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165B1 - 압력솥 진공화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솥 진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165B1
KR100536165B1 KR10-2004-0016120A KR20040016120A KR100536165B1 KR 100536165 B1 KR100536165 B1 KR 100536165B1 KR 20040016120 A KR20040016120 A KR 20040016120A KR 100536165 B1 KR100536165 B1 KR 10053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er
main body
check valve
opening
vacuu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847A (ko
Inventor
성이제
강두환
이재용
신원호
김형종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씨 filed Critical (주)씨에스씨
Priority to KR10-2004-001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1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솥을 진공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솥의 포이즈(poise) 밸브 또는 보조 안전밸브와 같은 증기 배출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화 장치를 부착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솥을 진공화시킴으로써 압력솥 내에 담긴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함과 아울러, 식품이 쌀, 콩, 팥 등의 곡식인 경우 진공화 및 해제 과정을 반복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불릴 수 있도록 하는 진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솥 진공화 장치는 압력솥 덮개의 증기 배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압력솥의 덮개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압력솥 진공화 장치{VACUUM IMPLEMENT FOR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솥을 진공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솥의 포이즈(poise) 밸브 또는 보조 안전밸브와 같은 증기 배출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화 장치를 부착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솥을 진공화시킴으로써 압력솥 내에 담긴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함과 아울러, 식품이 쌀, 콩, 팥 등의 곡식인 경우 진공화 및 해제 과정을 반복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불릴 수 있도록 하는 진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솥은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에 의하여 솥 내부의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끓는점이 공기압 상태의 끓는점 보다 훨씬 높아지므로 음식이 충분히 완숙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압력솥은 가열원에 따라 직화를 이용하는 것과 전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기 압력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전기 압력솥(170)은 본체(172)와 덮개(171), 상기 본체(172) 내에 수용되는 오븐(177), 상기 오븐(177)의 가열을 위한 워킹코일(179a) 및 보온을 위한 히터(179b), 그리고 취사시 오븐(177)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기배출부는 그 기능에 따라 취사 도중 오븐(177) 내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개방되어 오븐(177)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포이즈밸브(poise valve)(173)와, 취사 시작 후 일정시간 후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오븐(177) 내의 압력을 낮추는 솔레노이드밸브(175)로 구성된다.
상기 포이즈밸브(173)는 덮개(171)에 관통 설치된 증기배출관(173a)과, 덮개(171)의 외부에서 상기 증기배출관(173a)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추(17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추(173b)는 그 내부에 증기배출파이프(32)를 개폐하는 밸브핀(173c)이 형성되어 있다.
직화 방식의 압력솥은 도 1의 전기 압력솥과는 달리, 전기적 장치(179a)(179b)가 불필요하고, 증기배출부와 관련해서는 포이즈밸브(173)는 동일하게 존재하지만 솔레노이드밸브(175) 대신에 보조 안전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압력솥을 이용함에 있어, 쌀이나 콩과 같은 곡식류에 있어서는 조리 전에 불리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조리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압력솥에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조리 전 또는 조리 후, 덮개를 닫아서 밀폐된 상태로 압력솥을 방치하더라도 이미 솥 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와 같은 각종 미생물에 의하여 식품이 부패할 수 있고, 각종 호기성 미생물 및 조건성(facultative)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기체분자와 음식물 사이에 산화반응을 비롯한 각종 화학반응이 일어나 음식물이 변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압력솥을 진공화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밥솥의 진공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덮개의 증기 배출구와는 별도로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를 개지하여 취사가 이루어진 후 일체로 부착된 펌프나 누름캡을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전량 배출시켜 진공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09950호(1996.12.30) 『전기밥솥의 진공 보온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쌀이 익은 후 밥의 보온 보관만을 고려한 것으로, 보온시 밥맛이 변질되고 밥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또 상기 등록특허는 전기밥솥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진공장치만을 고려하고 있어 금형의 새로운 설계와 기존 생산라인의 변경으로 인하여 생산비용이 높아져 단가 경쟁력이 떨어지고, 진공장치가 고정된 밥솥은 뚜껑의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기능과 외관상의 디자인의 생소함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선뜻 구입하기 어려움은 물론, 이미 각종 전기밥솥을 각 가정마다 거의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량 판매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는 전기밥솥의 덮개를 개방할 경우 밥솥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덮개의 개방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오븐을 가열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오븐의 하부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오븐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의 하부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 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허공개 제2000-0008520호(2000.02.07) 『전기밥솥의 진공 보온방법』이 있다.
