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464B1 -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464B1
KR100537464B1 KR10-2002-0070547A KR20020070547A KR100537464B1 KR 100537464 B1 KR100537464 B1 KR 100537464B1 KR 20020070547 A KR20020070547 A KR 20020070547A KR 100537464 B1 KR100537464 B1 KR 10053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mpressed air
pinion gear
pow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588A (ko
Inventor
채찬복
Original Assignee
채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찬복 filed Critical 채찬복
Priority to KR10-2002-007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4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파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시공이 쉽고 시공비가 기존에 비해 현저히 저렴하여 매우 실용적이고 현실성이 있고, 부구의 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간단하여 그 응답성이 매우 뛰어난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구(1)의 상하운동을 동력변환부(21)의 동력전달단속부재(30)에서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면 이를 이용하여 압축공기생성부(50)와 압력제어부(91)에서 일정압력의 압축공기를 생산 제어한 후, 이를 발전부(81)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있어서, 연결대(99)에 의해 부구(1)와 연결된 제 1렉기어(2)가 방파제(10)상에 수직 고정된 제 1가이드레일(7)을 따라 승, 하강되면서 치결합된 제 1피니언기어(4)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 1피니언기어(4)와 동일축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 2 피니언기어(5)가 회전되면 제 2랙기어(6)는 방파제(10)상에 수직 고정된 제 2 가이드레일(17)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와이어(25)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30)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30)는 제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이 각각 제 1걸림쇠(32)와 제 1래칫휠(31),제 2걸림쇠(34)와 제 2래칫휠(33)에 의해 샤프트(27)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WAVES}
본 발명은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파제에 설치되어 파도에너지를 압축공기라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발전기를 구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에는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일부 특정지역에서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법 외 다른 발전방법들은 그 발전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엄청난 량의 자원(수력, 화력, 원자력 등)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고, 이 엄청난 량의 자원은 이용할 수 있는 량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대체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하여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이나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 들이 개발되어 인류에 커다란 이익을 안겨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력 또는 태양열 등의 대체에너지를 이용하는 데에는 특히 지역적인 한계가 있고, 이 대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는 고도의 기술력과 설치비용 등을 요구하게 된다.
더욱이, 대체에너지 중 파도에너지는 풍력이나 태양열에 비해 지역적인 한계가 없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으나, 다른 에너지에 비해 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4704호(1996. 09. 04 등록)의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는 구동부와 압축공기저장부 그리고 발전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는 파도에 의해 상, 하 구동되는 다수의 부구를 이용하여 다수의 실린더에서 압축공기를 생산하게 되고, 압축공기 저장부는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다수의 압축탱크에 저장하며, 발전부는 압축공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파고의 변화에 대해 부구의 위치전환이 더디어 부구가 수면에 위치하지 못하고 수면 위에 위치하거나 수면 밑에 위치하게 되고, 결국 파도에 의한 부구의 상, 하 구동운동이 충분치 못하여 실린더에 의한 압축공기의 생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유발시키게 되며, 이는 전기의 생산성 저하와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압축공기 저장부에서 발전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발전부의 샤프트가 불규칙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서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이때, 압축공기 저장통은 부구의 상하위치를 변화하는 파고에 맞도록 전환시키게 되고, 이로써 파도에 의한 부구의 상하구동을 더욱 원활히 하게 된다.
더욱이, 압력제어부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발전부에 공급함으로써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나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모두가 일정 깊이의 바다 속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난해 하는 등 그 현실성 내지 실용성에 매우 문제가 많다.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도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동기어(104)와 피니언기어(105)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렉기어(106)를 상하강시키게 되고, 렉기어(106)의 상하강운동은 와이어(25)에 의해 동력전달단속 부재(30)에 전달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단속부재(30)에서 생성되는 회전운동은 압축공기생성부와 압력제어부를 거치면서 압축공기로 변환되어 발전부에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나, 이러한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또한 바다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시공이 난해 하는 등의 실용성 내지 현실성이 떨어지고, 치 결합되는 구동기어(102)와 종동기어(104)그리고 피니언기어(105)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의 경우 부구(101)의 상하구동을 구동기어(102)에서 일정범위내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그 운동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은 방파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시공이 쉽고 시공비가 기존에 비해 현저히 저렴하여 매우 실용적이고 현실성이 있으며, 부구의 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간단하여 그 응답성이 매우 뛰어난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구의 상하운동을 동력변환부의 동력전달단속부재에서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이를 이용하여 압축공기생성부와 압력제어부에서 일정압력의 압축공기를 생산 제어한 후, 이를 발전부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있어서, 연결대에 의해 부구와 연결된 제 1랙크기어와 방파제상에 수직 고정된 제 1가이드레일을 따라 승, 하강 되면서 치 결합된 제 1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 1피니언기어와 동일 축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 2피니언기어가 회전되면 제 2랙크기어는 방파제 상에 수직 고정된 제 2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 되면서 와이어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30)는 제1드럼(26) 및 제2드럼(26-1)이 각각 제 1 걸림쇠(32)와 제 1 래칫휠(31), 제 2 걸림쇠(34)와 제 2래칫휠(33)에 의해 샤프트(27)를 한 방향으로 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내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 쌍의 제 1 가이드레일(7)을 방파제(10)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고정 설치하되,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배열하게 된다.
