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192B1 -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192B1
KR100537192B1 KR10-2002-0086615A KR20020086615A KR100537192B1 KR 100537192 B1 KR100537192 B1 KR 100537192B1 KR 20020086615 A KR20020086615 A KR 20020086615A KR 100537192 B1 KR100537192 B1 KR 10053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magnesium
substrate
diborate
mg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091A (ko
Inventor
길덕신
하승철
임관용
조흥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8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1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856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metal borides, e.g. MgB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29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10Junction-based devices
    • H10N60/12Josephson-effect devices
    • H10N60/126Josephson-effect devices comprising metal borides, e.g. MgB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H10N60/855Ceramic super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증착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MgB2) 박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면적화 및 양산에 유리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원자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한 MgB2 박막화 방법을 제안한다. ALD 공정을 통해 MgB2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소스 물질로는 예컨대, Mg(thd)2와 B2H 6를 사용하며, 이들 물질을 교대로 반응기 내에 플로우 시킴으로써 기판 표면에서의 교환반응(Exchange Reaction)을 유도하여 MgB2 박막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magnesium diborate film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증착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MgB2) 박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MgB2는 절대 온도 39K에서 초전도 특성을 보이는 고온 초전도 물질로서, SQUID(양자 간섭소자)를 사용하는 초고속 슈퍼컴퓨터, 마이크로파 통신, 뇌파 측정장치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박막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의 박막화는 매우 최근에서야(2002년) 성공이 되었음이 보고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조법도 기존의 PLD(Pulsed Laser Deposiution),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물리적 증착법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대면적화나 양산 측면 등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MgB2 박막 증착 공정은 박막 증착 전 MgB2 스퍼터링 타겟(Sputtering Target)이나 펠릿(Pellet)의 제조가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MgB2 박막을 상용화된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박막화 공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면적화 및 양산에 유리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그네슘 소스로서 마그네슘 원소에 디케토네이트 리간드가 결합된 물질을 공급하여 기판 상에 흡착시키는 제1 단계; 잉여 마그네슘 소스를 제거하는 제2 단계; 붕소 소스로서 붕소-수소 화합물을 공급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된 상기 마그네슘 분자와 교환 반응을 유도하는 제3 단계; 및 잉여 붕소-수소 화합물 및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원자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한 MgB2 박막화 방법을 제안한다. ALD 공정을 통해 MgB2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소스 물질로는 예컨대, Mg(thd)2와 B2H6를 사용하며, 이들 물질을 교대로 반응기 내에 플로우 시킴으로써 기판 표면에서의 교환반응(Exchange Reaction)을 유도하여 MgB2 박막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gB2 박막 형성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MgB2 박막 형성 공정은,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0)을 반응기에 로딩하고, 반응기 내에 Mg 소스 물질인 Mg(thd)2를 플로우시켜 Mg(thd)2 분자가 실리콘 기판(100) 표면에 흡착(Adsorption)되도록 한다. 흡착반응은 일정한 커버리지를 보이게 되며 그이상 공급된 소스 분자는 흡착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잉여로 남게 된다. 따라서, 반응기 내에 아르곤(Ar) 또는 질소(N2) 등의 비활성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잉여의 Mg(thd)2 분자를 제거한다. 보통 이와 같은 과정을 퍼지(Purge)라고 한다.
위에서 Mg(thd)2의 리간드(Ligand)인 (thd)는 테트라메틸헵탄디케토네이트(Tetramethylheptanediketonate, OC11H19)를 나타낸 것이며, (thd) 외의 다른 디케토네이트 물질을 리간드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 내에 B 소스 물질인 B2H6를 공급하여(이 외의 다른 붕소-수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농도 조절을 위해 H2에 이 소스 물질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0)에 흡착된 Mg(thd)2 분자와 교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때, 실리콘 기판(100)에 흡착된 Mg(thd)2의 (thd)와 B2H6의 H가 반응하여 제거되고, B2H5가 실리콘 기판(100)에 잔류하는 Mg 위에 흡착된다. 이때 발생한 H(thd) 및 반응하고 남은 B2H6는 퍼지해 낸다. 도 2 이하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Mg를 'M'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MgB2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후속 Mg(thd)2 공급에 의한 B2H5의 H 제거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0) 상에 단위 MgB2층과 Mg(thd)2 분자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 화학 반응을 정리하면 하기의 반응식 1 및 2와 같다.
Mg-(thd)(Surface) + B2H6(gas)--> Mg-B2H5(surface) + H(thd)(gas)
Mg-B2H5(surface) + Mg(thd)2(gas) --> MgB2-Mg(thd)(surface) + H(thd)(gas)
전술한 ALD 공정에서 반응 소스의 공급 시간은 0.1∼10초 범위에서 제어하며, 퍼지 시간 역시 0.1∼10초의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의 온도는 100∼40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되어야만 Mg(thd)2 소스 자체의 열분해에 의한 기상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반응 온도를 낮추고 교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B2H6를 공급하는 단계에서 플라즈마를 만들어 단속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B2H6의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놓여 있는 반응기 내에 RF 전극을 설치하여 플라즈마를 직접 여기하는 방식과 외부의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통해 형성된 B2H6의 플라즈마를 유도관을 통해 반응기 내로 공급하는 방식(원격 플라즈마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플라즈마 형성을 위해 50∼400W의 파워를 사용한다.
한편, 형성된 MgB2 박막의 결정화를 위해서는 후속 열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기판 상에 MgB2 박막을 증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SiO2, GaAs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기판 상에 MgB2 박막을 증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미반응 소스 및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퍼지를 수행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퍼지를 대신하기 고진공 배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최근 초전도 분야에서 가장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MgB2 박막의 박막화를 단원자증착 공정을 통해 구현한 것으로, MgB2 박막의 대면적화 및 양산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gB2 박막 형성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리콘 기판