이러한 공개특허 역시 보온시 밥맛이 변질되고 밥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만을 고려한 것이다.
또 상기 공개특허는 취사된 밥을 장시간 보온하고자 할 때 오븐 내부의 압력을 일단 대기압 보다 높인 다음 곧바로 대기압 보다 낮게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방식을 취하므로 계속적인 가열 후 진공화를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가열-진공화의 반복 횟수는 수시로 전기밥솥의 덮개를 개폐하여 내용물을 덜어낼 경우 더 증가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반복적인 가열에 의하여 밥의 맛이 변질됨은 물론, 반복적인 공기배출에 따라 밥의 수분함량이 떨어져 밥이 건조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압력솥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밥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압력솥에 담긴 식품의 조리 전 및 조리 후, 그리고 전기 압력밥솥인 경우 보온 중에 압력솥 내에 담긴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력솥의 증기 배출부에 부착되는 진공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음식물의 지방산 성분이 산화에 의해 휘발성이 강한 포름알데히드기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켜 좋지 않은 음식물의 냄새가 발생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진공화 장치가 압력솥과 분리형인 경우를 고려하여, 압력솥의 진공화 과정에서 기밀성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는 특정 구조의 패킹부재를 상기 진공화 장치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압력솥에 진공화 장치를 부착한 상태에서 진공상태로 장시간 보관시 부주의로 인하여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캡을 상기 진공화 장치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공화 장치를 이루는 각 부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각 부품의 조립과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각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솥 진공화 장치는 압력솥 덮개의 증기 배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압력솥의 덮개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공화 장치를 나타낸 도 6을 살펴보면, 진공화 장치(A1)는 압력솥 덮개(71)의 증기 배출부(73)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저면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120), 상기 본체(110)에 위치하는 체크밸브(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30)는 밸브 설치부(111)의 삽입관(111a)에 위치하는 연결부(135)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부디스크(131)와 하부디스크(133)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75는 솔레노이드밸브, 111a는 체크밸브(130)의 연결부(135)가 위치하는 밸브 삽입관(111a), 111b는 본체(110) 내부로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공, 115는 패킹부재 결합부, 117은 펌프안착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의 각 구성요소는 도 2a 내지 도 5b에서 십자리 단위가 일치하는 참조부호로 지칭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장치(A1)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a 내지 도 5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보호캡을 구비한 진공화 장치(A)의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진공화 장치(A)는 도 6의 진공화 장치(A1)와는 체크밸브의 개방이 개폐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과, 원하지 않는 순간에 체크밸브의 개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체크밸브 상부에 도입한 것이 다르다.
도시된 진공화 장치(A)는 압력솥 덮개(71)의 증기 배출부(73)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20), 상기 본체(10)에 위치하는 체크밸브(30), 상기 체크밸브(30)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40), 상기 체크밸브를 덮는 보호캡(50), 그리고 상기 보호캡(50)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버(40)를 가압하여 체크밸브(30)를 개방하는 개폐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소재는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의 배열위치는 압력솥의 덮개(71) 중 증기 배출부 상부이다. 상기 증기 배출부는 포이즈밸브, 보조 안전밸브(직화 가열 압력솥의 경우), 또는 본 발명의 진공화 장치만을 위하여 압력솥에 형성한 별도의 밸브일 수 있다. 도시된 증기배출부(73)는 포이즈밸브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1의 전기압력솥의 포이즈밸브(173)에서 압력추(173b)를 제거한 것과 같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7은 펌프 안착부를 지칭한다.
