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379B1 -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379B1
KR100539379B1 KR10-2004-0005256A KR20040005256A KR100539379B1 KR 100539379 B1 KR100539379 B1 KR 100539379B1 KR 20040005256 A KR20040005256 A KR 20040005256A KR 100539379 B1 KR100539379 B1 KR 10053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trailer
coupled
chassi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824A (ko
Inventor
허정원
공상식
Original Assignee
허정원
공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원, 공상식 filed Critical 허정원
Priority to KR10-2004-000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3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60S9/0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the screw axis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나 샤시에 장착되는 랜딩기어에 부착하여 랜딩기어의 승/하강을 자동으로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일러 및 샤시에 결합되는 상부관과,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부관에 결합되며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관을 포함하는 다리부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다리부를 구동시키는 전동축과; 모터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모터축의 초기 회전력을 충격력으로 변환하여 전동축에 전달하고, 전동축에 충격력이 인가된 이후에는 모터축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동축에 전달하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과; 전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동축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트레일러나 샤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 하역작업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 적용이 가능해지므로 제품 단가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품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콘테이너 랜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 Apparatus for landing trailer and chassis }
본 발명은 트레일러 및 샤시를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트레일러 및 샤시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자동화시킨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으로 인하여 운송화물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상품을 다량으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적재 및 보관이 용이한 트레일러 및 샤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트레일러 및 샤시를 트럭에 싣고 내리는 하역(荷役)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 및 샤시를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가 요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10)는, 트레일러 및 샤시의 선단부 근처에 결합되는 상부관(14)과, 상부관(14) 안으로 신축 축이음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부관(13)으로 구성되는 다리부(11)와; 상부관(14)을 트레일러 및 샤시의 프레임(20)에 결합시키기위한 플랜지판(16)과; 하부관(13)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15)와; 핸들(89)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인가하는 출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하부관(1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각종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55)와; 기어박스(55) 내부의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8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핸들(89)을 회전시켜 하부관(13)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를 지면에 안착시킨 후, 트럭을 운전하여 하역작업을 실시한다.
도 1b는 종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c는 종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에 적용되는 기어박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42)의 제 1 단부(44)상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기어(65)가 핀(66)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65)는 와셔(67)에 의해 상부관(14)의 바깥쪽 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 관(50)은 부싱(46,47) 및 베벨 피니언 (40)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켜서 출력축(42)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기어(65)를 격실(56)내의 적절한 측방향 위치에 유지시킨다. 기어(65)의 바깥쪽 중앙부에는 스플라인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55) 내에는 이 스플라인 홈(68)과 정렬된 구멍(6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69) 안으로 제 1 및 제 2 단부(73 및 74)를 가지는 슬리이브(70)가 제공되어 있으며, 슬리이브(70)의 제 2 단부(74)는 기어 박스(55)에 용접 연결되어 있다. 슬리이브(70)의 제 1 및 제 2 단부(73 및 74)내에는 각각 한 쌍의 부싱(71 및 72)이 끼워져 있으며, 이들 부싱(71 및 72)은 출력축(42)과 정렬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76 및 77)를 가지는 입력축(75)이 슬리이브(70)의 부싱(71 및 72)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출력축과(42)과 정렬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제 2 단부(77)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핀(81)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 혹은 스플라인(80)이 제공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중앙부에는 횡방향으로 뻗은 원통형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에 멈춤 보올(84)이 배열되어 있는 정지 스프링(83)이 구멍(82) 안으로 끼워져서, 슬리이브(70)의 제 1 단부(73)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환형 홈(85 및 86)과 결합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제 1 단부(76)에는 횡방향으로 뻗은 원통형 구멍(8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87) 안으로 볼트등의 수단을 수용하여서 크랭크 핸들(89)을 입력축(75)에 고정시킨다. 