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556B1 - 고속단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고속단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556B1
KR100538556B1 KR10-2003-0049312A KR20030049312A KR100538556B1 KR 100538556 B1 KR100538556 B1 KR 100538556B1 KR 20030049312 A KR20030049312 A KR 20030049312A KR 100538556 B1 KR100538556 B1 KR 10053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plate
mounting portion
high spe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139A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주)우남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남마린 filed Critical (주)우남마린
Priority to KR10-2003-004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등받이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좌석판설치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측면프레임사이에 측면보호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좌석판을 각각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등받이와 좌석판이 각각 전후방 및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한 탑승자세를 취하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나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가 더욱 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속단정용 의자{Jockey-seat for rigid inflatable boat}
본 발명은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등받이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좌석판설치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측면프레임사이에 측면보호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좌석판을 각각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등받이와 좌석판이 각각 전후방 및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한 탑승자세를 취하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나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가 더욱 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고속단정(RIB : Rigid Infla -table Boat)(20)은 FRP재질로 된 선체의 상면에 조종콘솔과 복수개의 의자(21)가 갑판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측면에는 부가부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튜브가 장착되며, 선체후미부에는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추진기가 설치되어 고도의 기동성과 안정성을 발휘하게 되므로써, 수상 레저용이나 각종 해난사고의 발생시 긴급 인명구조 및 긴급 인원 및 물자수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고속단정(20)은 저속으로 운항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일단 고속으로 운항하게 되면 고속단정(20)의 선체가 수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일정거리를 비상한 후 다시 수면으로 낙하하게 되는 상태가 반복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속단정(20)의 의자(21)에 앉아있는 탑승자는 마치 고속단정의 선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지면으로 자유낙하시킬 때 받게 되는 충격과 거의 동일한 충격을 받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고속단정용 의자(21)의 본체(22)상부에 앉아 있는 탑승자는 엉덩이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등받이(23)에 등을 기대고 앉아 있는 탑승자는 척추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고속단정의 고속운항시 선체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충격력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고속단정용 의자(21)의 본체(22)상부에 앉아있던 탑승자는 앞 의자(21)의 등받이(23)의 후면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일어서서 무릎관절을 이용하여 충격을 완화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탑승자가 일어서 있게 되면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윗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속단정의 급선회시 강한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탑승자가 선체로부터 이탈하게 될 위험성이 더욱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다중 위치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시트 받침대는 미국 특허 5,619,949호(1997,4,15)로 알려져 있는데 이 선박용 시트 받침대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갑판(30)상에 설치되며 갑판고정판(31)은 전,후방다리(32)(33)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다리(32)(33)은 사이드레일(34)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전후방 다리(32)(33)는 전,후방받침대(35)(36)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고 측면지지크램프(42'), 시트백(40), 측면지지부(41), 외부튜브(42), 잠금걸쇠(43), 록킹링(44)이 시트백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서로 함께 고정 설치되며, 상기 시트백 어셈블리는 내부튜브(45)를 따라 신축 가능하게 작동하는 외부튜브(42)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백 어셈블리는 신축 작동과정에서 피봇볼트(46)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시트백 어셈블리는 록킹링(44)이 록킹노치(37)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 하부 위치가 고정되고, 시트백 어셈블리는 잠금걸쇠(43)가 잠금후크(47)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 상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잠금후크(47)는 사이드레일(34)에 고정된다. 그리고 시트베이스 어셈블리는 시트베이스 지지튜브(48)에 고정되는 시트베이스(50)와 피봇베어링(49)을 포함하며, 시트베이스 어셈블리는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수평 위치로부터 그 직립 위치까지 전방받침대(5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딩클립(47')(47")에 의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구성된다.