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218B1 - 침사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침사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218B1
KR100540218B1 KR1020040099897A KR20040099897A KR100540218B1 KR 100540218 B1 KR100540218 B1 KR 100540218B1 KR 1020040099897 A KR1020040099897 A KR 1020040099897A KR 20040099897 A KR20040099897 A KR 20040099897A KR 100540218 B1 KR100540218 B1 KR 10054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circular plate
cleaning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학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분사를 균일하게 하면서 동시에 낙하하는 침사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침사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침사를 물분사부로 세정시킨 후에, 오수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세정된 모래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모래배출구에 장착되는 경사스크루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침사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로 물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모래배출구의 둘레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원형판에 의해 구획된 물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배관으로 구성된다.
침사, 세정, 세척, 장치, 물분사

Description

침사 세정장치{Apparatus for washing settling sand of a drainage way}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B-B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8은 종래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투입구 12 : 오수배출구 13 : 모래배출구
20 : 물분사부
21 : 원형판 22 : 물수용공간 23 : 분사노즐
24 : 유입배관 25 : 선회류형성구 26 : 유량조절기
27 : 자동개폐밸브 28 : 수동개폐밸브
30 : 경사스크루컨베이어
31 : 스크루구동부
40 : 균일공급부
41 : 모터구동부 42 : 회전축 43 : 포집원판
44 : 낙하공 45 : 침사유입바
50 : 원호형블레이드
60 : 점검창
61 : 드레인관 62 : 개폐밸브
70 : 제어부
71 : 낙하량감지센서
본 발명은 침사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분사를 균일하게 하면서 동시에 낙하하는 침사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침사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사 세정장치는 침전조에 침전된 모래 즉 침사를 물로 세정하여 재활용 가능한 모래로 만드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침사 세정장치의 일예를 도 8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사 세정장치는 하부로 경사면(101)을 갖 는 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투입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01)의 하단에 모래배출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오수배출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물분사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교반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모래배출구(103)의 하단에 경사스크루컨베이어(40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물분사부(200)는 모래배출구(103)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물분사관(201)을 구성되고, 상기 교반부(300)는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구동부(301)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회전되는 회전축(302)에 브이자형의 교반날(303)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침사 세정장치는 투입구(102)를 통해 침사가 투입되면 물분사관(201)을 통해 물이 본체(100)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낙하하는 침사를 모터구동부(301)의 구동으로 회전축(30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303)로 교반을 하여 상호 마찰되면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침사의 세정을 통해 발생되는 오수는 오수배출구(104)를 통해 월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303)에 의해 세정된 침사는 모래배출구(103)를 통해 경사스크루컨베이어(400)로 유입되고,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400)는 스크루구동부(401)를 통해 이송스크루(402)를 회전시켜 유입된 침사를 외부배출구(40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사 세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물분사관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지 않아 침사의 세정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투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침사는 균일하게 낙하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 세정되지 않은 침사가 모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구동이 적절히 제어되지 않아 세정된 침사와 함께 물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분사를 균일하게 하면서 동시에 낙하하는 침사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로 침사가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노즐을 통해 선회류를 형성하여 침사의 체류시간을 더 지연시키면서 침사의 세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된 침사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로 기기의 상태를 손쉽게 점검하면 서 동시에 본체의 내부로 걸려있는 이물질이 원활히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유량이 원활히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구동이 원활히 제어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조작으로 물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세정장치는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침사를 물분사부로 세정시킨 후에, 오수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세정된 모래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모래배출구에 장착되는 경사스크루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침사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로 물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모래배출구의 둘레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원형판에 의해 구획된 물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침사를 