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167B1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Google Patents
래들 슬래그 커팅 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5167B1 KR100535167B1 KR10-2004-0005742A KR20040005742A KR100535167B1 KR 100535167 B1 KR100535167 B1 KR 100535167B1 KR 20040005742 A KR20040005742 A KR 20040005742A KR 100535167 B1 KR100535167 B1 KR 100535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proof layer
- ladle
- cutting cone
- slag cutting
- ladle sla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슬래그 커팅 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은 래들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래들의 출강구 측으로 유지되는 내화층과;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가 신축 가능하도록 팽창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랩핑되며 공기층이 구비된 연성재질의 랩핑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이 상온 상태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종이 또는 수지 재질로 된 다수개의 이격부재인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래들 내부 온도의 영향으로 몸체가 신축할 경우 이를 수용하여 내화층의 파손방지가 이루어져, 이로 인해 사용시간 동안 몸체의 원형 유지가 가능하여 출강구에 대해 기밀한 스토핑이 가능한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을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사용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Ladle Slag Cutting Con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 내부의 고온 상태에서 사용시간 동안 자체 형상유지가 가능한 래들 슬래그 커팅 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는 고로에서 철광석의 환원작업이 완료된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전로에 용선과 고철 등을 장입하고 여기에 산소 등의 가스를 공급하여 과량의 탄소(carbon)는 CO₂가스로, 산소(oxygen)의 경우는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알루미늄과 용강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이 되게 함으로서 청정한 상태의 용강을 얻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전로에서 1차 정련이 실시된 용강은 래들(ladle)로 이송되어 버블링과 같은 2차 정련이 실시된다.
이렇게 래들에서 2차 정련이 실시되어 운반된 용강은 연속주조기의 입구에 위치하여 용강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라는 저장용기로 이송되고, 이후, 턴디쉬의 용강은 연속주조기를 거쳐 강괴 등과 같은 형태로 제품화된다.
다시 말해, 강괴의 제작과정은 전로 → 래들 → 턴디쉬 → 연속주조기를 통해 제작되며, 각 과정에서 다음 과정으로 용강을 이송함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슬래그가 동반하여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래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공급하는 과정은 강의 품질, 즉 순도 높은 강 제작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용융된 상태로 래들에 위치한 용강에는 용강 뿐만 아니라 각종 슬래그 등의 불순물질이 부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만약 용강을 연속주조기에 공급할 경우 슬래그가 동반되어 유입되면 고품질의 강괴제작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전로, 래들, 턴디쉬의 내부에는 용강을 다음 단계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의 슬래그가 동반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 최초 용강이 제작되는 전로에서 래들로 용강을 옮길 경우 전로 상의 슬래그가 래들로 동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로의 내부에 용강과 함께 부유되도록 자체 비중조절이 이루어진 구 형태의 체크볼이라는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 체크볼은 전로에서 일정량의 용강이 배출되면 출강구를 폐쇄하여 슬래그의 동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 형태의 체크볼은 자체 비중에 의해 출강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출강구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소용돌이(vortex)현상에 의해 슬래그가 동반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더욱이, 조기에 출강구에 체크볼이 위치하여 전로 내에 존재하는 잔탕의 량이 많아 용강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역원추 형태로 출강구를 폐쇄하여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고 래들 또는 턴디쉬 내의 잔탕을 줄이기 위한 체크볼과 같은 기능의 스토퍼(국내출원번호 20-2002-0002651/ 20-2002-0018494 및 미국특허 제4601415호/ 제4494734호) 등이 출원되었는데, 이러한 스토퍼는 선행 사용된 체크볼에 비해 래들 또는 턴디쉬 내의 잔탕을 다소 줄이는 효과는 있었다.
그러나, 역원추 형태의 스토퍼는 래들 내부에 적은량의 용강이 위치할 경우에는 나름대로의 스토핑 기능을 발휘하였으나, 많은 량의 용강이 구비된 래들에서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이유는, 체크볼을 비롯하여 역원추 형태의 스토퍼는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래들 내에 장시간 위치할 경우 래들의 내부 온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여 정확한 스토핑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시 보완하기 위한 체크볼 형태로(출원번호: 20-1998-0028016/ 10-2000-0052964/ 20-2001-0012597) 등이 출원되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체크볼은 내부에 철 재질의 중심추 또는 금속 와이어를 구비하고, 바깥쪽 둘레에 내화재질을 구비하여 고온에 견디도록 한 것이다.
