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263B1 -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263B1
KR100538263B1 KR10-2002-0057760A KR20020057760A KR100538263B1 KR 100538263 B1 KR100538263 B1 KR 100538263B1 KR 20020057760 A KR20020057760 A KR 20020057760A KR 100538263 B1 KR100538263 B1 KR 10053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ing
lifting
steel pipe
pile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331A (ko
Inventor
조용은
한윤석
양국승
Original Assignee
조용은
양국승
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은, 양국승, 한윤석 filed Critical 조용은
Priority to KR10-2002-005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2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나사공(22)을 구비한 다수개의 지지부(24)가 조임부재(26)를 구비하여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말뚝(10)에 설치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30)와,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2)를 구비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 가이드 레일(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40)와, 상기 승,하강부재(40)에 설치되는 유압모터(50)와, 유압모터(50)의 구동축(52)에 결합되는 토사 제거부재(60)와, 체인(70)을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부재(4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작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모터(50)에 별도의 감속기를 설치하지 않고, 승,하강부재(4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작동수단(80)을 유압실린더 대신에 감속이 가능한 승,하강용 유압모터(82) 또는 핸들(88)로 이용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무게를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고, 말뚝(10)을 손상시키기 않고 토사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토사 제거부재(60)와 같은 부품이 분리/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할 운반이 가능하게 되어 운반/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earth and sand rid apparatus for steel pipe pile}
본 발명은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모터에 설치되는 별도의 감속기가 삭제되고 토사 제거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용 유압실린더가 삭제되어 경량이면서, 각각의 부품이 분해가능하게 구성되고, 다양한 크기의 강관 말뚝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설치를 위하여 지반에 박히는 강관 말뚝의 내측 상부 보강 작업시에 그 내부의 토사를 작업자가 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이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료될 뿐만 아니라 토사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강관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삽으로 설정된 깊이까지 굴착(토사제거)하는 작업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사 제거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토사 제거장치는 강관 말뚝(1)의 상부에 다수개의 볼트(2)가관통하여 설치되는 결합부재(3)와, 상기 결합부재(3)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과, 상기 가이드 레일(4)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5)와, 상기 감속기(5)와 결합되는 유압모터(6)와, 상기 가이드 레일(4)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7)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감속기(5)를 승,하강시키는 유압 실린더(8)와, 상기 감속기(5)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토사 제거부재(9)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토사 제거장치는 유압에 의해 유압모터(6)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감속기(5)에 의해 감속되어 토사 제거부재(9)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토사 제거부재(9)는 회전하면서 강관 말뚝(1) 내부의 토사를 상부로 끌어올려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토사 제거장치는 결합부재(3)를 설치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1)에 체결공을 천공한 후 볼트(2)로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강관 말뚝(1)을 손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토사 제거부재(9)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기어맞물림 구조를 갖는 감속기가 설치되고, 토사 제거부재(9)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8)가 설치됨으로써 토사 제거장치의 중량이 증가하여 운반 및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는 큰 중량으로 인하여 인력으로 운반하거나 설치하기 곤란하여 굴삭기 내지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설치하는 곤란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는 장치 전체가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분해/조립이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하여 굴삭기가 진입하지 못하는 장소로 운반하기 곤란하였고, 보관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감속기나 유압 실린더와 같은 큰 중량의 부품을 삭제하여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토사 제거부재를 원활하게 구동시킬 수 있고, 각 부품이 분해/조립가능하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토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관으로 된 말뚝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도록 된 토사 제거장치에 있어서, 나사공을 구비한 다수개의 지지부가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는 상기 말뚝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조임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말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와 중간부 외측에는 상,하부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 중앙에 설치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도록 외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안내로울러가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상기 승,하강부재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압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토사 제거부재; 상기 상부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에 양단이 설치된 체인을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은 승,하강용 유압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는 유압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회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감속기가 삭제되고, 토사 제거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와 같은 부품이 삭제됨으로 전체적인 중량이 현저하게 줄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부품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할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토사제거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부(24)가 나사공(22)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0)는 강관으로 된 말뚝(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각 나사공(22)에는 조임부재(26)가 체결된다.