상기 물분사부의 상부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공급시키는 균일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부채꼴형상의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내부로 선회류형성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일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장착되고 다수의 낙하공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침사가 상면에 포집되는 포집원판과, 상기 포집원판의 침사가 상기 낙하공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포집원판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침사유입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판의 상면에서 세정된 침사가 모래배출구로 유도되도록 상기 원형판의 상면으로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원호형상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호형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호형블레이드에 이물질의 걸림과 상기 분사노즐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을 원활히 제거하도록, 상기 원호형블레이드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점검창이 설치되고, 상기 점검창을 통한 이물질의 제거 시에 상기 물수용공간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밸브를 갖는 드레인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판의 상면으로 침사의 낙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낙하량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상기 유입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상기 제어부가 조절하도록 상기 유입배관에 유량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상기 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신호상으로 연결된 자 동개폐밸브가 상기 유입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스크루구동부가 전기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배관을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배관에 수동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 세정장치는 원통형의 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로 물분사부(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에 균일공급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면으로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오수배출구(12)가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 물분사부(20)를 관통하여 모래배출구(13)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된 침사는 물분사부(20)에 의해 세정된 후에 상기 모래배출구(13)를 통해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로 배출되고, 상기 물분사부(20)를 통해 침사의 세정으로 발생된 오수는 상기 오수배 출구(12)를 통해 월류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20)는 본체(10)의 하부로 물수용공간(22)이 형성되도록 모래배출구(13)의 둘레와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원형판(21)과, 상기 원형판(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23)과, 상기 원형판(21)에 의해 구획된 물수용공간(22)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배관(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분사부(20)는 유입배관(2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원형판(21)에 의해 본체(10)의 하부로 구획된 물수용공간(22)에 채워지면서 일정한 압력에 도달한 후에 다수의 분사노즐(23)을 통해 상방을 향해 분사되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침사를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배관(24)에는 유량조절기(26)와 자동개폐밸브(27) 및 수동개폐밸브(28)가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절기(26)는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유입배관(2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자동개폐밸브(27)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유입배관(24)을 통한 물의 공급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동개폐밸브(28)는 제어부(70)를 통한 자동제어가 불필요한 경우에 유입배관(24)을 통한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는 모래배출구(13)의 하단에 상호 연통되면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내부로 구비되는 이송스크루(32)가 스크루구동 부(3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모래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된 침사를 상향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하여 물을 감소시킨 상태로 세정된 침사를 외부배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균일공급부(40)는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41)와, 상기 모터구동부(4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2)과, 상기 회전축(42)의 둘레에 장착되고 다수의 낙하공(44)을 가지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침사가 상면에 포집되는 포집원판(43)과, 상기 포집원판(43)의 침사가 상기 낙하공(44)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포집원판(43)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침사유입바(45)로 구성된다.
상기 균일공급부(40)는 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된 침사가 모터구동부(41)에 의해 회전축(42)과 함께 회전되는 포집원판(43)의 상면에 낙하하여 포집되고, 상기 포집원판(43)에 포집된 침사는 상기 포집원판(43)에 의해 회전되면서 침사유입바(45)에 의해 스크레핑되어 낙하공(44)을 통해 하방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균일공급부(40)는 투입구(11)를 통해 일시에 대량으로 투입된 침사를 낙하공(44)을 통해 물분사부(20)의 상부로 균일하면서 천천히 낙하시켜 상기 물분사부(20)에 의한 침사의 세정이 균일하면서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42)의 하단에는 원형판(21)의 상면으로 한 쌍의 원호형블레이드(5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가 상기 회전축(4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원형판(21)의 상면으로 낙하하는 세정된 침사를 상기 원형판(21)의 중앙에 형성된 모래배출구(13)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의 측방으로 본체(10)의 일측면에 점검창(6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점검창(60)을 통해 분사노즐(23)의 작동 상태와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에 이물질의 