도 2b에서 증기 배출부(73) 주변의 덮개(71)와 접하는 상기 패킹부재는 여러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다 확실한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착안하였다. 이러한 중앙홈으로 인하여 진공화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2b의 부분 확대된 원 내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20)의 중앙홈은 1단(25a) 및 2단(25b)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패킹부재(20)가 보다 유연해져서 덮개(71)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패킹부재(20)의 유연성을 향상시켜서 솥 덮개(71)와 패킹부재(20)가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면서도 패킹부재(20) 부분에서 본체(10)의 내외부를 보다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패킹부재(20)는 상기 중앙홈(25a)(25b)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촉부(23a)의 두께(D1)가 내측 접촉부(23b)의 두께(D2)보다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홈은 2단을 넘는 다단 형태일 수도 있으나 제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2단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도 2b에서 참조부호 15는 패킹부재(20)를 위하여 본체(10)에 형성된 결합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1은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5)에 끼워지는 패킹부재(20)의 결합부를 나타낸다. 상기 패킹부재(20)의 결합부(21)는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5)에 삽입되기 쉽도록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5)(21)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면 보다 확실한 기밀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다른 형태의 패킹부재(220)에 대한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1단홈(225a)은 도 2b의 것(25a)과 마찬가지로 패킹부재(220)의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홈이지만, 2단홈(225b)은 1단홈(225a) 보다 깊게 일정 간격을 두고 드문드문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홈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의 중앙홈은 2단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킹부재가 내외측 접촉부가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는 힘이 부족한 것에 비하여, 2단홈(225b)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외측 접촉부(223b)(223a)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2단홈을 도입한 취지인 유연성의 확보와 관련하여 적절한 유연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2단홈 각각의 형상은 외측 원호(224a)의 길이(D3)가 내측 원호(224b)의 길이(D4) 보다 더 길어서 유연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7에서 내외측 접촉부(223b)(223a)의 두께 차이는 도 2b의 것(23b)(23a)과 같다.
도 2b 및 도 7에서 패킹부재(20)(220)의 두께, 특히 접촉부(23a,23b) (223a,223b)의 두께는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체(10), 체크밸브(30), 레버(40), 보호캡(50) 및 개폐구(60)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호캡(50)은 본체(10)의 캡 설치부(13)에 위치하는데, 상기 보호캡(50)은 금형설계를 쉽게 하고 보호캡(50)과 개폐구(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캡(51)과 내측캡(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캡(51)과 내측캡(53)은 조립시 개폐구(60) 파지부(67)의 노출을 위한 장방형 절개부(51a)(53a)가 서로 일치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위치고정수단은 외측캡(51) 내부 저면에 형성된 돌기(51b)와, 이 돌기(51b)가 끼워지도록 내측캡(53)에 형성된 홈(53b)이다. 그러나 위치고정수단은 도시된 돌기(51b)와 홈(53b) 대신에 외측캡과 내측캡의 외형이 서로 상응하게 각지거나 굴곡져 있어서 맞물리고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또 상기 외측캡(51)에는 대칭되게 두 탄지편(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탄지편(52) 저면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미도시 됨)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내측캡(53)과의 결합시 내측캡과 외측캡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탄지편(52)의 외측에는 돌기(52a)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캡 설치부(13)(도 3 참조)에는 상기 돌기(52a)에 상응하는 홈(미도시 됨)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캡(51)과 본체(1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30)와 결합된 레버(40)의 이탈방지수단이 정위치에서 쉽게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내측캡(53)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내측캡(53)은 절개부(53a) 양측 저면에 개폐구(60)의 활주돌기(65)가 결합되는 활주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활주홈은 상기 개폐구에 형성되고 활주돌기는 상기 내측캡에 형성된 형태도 가능하다.
또 상기 내측캡(53)의 절개부(53a) 둘레의 일정 위치와 상기 개폐구(60)의 접촉면에는 멈춤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되는 상기 개폐구(60)가 체크밸브(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안정된 개폐구의 동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시된 상기 멈춤수단은 내측캡(53)에 형성된 멈춤홈(59a)(도 4a 참조)과,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개폐구(60)의 우측 활주돌기(65) 하부에 형성된 멈춤돌기(63a)(도 4b 참조)이다. 상기 개폐구(60)의 멈춤돌기(63a)는 탄지편(63)으로부터 탄성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내측캡의 멈춤홈(57a)은 요입된 형태가 아니라 돌기(57b)로 인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구(60)가 슬라이드될 경우 탄지편(63)은 탄성을 발휘하지 않다가 탄지편의 멈춤돌기(63a)와 상기 내측캡(53)의 돌기(57b)이 접촉하는 순간에 개폐구(60)의 파지부(67)를 미는 힘에 의하여 탄지편(63)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탄성이 발휘된다. 그러므로 상기 탄지편(63)은 조직이 쉽게 피로해지지 않아서 오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탄지편(63)으로 인하여 멈춤돌기(63a)는 딸깍하는 소리를 내면서 상기 내측캡(53)의 멈춤홈(57a)에 억지끼움 된다.