격실(56)내에는 기어(65)및 스플라인(80)의 아래쪽으로 고정축(95)이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축(95)은 기어 박스(55) 및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멍(96 및 97)안으로 끼워져 있다. 이 고정축(95)은 용접에 의해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상태로 기어박스(55)안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축(95)상에는 부상(99)이 배열되어 있으며, 기어(65)및 스플라인(80)과 각각 맞물리는 기어 나선부(101과 102)를 포함하고 있는 중간 기어(100)가 부싱(99)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조이므로, 트레일러 및 샤시를 특장차에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려 핸들을 직접 회전하여 하부관을 상하로 작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수동 조작은 대형 트레일러 및 샤시가 이동하는 작업공간에서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이 되며, 운전자에게 피로를 누적시켜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부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일러 및 샤시를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의 하역작업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전력공급이 중단되어 트레일러 및 샤시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을 자동으로 할 없는 경우 핸들 조작을 통하여 수동으로 트레일러 및 샤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모터의 초기회전력을 충격력으로 변환하여 구동축에 전달함으로써, 구동을 위한 모터의 용량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트레일러 또는 샤시에 결합되는 상부관과,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부관에 결합되며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관을 포함하는 다리부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다리부를 구동시키는 전동축과; 모터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모터축의 초기 회전력을 충격력으로 변환하여 전동축에 전달하고, 전동축에 충격력이 인가된 이후에는 모터축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동축에 전달하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기구동력 증대수단은, 모터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모터축의 회전축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제 1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 1 회전판과; 일측은 제 1 회전판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짐과 동시에 개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제 1 회전판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제 1 회전판의 회전력을 전동축에 인가할 수 있는 구조로 전동축에 결합되며, 제 1 회전돌기의 운동선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 2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제 1 회전판으로 전달되는 구동모터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시키는 클러치와, 구동모터 및 클러치의 동작을 온(On)/오프(Off)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이때, 조작부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구동모터 및 클러치의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도 있고, 하부관의 이동위치가 한계점에 이르게 되면 구동모터 및 클러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랜딩장치의 운전 중에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트레일러 및 샤시의 랜딩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조작부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조작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조작부의 외측을 덮었을 때 스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치와 간섭되는 간섭돌기가 형성되는 덮개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구동모터의 기동을 위한 전력공급이 불가하거나 기타 부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트레일러 및 샤시의 랜딩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레일러 및 샤시를 랜딩시킬 수 있는 핸들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핸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전동축과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핸들을 돌리더라도 전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전동축의 일측에는 수동용 기어가 결합되고, 핸들은 수동용 기어와 1 미만의 기어비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핸들기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트레일러 및 샤시에 결합되는 상부관(110)과,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부관(110)에 결합되며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관(120)과, 외부로부터 회전운동을 입력받아 하부관(120)을 이동시키는 구동축(130)을 포함하는 다리부(100)와; 구동축(130)과 결합되어 구동축(130)을 회전시키는 전동축(200)과; 모터축(31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00)와; 모터축(310)의 초기 회전력을 충격력으로 변환하여 전동축(200)에 전달하고, 전동축(200)에 충격력이 인가된 이후에는 모터축(31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동축(200)에 전달하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모터축(310)의 회전속도가 콘테이너 랜딩장치를 구동하기에 너무 빠른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00)는 모터축(31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장치(320)를 추가로 구비하고,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은 감속장치(320)에 결합된다.
