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687B1 -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687B1
KR100539687B1 KR10-2005-0062216A KR20050062216A KR100539687B1 KR 100539687 B1 KR100539687 B1 KR 100539687B1 KR 20050062216 A KR20050062216 A KR 20050062216A KR 100539687 B1 KR100539687 B1 KR 10053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ooth
harmful gas
battery charging
charg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107A (ko
Inventor
김전수
Original Assignee
우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산업(주) filed Critical 우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5-006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68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128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 충전 공정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소정 시간동안 충전시켜 충전된 축전지를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하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 충전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방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부스와, 상기 부스의 천장에 위치된 흡기구로부터 소정의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소에 위치된 배기구까지 연장된 덕트와, 상기 흡기구로 유해가스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HARMFUL GAS VENTILATION SYSTEM FOR BATTERY CHARGE PROCESS}
본 발명은 축전지 충전 공정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하기 위한 공정은 투입된 수개의 납-축전지를 소정의 전원에 직렬로 연결하여 동시에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납-축전지의 충전시에는 황산 가스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유해가스가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해가스가 공장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가 위치된 상부에서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안전한 장소로 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는 작업자가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축전지간에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며, 충전이 완료된 축전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을 축전지 단자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은 작업자가 접근이 용이하도록 외부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외부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은 축전지로부터 발생된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을 비닐 커튼으로 둘러싸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을 외부와 차단하는 데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을 위해서 설치된 비닐 커튼 치고 걷는 작업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하여 비닐 커튼을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상하로 걷고 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과다한 시설비가 투자되고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작업자는 여전히 축전지 충전 공정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 밀폐된 구조의 부스를 설치함으로써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스에 개폐가 용이한 도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그 도어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거하는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소정 시간 동안 충전시켜 충전된 축전지를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하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 충전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방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부스와, 상기 부스의 천장에 위치된 흡기구로부터 소정의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소에 위치된 배기구까지 연장된 덕트와, 상기 흡기구로 유해가스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부스는 축전지가 투입 및 배출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만 개방되어 부스 내부에서 발생된 유해가스가 부스에 연결된 덕트를 통해서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부스의 양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통해 부스 내에서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상기 부스의 도어에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측방에 설치된 도어에 소정 크기의 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부스의 외부로부터 공기는 전후방에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와 함께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기 때문에 부스 내에는 부분적으로 유해가스가 정체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고 기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유해가스가 덕트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상기 도어에 투명한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자는 투명한 창을 통하여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부스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상기 부스의 천장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 상부에는 상기 천장을 통해 부스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명수단이 부스 외부에 설치되어 부식성이 강한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상기 덕트의 흡입구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응결된 액체가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용기와, 상기 받침용기에 모인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받침용기에 연결된 배출관으로 구성된 응결액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응결액 배출수단은 산성이 강한 응결액을 축전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소정의 이송수단(1)에 의해 투입된 축전지(2)의 단자(2a)에 전원을 연결하여 소정 시간 동안 충전시켜 충전된 축전지(2)를 소정의 이송수단(1)에 의해 배출하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S)에서 축전지(2) 충전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상기 이송수단(1)이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고, 축전지(2)가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투입되고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부스(10), 덕트(20), 배기수단(30), 조명수단(40), 및 응결액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스(10)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S)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부스(10)는 전방에 상기 이송수단(1)에 의해 축전지(2)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이송수단(1)에 의해 충전이 완료된 축전지(2)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투입구(11) 및 배출구(12)에는 부스(10) 내부의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커튼(11a,12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부스(10)는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만이 외부로 개방된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스(10)의 측방에는 작업자가 축전지(2) 단자에 전원 케이블(3a,3b) 및 연결 케이블(4)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14,15,16)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로는 여닫이식 도어(14)나 미닫이식 도어(15,16)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스(10)의 도어 중에는 흡입구(15b)가 형성된 도어(15)가 있다. 상기와 같이 측방에 설치된 도어(15)에 소정 크기의 흡입구(15b)를 형성함으로써 부스의 외부로부터 공기는 전후방에 형성된 투입구(11) 및 배출구(12)와 함께 상기 흡입구(15b)로 흡입되기 때문에 부스(10) 내에는 부분적으로 유해가스가 정체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고 기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유해가스가 덕트(2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유해가스가 상기 투입구(11), 배출구(12) 및 상기 흡입구(15b)를 통해 부스(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부스(10)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5b)의 개수나 크기는 상기 부스(10)의 내부에 충분한 부압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상기 덕트(20)의 흡기구(21)는 상기 부스(10)의 천장(13)에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가 부스(10)의 하부에서 흡입되고, 그 흡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흡기구(21)로 흡입되도록 상기 흡입구(15b)는 가능한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작업자가 도어(14,15,16)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부스(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4,15,16)에는 투명한 창(15a,15b,15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10)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수단(40)이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부스(10)의 내부에 발생된 유해가스는 비교적 산성이 강하다. 따라서 상기 부스(10)의 내부에 조명수단(40)이 설치되면 조명수단(40)이 유해가스에 의해 부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조명수단(40)을 상기 부스(10)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부스(10)의 천장(13)을 투명한 재질 형성함으로써 상기 천장(13) 상부에 설치된 조명수단(40)에 의해 발생된 빛은 상기 천장(13)을 통해 부스(20)의 내부로 빛이 조사된다.
상기 덕트(20)는 상기 부스(10)의 천장에 위치된 흡기구(21)로부터 소정의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소에 위치된 배기구(23)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스(10)의 내부에 발생된 유해가스는 상기 배기수단(30)에 의해 상기 흡기구(21)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23)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덕트(20)의 흡기구(21)로 유해가스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23)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상기 배기수단(30)이 상기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해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응결액 배출수단(50)은 상기 흡기구(21)로 흡입되어 덕트(20)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가 응결되어 형성된 액체가 축전지(2)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축전지(2)에 응결된 액체가 직접 떨어지면 축전지(2) 단자(2a)간에는 전기적 쇼트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폭팔이나 화재로 이어질 위험성이 매우 크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응결액 배출수단(50)은 상기 덕트(20)의 흡입구(21)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응결되어 상기 덕트(20)의 내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는 액체가 상기 흡입구(21)로부터 하부에 위치된 축전지(2)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21)의 하부에서 상기 흡입구(21)의 말단에 고정설치된 받침용기(51)와, 상기 받침용기(51)에 모인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받침용기(51)에 연결된 배출관(53)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용기(51)는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오목한 환형의 홈이 형성되어 그 환형의 홈의 상부에 상기 흡입구(21)의 말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구(21)의 말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 밀폐된 구조의 부스를 설치함으로써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스에 개폐가 용이한 도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그 도어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축전지 충전 공정을 작업기피 공정으로부터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도어의 개폐를 위해 별도의 기계적인 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투자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이 깨끗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횡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1 이송수단
2 축전지
3a,3b 전원 케이블
4 연결 케이블
10 부스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천장
14,15,16 도어
14a,15a,16a 투명창
15b 흡입구
20 덕트
21 흡기구
23 배기구
30 배기수단
40 조명수단
50 응결액 배출수단
51 받침용기
53 배출관

