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46Y1 -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 Google Patents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46Y1
KR200457346Y1 KR2020100002364U KR20100002364U KR200457346Y1 KR 200457346 Y1 KR200457346 Y1 KR 200457346Y1 KR 2020100002364 U KR2020100002364 U KR 2020100002364U KR 20100002364 U KR20100002364 U KR 20100002364U KR 200457346 Y1 KR200457346 Y1 KR 200457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side guide
side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57U (ko
Inventor
김전수
Original Assignee
우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산업(주) filed Critical 우경산업(주)
Priority to KR2020100002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4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축전지 충전 부스의 도어용 롤러로 사용되어 축전지 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작업자에 의한 도어의 개폐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산에 의한 부식이 적어 특히 내산, 내마모성의 특성이 우수한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는,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용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도어의 도어틀에 구비된 사각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어의 롤러에 있어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사각형 레일의 양측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가이드부와,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서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사이로 이어지는 간격유지부를 갖는 프레임과,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높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측면가이드부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측면가이드부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롤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ROLLER OF DOOR FOR STORAGE BATTERY CHARGING BOOTH}
본 고안은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축전지 충전 부스의 도어용 롤러로 사용되어 축전지 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작업자에 의한 도어의 개폐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산에 의한 부식이 적어 내산, 내마모성의 특성이 우수한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납-축전지를 최초로 충전하기 위한 공정은 투입된 수개의 납-축전지를 소정의 전원에 직렬로 연결하여 동시에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납-축전지의 충전시에는 황산 가스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유해가스가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해가스가 공장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가 위치된 상부에서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안전한 장소로 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는 작업자가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축전지간에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며, 충전이 완료된 축전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을 축전지 단자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은 작업자가 접근이 용이하도록 외부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외부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은 축전지로부터 발생된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등록된 발명특허 제0539687호의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의해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 밀폐된 구조의 부스를 설치함으로써 납-축전지(B)를 최초로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스에 개폐가 용이한 도어(10)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그 도어(10)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거하는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과 같은 기술을 개시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발명특허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것으로서, 상기 선등록된 특허의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은,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된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소정 시간동안 충전시켜 충전된 축전지를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하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에서 축전지 충전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축전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측방에 개폐 가능한 도어(10)가 설치된 부스(1)와, 상기 부스의 천장에 위치된 흡기구로부터 소정의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소에 위치된 배기구까지 연장된 덕트와, 상기 흡기구로 유해가스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선등록 특허의 주요 구성 요소인 "측방에 개폐 가능한 도어(10)가 설치된 부스(1)"의 보다 나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선등록 특허는 사용자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재로는 불만이 없다 하겠으나, 기존에 사용되어 지던 일반적인 창호용 롤러를 상기 도어(10)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황동,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형성된 창호용 롤러가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납-축전지(B)의 충전 과정에서 배출된 부식성이 강한 유해가스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 및 마모되어 수시로 사용되는 도어(10)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축전지의 충전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된 구조의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그 도어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납-축전지의 충전시에 배출되는 황산 가스와 같은 유해가스에 의한 내산, 내마모성의 특성이 우수한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는,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용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도어의 도어틀에 구비된 사각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어의 롤러에 있어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사각형 레일의 양측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가이드부와,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서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사이로 이어지는 간격유지부를 갖는 프레임과,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높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측면가이드부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측면가이드부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롤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는, 상기 프레임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단변의 양측에는 사각형태의 날개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중앙의 수평부로부터 수직부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하고, 상기 날개부를 상기 양측의 수직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수평부는 상기 결합부가 되고 상기 수직부는 측면가이드부가 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는 밀폐된 구조의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그 도어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납-축전지의 충전시에 배출되는 황산 가스와 같은 유해가스에 의한 내산, 내마모성의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전개도.
도 3은 도 1의 A - 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이하 "도어의 롤러"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 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롤러(100)는, 프레임(110), 롤러(120), 롤러샤프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 도어의 롤러(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용 도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도어틀에 구비된 사각형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도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고무, 황동, 알루미늄재 등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창호용 도어는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1)에서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납-축전지의 충전시에 배출되는 황산 가스와 같은 유해가스에 의해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산에 강한 성질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기 프레임(110)을 구성하여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1)용으로 사용되는 도어(10)의 내부식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단면이 대략 '┌┐'자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상기 도어(1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체결수단(11)에 의해 상기 도어(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상기 사각형 레일(20)의 양측에 가이드 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가이드부(112)와,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서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사이로 이어지는 간격유지부(1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도2는 상기 프레임(110)을 형성하도록 판의 형태로 성형된 것을 전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10)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단변의 양측에는 사각형태의 날개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프레임(110)은 중앙의 수평부로부터 수직부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도면에 도시된 절곡선(W)을 따라 '┌┐'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되고, 상기 날개부를 상기 양측의 수직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수평부는 상기 결합부(111)가 되고, 상기 수직부는 측면가이드부(112)가 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간격유지부(113)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부(111)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부분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112)는 사각형 레일(20)의 양측면에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형 레일(20)의 양측면은 상기 측면가이드부(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113)는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양측이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11)에 대응하여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양측 각각이 그 내측으로 둔각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가이드부(112) 서로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프레임(110)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120)는 원형의 둘레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식성에 강한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120)는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사각형 레일(20)의 상부에서 상기 측면가이드부(112)의 높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내측 중앙 부분의 높이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측면가이드부(112)의 내측면이 상기 사각형 레일(20)의 양측면에 가이드 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형 레일(20) 상부면에 상기 롤러(120)가 안착되어 안정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샤프트(130)는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측면가이드부(112)의 상기 한 쌍의 롤러(120)에 대응되는 높이 부분에서 상기 양측의 측면가이드부(112)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2a)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롤러샤프트(130)는 원통형의 핀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수평한 방향으로 하여 상기 관통공(112a)에 삽입되어 진 상태에서 그 양단을 용접하거나, 상기 롤러샤프트(130)의 양단을 리벳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샤프트(130)는 상기 롤러(120)가 바퀴와 같이 회전되도록 힌지축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절곡되어 형성된 상기 프레임(110)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결합부(111)에는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110)이 결합되도록 상하 관통되어 체결수단(11)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111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11)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어의 롤러(100)가 적용되는 특수한 분야의 성격에 맞도록 부식성에 강한 티타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체결수단(11)은 단지 상기 프레임(110)을 고정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므로 상기 도어(10)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한 것이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철재 및 알루미늄재를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일반적인 나사볼트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111a)은 상기 측면가이드부(112) 내측에서 상기 체결수단(11)이 삽입될 때 상기 복수개의 롤러(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롤러(120) 사이사이에서 상기 롤러(120)의 직경보다는 큰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설명하면, 도2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체결공(111a)과 상기 관통공(112a) 각각은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이 적어도 상기 롤러(12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본 고안 도어의 롤러(100)를 상기 도어(10)로부터 착탈하고자 할 때 드라이버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으로 체결수단(11)을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113)에는 상기 간격유지부(113)가 절곡되는 절곡선(W)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관통된 절곡유도공(113a)이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간격유지부(113)를 절곡할 때 큰 힘을 발휘하지 않고서도 수월하게 절곡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도어 20 사각형 레일
100 도어의 롤러 110 프레임
111 결합부 111a 체결공
112 측면가이드부 112a 관통공
113 간격유지부 120 롤러
130 롤러샤프트