감속장치(320)는, 모터축(310)에 결합되는 제 1 감속기어(322)와, 모터축(310)보다 회전속도가 감소되는 기어비로 제 1 감속기어(322)와 결합되는 제 2 감속기어(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장치(320)에 2개의 감속기어를 적용하여 모터축(3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있지만 감속장치(320)에 적용되는 감속기어의 개수 및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고, 모터축(3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도 둘 이상의 기어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모터축(3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장치(320)의 구조는 다양한 분야에 여러 가지 구조로 상용화되어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은, 감속장치(320)의 제 2 감속기어(324)에 결합되는 제 1 회전판(410)과, 일측은 제 1 회전판(41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짐과 동시에 개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제 1 회전판(41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회전봉(426)이 형성되어 제 1 회전판(410)의 회전력을 전동축(200)에 인가할 수 있는 구조로 전동축(200)에 결합되는 제 2 회전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회전판(410)은 구동모터(300)의 모터축(310)이 회전하는 즉시 회전운동을 하게되고, 제 2 회전판(420)은 제 1 회전판(410)이 일정 각도 공회전된 이후에 제 1 회전판(410)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 받아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의 구성 및 동작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동축(200)과 제 2 회전판(420)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결합되는 경우 장치의 수평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므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축(200)에 결합되는 제 1 베벨기어(210)와, 제 2 회전판(4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 1 베벨기어(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제 2 베벨기어(220)에 의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제 1 회전판(410)으로 전달되는 구동모터(300)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시키는 클러치(500)와, 클러치(500)의 동작을 온(On)/오프(Off) 시키는 스위치(610)를 포함하는 조작부(600)를 구비한다. 이때, 조작부(600)는 하부관((120)의 이동위치가 한계점에 이르게되었을 때 구동모터(300)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감지하여 제 1 회전판(410)으로 전달되는 구동모터(300)의 회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거나 구동모터(300)의 동작 자체를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위치(610) 조작에 의하여 구동모터(300) 및 클러치(500)의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610)를 조작하여 클러치(500)와 제 1 회전판(410)을 결합시킨 후 구동모터(300)를 구동함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의 랜딩동작을 실행하고, 랜딩장치의 운전 중에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트레일러 및 샤시의 랜딩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러치(50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위치(610)의 조작에 따라 동작이 용이하게 온/오프 될 수 있는 마그네틱 클러치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마그네틱 클러치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클러치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클러치(500)의 구성 및 동작구조는 종래의 마그네틱 클러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스위치(6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조작부(600)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조작부(6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조작부(600)의 외측을 덮었을 때 스위치(6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610)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치(610)와 간섭되는 간섭돌기(710)가 형성되는 덮개(700)를 추가로 구비한다. 덮개(700)의 각 부 형상 및 동작구조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구동모터(300)의 기동을 위한 전력공급이 불가하거나 기타 부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트레일러 및 샤시의 랜딩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레일러 및 샤시를 랜딩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핸들(800)을 추가로 구비한다.
핸들(800)을 이용하여 트레일러 및 샤시를 수동으로 랜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클러치(500)와 제 1 회전판(410)이 결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핸들(800)을 조작하므로, 사용자가 인가한 회전력은 클러치(500) 및 구동모터(300)에 인가되지 아니하고 구동축(130)을 회전시키는 데에만 인가된다.
또한, 핸들(800)은 전동축(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전동축(200)과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핸들(800)을 돌리더라도 전동축(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전동축(200)의 일측에는 수동용 기어(230)가 결합되고, 핸들(800)은 수동용 기어(230)와 1 미만의 기어비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핸들기어(810)를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클러치(500)와 제 1 회전판(410)이 분리되고 수동용 기어(230)와 핸들기어(8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800)의 회전을 통하여 수동으로 구동되고, 클러치(500)와 제 1 회전판(410)이 결합되고 수동용 기어(230)와 핸들기어(810)가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00)의 모터축(310) 회전을 통하여 자동으로 구동된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축(200)과 제 1 베벨기어(210)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 2 베벨기어(220)와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과 클러치(500)와 감속장치(320)와 구동모터(300)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전동축(200)과 제 1 베벨기어(210)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 부품들이 중력방향으로 결합되면, 각 부품의 결합부에 자체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도 3a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은, 모터축(3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감속장치(320)에 결합되며, 모터축(310)의 회전축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의 상단면에는 한 쌍의 제 1 회전돌기(412)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단면 중앙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회전판 결합봉(414)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410)과; 회전판 결합봉(414)과 대응되는 부위에 회전판 결합봉(414)과 결합 가능한 형상의 회전판 결합구(424)가 형성되고, 제 1 회전돌기(412)의 운동선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돌기(422)가 마주보도록 하단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단면 중심부에는 제 2 베벨기어(220)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회전봉(426)이 형성되는 제 2 회전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회전판(410)과 제 2 회전판(420)은 회전판 결합봉(414)이 회전판 결합구(424)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회전판 결합봉(414)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제 1 회전판(410)과 제 2 회전판(420) 각각의 개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의 정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제 1 회전돌기(412)가 제 2 회전돌기(422)에 접촉되도록 제 1 회전판(410)이 회전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판(410)과 제 2 회전판(4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회전판(410)이 회전하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돌기(422)에 제 1 회전돌기(412)가 충돌되기 이전까지 제 1 회전판(410)은 공회전을 하게되고, 제 1 회전돌기(412)가 제 2 회전돌기(422)에 충돌되면 공회전하는 동안 제 1 회전판(410)의 회전력은 충격력으로 변환되어 제 2 회전판(420)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제 2 회전판(420)에 인가된다.