이때, 제 1 랙크기어(2)는 롤러(9,9-1)에 의해 각 제 1 가이드레일(7)을 따라 상하이동을 하게 되고, 각 제 1랙크기어(2)에 부구(1)가 연결빔(99)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부구(1)가 파도에 의해 상승되거나 그 자중에 의해 하강됨에 따라 제 1랙크기어(2)가 제 1 가이드레일(7)을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그리고, 제 1 피니언기어(4)와 제 2 피니언기어(5)가 동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제 1 피니언기어(4)는 제 1 랙크기어(2)와 치결합되어 있고, 제2 피니언기어(5)는 제 2 랙기어(6)와 치결합되어 있다.
결국 각 부구(1)에 의해 제 1 랙기어(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그 이동방향에 따라 제 1 피니언기어(4)가 좌우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제 2 피니언기어(5)또한 회전하게 되면서 제 2 랙크기어(6)를 제 1 랙크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피니언기어(4)와 제 2 피니언기어(5)는 서로 상당한 직경 (약1:5정도)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1랙크기어(2)의 작은 상하이동거리에도 제 1 피니언기어(4)와 제 2 피니언기어(5)의 직경비 만큼 크게 증대되어 제 2 랙크기어(6)를 증대된 상하 이동거리로 승,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2 랙크기어(6)는 다수의 롤러(19,19-1)에 의해 각 제 2 가이드레일(17)을 따라 상하 구름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동력변환부(21)는 각 부구(1)의 상하방향의 운동에너지를 회전운동 에너지로 변환 다시 말하면, 파도의 상승 시 부구(1)가 상승되면서 주축(40)을 설정된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지만 파도의 하강 시에도 부구(1)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마찬가지로 주축(40)을 설정된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압축공기생성부(50)에서 주축(40)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콤프레서(61)를 구동하게 되며, 콤프레서에서 압축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변환부(2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각 샤프트(27)는 각 제 2 랙크기어(6)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베이스프레임의 베어링블록(29)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각 샤프트(27)는 동력전달단속부재(30)에 의해 각 부구(1)의 상하운동을 회전방향(47)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즉, 각 샤프트(27)에는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이 공회전(Idle)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2 래칫휠(31,33)은 각 샤프트(27)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의 일 측면에는 각각 제 1,2,걸림쇠(32,34)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 제 1,2,걸림쇠(32,34)는 각각 제 1,2래칫휠(31,33)의 톱니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의 회진방향에 따라 제 1, 2드럼과 제 1,2,래칫휠(31,33)의 연결을 단속(斷續)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드럼(26)또는 제 2 드럼(26-1)이 회전방향(47)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 1 걸림쇠(32) 또는 제 2 걸림쇠(34)가 각각 제 1 래칫휠(31)또는 제 2 래칫휠(34)의 톱니에 맞물리면서 제 1 드럼 또는 제 2 드럼의 회전을 제 1 래칫휠 또는 제 2 래칫휠에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27)가 회전방향(47)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제 1 드럼(26)또는 제 2 드럼(26-1)이 회전방향(47)의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 1 걸림쇠(32)또는 제 2 걸림쇠(34)가 각각 제 1래칫휠(31)또는 제 2 래칫휠(34)의 톱니를 따라 공회전되면서 제 1 드럼 또는 제 2 드럼의 회전을 제1래칫휠 또는 제 2 래칫휠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 결국 제 1 드럼 또는 제 2 드럼은 회전방향(47)으로 구동되는 샤프트(27)와 서로 공회전 상태를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드럼(26)또는 제 2 드럼(26-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25)는 그 일단(25-1)이 제2랙기어(6)의 상단 면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다시 제1드럼(26)에 권취된 다음, 2개의 도르레(23)에 차례로 감기며, 제 2드럼(26-1)에 권취된 후, 활차(35)에 감긴 상태로 그 타단(25-2)이 제 2 랙기어(6)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이때, 2개의 도르레(23)는 제 2 가이드레일(17)의 상부고정빔(18)에 고정 설치된 인장스프링(24)에 의해 탄성적으로 당겨지면서 와이어(25)의 텐션을 유지시키게 되고, 활차(35)는 제 2 랙기어(6)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제 2 가이드레일(17)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구(1)가 파고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제 1 랙기어(2)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 1,2 피니언기어(4,5)에 의해 제 2 랙기어(6)가 하강되면서 와이어(25)의 일단(25-1)이 당겨지면 제 2랙기어(6)의 하강거리만큼 와이어의 일단과 제1드럼 사이의 와이어(25)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1 드럼(26)을 회전방향(4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와이어를 권해시키게 된다.