걸림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에 이물질이 많이 걸려 있을 때에는 물수용공간(22)에 연통되게 본체(10)에 설치되는 드레인관(61)의 개폐밸브(62)를 통해 상기 드레인관(61)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에 점검창(60)의 유리창을 분리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 후에 유링창이 분리된 상기 점검창(60)을 통해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낙하량감지센서(7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원형판(21)의 상면으로 낙하하는 침사의 낙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판(21)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장착되는 분사노즐(23)은 그 내부로 선회류형성구(2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회류형성구(25)는 분사노즐(23)의 내부로 통과하는 물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분사노즐(23)의 끝단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분사될 때 부채꼴 형상 의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선회류형성구(25)에 의해 분사노즐(23)을 통해 수직으로 분사되는 물이 선회류를 형성함으로써, 원형판(21)의 상면으로 낙하하는 침사가 이 선회류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보다 세밀하고 균일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는 선회류는 침사에서 분리된 다소 무거운 이물질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 이물질이 세정된 침사와 함께 원형판(21)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침사의 보다 효율적인 세정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된 침사는 낙하하면서 포집원판(43)의 상면에 포집된 후에 모터구동부(41)에 의해 회전축(42)이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원판(43)을 회전시켜 그 상면에 포집된 침사가 침사유입바(45)에 의해 스크레핑되면서 상기 포집원판(43)에 형성된 낙하공(44)을 통해 균일하게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공(44)을 통해 균일하게 낙하되는 침사는 원형판(21)의 상부에서 분사노즐(23)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부채꼴 형상의 선회류에 의해 낙하가 지연되어 본체(10)의 내부로 체류하면서 세정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유입배관(24)을 통해 원형판(21)에 의해 본체(10)의 하부로 구획된 물수용공간(22)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물수용공간(22)에서 소정의 압력을 형성하여 강하게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23)에 의해 원형판(21)의 상면에서 세정된 모래는 천천히 낙하하면서 회전축(42)에 의해 회전되는 원호형블레이드(50)에 의해 상기 원형판(21)의 중앙에 형성된 모래배출구(13)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된 물에 의해 침사가 세정되면서 발생되는 오수는 오수배출구(12)를 통해 월류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상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세정장치의 제어부(70)는 낙하량감지센서(71)를 통해 침사의 낙하량을 감지한 후에 모터구동부(41)를 제어하여 본체의 내부로 침사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침사의 낙하량을 통해 스크루구동부(31)를 제어하여 세정된 모래가 배출될 때만 경사스크루컨베이어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구동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물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면서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된 침사의 수분함유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유입배관에 설치된 유량조절기(26)를 제어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유량을 조절하면서 동시에 자동개폐밸브(27)를 제어하여 상기 유입배관을 통한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낙하량감지센서(71)로부터 입력되는 침사의 낙 하량에 따라 모터구동부(41)와 스크루구동부(31) 및 유량조절기(26)와 자동개폐밸브(27)를 전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세정장치의 불필요한 구동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고 안정적이며 정밀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의 분사를 균일하게 하면서 동시에 낙하하는 침사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정되지 않은 침사의 배출이 미연에 방지되고 대량의 침사를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세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침사가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여 침사의 세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상의 세정 효율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을 통해 선회류를 형성하여 침사의 체류시간을 더 지연시키면서 침사의 세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사의 세정 효율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형블레이드를 통해 침사를 포집하여 세정된 침사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정된 침사의 보다 빠른 배출이 이루어지고 세정된 침사의 반복된 세정이 적절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기기의 상태를 손쉽게 점검하면서 동시에 본체의 내부로 걸려있는 이물질이 원활히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분해를 하지 않고 간편하게 기기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해지고 이물질의 제거로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유량이 원활히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조절을 통해 작동상의 편리성이 증진되고 침사의 세정이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구동이 원활히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스크루컨베이어의 불필요한 구동이 미연에 방지되고 연속적인 구동으로 인한 물의 배출이 미연에 방지되며 세정된 침사의 배출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조작으로 물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제어가 불필요한 경우에 장치의 수동조작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침사를 물분사부(20)로 세정시킨 후에, 오수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수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고, 세정된 모래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의 모래배출구(13)에 장착되는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침사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물수용공간(22)이 형성되도록 상기 모래배출구(13)의 둘레와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원형판(21)과, 상기 원형판(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23)과, 