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876Y1 - 고속단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고속단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876Y1
KR200379876Y1 KR20-2004-0033446U KR20040033446U KR200379876Y1 KR 200379876 Y1 KR200379876 Y1 KR 200379876Y1 KR 20040033446 U KR20040033446 U KR 20040033446U KR 200379876 Y1 KR200379876 Y1 KR 200379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ylinder
seat plate
high spee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훈
Original Assignee
한일뉴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뉴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뉴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실린더에 의해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되어 승하강되는 등받이를 구성함은 물론, 등받이의 승하강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전개와 수납 회전이 이루어지는 좌석판을 의자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언제든지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고속단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 또는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속단정용 의자{Jockey-seat for rigid inflatable boat}
본 고안은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항상 편안하고 안정적인 탑승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 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나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고속단정(RIB : Rigid Infla -table Boat)은 FRP재질로 된 선체의 상면에 조종 콘솔과 복수개의 의자가 갑판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측면에는 부가 부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튜브가 장착되며, 선체후미부에는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추진기가 설치되어 고도의 기동성과 안정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는 수상 레저용이나 각종 해난 사고의 발생시 긴급 인명구조와 긴급 인원 및 물자수송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속단정은 저속으로 운항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일단 고속으로 운항하게 되면 고속단정의 선체가 수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일정거리를 비상한 후 다시 수면으로 낙하하게 되는 상태가 반복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속단정의 의자에 앉아있는 탑승자는 마치 고속단정의 선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지면으로 자유낙하시킬 때 받게 되는 충격과 거의 동일한 충격을 받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속단정용 의자(특허출원 제 2003-49312 호, 이하 선행기술 이라함)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즉, 상기의 선행기술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외측에 위치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등받이설치부의 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에 위치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좌석판설치부가 절곡형성되고 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이 형성된 수직지지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측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등받이설치부사이에는 양측방에 형성된 측면보호대외측에 상기 측면프레임의 등받이설치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드관이 구비된 등받이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좌석판설치부사이에는 양측단부에 상기 측면프레임의 좌석판설치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드관이 구비된 좌석판이 삽입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등받이와 좌석판의 슬라이드 이동이 고속단정의 운항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바, 이는 저속에서 고속으로 빠르게 운항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등받이와 좌석판을 변경시키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즉, 상기의 선행기술은 등받이와 좌석판을 슬라이드시켜 그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탑승자가 일일이 고정핀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 다시 고정핀을 결합시키야 하는 구조인 바, 이는 고속단정이 운항중일 경우에는 그 위치 변경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상기의 선행기술은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때 고정핀의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조절공의 경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측면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바, 만약 고속단정이 운항중인 상태에서 고정핀이 위치조절공에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경우에는 오히려 탑승자의 자세가 더욱 불안해지고, 이 경우 탑승자는 엉덩이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등받이에 등을 기댄 탑승자는 척추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실린더에 의해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되어 승하강되는 등받이를 구성함은 물론, 등받이의 승하강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전개와 수납 회전이 이루어지는 좌석판을 의자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언제든지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고속단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 또는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고속단정용 의자는,
측면프레임, 중앙프레임, 등받이부, 좌석판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 고속단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 하단에는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좌석판은 등받이부의 내측부위 하단에 회전축봉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판형의 가이드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소정길이로서 등받이부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등받이부의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직선의 제 1 위치조절구멍과, 상기 등받이부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시 좌석판의 수납과 전개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도록 회전축봉의 양끝단이 체결되는 제 2 위치조절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하단에는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등받이부의 배면에 일측끝단이 고정되면서 전개동작을 통해 등받이부를 상하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고정된 실린더부재의 일측끝단에는 실린더부재의 길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레버를 형성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 후단에는 ⊂자형의 손잡이 프레임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는,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면서 작동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면서 