즉, 내화재질이 구비된 체크볼은 바깥쪽에 구비된 내화재질을 통해 중심에 위치한 중심 추의 변형을 방지하여 출강구를 기밀한 상태로 밀폐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그러나, 이를 직접 현장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출원시 의도한데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체크볼을 래들에 위치시켰을 경우 래들의 내부 온도에 의해 내화재질에 감싸져 있는 중심추가 팽창하여 팽창된 중심추의 팽창력으로 바깥쪽의 내화재질에 크랙(crack)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용강이 침투하여 종래와 같은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들 내부 온도의 영향으로 몸체가 신축할 경우 이를 수용하여 내화층의 파손방지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시간 동안 원형의 유지가 가능하여 출강구에 대해 기밀한 스토핑이 가능한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은 래들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래들의 출강구 측으로 유지되는 내화층과;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가 신축 가능하도록 팽창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랩핑되며 공기층이 구비된 연성재질의 랩핑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이 상온 상태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종이 또는 수지 재질로 된 다수개의 이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화층은 크롬철석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화층은 산화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화층은 산화지르코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화층은 상기 완충부재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 제 1 내화층과, 상기 제 1 내화층의 바깥쪽 둘레에 상기 제 1 내화층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 2 내화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내화층은 산화지르코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내화층은 산화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화층의 바깥쪽 둘레에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는 코팅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출강구의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노출되며, 외주에는 상기 랩핑부재가 랩핑된 손잡이 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100, L.S.C.C)은 래들(104) 내부의 용강(108)과 함께 부유하는 몸체(102)와, 몸체(102)의 바깥쪽 둘레에 구비되며, 몸체(102)가 래들(104)에 위치할 경우 내부 온도에 의한 몸체(102)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역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출강구 측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화층(120)과, 몸체(102)와 내화층(120) 사이에 구비되며, 몸체(102)가 래들(104) 내부에 위치하여 래들(104) 내부의 온도에 의해 몸체(102)가 신축될 경우 몸체(102)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내화층(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팽창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13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몸체(102)는 전로에서 1차 정련된 용강(108)을 주조기로 운반하기 위한 래들(104)의 내부에 위치하여 용강(108)과 함께 부유하게 되며, 자중에 의한 중심추의 역할을 하여 래들(104) 내부의 용강(108)이 출강구(112)를 통해 주조기로 공급될 경우 용강(108)의 상부에 부유하는 슬래그(114, slag)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출강구측으로 안내되어 출강구(112)를 밀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 몸체(102)의 형태를 역 원추 형태의 8각형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8각형 이외 다른 다각형의 형태 등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2)의 상단에는 일단이 몸체(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래들(104)의 출강구(112)와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노출되어 래들(104) 내부에 몸체(102)를 위치시킬 경우 사용되는 손잡이 바(106)가 구비된다.
손잡이 바(106)는 래들(104)의 내부에 몸체(102)를 위치시킬 경우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별도의 장치 등을 사용한다면 도 5와 같이 손잡이 바(106)를 배제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몸체(102)의 바깥쪽 둘레에는 소정두께로 완충수단이 감싸진다.
완충수단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하나의 실시예로 몸체(102) 전체를 둘러싸도록 랩핑되어 래들(104) 내부에 위치할 경우 쉽게 용융상태 또는 소각 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종이 재질 또는 비닐 재질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 공기층(132)이 형성된 랩핑부재(130)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랩핑부재(130)가 형성된 공간(116)은 래들(104) 내부에 몸체(102)가 위치할 경우 래들(104) 내부 열에 의한 팽창으로 랩핑부재(130)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내화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랩핑부재(130)의 바깥쪽 둘레에는 몸체(102)가 래들(104)에 위치할 경우 내부 온도에 의한 몸체(102)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역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출강구(112) 측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화층(120)이 구비된다.
이 내화층(120)은 내화재질로 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몸체(102)가 래들(104)의 내부에 위치할 경우 래들(104) 내부의 고열이 몸체(102)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는 곧, 래들(104) 내에서 오랜 시간동안 몸체(102)의 형태를 원상태로 보존하여 래들(104) 내에서 사용하는 시간동안 출강구(112)를 밀폐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내화층(120)은 분말형태의 산화알루미늄(Al₂O₃), 산화 지르코늄(ZrO₃) 또는 크롬철석(Cr₂O₃)을 가공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예를 들어, 산화지르코늄 80% ~ 60% + 산화 알루미늄 40% ~ 20% 또는 산화 알루미늄 80% ~ 60% + 산화 지르코늄 40% ~ 20%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2)를 래들(104)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래들(104) 내부의 온도가 내화층(120)을 통해 전달되어 연성재질의 랩핑부재(130)가 용융 상태가 되어 랩핑부재(130)가 형성되어 있던 부분, 즉 몸체(102)와 내화층(1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116)이 형성된다.
연성재질의 랩핑부재(130)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용융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 래들(104) 내부의 고열이 몸체(102)에 전달되면, 몸체(102)는 팽창하게 된다.
