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646B1 -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646B1
KR100540646B1 KR1019990011273A KR19990011273A KR100540646B1 KR 100540646 B1 KR100540646 B1 KR 100540646B1 KR 1019990011273 A KR1019990011273 A KR 1019990011273A KR 19990011273 A KR19990011273 A KR 19990011273A KR 100540646 B1 KR100540646 B1 KR 10054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fax
facsimil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892A (ko
Inventor
김근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04N1/321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on the same paper sheet, e.g. a facsimile page h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와,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의 특정 영역을 비트맵 이미지 영역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디자인한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출력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은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문서의 소정 부분에 송신측 팩시밀리 또는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상기 소정 부분에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설정부에서 선택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과,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의 특정 영역을 비트맵 이미지 영역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디자인한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측에 관한 구분이 용이하다.
TTI, RTI, 팩시밀리, 이미지, 출력, 데이터, 장치

Description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Apparatus for adding image in output data}
도 1은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팩시밀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팩시밀리 110 : 중앙처리장치
120 : 메모리 130 : 조작패널
140 : 센서부 150 : 스캐너
160 : 프린터 170 : 모뎀
180 : LIU 190 : PC 인터페이스부
200 : 컴퓨터 210 : 입/출력 포트
220 : PC 드라이버 230 : 중앙처리장치
400 : 이미지 부가장치 410 : 제어부
420 : 설정부 430 : 표시부
440 : 저장부
본 발명은 데이터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팩시밀리를 사용하여 팩스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출력되는 팩스 데이터의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과,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에 사용자가 정의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내부에 문서에 대한 독취가 가능한 스캐너와, 데이터를 문자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와, 원거리에 있는 상대방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선과 같은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문서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일체화한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를 컴퓨터와 연동하여 컴퓨터에서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문서를 팩시밀리에 포함되어 있는 프린터 기능을 사용하여 출력하거나, 팩시밀리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팩시밀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의 자국 ID(Identification)와,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와,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자국 ID 등록을 "GREEN COMPANY"라고 아스키 데이터로 입력하면, 송/수신시에 등록된 상기 ID 아스키 데이터를 비트맵으로 변환하고 이를 팩시밀리에서 약속된 데이터 코딩방법으로 코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와,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에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팩시밀리에서 사용중인 자국 ID는 등록된 아스키 데이터를 시스템 폰트에 준하여 일관되게 변환함으로써 문서의 보안성이 약화되고 문서에서 회사나 단체의 특징을 구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와,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의 특정 영역을 비트맵 이미지 영역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디자인한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출력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컴퓨터와 송신측 팩시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에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는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문서의 소정 부분에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 또는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상기 소정 부분에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설정부에서 선택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팩스 데이터의 송신측 팩시밀리와 수신측 팩시밀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팩스 데이터가 출력되는 문서의 상단 또는 하 단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100)는 컴퓨터(300)에 연결되어 사용되며, 팩시밀리(100)에서 전송된 팩스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하여 팩시밀리(200)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팩시밀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팩시밀리(100)에서 중앙처리장치(110)는 설정된 모드의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100)에 구비된 장비들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컴퓨터(200)와 데이터 및 명령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메모리(120)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공중회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조작패널(130)은 다수의 숫자키와 메뉴상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메트릭스가 구성되어, 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0)에 제공하며, 스캐닝한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을 다이얼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센서부(140)는 기록지의 잔량을 감지하거나 원고의 삽입을 감지하는 등 팩시 밀리(100)의 동작에 따른 각 부분의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10)에 제공한다.
스캐너(150)는 팩스 기능이나 복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원고 데이터의 전송 또는 복사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삽입되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이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한다.
프린터(16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팩스 데이터, 스캐너(150)로부터 스캐닝된 원고 데이터 및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기록지에 인쇄한다.
모뎀(170)은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통신망으로부터 LIU(Line Interface Unit)(18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복조하여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한다.
LIU(Line Interface Unit)(180)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통신망과 모뎀(170)과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와 모뎀(170)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90)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팩스 데이터 또는 스캐너(150)에서 스캐닝된 원고 데이터를 컴퓨터(200)로 보내거나 컴퓨터(200)로부터의 정보를 팩시밀리(100)로 전송하여 컴퓨터(200)와 팩시밀리(100)가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위해 1284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컴퓨터(200)에서, 입/출력 포트(210)는 팩시밀리(100)와 컴퓨터(200)를 인터페이싱 한다.
컴퓨터 드라이버(220)는 컴퓨터(200)가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구동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팩시밀리(100) 자체에 구비된 조작패널(130)의 표시창에 팩시밀리(100)의 상태를 표시하던 것을 컴퓨터(200)의 모니터(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230)는 컴퓨터(200)와 컴퓨터(200)에 연결된 주변장치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표시창이 조작패널(130)에 구비되지 않은 팩시밀리(100)의 경우에는 LCD 표시창과 여러 조작키에 의한 팩시밀리(100)의 표시 기능을 팩시밀리(100)에 연결된 컴퓨터(200)의 컴퓨터 드라이버(220)에 추가하여, 컴퓨터 드라이버(220)가 구동되면 팩시밀리(100)의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90)와 컴퓨터(200)의 입/출력 포트(210)를 통한 양방향 통신으로 팩시밀리(100)의 상태가 컴퓨터(200)의 모니터(미도시)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팩시밀리(100)의 표시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200)와 팩시밀리(100)간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1284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컴퓨터(200)로부터 명령을 위한 데이터가 전송되고 팩시밀리(100)에서는 팩시밀리(100) 기능 수행 상태 등이 전송되어 컴퓨터(200)에 알려주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미지 부가장치(400)는 본 발명에 따라,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과,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에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 시킨 이미지를 팩스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팩시밀리(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어부(410)는 생성부(450)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440)에 저장시키고 설정부(420)에서 선택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측 팩시밀리(300)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출력시킨다.
설정부(420)는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측 팩시밀리(300)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표시부(430)는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한다.
저장부(440)는 생성부(450)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생성부(450)는 수신측 팩시밀리(300)로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문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송신측 팩시밀리(100) 또는 수신측 팩시밀리(300)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컴퓨터(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단계:S100).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부가장치(400)의 생성부(45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즉, 팩시밀리(100)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부(450)를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만들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만드는 목적으로는 팩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송/수신측의 판단을 위한 영역인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와,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에 기존의 번호가 아닌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팩스 데이터의 송/수신측을 용이하게 판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부(420)를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컴퓨터(300)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 팩시밀리(300)로 다이얼링 하여(단계:S200), 상기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S300).
상기 호가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팩스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팩시밀리(100)에서 팩시밀리(300)로 전송한다(단계:S400).
상기 전송 후, 상기 팩스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단계:S500) 팩시밀리(300)는 프린터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팩스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한다(단계:S600).
도 5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송신시간, 송신처, 페이지 번호 등과 같은 정보는 비트맵으로 처리하고 식별자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팩스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비트맵으로 처리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TI(Transmiting Terminal Identification)과, RTI(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의 특정 영역을 비트맵 이미지 영역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디자인한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측에 관한 구분이 용이하다.