등받이부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피스톤부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는,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측면프레임, 중앙프레임, 지지프레임, 손잡이 프레임에는 바닷물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진 보호재가 피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좌석판에 앉아 고속단정을 조정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좌석판에 걸터앉아 반직립상태로 고속단정을 조정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등받이에 의해 지지된 완전하게 직립된 상태로 고정단정을 조정하는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고속단정용 의자는 측면프레임(1a)(1b), 중앙프레임(2), 등받이부(3), 좌석판(4)에, 회전축봉(12), 판형의 가이드부재(20), 실린더부재(30), 작동레버(40) 및, 손잡이 프레임(50)이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a)(1b)은 ∩자형의 모양을 가지면서 중앙프레임(2)을 통해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부(3)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속단정의 운항이 이루어질 때 탑승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면을 가지며, 판형의 가이드부재(20)에 형성된 직선의 제 1 위치조절구멍(21)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11)를 양측면 하단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좌석판(4)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에 회전축봉(12)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전개상태에서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일측끝단부가 등받이부(3)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지만, 등받이부(3)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승할 경우에는 그 등받이부(3)의 내측면에 의해 밀리면서 회전축봉(12)을 통해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직립하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축봉(12)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시 좌석판(4)의 수납과 전개의 회전이 연동되도록 상기 좌석판(4)을 등받이부(3)에 연결하는 구조로 그 양끝단은 판형의 가이드부재(20)에 형성된 곡선의 제 2 위치조절구멍(22)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판형의 가이드부재(20)는 도 1에서와 같이 ∩자형으로 이루어진 측면프레임(1a)(1b)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그 평면상의 일단에는 등받이부(3)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을 소정의 경사각도로서 안내하도록 등받이부(3)의 체결돌기(11)가 체결되는 직선의 제 1 위치조절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의 가이드부재(20)에 있어 평면상의 타단에는 등받이부(3)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시 좌석판(4)의 수납과 전개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도록 회전축봉(12)의 양끝단이 체결되는 곡선의 제 2 위치조절구멍(2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30)는 도 2에서와 같이 측면프레임(1a)(1b)의 후방 하단에 연결된 지지프레임(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서, 이는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된 실린더부(31)와, 상기 실린더부(31)에 결합되어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피스톤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31)는 지지프레임(5)에 일단이 고정되는 형태로서 이는 작동레버(40)의 작동으로부터 작동체(예; 에어, 유압, 가스)의 방향으로 변경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32)는 실린더부(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막(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외부 노출형의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레버(40)의 작동으로부터 실린더부(31)내의 작동체에 대한 방향이 변경될 때 길이 가변이 이루어져 등받이부(3)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것으로 그 일측끝단은 상기 등받이부(3)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작동레버(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받이부(3)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피스톤부(32)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5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고속단정의 또 다른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자의 형상으로 측면프레임(1a)(1b)의 상부 후단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고안에 구성되는 측면프레임(1a)(1b), 중앙프레임(2), 지지프레임(5), 손잡이 프레임(50)에는 FRP로 이루어진 보호재(60)가 피복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바닷물에 의한 부식이 방지하기 위함이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고속단정용 의자는 고속단정의 갑판상면에 복수개로 고정 설치되며, 고속단정이 저속으로 운항될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작동레버(40)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린더부재(30)의 실린더부(31)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32)를 하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등받이부(3)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1)는 판형의 가이드부재(20)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직선의 제 1 위치조절구멍(21)의 최하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3)는 측면프레임(1a)(1b)의 하부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3)를 관통하여 곡선의 제 2 위치조절구멍(22)에 양단이 체결된 회전축봉(12)은 그 양단이 제 2 위치조절구멍(22)의 우측방향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봉(12)에 결합된 좌석판(4)은 도 4에서와 같이 고속단정의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측끝단부는 등받이부(3)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속단정이 저속보다는 약간 빠른 속도로 운항하게 되어 선체유동에 의한 약한 충격이 느껴질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탑승자는 등받이부(3)의 배면에 위치하는 작동레버(40)를 약간 위로 올린다.
그러면, 상기 작동레버(40)에 의해 실린더부(31)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32)가 약간 상승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동시에 등받이부(3)는 제 1 위치조절구멍(21)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방향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3)의 하단부에 관통된 회전축봉(12)은 상기 등받이부(3)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방향 직선운동을 할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 2 위치조정구멍(22)을 따라 제 1 위치조절구멍(21)의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바,
상기 회전축봉(12)에 결합된 좌석판(4)은 시계방향으로 약간의 들림현상이 일어나고, 이에따라 탑승자는 등을 등받이부(3)에 기대고 엉덩이를 좌석판(4)의 선단부에 걸친 상태로 엉거주춤 즉, 기마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서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속단정이 가장 빠른 속도로 운항하게 되어 선체유동으로 인한 충격이 극심할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탑승자는 등받이부(3)의 배면에 위치하는 작동레버(40)를 완전히 위로 올린다.