도시된 멈춤홈(57a)은 한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내측캡(53)의 두 위치, 즉 상기 개폐구(60)가 레버(40)를 가압하여 체크밸브(30)를 개방하는 위치와, 원하지 않는 순간에 체크밸브가 열리 않도록 레버(40)를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캡(53)에는 상기 레버(40)를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b에서, 상기 레버(40)의 양측에는 요입홈(43a,4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캡(53) 저면부에는 상기 레버의 요입홈(43a,43b)에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돌기(57a,5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 5a와 같이 본체를 진공화하는 과정이나 도 5b와 같이 본체(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진공화 장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체크밸브(30)가 들려 레버(40)가 움직여도 레버(40)는 이탈방지수단(43a,43b)(57a,57b)으로 인하여 정위치에 머물러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화 장치 생산시 조립과정에서 외측캡(51)의 탄지편(52)에 형성된 돌기(52a)로 인하여 외측캡이 본체(10)와 정위치에서 조립되므로, 보호캡(50)의 끼움돌기(57a,57b)와 레버(40)의 요입홈(43a,43b)을 맞추는 것은 레버(40)와 체크밸브(30)의 결합시 레버의 방향을 외측캡(51)의 조립위치에 상응하는 일정 방향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30)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소재로 되어 있다. 도 5b의 확대된 원내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밸브설치부(11)에 위치하는 연결부(35)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디스크(31)와 하부디스크(33)가 형성되어 있다.
체크밸브는 도시된 형태와 같이 밸브 기능에 필요한 탄성을 소재로부터 얻는 것 외에도, 탄성을 스프링으로부터 얻는 공지된 체크밸브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도 5b의 확대된 원내에서, 밸브(30) 연결부(35)의 지름은 설치부(11)의 삽입관(11a)의 지름 보다 작아서 지름의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공기 유출입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기 유출입 통로의 개방과 폐쇄를 위하여 상부디스크(31)는 하부디스크(33)에 비하여 지름이 크다.
한편 도 3a에서, 상기 체크밸브(30)의 상부에는 레버(40)의 결합을 위한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레버(40)의 끼움홈(41)과 결합되는 끼움부(39)와 이탈방지판(37)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3을 참고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체크밸브(30), 레버(40), 보호캡(50) 및 개폐구(6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서, 내측캡(53)의 활주홈(55)에 개폐구(60)의 활주돌기(65)를 결합한다. 이어서 내측캡(53)과 외측캡(51)을 위치고정수단인 홈(53b)과 돌기(51b)가 일치되게 결합한다. 이때 외측캡(51)의 탄지편(52)의 하부 돌출부(미도시 됨)로 인하여 내측캡(53)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본체(10)의 체크밸브 설치부(11)에 체크밸브(30)를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체크밸브의 끼움부(39)에 레버(40)의 끼움홈(41)을 결합시킨다.
이어서 레버(40)를 정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외측캡(51)의 탄지편(52) 돌기(52a)와 본체(10)의 삽입부(13) 내주면에 형성된 홈(미도시 됨)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이탈방지수단인 내측캡(53)의 끼움돌기(57a,57b)는 레버 (40)의 요입홈(43a,43b)에 결합된다.