그러나, 제 1 드럼(26)이 회전방향(47)의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 1 걸림쇠(32)가 제 1래칫휠(31)의 톱니를 따라 공회전 되면서 제 1 드럼의 회전을 제 1 레칫휠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 결국 제 1 드럼은 회전방향(47)으로 구동되는 샤프트(27)와 서로 공회전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회전방향(4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드럼(26)은 와이어(25)의 일단(25-1)측으로 와이어를 권해하는 동시에 도르레(23)측의 와이어를 당기어 권취 하게 된다.
따라서, 제 1드럼(26)에서 와이어(25)를 권취하게 되면 제 2드럼(26-1)의 권취 와이어가 권해되면서 제 2 드럼을 회전방향(47)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드럼(26-1)이 회전방향(47)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 2 걸림쇠(34)가 제 2 래칫휠(34)의 톱니에 맞물리면서 제 2 드럼의 회전을 제2래칫휠에 전달시키게 되고, 결국 샤프트(27)를 회전방향(47)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방향(47)으로 회전되는 제 2드럼(26-1)은 도르레(23)측으로 와이어(25)를 권해하는 동시에 와이어의 타단(25-2)이 하강한 만큼 와이어를 당기어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부구(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제 1 랙기어(2)또한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랙기어(6)가 상승되면서 와이어(25)의 타단(25-2)이 당겨지면 제 2 랙기어(6)의 상승거리만큼 와이어의 타단과 활차(35) 사이의 와이어(25)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드럼(26-1)을 회전방향(4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어 권해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2 드럼(26-1)이 회전방향(47)의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도면 제 2 걸럼쇠(34)가 제 2 래칫휠(33)의 톱니를 따라 공회전되면서 제 2 드럼의 회전을 제 2 래칫휠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 결국 제 2 드럼은 회전방향(47)으로 구동되는 샤프트(27)와 서로 공회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회전방향(4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드럼(26-1)은 와이어(25)의 타단(25-2)측으로 와이어를 권해하는 동시에 도르레(23)측의 와이어를 당기어 권취하게 된다.
따라서, 제 2드럼(26-1)에서 와이어(25)를 권취하게 되면 제 1드럼(26)의 권취 와이어가 권해되면서 제 1 드럼을 회전방향(47)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드럼(26)이 회전방향(47)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 1 걸림쇠(32)가 제 1 래칫휠(31)의 톱니에 맞물리면서 제 1 드럼의 회전을 제 1 래칫휠에 전달하게 되고, 결국 샤프트(27)를 회전방향(47)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방향(47)으로 회전되는 제1드럼(26)은 도르레(23)측으로 와이어(25)를 권해하면서 와이어의 일단(25-1)이 상승한 만큼 와이어를 당기어 권취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다수의 부구(1)가 상, 하 구동 할 때마다 동력전달단속부재(30)에 의해 회전구동으로 변환되어 샤푸트(27)를 설정된 한 방향 예컨대, 회전방향(47)으로만 구동하도록 구동되어 있다.
