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908B1 -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908B1
KR100537908B1 KR10-2003-0050767A KR20030050767A KR100537908B1 KR 100537908 B1 KR100537908 B1 KR 100537908B1 KR 20030050767 A KR20030050767 A KR 20030050767A KR 100537908 B1 KR100537908 B1 KR 10053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heel
winding
tension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601A (ko
Inventor
함승호
Original Assignee
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승호 filed Critical 함승호
Priority to KR10-2003-005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9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32Feeding or discharging the material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34Guiding or supporting the material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9/00Devices for straightening wire or like work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9/00Cooling, heating or lubricating draw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원료공급부; 공급되는 와이어를 목적에 접합한 직경에 일치하도록 인발하는 원료인발부; 와이어를 일정한 인장상태에서 열처리하는 원료열처리부;및, 열처리된 와이어를 일정한 장력하에서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를 포함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괄공정에 의해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를 대량생산할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의 생산시 공정조건에 용이하게 대처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of wire having true straight}
본 발명은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중간재 공급부와 공급되는 와이어를 목적에 접합한 직경을 갖도록 인발하는 와이어인발부및 와이어를 일정한 인장상태에서 열처리하는 와이어 열처리부와 열처리된 와이어를 일정한 장력하에서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스테인레스 선재를 연속 공정에 의해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로 생산하고, 공급되는 제품이나 직경에 따라 조건을 손쉽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의 압연공정은, 먼저 보빈에 권선되어 있는 선재를 다른 쪽에 있는 보빈에 감으면서 단면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며, 최종 제품에 적합한 직경으로 늘려가는 신선공정(1)과, 상기 신선공정(1)에서 나온 선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이형재로 만드는 압연공정(2)과, 상기 압연공정(2)에서 만들어져 나오는 이형재를 권취보빈(8)에 다시 감아주는 권취공정(3)과, 상기 압연공정(2)과 권취공정(3)에서 만들어진 이형재에 묻어있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세척공정(4)과, 상기 세척공정(4)에서 세척이 완료되고 압연공정에 의하여 이형재의 조직에 내재되어 있는 가공경화를 풀어주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는 어닐링공정(5)과, 상기 어닐링공정(5)에서 나오는 이형재를 다시 감아주는 권취공정(6)과, 상기 보빈에 감겨있는 이형재를 곧게 펴주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교정 및 절단공정(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선재의 압연공정에서는 전체공정을 일련라인으로 하여 직선으로 만들면 상기 권취공정(3)(6)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재압연공정은, 압연라인의 길이가 수백 미터가 될 수 있으므로 현실적인 공장의 형편상 각 공정을 별도로 떨어진 기계와 라인에서 할 수밖에 없어 각각의 공정에서 작업이 완료된 이형재를 권취공정에서 다시 감아줄 수밖에 없어 권취공정이 여러 번 존재함으로 인하여 공정의 반복으로 인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선재(이형재)를 여러 번 원통형의 권취보빈에 감아주고 풀어주어야 하므로 제품(이형재)의 직진성이 떨어져 품질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처리부(11)와 가열된 이형재를 물로 냉각하는 냉각부(12)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고, 그 열처리부(11)와 냉각부(12)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전기히터가 장착되는 다수의 파이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열처리부(11)는 내측으로 수소가 공급되어 그 수소의 연소로 대략 1150℃ 내지 1200℃의 내부온도로 유지한다.