조립이 완성되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호캡(50)과 본체(10)의 캡 설치부(13)를 서로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진공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는 펌프(P1)를 이용하여 진공화 장치 본체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단면도로서, 개폐구(60)의 파지부를 오른쪽으로 밀어서 슬라이드시켜 가압부(61)가 레버(40)와 접촉하지 않는 개방상태에 개폐구가 머무르게 하고, 본체(10)의 안착부(17)에 펌프(P1) 입구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개폐구(60)의 위치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펌프(P1)는 주사기와 유사한 형태로서 진공화를 위하여 본체(10)의 안착부(17)에 펌프(P1) 입구를 접촉시킬 경우에는 피스톤(P2)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펌프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진공화 장치 본체(10)와 일체형의 펌프일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P2)을 잡아당기면 흡입력에 의하여 개폐구(60)에 의하여 막히지 않은 외측캡(51) 및 내측캡(53)의 절개부(51a)(53a)를 통하여 흡입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체크밸브(30)의 상부 디스크(31)가 들리면서 진공화 장치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하부디스크(33) 둘레 주변에 위치한 본체(10)의 체크밸브 설치부(11)의 배출공(11b, 도 5b)과, 밸브(30)의 연결부(35)가 위치한 삽입관(11a, 도 5b)을 거쳐 펌프(P1)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진공화 장치는 어느 정도 진공상태가 된다.
상기 본체(10) 내부의 진공화에 따라 흡입력이 증기 배출부(73)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솥 내부의 공기는 빠져 나가게 된다. 체크밸브가 구비된 펌프일 경우에는 반복적인 공기배출동작을 통하여 진공화도를 높일 수 있고, 또 콤프레샤와 같은 동력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펌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진공정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50)과 개폐구(60)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화 장치의 본체 자체를 이용하여 진공화를 시키는 진공화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5b에서와 같이, 개폐구(60)를 좌측으로 밀어서 가압부(61)에 의하여 레버(40)가 젖혀져서 체크밸브(30)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탄성을 갖는 본체를 눌러서 진공화 장치 본체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한 후, 다시 개폐구를 우측으로 밀어서 체크밸브가 폐쇄되게 하는 방법으로 진공화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펌프(P1)에 의한 진공화가 끝나서 펌프(P1)를 본체(10)와 분리하면 체크밸브(30)의 상부디스크(31)는 본체의 삽입관(11a)과 밸브의 연결부(35)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출입 통로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화 장치를 개방할 때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개폐구(60)를 좌측으로 밀어서 가압부(61)가 레버(40)를 가압하여 체크밸브(30)의 상부디스크(31)가 들리도록 하여 공기가 진공화 장치 내부를 거쳐 증기배출부(71)를 통하여 압력솥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선 압력솥 진공화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솥 내부를 진공화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압력솥 내부를 진공화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와 같은 각종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식품이 각종 미생물에 의하여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진공화를 통화여 압력솥 내에는 산소가 부족하게 되므로 각종 호기성 미생물 및 조건성(facultative) 미생물이 생존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진공화를 통하여 공기 중의 기체분자와 음식물 사이에 산화반응을 비롯한 각종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색상을 원상태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진공화 및 해제과정을 반복을 통하여 조리 전에 미리 쌀과 같은 곡류의 불림과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공화 장치의 패킹부재, 보홉캡과 개폐구 등을 통하여 진공상태 유지의 신뢰성을 확고히 보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장할 본 발명은 진공화 장치를 이루는 각 부품의 조립구조를 통화여 생산성을 제고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공화 장치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데,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 압력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진공화 장치가 설치된 압력솥의 부분 절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화 장치의 횡방향 절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보호캡, 체크밸브, 레버 및 개폐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시선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펌프를 이용하여 진공화 장치를 진공화시키는 동작과 관련된 단면도,
도 5b는 진공화 장치를 개방할 경우 개폐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다른 형태의 진공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다른 형태의 패킹부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체크밸브 설치부
11: 펌프 안착홈 11a: 체크밸브 삽입관
11b: 배출공 13: 캡 설치부
15: 패킹부재 결합부 17: 펌프 안착부
20,120,220: 패킹부재 21: 결합부
23a,23b: 접촉부 25a,25b: 중앙홈
30,130: 체크밸브 31: 상부디스크
33: 하부디스크 35: 연결부
37: 이탈방지판 39: 끼움부
40: 레버 41: 끼움홈
43a,43b: 요입홈 50: 보호캡
51: 외측캡 53: 내측캡
51a,53a: 절개부 55: 활주홈
60: 개폐구 61: 가압부
63: 탄지편 63a: 탄지돌기
65: 활주돌기 67: 파지부
170: 전기압력솥 71,171: 덮개
172: 본체 73,173: 포이즈 밸브
75,175: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13)