상기 원형판(21)에 의해 구획된 물수용공간(22)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배관(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침사를 상기 물분사부(20)의 상부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공급시키는 균일공급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부채꼴형상의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분사노즐(23)의 내부로 선회류형성구(2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 사 세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공급부(4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41)와, 상기 모터구동부(4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2)과, 상기 회전축(42)의 둘레에 장착되고 다수의 낙하공(44)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침사가 상면에 포집되는 포집원판(43)과, 상기 포집원판(43)의 침사가 상기 낙하공(44)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포집원판(43)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침사유입바(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21)의 상면에서 세정된 침사가 상기 모래배출구(13)로 유도되도록 상기 원형판(21)의 상면으로 상기 회전축(42)의 하단에 원호형상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호형블레이드(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에 이물질의 걸림과 상기 분사노즐(23)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을 원활히 제거하도록, 상기 원호형블레이드(50)에 대응되 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점검창(60)이 설치되고, 상기 점검창(60)을 통한 이물질의 제거 시에 상기 물수용공간(22)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개폐밸브(62)를 갖는 드레인관(6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21)의 상면으로 침사의 낙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낙하량감지센서(71)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량감지센서(71)에 의해 감지된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상기 유입배관(2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상기 제어부(70)가 조절하도록 상기 유입배관(24)에 유량조절기(2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량감지센서(71)에 의해 감지되는 침사의 낙하량에 따라 상기 유입배관(24)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신호상으로 연결된 자동개폐밸브(27)가 상기 유입배관(2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의 스크루구동부(31)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경사스크루컨베이어(30)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배관(24)을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배관(24)에 수동개폐밸브(2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세정장치.
KR1020040099897A 2004-12-01 2004-12-01 침사 세정장치 KR10054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97A KR100540218B1 (ko) 2004-12-01 2004-12-01 침사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97A KR100540218B1 (ko) 2004-12-01 2004-12-01 침사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218B1 true KR100540218B1 (ko) 2006-01-10

Family

ID=3717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897A KR100540218B1 (ko) 2004-12-01 2004-12-01 침사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66B1 (ko) * 2010-02-17 2011-01-14 주식회사 태원에이치아이에스 유동흡입 배출장치
KR101458339B1 (ko) * 2014-02-04 2014-11-04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슬러지 침전 처리 호퍼
KR101634932B1 (ko) * 2015-01-14 2016-07-05 에스알이티 주식회사 유체 여과장치
CN106390541A (zh) * 2016-11-09 2017-02-15 大连力达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沉渣洗砂分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66B1 (ko) * 2010-02-17 2011-01-14 주식회사 태원에이치아이에스 유동흡입 배출장치
KR101458339B1 (ko) * 2014-02-04 2014-11-04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슬러지 침전 처리 호퍼
KR101634932B1 (ko) * 2015-01-14 2016-07-05 에스알이티 주식회사 유체 여과장치
CN106390541A (zh) * 2016-11-09 2017-02-15 大连力达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沉渣洗砂分离装置
CN106390541B (zh) * 2016-11-09 2019-02-05 大连力达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沉渣洗砂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5516B2 (ja) 自己洗浄式ストレーナ
KR920007874B1 (ko) 정수장치
US5183568A (en) Self-cleaning strainer
EP0578003B1 (en) A self-cleaning stationary basket strainer
KR101657028B1 (ko) 자동 통합형 백워시 및 화학 세척 시스템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
KR20200071356A (ko) 쌀 세척장치
KR100540218B1 (ko) 침사 세정장치
KR101751212B1 (ko) 디스크형 섬유 필터의 다단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KR100564250B1 (ko)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KR100968113B1 (ko) 연속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슬러지고액분리처리기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US731852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rganic material from inorganic material
KR20080007995A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102333987B1 (ko) 이동형 정화 세척침전 장치
JP4041588B2 (ja) 濾過装置
KR20050003883A (ko)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JPH09150016A (ja) 濾過方法、濾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濾過システム
JP3930754B2 (ja) ディストリビュータ洗浄方法及び装置
WO202002135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heel washing arrangement
JP3785335B2 (ja) 回転式単室型濾過機及びその洗浄方法
KR19980018113A (ko) 오폐수 세정방법 및 장치
JP7406523B2 (ja) 沈砂洗浄装置
CN218130504U (zh) 一种水样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