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411B1 -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 Google Patents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411B1
KR100539411B1 KR10-2004-0021234A KR20040021234A KR100539411B1 KR 100539411 B1 KR100539411 B1 KR 100539411B1 KR 20040021234 A KR20040021234 A KR 20040021234A KR 100539411 B1 KR100539411 B1 KR 10053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alysis
clamp
peritoneal dialysi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999A (ko
Inventor
박석우
Original Assignee
보령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762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394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령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령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4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막투석 환자의 복강에 연결된 전달세트 컨넥터와 결합하여 투석액을 유통시켜 주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있어서,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11)를 통하여 상기 전달세트 컨넥터에 직접 결합되는 컨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의 타단에 나삽되는 일체형 클램프(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 클램프(20)의 일측에는 홀(21)과 밀봉콘(2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투석키트와 연결되는 튜브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으로 부터 일체형 클램프(20)가 후퇴하면 홀(21)을 통하여 투석액이 연통되고, 전진하면 밀봉콘(22)이 투석액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하우징(10)의 홀더(12)에 클램프(20)의 걸림턱(26)이 비가역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Tube connector for peritoneal dialysis system}
본 발명은 복막투석용 튜브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투석키트에 연결된 튜브 컨넥터 내에 투석액의 통로를 차단하는 일체형 클램프가 설치하되 한번 잠기면 다시는 열리지 않는 비가역적 밀폐 구조를 형성하므로서, 종래의 컨넥터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간편한 조작만으로 완전한 밀폐를 보장할 수 있고 또한 투석액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만성 신부전 환자는 세가지 치료 방법, 즉 복막투석이나 혈액투석, 또는 신장이식 중 한가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중 신장이식이 가장 효과적이고 확실한 치료 방법이긴 하지만 우선 신장 기증자가 있어야 하고, 또 복잡한 수술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신장 이식의 혜택을 받을수 있는 환자는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신부전 환자들은 복막투석이나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 있다. 이중 1970년대 말에 개발된 복막투석은 치료 비용이 혈액투석 보다 저렴하고, 특히 가정이나 직장 또는 여행 중에도 환자가 직접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차츰 복막투석을 선택하는 환자들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복막투석(CAPD)은 환자의 복강에다 카테터(catheter)를 심어 두고, 이 카테터를 통해서 주로 포도당과 전해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투석액을 복강내에 주입하므로서, 환자의 복막을 통해서 혈액중의 노폐물이나 수분 등이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치료방법이다. 통상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는 1회에 약 2리터 정도의 투석액을 주입하여 6 ~ 8시간 정도 복강에 잔류시킨 후, 새로운 투석액으로 교체한다. 이때, 투석액이 들어 있는 투석키트와 환자의 복강에 심어 둔 카테터는 투석키트의 튜브에 연결된 컨넥터(이하, '튜브 컨넥터'라 함)와 카테터의 전달세트에 연결된 컨넥터(이하, '전달세트 컨넥터'라 함) 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데, 환자는 적어도 하루에 4번 이상, 이들 두 컨넥터를 연결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해야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이나 환자의 손에 의해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환자들에게 치명적인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복막투석용 컨넥터는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특별한 시스템이 필요한다.