그러나 상기의 선박용 시트 받침대는 거친 바다 상황하에서도 일어선 자세에서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의 선박용 시트 받침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부품수를 제조하여야 하며, 많은 부품을 조립하는데 따른 조립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트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위치를 조정한 후 위치조정용 잠금걸쇠의 홀딩클립을 풀었다 채웠다 함으로써 시트백의 높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등받이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좌석판설치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측면프레임사이에 측면보호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좌석판을 각각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등받이와 좌석판이 각각 전후방 및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므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석판의 높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한 탑승자세를 취하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나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가 더욱 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며, 적은 수량의 부품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써 제조상의 비용이 적게 들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외측에 위치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등받이설치부의 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에 위치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좌석판설치부가 절곡형성되고 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가 형성된 수직지지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측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등받이설치부사이에는 양측방에 형성된 측면보호대외측에 상기 측면프레임의 등받이설치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드관이 구비된 등받이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좌석판설치부사이에는 양측단부에 상기 측면프레임의 좌석판설치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드관이 구비된 좌석판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의 좌석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외측에 위치조절공(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의 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a)이 형성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위치조절공(5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가 절곡형성되며, 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b)이 형성된 수직지지부(6)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한 조의 측면프레임(2a)(2b)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등받이설치부(4)사이에는 양측방에 형성된 측면보호대(7a)(7b)외측에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등받이설치부(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8)에 의해 고정되는 한조의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된 슬라이드관(9a)(9b)이 구비된 등받이(7)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좌석판설치부(5)사이에는 양측단부에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좌석판설치부(5)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10)에 의해 고정되는 한조의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된 슬라이드관(11a)(11b)이 구비된 좌석판(12)이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참고로 대칭되게 한조로 이루어지는 일부 구성의 부호는 도면에 미도시(예: 4a, 5a, 9b, 11a 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에 설치된 좌석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의 좌석판설치부(5)의 외주연에 삽입설치된 좌석판(12)의 슬라이드관(11a)일측에 코일스프링(13)을 개재한 상태로 조립된 고정핀(10)이 좌석판설치부(5)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위치조절공(5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등받이(7)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도 좌석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등받이(7)의 후면에는 후방에 설치된 의자(1)에 앉은 탑승자가 붙잡을 수 있는 균형유지용 손잡이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는 고속단정의 갑판상면에 복수개로 고정설치되며, 고속단정이 저속으로 운항될 때에는 도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7)를 측면프레임(2a)(2b)에 상부에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4a)에 슬라이드관(9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맨뒤쪽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좌석판(12)을 측면프레임(2a)(2b)의 전방에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5a)에 슬라이드관(11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맨아래쪽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일반적인 의자의 형태로 형성한 다음 탑승자가 앉게 된다.
고속단정이 저속보다는 약간 빠른 속도로 운항하게 되어 선체유동에 의한 약한 충격이 느껴질 때에는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7)를 측면프레임(2a)(2b)의 상부에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4a)에 슬라이드관(9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고정하는 동시에 좌석판(12)을 측면프레임(2a)(2b)의 전방에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의 중간 부분 또는 윗쪽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5a)에 슬라이드관(11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중간 부분 또는 맨윗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고정한 다음, 탑승자는 등을 등받이(7)에 기대고 엉덩이를 좌석판(12)의 선단부에 걸친 상태로 엉거주춤하게 서게 된다.