상기 조임부재(26)는 상기 나사공(22)으로 체결된 후 상기 말뚝(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결합부재(20)가 말뚝(1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임부재(2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4)를 통과한 조임부재(26)의 끝단에 가압부재(27)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27)는 일면에 널링이 형성되어 말뚝(10)의 외주면을 가압할 때 슬립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24)의 내측과 말뚝(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끼움부재(25)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끼움부재(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부(25)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말뚝(10)에 결합부재(20)가 설치될 경우에 지지부(24)와 말뚝(10) 사이에 설치되어 조임부재(26)의 가압력을 말뚝(1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사이즈가 작은 말뚝(10)에 상기 결합부재(20)가 설치될 경우에 작아진 사이즈만큼의 두께를 갖는 끼움부재(25)를 지지부(24)와 말뚝(10)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조임부재(26)의 가압력이 말뚝(1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말뚝(10)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상기 결합부재(2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 또는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 레일(30)의 중간부는 하부 지지부재(32B)에 의해 결속되고, 상부는 상부 지지부재(32A)에 의해 결속되어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을 이룬다.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32A,32B)는 각 가이드 레일(30)의 외측면에 결합됨으로 가이드 레일(30)의 내측은 후술할 승,하강부재(40)의 안내로울러(42)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0)에 안내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상,저면에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2)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승,하강부재(40)는 자체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울러(42)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삭제된다. 또한, 상기 각 안내로울러(42)는 로울러 브라켓에 의해 승,하강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안내로울러(4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0)의 내측면이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안내홈(43)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43)은 가이드 레일(30)의 내측면이 안정되게 안착되고, 이로 인하여 안내로울러(42)가 안정되게 구름운동을 하여 승,하강부재(4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30)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H"형 "I"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하강부재(40)를 상,하부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상면에는 체인(7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 브라켓(48)이 설치된다. 즉, 상기 체인(70)의 일단은 설치 브라켓(48)에 설치되고 타단은ㄹ 승,하강부재(4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모터(50)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감속기가 불필요한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압모터(5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받는 경사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구동축(52)의 회전수와 회전력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유압모터(5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축(52)에는 다수개의 경사판이 방사형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 경사판의 각도는 조절된다. 상기 경사판의 각도가 직각에 근접하게 되면 구동축(52)의 속도는 낮아지고 회전력은 커지며, 경사판이 기울어져 예각에 근접하게 되면 구동축(52)의 속도는 높아지고 회전력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모터(50)는 가변형 유압모터로 별도의 감속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감속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압모터(50)는 경사판의 면적을 가변시켜 회전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압모터(50)는 유압펌프의 유체를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유압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유압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토사 제거부재(60)는 도 2 내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2)에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토사 제거부재(60)는 나선형의 날개 형성되어 말뚝(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내부의 토사를 상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토사 제거부재(60)의 중앙축 일단에는 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5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4)가 결합되어, 상기 토사 제거부재(60)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5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핀(62)을 상기 연결부재(54)를 통하여 토사 제거부재(60)의 축에 형성된 핀 삽입공에 끼움으로써 토사 제거부재(60)는 연결부재(54)에 의해 구동축(52)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핀(62)을 연결부재(54)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토사 제거부재(60)는 연결부재(54)로부터 빠지게 되어 구동축(5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토사 제거부재(60)가 분리됨으로 토사 제거장치를 운반할 경우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운반됨으로 그 무게가 경감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토사 제거부재(60)는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말뚝(10)의 직경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각 말뚝(10)에 적합한 사이즈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80)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A)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34)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40)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용 유압모터(82)와 상기 승,하강용 유압모터(82)의 축에 결합되는 제 1스프로켓(8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라켓(34)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체인(70)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 1스프로켓(84)은 양단이 상기 승,하강부재(40)에 고정 설치된 체인(70)에 맞물린다.