종래에 사용 되어온 투석키트는 Y자형 연결구에 3개의 튜브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Y형 투백 시스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첫째 라인에는 새로운 투석액이 들어 있는 약액백이 연결되어 있고, 둘째 라인에는 복강내의 투석액을 받아낼 수 있는 빈 배액백이 연결되어 있으며, 셋째 라인에는 튜브 컨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환자가 투석키트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셋째 라인의 튜브 컨넥터를 환자의 전달세트 컨넥터에 연결하고, 환자의 복강내에 체류하고 있던 투석액을 둘째 라인을 통해서 배액백으로 배액시킨 다음, 첫째 라인의 약액백에 들어 있는 투석액을 환자의 복강내로 주입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투석액을 교체한 이후에는 셋째 라인에 설치된 일회용 클램프(clamp)를 잠궈서 복강 내부의 환경을 외부와 차단하고, 상기 클램프와 Y자형 연결구 사이를 셋째 라인을 절단하여 투석키트를 환자의 몸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일회용 클램프가 체결된 튜브 컨넥터는 전달세트 컨넥터의 입구를 막아주는 캡(cap)의 기능을 하고 있다가 다음 투석키트 교체시에 분리, 폐기 된다. 전달세트 컨넥터는 약 6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Y형 투백시스템은 투석액을 한번 교체 할때, 복강 내부의 환경이 단 한번만 외부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오염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교체 절차가 다소 복잡하고, 특히 일회용 클램프가 체결된 튜브 컨넥터를 환자가 계속 몸에 부착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공개 제1999-21862호에는 전달세트 컨넥터와 일회용 튜브 컨넥터가 연결되는 유체 통로내에 살균력을 가진 제1링과, 세척력을 가진 제2링을 설치하고, 상기 전달세트 컨넥터의 내부에는 유체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일체형 클램프를 설치하며, 상기 일회용 튜브 컨넥터에는 취약부를 설치하여 이 취약부를 절단하므로서 투석키트를 환자로부터 분리 할수 있도록 구성된 복막투석용 컨넥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컨넥터 시스템은 전달세트 컨넥터와 튜브 컨넥터의 연결부위에 살균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투석키드의 튜브에 일회용 클램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튜브컨넥터의 부피가 비교적 간편하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특히 투석액의 통로를 개폐하는 클램프가 가역적인데다가 전달세트 컨넥터 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장기간 동안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반복해서 사용할 경우, 밀봉 부위가 마모 또는 변형되어 투석액의 완전한 밀폐를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석액의 통로를 차단하는 클램프를 투석키트에 연결된 튜브 컨넥터 내에 설치하되 한번 잠기면 다시는 열리지 않는 비가역적 밀폐구조를 형성 하므로서, 종래의 컨넥터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간편한 조작만으로 완전한 밀폐를 보장할 수 있고, 또한 투석액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복막투석 환자의 복강에 연결된 전달세트 컨넥터와 결합하여 투석액을 유통시켜 주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있어서,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11)를 통하여 상기 전달세트 컨넥터에 직접 결합되는 컨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의 타단에 나삽되는 일체형 클램프(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 클램프(20)의 일측에는 홀(21)과 밀봉콘(2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투석키트와 연결되는 튜브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으로 부터 일체형 클램프(20)가 후퇴하면 홀(21)을 통하여 투석액이 연통되고, 전진하면 밀봉콘(22)이 투석액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하우징(10)의 홀더(12)에 클램프(20)의 걸림턱(26)이 비가역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는 투석액이 들어있는 투석키트를 환자의 복강에 심어진 카테터의 전달세트 컨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달세트 컨넥터에 결합하는 하우징(10)과 투석키트에 연결되는 일체형 클램프(20)로 이루어 진다.
도 1은 하우징(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우징(10)의 양측에는 각각 암나사(11,1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투석액의 통로(50)가 되는 중공관(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암나사(13)의 가장자리에는 안쪽으로 홀더(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일체형 클램프(20)의 측면도이다. 클램프(20)의 일단에는 홀(21)과 밀봉콘(22)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하우징(10)의 암나사(13)에 결합하는 수나사(25)와 홀더(12)에 체결되는 걸림턱(24, 26)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손잡이(27)와 접속부(24)가 부설되어 있다. 이때, 손잡이(27)와 접속부(24)의 접선을 따라 절취홈(28)이 파여 있다. 일체형 클램프(20)은 전체적으로 내부에 투석액의 통로(50)가 형성되어 있지만, 밀봉콘(22)에 의해서 통로(50)가 차단되고, 그 대신에 홀(21)을 따라서 외부로 투석액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밀봉콘(22)은 원추형이거나 원형, 또는 계란형 일수도 있다.
도 3은 하우징(10)과 클램프(20)가 투석액의 통로(50)를 형성하여 투석액이 서로 연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는 밀봉콘(22)이 중공관(14)의 내측 단부로 부터 격리되어 있어서 그 사이로 투석액이 통과하고, 홀(21)을 통하여 클램프(20)의 내부 통로로 연결된다. 홀더(12)는 걸림턱(24)에 걸려 있고, 밀봉링(30)에 의하여 투석액이 외부와 차단된다. 밀봉링(29,30)은 예컨대, 실리콘 재질인 것이 좋다.