  1. 압력솥 덮개의 증기 배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압력솥의 덮개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력솥 진공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
    상기 체크밸브를 덮는 형태로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의 장방형 절개부 부분에 배치되어 활주수단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저면에 구비된 가압부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하는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압력솥의 덮개와 접하지 않는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의 중앙홈은
    2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의 중앙홈은
    1단홈이 패킹부재의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홈이고, 2단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드문드문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의 2단홈 각각은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의 길이가 내측에 위치하는 원호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중앙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촉부의 두께가 내측 접촉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장방형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캡; 및
    상기 외측캡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주면을 갖고 상기 외측캡의 절개부에 상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활주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수단은
    상기 보호캡의 장방형 절개부를 따라 형성된 활주홈과, 상기 활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구의 양측에 형성된 활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장방형 절개부 둘레의 일정 위치와 상기 개폐구의 접촉면에는 멈춤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되는 상기 개폐구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소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밸브설치부의 삽입관에 위치하는 연결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디스크와 하부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12.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보호캡 사이에는 상기 레버를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화 장치는 압력솥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진공화 장치.
KR10-2004-0016120A 2004-03-10 2004-03-10 압력솥 진공화 장치 KR10053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20A KR100536165B1 (ko) 2004-03-10 2004-03-10 압력솥 진공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20A KR100536165B1 (ko) 2004-03-10 2004-03-10 압력솥 진공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47A KR20050090847A (ko) 2005-09-14
KR100536165B1 true KR100536165B1 (ko) 2005-12-14

Family

ID=3727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20A KR100536165B1 (ko) 2004-03-10 2004-03-10 압력솥 진공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1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39B1 (ko) * 2006-11-10 2008-12-08 에펠산업(주) 저온을 활용한 밥의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KR101032793B1 (ko) 2007-06-22 2011-05-06 웬-칭 리 전기조리기구의 진공보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85B1 (ko) * 2005-09-14 2007-01-30 권만현 조리 용기
KR100702630B1 (ko) * 2006-01-12 2007-04-02 에펠산업(주) 밥의 취사 및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WO2008029976A1 (en) * 2006-09-08 2008-03-13 Eiffel Industry Co., Ltd. Rice cooking and vacuum-preserving method and electronic rice cooker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39B1 (ko) * 2006-11-10 2008-12-08 에펠산업(주) 저온을 활용한 밥의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KR101032793B1 (ko) 2007-06-22 2011-05-06 웬-칭 리 전기조리기구의 진공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47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5625B2 (ja) 温度センサー及び自動開閉装置が配備された電気調理器具
KR101904403B1 (ko) 전기조리기
CN109199063B (zh) 烹饪器具及其烹饪控制方法
JP5202642B2 (ja) 炊飯器
US20180177322A1 (en) Low vacuum and vacuum release device for electric rice cooker
KR100917694B1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CN101125210B (zh) 物品杀菌装置
KR100536165B1 (ko) 압력솥 진공화 장치
FR2874805B1 (fr)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decompression optimisee
CN109199065B (zh) 烹饪器具及其烹饪控制方法
US20050223682A1 (en) Vacuum sealer
EP0959305A2 (en) Improved hot air recirculation oven
KR101292769B1 (ko) 전기조리기
JP2011050735A (ja) 調理器具用の蒸気放出部材及び蒸気放出部材を備えた調理器具
EP1148804A1 (en) Lid for recipients
JPH05154039A (ja) 保温釜
KR100554653B1 (ko) 진공커버
KR200357852Y1 (ko) 압축팩용 흡입밸브
KR100549285B1 (ko) 체크밸브를 위한 보호캡을 구비한 진공용기
CN113133650B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126586A (zh) 药疗用复合式拔罐器
CN108926232B (zh) 电饭煲的控制方法和电饭煲
JP2021078999A (ja) 保温専用ジャー
KR10191235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KR100807839B1 (ko) 홍삼액 추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