Claims (5)

  1.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소정 시간동안 충전시켜 충전된 축전지를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하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 충전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방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부스와,
    상기 부스의 천장에 위치된 흡기구로부터 소정의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소에 위치된 배기구까지 연장된 덕트와,
    상기 흡기구로 유해가스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도어에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투명한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천장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 상부에는 상기 천장을 통해 부스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흡입구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응결된 액체가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용기와, 상기 받침용기에 모인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받침용기에 연결된 배출관으로 구성된 응결액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KR10-2005-0062216A 2005-07-11 2005-07-11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KR10053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16A KR100539687B1 (ko) 2005-07-11 2005-07-11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16A KR100539687B1 (ko) 2005-07-11 2005-07-11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07A KR20050105107A (ko) 2005-11-03
KR100539687B1 true KR100539687B1 (ko) 2005-12-29

Family

ID=3728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216A KR100539687B1 (ko) 2005-07-11 2005-07-11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6Y1 (ko) 2010-03-09 2011-12-15 우경산업(주)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46Y1 (ko) * 2011-12-22 2013-10-01 세방전지(주) 축전지 충전조의 냉각장치
KR101654103B1 (ko) * 2014-04-17 2016-09-06 세방전지(주) 축전지 충전 수조의 가스포집장치 및 방법
CN112588766B (zh) * 2020-11-26 2021-11-19 武汉格林美洁净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洁净室用的排风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6Y1 (ko) 2010-03-09 2011-12-15 우경산업(주)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07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687B1 (ko)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CN106237357B (zh) 消毒柜
CN210427524U (zh) 一种实验室气体在线监测与智能控制系统
KR20180114259A (ko) 바이오 안전 작업대
KR20180132025A (ko) 실내 배기형 생물 안전 작업대
CN215768919U (zh) 一种电池防爆箱
CN212821678U (zh) 一种自动补风型通风柜
CN211217951U (zh) 一种实验室用通风柜
CN210230959U (zh) 实验室通风柜
KR20110020330A (ko) 환기식 시약장
CN213915401U (zh) 一种化学实验用pp通风柜
CN219683536U (zh) 一种安全型通风柜
CN218835528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实验室用通风柜
CN214600943U (zh) 一种便于安装的全钢通风柜
CN220306748U (zh) 组合式环网箱
CN218133948U (zh) 一种实验室通风用风机风管组合结构
CN211488988U (zh) 一种通风柜
CN215466935U (zh) 一种新型通风柜
CN219357333U (zh) 一种定制实验室抽风柜
CN212041946U (zh) 耐腐蚀通风橱
CN217278416U (zh) 分血工作站
CN210995732U (zh) 一种七轴焊接机器人
CN219098975U (zh) 污泥处理装置
CN216670350U (zh) 一种通信微基站光缆及市电引入复合箱
CN214441716U (zh) 一种新型通风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