그러면, 상기 작동레버(40)에 의해 실린더부(31)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32)가 상승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동시에 등받이부(3)는 제 1 위치조절구멍(21)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방향 직선운동하여, 상기 등받이부(3)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1)는 제 1 위치조절구멍(21)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3)의 하단부에 관통된 회전축봉(12)은 상기 등받이부(3)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방향 직선운동할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 2 위치조정구멍(22)을 따라 제 1 위치조절구멍(21)의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위치조절구멍(22)의 좌측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봉(12)에 결합된 좌석판(4)은 시계방향으로 완전 들림현상 즉, 90°정도의 각도로 들림현상이 일어나고, 이에따라 탑승자는 등과 엉덩이를 등받이부(3)에 기댄 상태로 완전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고속단정이 고속으로 운항하게 될 때 고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강한 관성력이 직립상태로 서 있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더라도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가 의자의 등받이부(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탑승자의 몸이 뒤로 심하게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속단정의 고속운항시 급선회를 할 경우 직립상태로 서 있는 탑승자에게 강한 원심력이 가해지더라도 의자의 등받이부(3)에 형성된 측면프레임(1a)(1b)이 탑승자의 허리측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몸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거나 선체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고속단정용 의자는 실린더에 의해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되어 승하강되는 등받이를 구성함은 물론, 등받이의 승하강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전개와 수납 회전이 이루어지는 좌석판을 의자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고속단정의 운항속도에 따라 언제든지 등받이와 좌석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자가 항상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고속단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속운항시에 발생되는 선체유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 또는 급선회시 발생되는 강한 원심력으로부터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속단정용 의자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좌석판에 앉아 고속단정을 조정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좌석판에 걸터앉아 반직립상태로 고속단정을 조정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등받이에 의해 지지된 완전하게 직립된 상태로 고정단정을 조정하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측면프레임 2 ; 중앙프레임
3 ; 등받이부 4 ; 좌석판
5 ; 지지프레임 11; 체결돌기
12; 회전축봉 20; 가이드부재
21,22; 제 1,2 위치조절구멍 30; 실린더부재
31; 실린더부 32; 피스톤부
40; 작동레버 50; 손잡이 프레임
60; 보호재

Claims (3)

  1. 측면프레임, 중앙프레임, 등받이부, 좌석판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 고속단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 하단에는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좌석판은 등받이부의 내측부위 하단에 회전축봉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판형의 가이드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소정길이로서 등받이부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등받이부의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직선의 제 1 위치조절구멍과, 상기 등받이부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시 좌석판의 수납과 전개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도록 회전축봉의 양끝단이 체결되는 제 2 위치조절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하단에는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등받이부의 배면에 일측끝단이 고정되면서 전개동작을 통해 등받이부를 상하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고정된 실린더부재의 일측끝단에는 실린더부재의 길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레버를 형성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 후단에는 ⊂자형의 손잡이 프레임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면서 작동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면서 등받이부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피스톤부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용 의자.
KR20-2004-0033446U 2004-11-25 2004-11-25 고속단정용 의자 KR200379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446U KR200379876Y1 (ko) 2004-11-25 2004-11-25 고속단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446U KR200379876Y1 (ko) 2004-11-25 2004-11-25 고속단정용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615 Division 2004-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876Y1 true KR200379876Y1 (ko) 2005-03-24

Family

ID=4368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446U KR200379876Y1 (ko) 2004-11-25 2004-11-25 고속단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34B1 (ko) * 2021-04-30 2021-08-24 (주)씨엠텍 구조 차량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34B1 (ko) * 2021-04-30 2021-08-24 (주)씨엠텍 구조 차량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4401B (zh) 可调节的骑式座椅组件
US10336411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9242703B2 (en) Height-adjustable seat for watercraft
US11027795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20090038526A1 (en) Watercraft seat
US11673626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20120017821A1 (en) Convertible seat for watercraft
US11819131B2 (en) Buoyant pool lounge chair frame and buoyant pool lounge chair using the same
US20220258835A1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KR200379876Y1 (ko) 고속단정용 의자
US6715440B2 (en) Changing room for pontoon boats having a rear entry stern gate
US20090064917A1 (en) Kayak and Canoe seat
EP4309993A1 (en) Boat having wings
US20050011425A1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KR102205009B1 (ko) 정적 평형을 유지하는 안전 보드
KR20030069139A (ko) 고속단정용 의자
US9242706B2 (en) Dual keel kayak
KR100746151B1 (ko) 고속 파워보트용 의자
KR102545631B1 (ko) 낚시용 콤비보트
US10953959B2 (en) Carry system for personal watercraft
US5179906A (en) Watercraft
KR20200137704A (ko) 스틸트 보트
SE508732C2 (sv) Anordning ägnad att uppbära båtförares vikt vid framförandet av fartyg
GB2372973A (en) Apparatus for forward facing rowing
DE10206298A1 (de) Schwimmkörper mit Pendelgestänge-An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