Claims (10)

  1. 삭제
  2. 마그네슘 소스로서 마그네슘 원소에 디케토네이트 리간드가 결합된 물질을 공급하여 기판 상에 흡착시키는 제1 단계;
    잉여 마그네슘 소스를 제거하는 제2 단계;
    붕소 소스로서 붕소-수소 화합물을 공급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된 상기 마그네슘 분자와 교환 반응을 유도하는 제3 단계;
    잉여 붕소-수소 화합물 및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수행 후 생성된 박막에 대해 결정화 열처리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소스는 Mg(thd)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수소 화합물은 B2H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 기판, SiO2 기판, GaAs 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단계는 각각 0.1∼1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100∼400℃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단계에서 각각 고진공 펌핑 또는 퍼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2H6는 농도 조절을 위해 H2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다이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KR10-2002-0086615A 2002-12-30 2002-12-30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KR10053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615A KR100537192B1 (ko) 2002-12-30 2002-12-30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615A KR100537192B1 (ko) 2002-12-30 2002-12-30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091A KR20040060091A (ko) 2004-07-06
KR100537192B1 true KR100537192B1 (ko) 2005-12-16

Family

ID=3735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615A KR100537192B1 (ko) 2002-12-30 2002-12-30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1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091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5692B2 (ja) 薄膜形成方法
JP4515422B2 (ja) Ge−Sb−Te薄膜蒸着方法
US8283744B2 (en) Molybdenum-doped indium oxide structures and methods
KR100539274B1 (ko) 코발트 막 증착 방법
TW201903847A (zh) 含有鉬之低電阻係數膜
JP2005537638A5 (ko)
US7927996B2 (en) Tungsten-doped indium oxide structures and methods
US9382270B2 (en) Substituted silacyclopropane precursors and their use for the deposition of silicon-containing films
TW201323647A (zh) 利用包含鉿或鋯之前驅物之膜的原子層沉積
KR20020044422A (ko) 원자층 증착 방법에 의한 박막 형성 방법
JP2008311631A (ja) 化学気相堆積プロセスを用いて高k誘電物質を堆積させる方法
US20220139713A1 (en) Molybdenum deposition method
WO2001066834A3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for fabricating layered superlattice materials
WO2002000968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sceptor, a susceptor thus obtained and its application
KR100537192B1 (ko) 단원자 증착 공정을 이용한 마그네슘 다이 보레이트 박막 형성방법
JP2008166800A (ja) 金属または金属化合物の吸着装置及び方法
TW201502309A (zh) 使用二氮丁二烯基前驅物沉積含錳膜之方法
KR20210016859A (ko)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 박막의 형성방법
KR100666876B1 (ko) Ge-Sb-Te 박막증착방법
JP5468857B2 (ja) 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及びcvd装置
KR20230046995A (ko) 갭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2146A (ko)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9족 금속막의 형성 방법
KR20160146634A (ko) 금속산화물 박막의 증착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 장치
CN117558607A (zh) 晶圆刻蚀装置及其刻蚀方法
JPS61242994A (ja) 縦型気相成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