이오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를 운반하여 강관으로 된 말뚝(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동축(52)의 연결부재(54)로부터 토사 제거부재(60)를 분리시켜 각각 별개로 운반하고, 상기 승,하강부재(40)를 가이드 레일(30)로부터 분리하여 별개로 운반한다. 필에 따라서는 상기 유압모터(50)와 승,하강용 유압모터(82)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부품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별개로 운반하게 됨으로 각 부품의 무게가 현저하게 경감되어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장소가 협소하거나 운반장비가 진입하지 못하는 작업장소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사 제거장치를 말뚝(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하강부재(40)를 가이드 레일(30)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54)에 토사 제거부재(6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결합부재(20)를 말뚝(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각 조임부재(26)를 조인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가 말뚝(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조임부재(26)를 조이게 되면 각 조임부재(26)의 단부는 상기 말뚝(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결합부재(20)는 견고하게 말뚝(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26)의 단부에 가압부재(27)가 설치된 상태이면 상기 가압부재(27)의 일면이 말뚝(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부재(26)가 조여지게 됨으로 가압부재(27)는 말뚝(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27)는 보다 넓은 면적을 가압하여 결합부재(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7)에는 널링이 형성됨으로 말뚝(10)의 외주면과 슬립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되게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24)에 설치된 각각의 조임부재(26)에 의해 결합부재(20)가 말뚝(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모터(5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토사 제거부재(60)가 회전하면서 말뚝(10) 내부의 토사를 나선형의 날개로 끌어올려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용 유압모터(8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 1스프로켓(84)이 회전하면서 체인(70)을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 체인(70)은 양단이 브라켓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스프로켓(84)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70)은 제 1스프로켓(84)에 감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승,하강부재(40)는 가이드 레일(30)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재(40)는 상기 각 안내로울러(42)가 가이드 레일(30)에 안내됨으로 원활하게 승강하게 된다. 즉, 상기 각 안내로울러(42)에 형성된 안내홈(42)에 각 가이드 레일(30)의 내측 외주면이 삽입됨으로 안내로울러(42)의 구름운동이 원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승,하강부재(40)의 이동이 유동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승,하강부재(40)가 상승하면 상기 토사 제거부재(60)는 말뚝(10) 내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다시 상기 승,하강용 유압모터(82)를 역회전(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압을 제어함)시키게 되면 상기 제 1스프로켓(84)은 역회전되어 상기 체인(70)을 최초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 승,하강부재(40)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말뚝(10)의 직경이 각 지지부(24)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말뚝(10)의 외주면과 각 지지부(24) 내측면 사이에 끼움부재(25)를 설치하여 그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보상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20)의 각 지지부(24) 내측이 이루는 직경이 ø609인 말뚝(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ø508 이하의 말뚝(10)에 결합부재(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사이즈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두께의 각 끼움부재(25)를 말뚝(10)의 외주면과 각 지지부(24) 사이에 끼운 후 조임부재(26)를 조이게 되면, 상기 조임부재(26)의 단부가 끼움부재(25)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결합부재(20)는 강관으로 된 말뚝(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말뚝(10)의 직경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다수개의 끼움부재(25)를 구비한다면 상기 결합부재(20)는 다양한 크기의 말뚝(10)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이즈가 작은 말뚝(10)에 상기 결합부재(2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토사 제거부재(60)도 작은 사이즈로 교체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9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의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80)이 수동으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80)이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체인(70)에 맞물리는 제 2스프로켓(86A)이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제 3스프로켓(86B)이 설치되는 회전축(86)과, 상기 제 3스프로켓(86B)과 맞물리는 구동체인(87)과, 상기 하부 지지부재(3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인(87)에 맞물리는 제 4스프로켓(88A)이 설치된 승,하강용 핸들(88)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승,하강 작동수단(8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부품이 결합되어 말뚝(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용 핸들(8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4스프로켓(88A)에 맞물린 구동체인(87)이 구동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체인(87)의 상부에 맞물린 제 3스프로켓(86B)이 구동되어 지지 브라켓(34)에 베어링으로 지지된 회전축(86)이 회전된다.
이어서 회전축(86)에 결합된 제 2스프로켓(86A)이 회전되어 상기 체인(70)이 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인(70)이 설치된 승,하강부재(40)는 상기 승,하강용 핸들(88)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88)을 이용하게 되면 승,하강부재(40)를 승,하강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는 유압모터에 별도의 감속기를 설치하지 않고,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작동수단을 유압실린더 대신에 감속이 가능한 유압모터 또는 핸들로 이용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무게를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고, 말뚝을 손상시키기 않고 토사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토사 제거부재와 같은 부품이 분리/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할 운반이 가능하게 되어 적은인력, 예를들면 한명의 작업인원이 운반할 수 있어서,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토사 제거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사 제거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동축과 토사 제거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재에 끼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재에 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과 안내로울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토사 제거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말뚝 20 : 결합부재
22 : 나사공 24 : 지지부
26 : 조임부재 30 : 가이드 레일
32A,32B : 상,하부 지지부재 34 : 지지 브라켓
40 : 승,하강부재 42 : 안내로울러
43 : 안내홈 48 : 설치 브라켓
50 : 유압모터 52 : 구동축
54 : 연결부재 60 : 토사 제거부재
62 : 결합핀 70 : 체인
