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465B1 -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 Google Patents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465B1
KR101802465B1 KR1020160050860A KR20160050860A KR101802465B1 KR 101802465 B1 KR101802465 B1 KR 101802465B1 KR 1020160050860 A KR1020160050860 A KR 1020160050860A KR 20160050860 A KR20160050860 A KR 20160050860A KR 101802465 B1 KR101802465 B1 KR 10180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hole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941A (ko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102016005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46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2039/229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는, 혈액투석기의 급수용 배관에 장착되어 온오프 및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있어서, 급수용 배관의 외면 양측에 마주보게 밀착되어 체결되는 제1,2결합구;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구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까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의 타측에 결합되며, 온오프 작동을 하는 코크밸브;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의 관통구 주변에 밀착되어 기밀력을 갖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배관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인입구로부터 코크밸브까지 길이를 최소할 수 있어 이 부위에 고이는 물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세균이 증식될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Medical Equipment Mounted Valve Connector}
본 발명은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혈액투석의 급수관 등의 물을 공급하는 관에 장착되어 온오프 및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신장은 체내의 대사산물(代謝産物)을 여과하여 소변으로 배설하는 기능과 산·염기 평형 기능, 기타 여러 기능이 있으며, 조혈 호르몬도 생산 분비한다. 따라서 신장의 기능에 장애가 오면 마치 하수도가 막힌 것과 같이 혈액 내에 노폐물이 쌓여 요독증을 일으키며 사망에 이른다.
그러므로 말기신부전 환자는 타인의 신장을 이식 받거나 복막투석을 하거나 또는 신장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외부의 장치인 인공신장기에서 혈액을 투석하여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으로 불충분한 부분, 예컨대 인/칼륨의 과다 축적이나 빈혈 증세 등은 약물로 보조치료를 병행한다. 현재 신장 제공을 받을 기회가 극히 적은 우리나라 실정에서 대부분의 신부전 환자는 혈액투석으로 연명하고 있으며,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도 신장의 기능이 악화되면 신부전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 받아야 한다.
인공신장기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곳은 미세한 중공사(中空絲) 다발이 있는 투석기(透析器)이며, 이곳에서 혈액과 투석액이 막을 사이에 두고 접촉하여 혈액 내의 노폐물을 여과시키며 전해질 등을 보충한다.
인공신장기의 노폐물 투석 능력은 생체신장보다 현저히 우수하기는 하지만 인공신장기(人工腎臟機)를 환자가 지니고 다닐 수 없으므로 일주일에 2∼3회, 1회에 4∼6시간씩 제한적인 시간 내에 혈액투석을 마쳐야 한다. 환자는 혈액투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정맥루관(AV fistula)을 피하에 형성하며, 이러한 루관을 통상 션트(Internal shunt)라 한다.
동정맥루관 형성술(문합술)이란 조직으로 흐르는 동맥혈관을 중간에서 차단한 후 이를 정맥혈관에 연결하는 수술이므로 심장에서 펌핑작용으로 나온 혈액 중 동정맥루관으로 유입된 혈액은 말단 조직으로 가지 않고 바로 정맥으로 환입하는 동맥혈이며, 션트 부위에서 그대로 바이패스 한다.
상기한 수술로 션트 부위가 유합되고 혈관의 크기도 혈액투석을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성숙(mature)하는 3주 이상의 기간동안 쇄골 부위에 내경정맥도관(Internal jugular dual catheter)을 삽입하여 혈액투석을 한다.
동정맥루관은 혈액투석 시술상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하박 또는 상박에 형성한다.
이런 환경이 조성되어야 혈액투석장치에 의한 혈액투석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환자의 수명도 유지된다.
국내 공개특허 2001-0112727호 및 동 10-2015-0115612호에는 혈액투석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혈액투석장치에는 정수된 물이 적정량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급수용 배관에 밸브가 장착되고, 밸브는 급수용 배관을 천공하여 장착되는 연결구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혈액투석장치와 같은 의료장비에 순수한 물을 적정량씩 공급하는 급수용 배관의 어느 위치에든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급수용 배관을 관통하여 결합된 연결배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연결배관의 인입구로부터 코크밸브까지 길이를 최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이는 물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세균이 증식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는, 혈액투석기의 급수용 배관에 장착되어 온오프 및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있어서, 급수용 배관의 외면 양측에 마주보게 밀착되어 체결되는 제1,2결합구;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구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까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의 타측에 결합되며, 온오프 작동을 하는 코크밸브;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의 관통구 주변에 밀착되어 기밀력을 갖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2결합구 각각은 일측에는 급수용 배관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호형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일측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구는 결합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연결배관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배관은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일단부는 급수용 배관을 관통하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타단부는 코크밸브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배관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인입구로부터 코크밸브까지 길이를 최소할 수 있어 이 부위에 고이는 물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세균이 증식될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는, 혈액투석기의 급수용 배관(100)에 장착되어 온오프 및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있어서, 급수용 배관(100)의 외면 양측에 마주보게 밀착되어 체결되는 제1,2결합구(2)(4);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구(2)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100)까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배관(6); 상기 연결배관(6)의 타측에 결합되며, 온오프 작동을 하는 코크밸브(8); 상기 연결배관(6)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100)의 관통구(103) 주변에 밀착되어 기밀력을 갖도록 하는 패킹(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2결합구(2)(4) 각각은 일측에는 급수용 배관(100)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호형의 결합홈(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의 일측, 즉 제1,2결합구(2)(4) 각각의 맞대어지는 평평한 면에 나사 체결공(32)이 형성된다.
나사 체결공(32)은 결합홈(3)의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한개씩 형성된다. 물론 이보다 더 많은 갯수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호형의 결합홈(3)은 급수용 배관(100)의 외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경이 20mm인 급수용 배관이라면, 1개의 호형 결합홈(3)의 내경은 10mm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제1,2결합구(2)(4)가 맞대어지면 20mm의 급수용 배관(10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급수용 배관(100)의 외면 양측에 제1,2결합구(2)(4)가 마주보게 밀착된 후 각각의 나사 체결공(32)에 나사(5)가 체결됨으로써 강한 조임력으로 급수용 배관(100)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구(2)는 결합홈(3)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 연결배관(6)의 일단부, 관체(62)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통공(22)은 바람직하게는 결합홈(3)의 가장 정점부위에 형성된다. 아울러 통공(22)의 일측 내주면에는 연결배관(6)의 관체(62)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배관(6)은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일단부는 급수용 배관(100)을 관통하는 관체(62)로 이루어지고, 타단부는 코크밸브(8)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62)의 직경은 나사산(64)이 형성된 타단부 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관체(62)의 외면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급수용 배관(100)에 천공된 통공(22)에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밸브(8)의 일측에 결합되며, 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피팅부재(7)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피팅부재(7)는 몸체(72)와, 몸체(72)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크밸브(8)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관체(74); 몸체(72)의 타측에 형성되며 호스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환형돌기(74)가 형성되는 끼움관체(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용 배관(100)의 특정 위치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시켜 관통구(103)를 형성한다. 천공된 관통구(103)의 직경은 연결배관(6)의 외경보다 0.5~1mm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관통구(103)를 약간 작게 형성함으로써 연결배관(6)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급수용 배관(100)의 외면 양측에 각기 제1,2결합구(2)(4)를 맞대어지게 밀착시킨 후 각각의 나사 체결공(32)에 나사(5)를 체결시켜 조이되 느슨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1결합구(2)의 결합홈(3)의 내주면과 급수용 배관(100) 사이의 틈을 통해 패킹(9)을 밀어넣어 관통구(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 잡도록 한다.
이후 연결배관(6)의 관체(62)를 제1결합구(2)의 통공(22)으로 끼워넣고, 관체(62)가 패킹(9)을 관통한 후 급수용 배관(100)의 관통구(103)까지 관통되도록 하여 연결배관(6)을 조립한다.
이후 연결배관(6)의 타단부에 코크밸브(8)를 나사 결합시켜 조립한다.
이후 코크밸브(8)의 타측에 피팅부재(7)를 결합시키고, 피팅부재(7)에 호스를 연결한다.
이렇게 밸브 장착이 완료된 후 코크밸브(8)를 개폐시키거나 유량을 조절하여 조작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개??작동시킬 수 있고,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제1결합구 3 : 체결홈
4 : 제2결합구 5 : 나사
6 : 연결배관 8 : 코크밸브
9 : 패킹 22 : 통공
62 : 관체 64 : 나사산
72 : 몸체 74 : 체결관체
76 : 끼움관체