한편, 제1드럼(26) 또는 제 2드럼(26-1)에 의해 회전방향(47)의 구동되는 샤프트(27)에는 그 일 측편에 구동기어(28)가 결합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28)는 주축(40)의 종동기어(41)와 치결합되면서 샤프트의 구동력을 종동기어를 통해 주축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압축공기생성부(50)에서 주축(40)은 방파제(10)의 압축공기저장통(1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되, 베어링블록(4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다수개의 종동기어(41)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주축(40)의 각 종동기어(41)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구동기어(28)와 동시에 치결합되어 샤프트(27)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구동기어(28)와 종동기어(41)를 통해 샤프트(27)의 구동력이 주축(40)에 전달되면 주축은 회전방향(49)으로 구동되면서 구동풀리(또는 스프로켓)(52)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풀리(또는 스프로켓)(52)의 구동력은 벨트(또는 체인)(54)에 의해 종동풀리(또는 스프로켓)(53)에 전달되고, 종동풀리(53)가 구동축(62)을 구동시키면서 콤프레서(61)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콤프레서(61)에서는 구동축(62)에 의해 구동되면서 압축공기라는 동력을 생산하게 되고, 이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관(71)과 바이패스관(72)으로 균등 하게 분배되어 공급되어진다.
여기서, 압축공기공급관(71)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압력제어부(91)를 거쳐 발전부(81)에 공급되고, 바이패스관(7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연결호스(6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압축공기 저장통(11)에 각각 저장된다.
이처럼 압축공기 저장통(11)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그 압력이 콤프레서(61)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보다 크면 언제나 바이패스관(72)을 통해 배출되어 압축공기공급관(71)으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압력제어부(91)는 압측공기공급관(71)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공급관(71)상에 설치된 저장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공급밸브(73)를 통해 발전부(81)에 공급되는 동시에 연결파이프(93)를 통해 에어실린더(94)에 공급되는데, 에어실린더(94)에서는 연결파이프(93)를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파스톤로드(95)를 전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에어실린더(94)에 구비된 흡배기구(99)는 피스톤로드(95)의 원활한 전, 후진을 위해 에어실린더내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에어실린더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공기공급관(71)상에 설치되는 볼밸브(96)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이고, 이 볼밸브의 개폐정보를 스위칭 하는 레버(96)는 피스톤로드(95)와 압축스프링(98)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피스톤로드(95)와 압축스프링(98)은 레버(9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어 있어 에어실린더(9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압축스프링(98)의 탄성력보다 크면 피스톤로드(95)가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전진되어 볼밸브(96)의 개방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레버를 밀게 되고, 이로써 공기통(92)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에어실린더(9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압축스프링(98)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압축스프링이 레버(96)를 피스톤로드(95)측으로 밀게 되고, 이로써 볼밸브(96)는 레버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그 개방정도가 커지면서 압축공기의 공급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처럼 압력제어부(91)는 피스톤로드(95)와 압축스프링(98)사이에서 발생되는 힘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레버(96)를 스위칭 하게 되고, 볼밸브(96)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압축공기공급관(94)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압력제어부(91)사이에는 압축스프링(98)의 압축탄성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설정할 경우 공기통(92)에 저장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압축공기공급관(71)을 통해 발전부(81)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제어부(91)에서 일정한 압력을 갖도록 제어된 압축공기는 공기통(92)에서 공급되어 개방된 압축공기 공급밸브(73)를 통해 발전부(81)에 공급된다.
이때, 발전부(81)에서는 압축공기공급밸브(73)를 통해 공급되는 일정압력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실린더(82)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 실린더(82)의 전후왕복운동을 샤프트(83)에서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발전기(85)를 구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방파제에 시공이 가능하여 그 실용성이 매우 뛰어나고, 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생산효율이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구성도.