Claims (3)

  1. 컴퓨터와 송신측 팩시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에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문서의 소정 부분에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 또는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상기 소정 부분에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설정부에서 선택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팩스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팩스 데이터의 송신측 팩시밀리와 수신측 팩시밀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팩스 데이터가 출력되는 문서의 상단 또는 하단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KR1019990011273A 1999-03-31 1999-03-31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KR10054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273A KR100540646B1 (ko) 1999-03-31 1999-03-31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273A KR100540646B1 (ko) 1999-03-31 1999-03-31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892A KR20000061892A (ko) 2000-10-25
KR100540646B1 true KR100540646B1 (ko) 2006-01-10

Family

ID=1957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273A KR100540646B1 (ko) 1999-03-31 1999-03-31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6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892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4618B2 (en) Data processing method i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586185A (en) Communications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encrypted information
US7148988B2 (en) Image data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20080100877A1 (en) Facsimile apparatus
US6031637A (en) Facsimile machine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for computer interfacing
EP1653414A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5557662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utilizing portable device
US5909289A (en) Facsimile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s with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40646B1 (ko) 이미지를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장치
US6552827B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age transmission method
EP1650991A2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short messages in a terminal
KR100309990B1 (ko) 독취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005057395A (ja) 通信装置
JPH0629622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74629B1 (ko) 팩스데이터의수신측을표시하는장치및방법
KR100277730B1 (ko) 수신측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80190B1 (ko) 수신 팩스 문서에 대해 답장을 송신하는 방법
KR100294212B1 (ko) 팩스데이터를전자우편주소로전송하는장치및방법
JPH107533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64330B1 (ko) 팩시밀리의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KR20000009158A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JP200026158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41597A (ko) 팩시밀리의 특정 원고 편집 전송장치 및 방법
JPH06302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2325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