Claims (6)

  1. 혈액투석기의 급수용 배관에 장착되어 온오프 및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에 있어서,
    급수용 배관의 외면 양측에 마주보게 밀착되어 체결되는 제1,2결합구;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구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까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의 타측에 결합되며, 온오프 작동을 하는 코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2결합구 각각은
    일측에는 급수용 배관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호형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일측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구는 결합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연결배관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배관은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일단부는 급수용 배관을 관통하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타단부는 코크밸브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며, 호스가 연결되는 피팅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재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크밸브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관체;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호스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는 끼움관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용 배관의 관통구 주변에 밀착되어 기밀력을 갖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KR1020160050860A 2016-04-26 2016-04-26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KR10180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60A KR101802465B1 (ko) 2016-04-26 2016-04-26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60A KR101802465B1 (ko) 2016-04-26 2016-04-26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41A KR20170121941A (ko) 2017-11-03
KR101802465B1 true KR101802465B1 (ko) 2017-11-28

Family

ID=6038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860A KR101802465B1 (ko) 2016-04-26 2016-04-26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15A (ko)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305A (ja) 1999-02-19 2000-09-05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透析治療用装置
KR100876309B1 (ko) * 2008-09-08 2008-12-31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305A (ja) 1999-02-19 2000-09-05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透析治療用装置
KR100876309B1 (ko) * 2008-09-08 2008-12-31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15A (ko)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41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589B1 (en) Flow-through treatment method
US11246972B2 (en) Universal portable machine for online hemodiafiltration using regenerated dialysate
US20070106228A1 (en) Flexible valve for blood treatment set
AU2013231643B2 (en) Hose adapter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inside a hose section during a medical treatment
WO2009074588A1 (en) Unit for the infusion of a substitute solution by a dialysis machine
US20220387689A1 (en) Dialysis fluid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EP2377570B1 (en) Connector for a fluid transport line of a medical device
KR101802465B1 (ko)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CA3108699A1 (en) Dual reservoir hemodialysis system
JP2010125131A (ja) 圧力測定部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20220241480A1 (en) Source container connector
US20230321329A1 (en) Transfer sets with filters, including transfer sets for peritoneal dialysis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918772B2 (en) Fluid sampling or infusion device for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KR200354188Y1 (ko)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CN111803740A (zh) 一种易于操作的腹膜透析套管器管
CN219646398U (zh) 一种透析管路
US11298447B2 (en) Gasless extra-corporeal carbon dioxide removal
CN219042996U (zh) 一种血液灌流器连接管路
US11260156B2 (en)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sorbent canisters
KR100539411B1 (ko) 복막투석용 튜브 컨넥터
JP6728734B2 (ja) 医療用ポート及び血液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