도 4는 클램프(2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전진하여 투석액의 통로(50)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밀봉콘(22)이 중공관(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밀봉콘(22)와 밀봉링(29)이 투석액의 유통을 차단하고, 홀더(12)는 걸림턱(26)에 체결된다. 이때, 밀봉콘(22)의 외경과 중공관(14)의 내경이 서로 밀착하여 일차적으로 투석액의 차단하고, 밀봉링(29)이 이차적으로 투석액을 차단한다. 그리고 중공관(14)의 내부홀더(12)와 걸림턱(26)의 접촉면은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홀더(12)가 걸림턱(20)을 타고 넘어 서로 비가역적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한번 잠기면 다시는 열리지 않으며, 밀봉콘(22)과 실리콘링(29)이 중공관(14)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활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컨넥터를 사용하여 환자들이 투석키트를 교체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우선 하우징(10)과 클램프(20)가 서로 열려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 (10)을 전달세트 컨넥터에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전달세트 컨넥터의 수나사는 하우징(10)의 암나사(11)와 결합하고, 중공관(14)이 전달세트 컨넥터의 내부로 침투하여 외부와 2중으로 차단된 투석액 연결통로(50)을 형성한다. 이때, 손잡이(27)를 잡고 클램프(20)을 돌리면 중공관(14)의 단부와 밀봉콘(22)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 간격에 따라 투석액의 주입 및 배액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투석액의 배액 및 주입시간은 약 12 ~ 15분 정도 소요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투석액의 주입 및 배액이 완료되면, 손잡이(27)을 잡고 클램프(20)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홀더(12)가 걸림턱(26)을 타고 넘을 걸릴 때까지 전진시킨다. 그러면, 밀봉콘(22)이 중공관(14)의 내부로 삽입되어 실리콘링(29)이 투석액의 유통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완전한 밀봉을 보장할수 있도록 바람직하기로는 홀더(12)가 걸림턱(26)에 걸릴 때 소리가 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튜브 접속부(23)를 잡고, 절취홈(28) 부위를 절단시켜서 투석키트를 환자와 분리시킨다. 튜브 접속부 (23)가 탈락된 하우징(10)과 클램프(20)는 다음 투석키트 교체 시까지 전달세트 컨넥터의 마개 역활을 하여, 복강 내부의 환경을 외부 공기와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컨넥터는 종래에 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하우징(10)의 원료와 클램프(20)의 원료는 강도가 서로 다른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투석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는 종래의 컨넥터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간편한 조작만으로 투석액의 완전한 밀폐를 보장할 수 있고, 투석액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의 단면도,
제2도는 일체형 클램프의 측면도,
제3도는 하우징과 클램프가 서로 결합하여 투석액이 서로 연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클램프가 하우징의 내부로 전진하여 투석액의 통로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13 ; 암나사
12 ; 홀더 14 ; 중공관
20 ; 일체형 클램프 21 ; 홀
22 ; 밀봉콘 23 ; 튜브 접속부
24, 26 ; 걸림턱 25 ; 수나사부
27 ; 손잡이 28 ; 절취홈
29, 30 ; 밀봉링
50 ; 투석액 통로

Claims (3)

  1. 복막투석 환자의 복강에 연결된 전달세트 컨넥터와 결합하여 투석액을 유통시켜 주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에 있어서,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11)를 통하여 상기 전달세트 컨넥터에 직접 결합되는 컨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의 타단에 나삽되는 일체형 클램프 (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 클램프(20)의 일측에는 홀(21)과 밀봉콘(2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투석키트와 연결되는 튜브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컨넥터 하우징(10)으로 부터 일체형 클램프(20)가 후퇴하면 홀(21)을 통하여 투석액이 연통되고, 전진하면 밀봉콘(22)이 투석액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하우징 (10)의 홀더(12)에 클램프(20)의 걸림턱(26)이 비가역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클램프(20)에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링(29,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클램프(20)에는 손잡이(27)와 접속부(24)의 접선을 따라 절취홈(28)이 파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KR10-2004-0021234A 2004-03-29 2004-03-29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KR10053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234A KR100539411B1 (ko) 2004-03-29 2004-03-29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234A KR100539411B1 (ko) 2004-03-29 2004-03-29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35U Division KR200354188Y1 (ko) 2004-03-29 2004-03-29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99A KR20050095999A (ko) 2005-10-05
KR100539411B1 true KR100539411B1 (ko) 2005-12-27

Family

ID=3727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234A KR100539411B1 (ko) 2004-03-29 2004-03-29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4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99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3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toneal dialysis using a &#34;Y&#34; tubing set
US4983161A (en) Method for using a connector cap and cover therefor
US7163531B2 (en) User-friendly catheter connection adapters for optimized connection to multiple lumen catheters
US571385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flow
US4396382A (en) Multiple chamber system for peritoneal dialysis
US4432766A (en) Conduit connectors having antiseptic application means
US4738668A (en) Conduit connectors having antiseptic application means
US5190534A (en) Prefilled sterilant fluid releasable coupling connector apparatus for catheter applications
AU619405B2 (en) Frangible spike connector for a solution bag
CA1198088A (en) Medical container
US6165149A (en) Reusable blood lines
US4878516A (en) Arrangement for peritoneal dialysis and connector therefore
US20070106228A1 (en) Flexible valve for blood treatment set
KR20110067017A (ko) 연결 및 분리시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폐쇄식 숫 루어 장치
JPH10512491A (ja) 貫流式処理装置
KR100430043B1 (ko) 무균환경에서투석액을위한배출또는공급튜브에복막도뇨관을연결하기위한장치
JP2003531687A (ja) 身体内または身体外に流体を汲み上げ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H02500169A (ja) 医用に好適な連結体
KR200354188Y1 (ko)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US20110172592A1 (en) Membrane port compatible with steam sterilization
EP0084552B1 (en) Conduit connectors having antiseptic application means
KR100539411B1 (ko)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US20230321329A1 (en) Transfer sets with filters, including transfer sets for peritoneal dialysis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040034334A1 (en) Transfer set assembly for multiple lumen catheters
KR101802465B1 (ko)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