 거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흐름과 비교하여 다른 흐름은 동일하나 상기 응축영역의 흐름이 달라진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응축영역이 상기 B-1영역 내지 B-6영역을 통과하도록 하여 6-패스의 흐름을 갖는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12 및 도 13은 제1열과 제2열의 동일 위치에서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이 변경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으나(단일 플레이트(110)에서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이 폐쇄되고, 다른 단일 플레이트(110)에서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이 폐쇄되는 형태), 제1열과 제2열의 흐름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 중 하나만 폐쇄된 형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응축부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파이프들이 형성되는 위치,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형성되는 영역 조절, 구획부(121)의 연장 여부(상기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 사이 부분) 등을 조절하여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수랭식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개략도, 및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의 제1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응축기의 제2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다른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다른 제2열교환매체 유동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응축기
100 : 열교환부
101 : 제1유동부 102 : 제2유동부
103 :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 104 :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
110 : 플레이트(110a, 110b)
111 ~ 116 : 제1연통홀 ~ 제6연통홀
117, 117' : 제1접합부 118, 118' : 제2접합부
121 : 구획부 122 : 돌출부
123 : 오목부 124 : 단차부
125 : 비드
210 : 제1입구파이프 220 : 제1출구파이프
310 : 제2입구파이프 320 : 제2출구파이프
400 : 기액분리기
510 : 제1연결파이프 520 : 제2연결파이프
1-1 및 1-2 : 제1열교환매체의 흐름 각 영역
A-1 내지 A 5 :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 각 영역
B-1 내지 B-9 : 제2열교환매체의 다른 흐름 각 영역

Claims (16)

  1. 복수의 플레이트(110)가 적층되어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가 교대로 각각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제2유동부(102)는 일정영역이 응축영역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정영역이 과냉각(Sub-cooling)이 이루어지는 과냉영역을 형성하는 열교환부(100);
    상기 열교환부(100)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1입구파이프(210) 및 배출되는 제1출구파이프(220);
    상기 열교환부(100)에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2입구파이프(310) 및 배출되는 제2출구파이프(320);
    상기 제2열교환매체의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400);
    상기 제2유동부(102)의 응축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400)를 연결하는 제1연결파이프(510) 및 상기 기액분리기(400)와 상기 제2유동부(102)의 과냉영역을 연결하는 제2연결파이프(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 부(102)의 응축영역을 유동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하며, 다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제2유동부(102)의 과냉영역을 유동한 후,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부(101)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117, 117')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 및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2유동부(102)가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제1접합부(117, 117')의 돌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118, 118')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3연통홀(113) 내지 제6연통홀(116)이 모두 폐쇄된 플레이트(110)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의 응축영역과 과냉영역을 구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부(118')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110b)가 교대로 적층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는 이웃하는 접합부(117,117')(118,118') 끼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열교환부(100) 일측 단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가 타측 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 및 제2연결파이프(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111)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통홀(112)은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 및 제1출구파이프(2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상측에서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 및 제1연결파이프(51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은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및 제2출구파이프(320) 중 나머지와 연결되며,
    상기 제3연통홀(113) 및 제4연통홀(114)은 각각 상기 제1연통홀(111) 및 제2연통홀(11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연통홀(111) 내지 제6연통홀(116)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1유동부(101) 또는 제2유동부(102)를 좌ㆍ우로 구분하여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획부(121);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의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1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는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제2유동부(102)의 제4연통홀(114)과 제5연통홀(115)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2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접합부(117)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a)가 상기 제4연통홀(114) 및 제5연통홀(115) 사이에 상기 구획부(121) 연장선상의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117')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110b)가 상기 구획부(121) 연장선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10a)와 제2플레이트(110b)의 적층 시 상기 돌출부(122)와 오목부(123)가 접합되는 영역은 상기 구획부(121)와 함께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의 사이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간 제1열교환매체가 서로 연통되는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 중 일부는 상기 구획부(121)가 상기 제3연통홀(113)과 제6연통홀(116)을 구획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 중 일부는 상기 제3연통홀(113), 제4연통홀(114), 제5연통홀(115), 또는 제6연통홀(116)이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연통되지 못하도록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도록 둘레면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가 제1연통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가 제2연통홀(112)과 연통되며,
    상기 제1입구파이프(210)를 통해 제1연통홀(111)로 유입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1-1영역; 및 상기 제1열교환매체 연통부(103)를 통해 이동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101)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2연통홀(112)로 이동되는 1-2영역을 거쳐 상기 제1출구파이프(2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가 상기 응축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5연통홀(115)과 연통되고,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가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과 연통되며,
    상기 제2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상기 응축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1영역;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2영역;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이동되는 A-3영역;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상기 과냉영역의 제4연통홀(114)로 유입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A-4영역;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 연통부(104)를 통해 이동된 제2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102)의 제1유로를 따라 제5연통홀(115)로 이동되는 A-5영역; 을 거쳐 상기 제2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090059574A 2009-07-01 2009-07-01 응축기 KR10114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74A KR101144262B1 (ko) 2009-07-01 2009-07-01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74A KR101144262B1 (ko) 2009-07-01 2009-07-01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39A true KR20110002139A (ko) 2011-01-07
KR101144262B1 KR101144262B1 (ko) 2012-05-11