도 2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부구 10 : 방파제21 : 동력변환부 30 : 동력전달단속부재50 : 압축공기생성부 81 : 발전부91 : 압력제어부 100 : 상하강안내부
삭제
삭제

Claims (1)

  1. 부구(1)의 상, 하 운동을 동력변환부(21)의 동력전달단속부재(30)에서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면 이를 이용하여 압축공기생성부(50)와 압력제어부(91)에서 일정압력의 압축공기를 생산 제어한 후, 이를 발전부(81)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있어서,
    연결대(99)에 의해 부구(1)와 연결된 제1랙크기어(2)가 방파제(10)상에 수직 고정된 제1가이드레일(7)을 따라 상, 하강되면서 치결합된 제 1피니언기어(4)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피니언기어(4)와 동일축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2피니언기어(5)가 회전되면 제 2랙크기어(6)는 방파제(10)상에 수직 고정된 제 2가이드레일(17)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와이어(25)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30)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동력전달단속부재(30)는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이 각각 제 1걸림쇠(32)와 제 1래칫휠(31), 제 2걸림쇠(34)와 제 2래칫휠(33)에 의해 샤프트(27)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1드럼(26) 및 제 2드럼(26-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25)는 그 일단(25-1)이 제2랙기어(6)의 상단 면에 연결 고정되고, 다시 제1드럼(26)에 권취된 다음, 고정빔(18)에 인장스프링(24)를 매개로 연결되는 2개의 도르레(23)에 차례로 감기며 제 2드럼(26-1)에 권취된 후, 활차(35)에 감긴 상태로 그 타단(25-2)이 제 2랙기어(6)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02-0070547A 2002-11-13 2002-11-13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53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47A KR100537464B1 (ko) 2002-11-13 2002-11-13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47A KR100537464B1 (ko) 2002-11-13 2002-11-13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40U Division KR200298462Y1 (ko) 2002-09-24 2002-09-24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88A KR20040026588A (ko) 2004-03-31
KR100537464B1 true KR100537464B1 (ko) 2005-12-19

Family

ID=3732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47A KR100537464B1 (ko) 2002-11-13 2002-11-13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4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45B1 (ko) 2006-05-30 2008-02-19 채찬복 파력을 이용한 보조 동력장치
KR100881787B1 (ko) 2006-04-19 2009-02-03 채찬복 선박용 자가 동력발생장치
KR100887372B1 (ko) * 2006-05-02 2009-03-05 채찬복 선박용 자가 동력발생장치
KR101958570B1 (ko) 2017-10-25 2019-06-24 박명곤 파도를 이용한 수력발전 플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73B1 (ko) * 2005-12-23 2006-12-13 (주)월드비텍 물의 낙차를 이용한 펌핑시스템
WO2014034984A1 (ko) * 2012-09-03 2014-03-06 Jun Wonchul 보조부력장치에 의한 무전복선에서, 주선체의 연결점 위치를 높이는 레일장치
KR101492901B1 (ko) * 2012-11-15 2015-02-23 박혜경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1492897B1 (ko) * 2012-11-15 2015-02-23 박혜경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1492893B1 (ko) * 2013-01-18 2015-02-23 박혜경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1525435B1 (ko) * 2013-03-07 2015-06-09 김종근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1389488B1 (ko) * 2013-07-31 2014-04-29 주식회사 인진 동력변환장치
KR101602901B1 (ko) 2014-04-18 2016-03-14 주식회사 인진 파력발전용 동력변환장치
RU2631349C2 (ru) 2013-07-31 2017-09-21 Инджин,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KR101583790B1 (ko) * 2014-03-19 2016-01-08 김영생 수압 변환형 동력 발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87B1 (ko) 2006-04-19 2009-02-03 채찬복 선박용 자가 동력발생장치
KR100887372B1 (ko) * 2006-05-02 2009-03-05 채찬복 선박용 자가 동력발생장치
KR100803645B1 (ko) 2006-05-30 2008-02-19 채찬복 파력을 이용한 보조 동력장치
KR101958570B1 (ko) 2017-10-25 2019-06-24 박명곤 파도를 이용한 수력발전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88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464B1 (ko)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TW20092320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wave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20070292259A1 (en) Floating power plant for extracting energy from flowing water
WO2003098033A1 (en) An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from ocean tides / wave motion (sagar lehar vidyut shakti)
JP2002502926A (ja) 運動エネルギ生産機械
KR200298462Y1 (ko)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CN102713259B (zh) 波浪流装置及其方法
CN103670891B (zh) 一种波浪发电装置
WO2019205529A1 (zh) 功率可调式波浪发电机
WO2017197847A1 (zh) 重力发电机
CN202690315U (zh) 波浪能转换装置
KR100398491B1 (ko)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CN111963366A (zh) 一种回转升降式潮流能发电装置
CN209976692U (zh) 一种岸基杠杠式海浪发电装置
CN110594084A (zh) 自动定向水浪提升发电设备
KR100395401B1 (ko)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N108798984A (zh) 点吸收式波浪能发电装置及方法
CN107178464A (zh) 利用海浪发电的发电装置
CN112953361A (zh) 一种带风力发电的伸缩式太阳能发电装置
CN207145123U (zh) 利用海浪发电的发电装置
KR960007103B1 (ko)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N111058997A (zh) 一种双扇叶可浇灌风力发动机
CN219034894U (zh) 一种潮汐能发电水轮机组
KR200262160Y1 (ko)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N109931222A (zh) 一种风电发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