이때, 이형재의 온도를 균일하게 해주기 위하여 이형재를 파이프 형태의 좁고 긴 라인(대략 15미터)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형재가 파이프의 외벽에 닿아 가열되어 있는 이형재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품질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상기 파이프의 직경이 작아 폭이 넓은 제품(이형재)을 열처리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재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는 선재의 압연공정에 관한 기술이 특허출원 2001년 6364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b에서와 같이, 권취보빈에 감겨있는 선재를 다른 쪽에 있는 권취보빈에 감으면서 단면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며, 최종 제품에 적합한 직경으로 늘려가는 신선공정(20)과; 상기 신선공정(20)에서 나온 선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이형재(9)로 만드는 압연공정(22)과; 상기 압연공정(22)에서 만들어져 나오는 이형재(9)를 곧게 펴주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교정 및 절단공정(24)과; 상기 압연공정(22)에 의하여 이형재(9)의 조직에 내재되어 있는 가공경화를 풀어주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는 어닐링공정(26)과, 상기 어닐링공정(26)에서 나오는 이형재(9)를 다시 재교정하여 주는 재교정 공정(2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재의 압연공정은, 진직성을 유지하기위하여 여러번의 교정작업이 필요하고, 일괄공정에 의해 소정의 진직도를 갖도록 하려면 공정라인이 증가되며, 열처리시 그 색상에 변화를 가져와 정밀한 작업을 요하게 되고, 한번의 공정에 의하여 와이어의 진직도를 유지하기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공정을 삭제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품의 직진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표면의 변화없이 소정의 진직도를 갖는 와이어를 생산할수 있도록 하며, 일괄공정에 의해 진직도를 갖는 와이어를 생산하도록 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권취되는 와이어의 권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마찰력을 갖으면서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원료공급부; 공급되는 와이어를 목적에 접합한 직경에 일치하도록 인발하는 원료인발부; 와이어를 일정한 인장상태에서 열처리하는 원료열처리부;및 열처리된 와이어를 일정한 인장력하에서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를 포함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및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원료공급부(100)와 원료인발부(200)및 원료열처리부(300)와 와이어권취부(4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원료공급부(100)는, 원하는 직경의 중간원료가 되도록 신성공정을 수행한 와이어(150)가 권취되는 제1권취휠(120)이 일측에 돌출되는 회전축(120b)을 통하여 프레임(110)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20b)은, 일측에 마찰판(120a)이 더 연결되어 이에 일단에 스프링(140)이 연결되는 마찰패드(1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0)는, 그 풀려지는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와이어(150)가 지지되는 회전휠(120-1)과 상기 회전휠(120-1)에 회전축(120b-1)을 통하여 연결되는 마찰판(120a-1)및 상기 마찰판(120a-1)에 스프링(140-1)의 탄성을 통하여 밀착력이 조절토록 브레이크판(130-1)이 더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0b-1)은 프레임(110-1)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50)는, 장력을 조절하도록 볼트(180a)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블록(180d)상의 회전휠(180b)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블록(180d)은, 몸체에 지지되는 가이드(180e)를 통하여 승하강하며, 이송가이드(180c)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150)는, 권취휠(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크리너부재(160)에 이물질이 제거토록 되고, 상기 크리너부재(160)는, 상하면이 상호 밀착되는 상태의 융이나 부직포등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0)의 이송선상에 수평및 수직방향의 이송방향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로울러(170a)(170b)로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17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원료공급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원료인발부(200)는, 공급되는 와이어(150)를 목적에 접합한 직경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이스몸체(210)와 상기 다이스몸체(210)에 장착되는 다이스(220)로서 구성되며, 상기 다이스몸체(210)는 일측에 인입홀(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윤할재(O)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원료인발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원료열처리부(300)는, 상기 와이어(150)를 일정한 인장상태에서 열처리하도록 내측에 단열재가 충진되면서 다수의 히팅코일을 구비하는 상하커버(310)와 하부커버(320)로서 구성되며, 내측에 와이어(150)가 이동되는 이송파이프(33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송파이프(330)는, 일측에 일단이 브라켓(34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50a)을 개재하여 장력조절편(350)이 설치되고, 저장조(380)로 부터 산화방지재를 공급토록 공급배관(370)이 연결된다.