Family

ID=4361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574A KR101144262B1 (ko) 2009-07-01 2009-07-01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59B1 (ko) * 2011-12-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컨덴서
DE102012023125B3 (de) * 2012-11-27 2013-11-28 Modine Manufacturing Co. Herstellungsverfahren gelöteter Plattenwärmetauscher, sowie danach hergestellte Plattenwärmetauscher
KR20150071171A (ko) * 2013-12-18 2015-06-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451Y1 (ko) * 1997-07-21 2002-09-19 한라공조주식회사 적층형열교환기플레이트
JP2000039284A (ja) 1998-07-24 2000-02-08 Showa Alum Corp 積層型熱交換器
KR20060085448A (ko) * 2005-01-24 2006-07-27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080107019A (ko) * 2007-06-05 2008-12-10 한라공조주식회사 응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59B1 (ko) * 2011-12-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컨덴서
US9140473B2 (en) 2011-12-08 2015-09-22 Hyundai Motor Company Condenser for vehicle
DE102012023125B3 (de) * 2012-11-27 2013-11-28 Modine Manufacturing Co. Herstellungsverfahren gelöteter Plattenwärmetauscher, sowie danach hergestellte Plattenwärmetauscher
US20150300747A1 (en) * 2012-11-27 2015-10-22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Brazed plate heat exchanger with a functional component
US9964361B2 (en) * 2012-11-27 2018-05-08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Brazed plate heat exchanger with a functional component
KR20150071171A (ko) * 2013-12-18 2015-06-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262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3687B2 (en) Refrigerant evaporator, improved for uniform temperature of air blown out therefrom
KR102477289B1 (ko) 일체형 수냉식 응축기
KR101457585B1 (ko) 증발기
KR101188226B1 (ko) 판형 열교환기
JP6722242B2 (ja) 凝縮器
JP4358981B2 (ja) 空調用凝縮器
KR101261904B1 (ko) 판형 열교환기
JP2016090217A (ja) 積層型熱交換器
KR20190023263A (ko) 응축기
KR101318625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US20220136745A1 (en) Heat exchanger
US20220065542A1 (en) Heat exchanger
KR102653244B1 (ko) 응축기
KR101144262B1 (ko) 응축기
KR101318644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KR101918506B1 (ko) 판형 열교환기
KR20200001019A (ko) 응축기
KR102617945B1 (ko) 수냉식 응축기
KR20190143091A (ko) 응축기
US11885569B2 (en) Heat exchanger
KR10140911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60012404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17338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0842209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가진 열교환기
KR20200011163A (ko) 수냉식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