이 때, 탑승자의 자세는 기마자세와 유사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종래의 고속단정용 의자에서는 이와 같이 엉거주춤한 상태로 오래 서 있게 되면 다리와 허리에 많은 통증이 생겨 불편을 느끼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에서는 엉거주춤하게 서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가 등받이(7)와 좌석판 (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써 이러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더라도 전혀 불편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고속단정이 가장 빠른 속도로 운항하게 되어 선체유동으로 인한 충격이 극심할 때에는, 도 5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7)를 측면프레임 (2a)(2b)의 상부에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의 맨위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4a)에 슬라이드관(9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맨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고정하는 동시에 좌석판(12)을 측면프레임(2a)(2b)의 전방에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의 윗쪽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5a)에 슬라이드관(11b)을 이동시켜 고정핀(8)이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되어 맨윗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고정한 다음, 탑승자는 등과 엉덩이를 등받이(7)에 기댄 상태로 완전한 직립상태를 유지하며 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단정이 고속으로 운항하게 될 때 고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강한 관성력이 직립상태로 서 있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더라도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가 의자(1)의 등받이(7)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탑승자의 몸이 뒤로 심하게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고속단정의 고속운항시 급선회를 할 경우 직립상태로 서 있는 탑승자에게 강한 원심력이 가해지더라도 의자(1)의 등받이(7)에 형성된 측면보호대(7a) (7b)가 탑승자의 허리측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몸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거나 선체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는 상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등받이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좌석판설치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측면프레임사이에 측면보호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좌석판을 각각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등받이와 좌석판이 각각 전후방 및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므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석판의 높이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한 탑승자세를 취하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나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가 더욱 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적은 수량의 부품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써 제조상의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단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는 종래의 고속단정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2b는 또 다른 종래의 보트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의 좌석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a, 2b : 측면프레임
3a, 3b : 설치판 4 : 등받이설치부
4a : 위치조절공 5 : 좌석판설치부
5a : 위치조절공 6 : 수직지지부
7 : 등받이 7a, 7b : 측면보호대
8 : 고정핀 9a, 9b : 슬라이드관
10 : 고정핀 11a, 11b : 슬라이드관
12 : 좌석판

Claims (1)

  1. (정 정)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외측에 위치조절공(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의 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a)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에 위치조절공(5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가 절곡형성되고 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b)이 형성된 수직지지부(6)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측면프레임(2a)(2b)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등받이설치부(4)사이에는 양측방에 형성된 측면보호대(7a)(7b)외측에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등받이설치부(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8)에 의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된 슬라이드관(9a)(9b)이 구비된 등받이(7)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좌석판설치부(5)사이에는 양측단부에 상기 측면프레임(2a)(2b)의 좌석판설치부(5)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10)에 의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된 슬라이드관(11a)(11b)이 구비된 좌석판(12)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
KR10-2003-0049312A 2003-07-18 2003-07-18 고속단정용 의자 KR10053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2A KR100538556B1 (ko) 2003-07-18 2003-07-18 고속단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2A KR100538556B1 (ko) 2003-07-18 2003-07-18 고속단정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139A KR20030069139A (ko) 2003-08-25
KR100538556B1 true KR100538556B1 (ko) 2005-12-22

Family

ID=3222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312A KR100538556B1 (ko) 2003-07-18 2003-07-18 고속단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43B1 (ko) 2009-12-28 2011-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의자 고정장치
KR20200025807A (ko) 2018-08-31 2020-03-10 모던인테크(주) 내마모 및 흡진기능이 우수한 섬유 원단을 이용한 해상용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789B1 (ko) * 2004-08-31 2006-05-15 삼공물산 주식회사 단속정용 조종의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43B1 (ko) 2009-12-28 2011-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의자 고정장치
KR20200025807A (ko) 2018-08-31 2020-03-10 모던인테크(주) 내마모 및 흡진기능이 우수한 섬유 원단을 이용한 해상용의자
KR102105712B1 (ko) 2018-08-31 2020-05-29 모던인테크(주) 내마모 및 흡진기능이 우수한 섬유 원단을 이용한 해상용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139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44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JP6741425B2 (ja) 姿勢保持具
JP5340295B2 (ja) 輸送機関のためのシート
US20070222268A1 (en) Ergonomic Side Chair
US3984888A (en) Adjustable floating chair
CN110870637A (zh) 赛车游戏椅及其组装方法和配件架
JP2006006957A (ja) 調節可能なサポートシステムを有する座席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US6543844B1 (en)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US10172464B2 (en) Chair
KR100538556B1 (ko) 고속단정용 의자
US20120242116A1 (en) Cushion system for chairs
US11208177B2 (en) Adjustable flotation device
EP3179886B1 (en) Chair
WO2008054225A1 (en) Chair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CN218839707U (zh) 一种靠背可调节的船艇座椅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CN210680473U (zh) 儿童安全汽车座椅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KR200379876Y1 (ko) 고속단정용 의자
KR200323364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