상기 원료열처리부(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권취부(400)는, 열처리 완료된 와이어를 일정한 장력하에서 권취하도록 설치되는 장력조절수단(410)와 그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수단(47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장력조절수단(410)은, 와이어(150)을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당기도록 설치되는 구동휠(415)과 상기 구동휠(415)에 타이밍벨트(410)로서 연결되는 구동모터(411)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권취수단(470)은, 와이어(150)을 권취하도록 설치되는 권취휠(475)과 상기 구동휠(475)에 구동벨트(473)로서 연결되면서 일측의 장력조절휠(477)로서 장력이 조절되는 구동모터(471)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장력조절휠(477)은, 볼트(180a)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블록(180d)상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블록(180d)은, 몸체에 지지되는 가이드(180e)를 통하여 승하강하며, 이송가이드(180c)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권취휠(475)은, 수평방향으로 뉘워져 설치되며, 그 높이방향으로 이탈방지턱(475a)과 제1,2경사면(S1,S2)이 순차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구동모터(411)(471)의 회전력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일정하게 도시되고, 상기 와이어(150)의 이송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9에서와 같이, 신선공정을 거쳐 소정직경을 갖도록 인발되는 와이어(150)를 제1권취휠(120)에 권선하고, 상기 제1권취휠(120)에 권선되는 와이어(150)을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20b)상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0)를 길게 늘려 크러너부재(160)의 하측을 통과한후 다이스(220)에 삽입하고, 상기 다이스(220)에서 배출되는 와이어(150)를 이송파이프(330)에 통과시킨후 구동휠(415)에 의해 일정장력으로 당기도록 하고, 상기 구동휠(415)의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휠(475)에 감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와이어(150)를 일측으로 인장하면서 열처리작업을 수행하는 일괄공정을 통하여 와이어의 생산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0)가 권취되는 제1권취휠(120)은 그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120b)을 통하여 회전할때 상기 회전축(120b)의 단부에 연결되는 마찰판(120a)이 스프링(140)이 개재되는 마찰패드(130)에 의해 밀착되어 권취휠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이 작용하여 제1권취휠(120)에서 풀러나가는 와이어(150)의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마찰패드(130)의 일측에 더 설치되는 브레이크판(130-1)에 의해 다시한번 더 풀려나가는 와이어의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판(130-1)은 회전노브(미도시)의 회전시 스프링(140-1)을 압축시켜 와이어(150)가 지지되는 회전휠(120-1)의 회전력을 조절하도록 되고, 상기 회전휠(120-1)은 회전축(120b-1)을 통하여 연결될때 그 일단에 마찰판(120a-1)이 연결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는 브레이크판(130-1)과 대응됨으로써 일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와이어(150)은, 길게 늘러뜨려 연결될때 그 길이방향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70)가 설치되어 직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수평및 수직방향의 이송방향이 수평및 수직방향에서 접촉면을 갖는 복수의 로울러(170a)(170b)를 통하여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5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휠(180b)에 접촉되어 그 장력이 조절되며, 상기 회전휠(180b)은, 볼트(180a)의 회전시 이동하는 이송블록(180d)상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블록(180d)은, 몸체에 지지되는 가이드(180e)및 이송가이드(180c)를 통하여 일정방향성을 갖으면서 상하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권취휠(120)과 제2권취휠(475) 사이에서 일정한 장력을 갖으면서 이동하는 와이어(150)는 중간재 상태로 공급되는 제1권취휠(120)에서 풀려지면서 다이스(220)를 통하여 인발되어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직경을 얻게 된다.
상기 다이스(220)는, 항상 일정량의 윤할재(O)가 공급되는 다이스몸체(210)에 장착되어 인발에 따른 열을 흡수함은 물론 열처리시 와이어의 변형을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다이스(220)를 통과하는 와이어는 이송파이프(330)에 공급되고, 상기 이송파이프(330)는 주위에 설치되는 히팅코일에 의해 일정온도에 가열되어 열처리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산화방지재를 통하여 색상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원료열처리부(300)는, 상하부커버에 다수의 히팅코일및 단열재가 내장되는 구성으로 일정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팅코일의 동작시 과열되는 이송파이프(330)는, 일단에 연결되는 장력조절편(350)이 브라켓(34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50a)에 의해 항상 인장상태를 유지하여 이송파이프(330)의 변형에 따른 와이어(150)의 직진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처리가 완료된 와이어(150)는, 일정한 장력으로 당기어 지면서 감기도록 설치되는 와이어권취부(400)에 의해 권선되며, 상기 와이어(150)는,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연속적이고 균일한 열처리가 가능하여 일정한 진직성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와이어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권취부(400)는, 열처리완료된 와이어를 일정한 인장력하에서 권취하도록 설치되는 장력조절수단(410)와 그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수단(470)로서 이루어져 인장력의 작용과 권선이 동시에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410)은, 와이어(150)을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당기도록 설치되는 구동휠(415)과 상기 구동휠(415)에 타이밍벨트(410)로서 연결되는 구동모터(411)로서 이루어져 제1권취휠(120)에 풀려지는 와이어(150)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415)에 의해 당겨지는 와이어(150)는, 권취휠(475)에 의 감게지게 되고, 상기 권취휠(475)은 수평방향으로 뉘어진 상태로 장착되면서 다단의 경사면(S1)(S2)를 갖도록 되어 권취되는 와이어(150)가 수평방향으로 순차로 공급되어 권선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차이나 권선불량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권취휠(475)은, 과다한 부하의 발생시 권취휠(475)이 구동벨트(473)상에 미끌림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슬립됨으로써 과다한 부하에 따른 열처리불량 이나 이에따른 진직성불량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473)를 지지하는 장력조절휠(477)은, 볼트(180a)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송블록(180d)상에 지지되어 그 장력이 조절되어 미끌림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구동모터(411)(471)의 회전력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일정하게 도시되고, 상기 와이어(150)의 이송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자동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을 단순화되어 전체 제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와이어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의 변화없이 소정의 진직도를 갖는 와이어를 생산할수 있고, 일괄공정에 의해 진직도를 갖는 와이어를 생산하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권취되는 와이어의 권취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실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더 넓은 측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 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것으로부터 이제 명백하게 될 것이며,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내에서 행해지는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이다.