이때, 제 2 회전판(420)에 인가되는 충격력은 구동모터(300)의 회전력보다 큰 힘으로 발생되므로, 제 2 회전판(420)은 보다 용이하게 회전운동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3d는 제 1 회전판(410)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회전판(420)이 회전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회전판(410)의 회전이 계속되면, 제 1 회전돌기(412)와 제 2 회전돌기(422)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판(420) 역시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관(120)은 제 2 회전판(420)이 회전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의 이송이 개시된다.
구동모터(300)가 구동됨과 동시에 하부관(120)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하부관(120)을 이송시키는데 요구되는 부하와 각 부품간의 정지마찰저항 및 구동모터(300)의 기동저항을 상쇄하는데 요구되는 부하가 동시에 구동모터(300)로 인가므로, 하부관(120)을 이송시키는데 요구되는 용량보다 큰 정격용량의 구동모터(300)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을 사용하면, 제 1 회전판(410)이 공회전 하는 동안 구동모터(300)의 기동저항이 소멸되고, 제 1 회전돌기(412)가 제 2 회전돌기(422)에 충돌되는 순간 발생되는 충격력은 각 부품간의 정지마찰저항을 상쇄하는데 요구되는 부하로 이용되므로, 구동모터(300)에 걸리는 부하는 현저히 감소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는,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300) 적용이 가능해지므로 제품 단가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품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핸들(800)이 상향으로 젖혀진 형상을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동용 기어(230)에 핸들기어(810)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다.
핸들(80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하부관(120)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800)을 상향으로 젖힌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용 기어(230)에 핸들기어(810)가 맞물리도록 핸들(800)을 밀어 넣어 결합시킨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용 기어(230)와 핸들기어(8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핸들(800)을 회전시켜 전동축(200)을 회전시킴으로써 하부관(120)을 이송시킬 수 있게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덮개(700)에 의하여 스위치(610)가 조작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700)가 조작부(600)를 덮도록 위치된 상태가 되면, 스위치(610)는 간섭돌기(710)에 간섭되어 클러치(500)를 오프시키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덮개(700)가 조작부(600)를 덮도록 위치된 상태에서는 구동모터(300)가 구동되더라도 회전력이 전동축(200)까지 전달되지 못하므로, 하부관(120)의 이송동작이 발생하지 아니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덮개(700)를 상향으로 젖히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500)가 온 되는 방향으로 스위치(610)를 위치시킨 후 구동모터(300)를 구동시킴으로써 하부관(120)을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구동모터(300)가 구동 중인 경우라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700)를 덮게되면, 간섭돌기(710)의 간섭으로 인하여 스위치(610)는 클러치(500)가 오프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하부관(120)의 이송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하부관(120)의 이송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는 덮개(700)를 덮는 동작만으로 하부관(120)의 이송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를 사용하면, 트레일러 및 샤시를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의 하역작업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 적용이 가능해지므로 제품 단가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품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를 사용하면, 전력공급이 중단되거나 구동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트레일러 및 샤시를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일러 및 샤시를 수동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종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에 적용되는 기어박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제 1 회전돌기가 제 2 회전돌기에 접촉되도록 제 1 회전판이 회전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d는 제 1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회전판이 회전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핸들이 상향으로 젖혀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동용 기어에 핸들기어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덮개에 의하여 스위치가 조작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리부 110 : 상부관
120 : 하부관 130 : 구동축
200 : 전동축 210 : 제 1 베벨기어
220 : 제 2 베벨기어 230 : 수동용 기어
300 : 구동모터 310 : 모터축
320 : 감속장치 322 : 제 1 감속기어
324 : 제 2 감속기어 400 : 초기구동력 증대수단
410 : 제 1 회전판 412 : 제 1 회전돌기
414 : 회전판 결합봉 420 : 제 2 회전판
422 : 제 2 회전돌기 424 : 회전판 결합구
426 : 회전봉 500 : 클러치
600 : 조작부 610 : 스위치
700 : 덮개 710 : 간섭돌기
800 : 핸들 810 : 핸들기어

Claims (10)

  1. 트레일러 및 샤시에 결합되는 상부관(110)과,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부관(110)에 결합되며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관(120)을 포함하는 다리부(100)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다리부(100)를 구동시키는 전동축(200)과;
    모터축(31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모터축(310)의 초기 회전력을 충격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축(200)에 전달하고, 상기 전동축(200)에 충격력이 인가된 이후에는 상기 모터축(310)의 회전력을 그대로 상기 전동축(200)에 전달하는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구동력 증대수단(400)은,