Claims (2)

  1. 축전지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축전지 충전 스테이션 부스용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도어의 도어틀에 구비된 사각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어의 롤러에 있어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사각형 레일의 양측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가이드부와,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서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가이드부 사이로 이어지는 간격유지부를 갖는 프레임과,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높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측면가이드부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측면가이드부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롤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단변의 양측에는 사각형태의 날개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중앙의 수평부로부터 수직부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하고, 상기 날개부를 상기 양측의 수직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수평부는 상기 결합부가 되고 상기 수직부는 측면가이드부가 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2. 삭제
KR2020100002364U 2010-03-09 2010-03-09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KR200457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64U KR200457346Y1 (ko) 2010-03-09 2010-03-09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64U KR200457346Y1 (ko) 2010-03-09 2010-03-09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57U KR20110008757U (ko) 2011-09-16
KR200457346Y1 true KR200457346Y1 (ko) 2011-12-15

Family

ID=4509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364U KR200457346Y1 (ko) 2010-03-09 2010-03-09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4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85Y1 (ko) 2005-03-31 2005-06-20 김명식 접이식 도어용 호차
KR100539687B1 (ko) 2005-07-11 2005-12-29 우경산업(주)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85Y1 (ko) 2005-03-31 2005-06-20 김명식 접이식 도어용 호차
KR100539687B1 (ko) 2005-07-11 2005-12-29 우경산업(주)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57U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46Y1 (ko) 축전지 충전 부스용 도어의 롤러
CN204026948U (zh) 空调器室内机
KR100539687B1 (ko) 축전지 충전 공정용 유해가스 배출 시스템
CN209051408U (zh) 一种用于车辆的电池包拆装组件
CN215858237U (zh) 一种移动式二级实验室b2类方舱
CN106223758A (zh) 移门吊轨
CN104291191A (zh) 一种带逃生梯的电梯轿壁结构
CN204063495U (zh) 格栅、过滤网及空调器
CN212189891U (zh) 一种实验室用涂装设备
JP6641137B2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建物
CN211775389U (zh) 一种地板龙骨单元件之间的连接结构
CN205846040U (zh) 增强牢靠性的6.4V和100Ah储能电池模块
CN209966887U (zh) 一种医用设备带
CN106892073B (zh) 用于无人潜航器的便于局部拆装的组件安装结构
CN217755266U (zh) 一种可逆移动式皮带机受料溜槽
CN216289949U (zh) 一种电池测试设备的输出线缆固定挡板
CN216460595U (zh) 一种等离子表面处理仪的气流导流结构
CN219569734U (zh) 一种通用电驱房体结构
CN204126315U (zh) 折叠式便拆装油井保温房
CN209677843U (zh) 一种用于存放高危物品的储存柜
CN214148307U (zh) 空调外壳和空调器
CN209229664U (zh) 一种新型的灯管组装推拉滑轨框
CN209147409U (zh) 空调外壳、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1530443U (zh) 一种含有气体采集结构的配电柜
CN212899114U (zh) 一种离心风机负压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