도1은 일반적인 선재의 압연공정을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2는 종래의 선재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는 선재의 압연 공정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를 도시한 공정도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와이어 중간재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와이어 인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열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권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제조장치의 권취휠을 도시한 단면도
도9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제1권취휠 130...마찰패드
150...와이어 160...크러너부재
170...가이드부재 220...다이스
230...와이어인입홀 330...이송파이프
370...공급배관 477...장력조절휠

Claims (11)

  1. 삭제
  2. 신선공정을 수행한 와이어(150)가 권취되는 제1권취휠(120)이 일측에 돌출되는 회전축을(120b)을 통하여 프레임(110)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원료공급부(100)와,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50)를 목적에 적합한 직경으로 가공하도록 다이스(220)를 갖는 다이스몸체(210)가 설치되고, 상기 다이스몸체(210)는 일측에 인입홀(230)이 형성되며, 내부에 윤할재(O)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료인발부(200)와, 상기 와이어(150)를 일정한 인장상태에서 열처리하도록 내측에 단열재가 충진되면서 히팅코일을 구비하는 상부커버(310)와 하부커버(320)로서 구성되며, 내측에 와이어(150)가 이동되는 이송파이프(330)가 고정되는 원료열처리부(300) 및, 열처리 완료된 와이어를 일정한 장력하에서 권취하도록 장력조절수단(410)이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일측에서 배출되는 와이어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권취하도록 권취수단(470)이 구비되는 와이어권취부(400)를 포함하는 와이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100)의 회전축(120b) 일측에는 마찰판이 구비되어 이 마찰판에는 스프링(140)으로서 탄력지지되는 마찰패드(130)가 면접촉토록 연결되며,
    상기 제1권취휠(120) 후방에는 이 제1권취휠(120)으로부터 풀려지는 와이어(150)의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와이어(150)가 지지되는 회전휠(120-1)과, 상기 회전휠(120-1)에 회전축(120b-1)을 통하여 연결되는 마찰판(120a-1)과, 상기 마찰판(120a-1)에 스프링(140-1)의 탄성을 통하여 밀착력이 조절토록되는 브레이크판(130-1)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120b-1)은 프레임(110-1)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휠(120-1) 후방에는 이동되는 와이어(15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볼트(180a)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블록(180d)상에 회전휠(180b)이 구비되어 와이어(150)를 지지하되, 상기 이송블록(180d)은, 몸체에 지지되는 가이드(180e)를 통하여 승하강하며, 이송가이드(180c)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끔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15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권취휠(120)의 일측에는 크리너부재(16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50)의 이송선상에는 와이어(150)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가변량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로울러(170a)(170b)로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170)가 적어도 복수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이송파이프(330) 일측에는 그 일단이 브라켓(34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50a)을 개재하여 장력조절편(350)이 설치되고,
    상기한 장력조절수단(410)은, 와이어(150)을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당기도록 설치되는 구동휠(415)과, 상기 구동휠(415)에 타이밍벨트(410)로서 연결되는 구동모터(411)로서 이루어 지며,
    상기한 권취수단(470)은, 와이어(150)을 권취하도록 설치되는 제2권취휠(475)과, 상기 제2권취휠(475)에 구동벨트(473)로서 연결되면서 일측의 장력조절휠(477)로서 장력이 조절되는 구동모터(471)로서 이루어 지되, 상기 장력조절휠(477)은, 볼트(180a)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블록(180d)상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블록(180d)은, 몸체에 지지되는 가이드(180e)를 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이송가이드(180c)에 의해 지지토록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취휠(475)은,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면서 길이방향에 이탈방지턱(475a)과 제1,2경사면(S1,S2)을 순차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KR10-2003-0050767A 2003-07-23 2003-07-23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KR10053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67A KR100537908B1 (ko) 2003-07-23 2003-07-23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67A KR100537908B1 (ko) 2003-07-23 2003-07-23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24U Division KR200330800Y1 (ko) 2003-07-23 2003-07-23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601A KR20050011601A (ko) 2005-01-29