    상기 모터축(3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구동모터(300)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축(310)의 회전축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제 1 회전돌기(412)를 구비하는 제 1 회전판(410)과;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판(41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개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제 1 회전판(41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판(410)의 회전력을 전동축(200)에 인가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전동축(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돌기(412)의 운동선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회전돌기(422)를 구비하는 제 2 회전판(4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돌기(412)는,
    상기 제 1 회전판(4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제 1 회전판(410)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회전돌기(422)는,
    상기 제 2 회전판(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제 2 회전판(4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판(410)은,
    상기 제 2 회전판(420)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 2 회전판(420)을 향하여 돌출되는 회전판 결합봉(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판(420)은,
    상기 회전판 결합봉(4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판 결합봉(414)과 결합 가능한 형상의 회전판 결합구(4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돌기(412)는,
    상기 제 1 회전판(4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제 1 회전판(410)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회전돌기(422)는,
    상기 제 2 회전판(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제 2 회전판(4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판(410)으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300)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시키는 클러치(500)와;
    상기 클러치(500)의 동작을 온(On)/오프(Off) 시키는 스위치(610)를 포함하는 조작부(60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6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조작부(600)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조작부(6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600)의 외측을 덮었을 때 상기 스위치(6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치(610)를 오프시키도록 상기 스위치(610)와 간섭되는 간섭돌기(710)가 형성되는 덮개(7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동축(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동축(200)에 결합되거나 상기 전동축(200)과의 결합이 해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핸들(8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200)은,
    상기 전동축(20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동용 기어(230)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800)은,
    상기 수동용 기어(230)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핸들기어(8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기어(810)는,
    상기 수동용 기어(230)와 1 미만의 기어비로 결합되도록 잇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KR10-2004-0005256A 2004-01-28 2004-01-28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KR10053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256A KR100539379B1 (ko) 2004-01-28 2004-01-28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256A KR100539379B1 (ko) 2004-01-28 2004-01-28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824A KR20050077824A (ko) 2005-08-04
KR100539379B1 true KR100539379B1 (ko) 2005-12-27

Family

ID=372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256A KR100539379B1 (ko) 2004-01-28 2004-01-28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37B1 (ko) * 2012-01-10 2013-09-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일러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37B1 (ko) * 2012-01-10 2013-09-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일러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824A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7038B2 (ja) セミトレーラ用着地装置
US6846016B2 (en) Trailer landing gear
EP3107770B1 (en) Powered landing gear
KR0182770B1 (ko)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US6623035B1 (en) Landing gear
CA2892949C (en) Dual-speed auto-shift landing gear
US5118082A (en) Electrically operated screw-type jack
US5435523A (en) Trailer tongue jack
US11787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ing and raising a trailer
EP1350701B1 (en)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KR100539379B1 (ko) 트레일러 및 샤시 랜딩장치
JPS60102400A (ja) 自動車用ジヤツキ操作装置
US20050285380A1 (en) Ratcheting trailer support leg assembly
JP4115619B2 (ja) トレーラ用補助脚の駆動装置
US20230242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ing and raising a trailer
US4971165A (en) Car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 tractor
FI92366B (fi) Traktorin vetovarren kallistuksen säätömekanismi
JP2005280389A (ja) ランディングギア装置及びアウトリガー装置
JPS6224404Y2 (ko)
KR200166465Y1 (ko) 윈치겸용잭
JP3885379B2 (ja) 動力車両
JPS5830225B2 (ja) ジドウシヤノ シヤジクオ リヨウシタ センマキトリキ
SU541783A1 (ru) Винтовой домкрат
JPH0534991Y2 (ko)
JPH07137548A (ja) 高所作業車の車輪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