80 : 승,하강 작동수단 82 : 승,하강용 유압모터
84 : 제 1스프로켓 86 : 회전축
86A : 제 2스프로켓 86B : 제 3스프로켓
87 : 구동체인 88 : 승,하강용 핸들
88A : 제 4스프로켓

Claims (9)

  1. 강관으로 된 말뚝(1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도록 된 토사 제거장치에 있어서,
    나사공(22)을 구비한 다수개의 지지부(24)가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2)에는 상기 말뚝(10)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조임부재(26)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말뚝(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
    상기 결합부재(20)의 상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와 중간부 외측에는 상,하부 지지부재(32A,32B)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30);
    중앙에 설치 브라켓(48)이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 레일(30)에 안내되도록 외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2)가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 가이드 레일(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40);
    상기 승,하강부재(40)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50);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압모터(50)의 구동축(52)에 결합되는 토사 제거부재(60);
    상기 상부 지지부재(32A)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34)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48)에 양단이 설치된 체인(70)을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부재(4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작동수단(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10)과 지지부(24) 사이에는 일면에 널링이 형성된 끼움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의 나사공(22)에 설치되는 조임부재(26)의 끝단에는 가압부재(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7)의 일면에는 널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로울러(42)는 상기 가이드 레일(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목한 안내홈(43)을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상,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50)는 내설된 경사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구동축(52)의 회전수와 회전력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2)에는 연결부재(54)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54)에는 상기 토사 제거부재(60)의 축이 결합핀(6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80)은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용 유압모터(82); 및
    상기 승,하강용 유압모터(82)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3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체인(70)에 맞물리는 제 1스프로켓(8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작동수단(80)은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체인(70)에 맞물리는 제 2스프로켓(86A)이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제 3스프로켓(86B)이 설치되는 회전축(86);
    상기 제 3스프로켓(86B)과 맞물리는 구동체인(87);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3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인(87)에 맞물리는 제 4스프로켓(88A)이 설치된 승,하강용 핸들(8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KR10-2002-0057760A 2002-09-24 2002-09-24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KR10053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60A KR100538263B1 (ko) 2002-09-24 2002-09-24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60A KR100538263B1 (ko) 2002-09-24 2002-09-24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72U Division KR200304759Y1 (ko) 2002-09-24 2002-09-24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31A KR20040026331A (ko) 2004-03-31
KR100538263B1 true KR100538263B1 (ko) 2005-12-27

Family

ID=3732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760A KR100538263B1 (ko) 2002-09-24 2002-09-24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970B1 (no) * 2017-07-10 2019-08-05 Jarala As Anordning for fjerning av sedimenter fra innsiden av pæ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570A (ko) * 1983-06-28 1985-02-28 하지메(외 1) 마쯔자와 종공(從孔)굴착방법 및 장치
JPH02104894A (ja) * 1988-10-12 1990-04-17 Yoshihiko Kawai 掘削装置
JPH0363397A (ja) * 1989-07-31 1991-03-19 Sato Kogyo Co Ltd 土砂の掘削及び搬出装置
US5746277A (en) * 1995-11-06 1998-05-05 Howell, Jr.; Richard L. Drilling apparatus
KR20020023914A (ko) * 2001-12-28 2002-03-29 이기홍 강관 말뚝 내부 토사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570A (ko) * 1983-06-28 1985-02-28 하지메(외 1) 마쯔자와 종공(從孔)굴착방법 및 장치
JPH02104894A (ja) * 1988-10-12 1990-04-17 Yoshihiko Kawai 掘削装置
JPH0363397A (ja) * 1989-07-31 1991-03-19 Sato Kogyo Co Ltd 土砂の掘削及び搬出装置
US5746277A (en) * 1995-11-06 1998-05-05 Howell, Jr.; Richard L. Drilling apparatus
KR20020023914A (ko) * 2001-12-28 2002-03-29 이기홍 강관 말뚝 내부 토사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31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7103A (en) Apparatus for handling hose or similar elongate members
US6305882B1 (en) Apparatus for placing auger type anchors
JP3868889B2 (ja) ボーリング装置およびボーリング方法
US20060127188A1 (en) Pier
CN111097954B (zh) 一种方便实用的金属管道切割设备
JP2011017166A (ja) 建設機械の分解組立装置
KR200304759Y1 (ko)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KR100538263B1 (ko) 강관 말뚝용 토사 제거장치
CN204825897U (zh) 一种液压植桩机的升降夹紧机构
JP2001090069A (ja) 先端翼付き鋼管からなる反力支持杭を備えた鋼管杭回転圧入装置
CN215165583U (zh) 一种水利工程用拔桩设备
JP4121414B2 (ja) 全旋回オールケーシング機における斜杭傾斜調整装置杭支持装置
CN104947670A (zh) 一种液压植桩机的升降夹紧机构及植桩方法
JP2001146744A (ja) 回転圧入杭の施工装置と施工方法
CN110107228B (zh) 挖孔机深度进给装置
CN219431792U (zh) 一种适用于反井钻机钻杆的输送机构
KR200381412Y1 (ko) 굴착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기어고정식 굴착기
CN214923613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柱形材夹持定位装置
CN214379501U (zh) 一种移动配电箱
CN110173219B (zh) 山地旋挖装置固定架
JP3683238B2 (ja) 立坑構築機およびその縮幅方法
JP3282978B2 (ja) マンホール、マンホール躯体ブロック、マンホール築造工法及び地下構造物
JP2973094B2 (ja) 穿孔装置
CN213887694U (zh) 从动卷辊能自动锁紧的卷管机
JPH05156640A (ja) 薄膜壁体造成用掘削孔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