KR100537908B1 true KR100537908B1 (ko) 2005-12-22

Family

ID=3722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767A KR100537908B1 (ko) 2003-07-23 2003-07-23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9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04B1 (ko) * 2009-03-19 2012-02-28 조태구 스프링 성형장치
KR101418493B1 (ko) 2013-10-02 2014-07-14 최진문 금속 세선 진직와이어 권취장치
KR101829237B1 (ko) * 2017-03-07 2018-03-30 신상민 단조성형기의 연강선재 공급장치
KR20230039206A (ko) 2021-09-14 2023-03-21 황원식 드럼리스 용접용 와이어 권출 시스템 및 권출 방법
KR20230039204A (ko) 2021-09-14 2023-03-21 황원식 드럼리스 용접용 와이어 권취 시스템 및 권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57B1 (ko) * 2007-02-22 2008-12-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극세선용 인 라인 어닐링 장치
KR101123360B1 (ko) * 2008-08-01 2012-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세선의 연속제조장치
KR101972456B1 (ko) * 2017-07-17 2019-04-25 홍덕산업(주) 직선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 보강용 스틸코드와 단일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317B1 (ko) * 2018-04-25 2019-09-18 이도일 자동차 케이블용 와이어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
CN111816367A (zh) * 2019-04-12 2020-10-23 斯帕有限公司 用于电线处理的热分布管理装置
KR102059095B1 (ko) * 2019-07-02 2019-12-24 홍덕산업(주) 직선 품질이 우수한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4704B1 (ko) * 2019-12-17 2020-12-01 홍덕산업(주) 직선 품질이 우수한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274442B (zh) * 2022-12-27 2023-11-10 江阴市华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表面清理机构的全自动拉丝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04B1 (ko) * 2009-03-19 2012-02-28 조태구 스프링 성형장치
KR101418493B1 (ko) 2013-10-02 2014-07-14 최진문 금속 세선 진직와이어 권취장치
KR101829237B1 (ko) * 2017-03-07 2018-03-30 신상민 단조성형기의 연강선재 공급장치
KR20230039206A (ko) 2021-09-14 2023-03-21 황원식 드럼리스 용접용 와이어 권출 시스템 및 권출 방법
KR20230039204A (ko) 2021-09-14 2023-03-21 황원식 드럼리스 용접용 와이어 권취 시스템 및 권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601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908B1 (ko)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CN103030026B (zh) 线条体卷绕卷筒、线条体卷取方法以及线条体卷取装置
KR101871246B1 (ko) 강판 표면처리장치
RU2009113247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330800Y1 (ko) 진직성을 갖는 와이어의 제조장치
JP4924538B2 (ja) 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739862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용 소둔로의 스트립 장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088204A (ja) マグネシウム合金薄板熱間圧延装置
CN117025914A (zh) 一种纳米晶带材拉力取向方法及拉力取向热处理设备
KR20140080367A (ko) 스테인리스 소둔 루퍼의 와이어 쏠림 방지 시스템
KR100379185B1 (ko) 동선 압연기 및 그 압연방법
KR20200075253A (ko)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제조장치
KR101060819B1 (ko) 압연소재용 이동형 가이드장치
KR101008136B1 (ko)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JP2014161896A (ja) 高品質化極薄鋼帯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極薄鋼帯の高品質化方法
KR20150056096A (ko) 용융도금포트의 롤장치
RU25497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формации проволоки из стали, линия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ысокопрочной проволоки из стали
JP4331833B2 (ja) ストリップの巻取方法
JP2006130568A (ja) ストリップの巻取り時のロールギャップ調整方法
US3454268A (en) Direct heat-treating apparatus for hot-rolled wire rods
CN218403112U (zh) 一种钢丝收卷装置
CN114523000B (zh) 焊管在线连续生产系统
CN218893818U (zh) 一种气动除尘结构防折皱的热轧机
JP2002285231A (ja) 部分的に加熱制御する誘導加熱による鋼材の熱処理方法と装置
CN110699794B (zh) 一种用于生产高强阻燃dty的加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