이렇게 팽창한 몸체(102)는 도4와 같이, 랩핑부재(130)가 용융되어 형성된 공간(116)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내화층(120)에는 몸체(102)의 팽창력이 전달되지 않아 자체의 형태가 보존되게 되어, 래들(104)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며 부유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래들 슬래그 커팅 콘(1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완충부재(130)를 도 3 및 도 4와 같이 몸체(102)의 바깥쪽 전체에 감싸듯이 랩핑시킨 형태가 아닌, 몸체(102)와 내화층(120) 사이의 곳곳에 이들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종이 또는 수지재질로 된 이격부재(230)를 위치시킨 것이다.
이 경우, 몸체(102) 전체를 랩핑 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온의 경우에는 몸체(102)와 내화층(120)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며, 만약, 래들(104) 내부에 위치하게되면 곳곳에 위치한 종이 또는 수지재질의 이격부재(230)가 소각 또는 용융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116)은 몸체(102)의 팽창을 수용하고, 이로 인해 내화층(120)으로 팽창력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래들 슬래그 커팅 콘(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손잡이 바(106)의 둘레에 공기층(132)이 구비된 랩핑부재(130)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 바(106)의 둘레에 랩핑부재(130)를 형성하는 까닭은 래들(104) 내부에 몸체(102)가 위치할 경우 랩핑부재(130)가 용융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몸체(102)가 래들(104) 내부에 위치하여 랩핑부재(130)가 용융될 경우 도 7과 같이, 손잡이 바(106)의 둘레에 형성된 랩핑부재(130) 역시 용융되어, 손잡이 바(106)를 감쌌던 랩핑부재(130)의 공간(116a)으로 가스가 방출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랩핑부재(130)의 바깥쪽에 위치한 내화층(120)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것이다.
위와 같이,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할 경우 랩핑부재(130)의 바깥쪽에는 제 1 내화층(122)이 형성되고, 제 1 내화층(122)의 바깥쪽 둘레에는 제 2 내화층(124)이 형성된다.
이처럼 내화층(120)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하는 것은, 래들(104) 내부에 몸체(102)가 위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화층(120)의 파손에 따른 몸체(10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복수개의 내화층(122)(124)이 형성될 경우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제 2 내화층(124)이 파손되더라도, 안쪽에 형성된 제 1 내화층(122)에 의해 래들(104) 내부의 열 전달이 감소되어 변형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 1 내화층(122)은 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하고, 제 2 내화층(124)은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1 내화층(122)을 산화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제 2 내화층(124)을 산화지르코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크롬철석을 사용하여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제 2 내화층(124)의 바깥쪽 둘레에는 제 2 내화층(124)이 대기 중에 노출될 경우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산화방지 및 대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흡수로 인해 제 2 내화층(12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박판 형태의 커버(126)가 구비된다.
특히, 커버(126)는 제 2 내화층(124)이 래들(104)에 위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폭열, 즉 상온에서 제 2 내화층(124)이 위치하여 수분이 흡수된 상태에서 래들(104)에 위치할 경우 갑작스런 고열에 의해 흡수된 상태의 수분이 증발하며 팽창함에 따른 제 2 내화층(124)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도 9는 제 2 내화층(124)의 바깥쪽에 형성된 커버(126)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코팅처리에 의한 코팅층(226)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2)에 내화층(120)이 구비되어 있어 래들(104)에 위치할 경우 내부열의 전달이 억제되어 몸체(102)의 변형이 최소화된다. 더욱이, 몸체(102)와 내화층(120) 사이에 랩핑부재(130)가 구비되어 있어 래들(104) 내부의 열에 의해 몸체(102)가 팽창하더라도 용융된 랩핑부재(130)의 공간(116)에서 이를 수용하여 바깥쪽 내화층(12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들(104) 내부의 잔탕을 최소화시켜 실수율을 향상시키며, 슬래그(114)가 주조기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은 중심에 위치한 몸체와 바깥쪽에 형성된 내화층 사이에 일정공간을 구비하여 래들에 위치할 경우 몸체의 팽창으로 내화층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래들 내에서 사용시간 동안 안정적인 스토핑 기능이 가능하게 한다는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몸체와 내화층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래들 내에 위치할 경우 내부온도에 의해 이들이 소각 또는 용융상태가 되어 중심에 위치한 몸체의 팽창에 의한 내화층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한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래들 내부 온도의 영향으로 몸체가 신축할 경우 몸체와 내화층의 사이에 구비된 랩핑부재와 같은 완충수단이 용융상태가 되어 몸체가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내화층의 파손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통상적으로 래들 내부에서 사용되는 2시간 이상의 사용시간 동안에도 몸체의 원형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시간동안 기밀한 스토핑이 가능하여 래들 내의 잔탕량을 감소시켜 실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경우 커팅 콘의 바깥쪽에 형성된 내화층이 상온의 대기 중에 노출될 경우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산화방지 및 대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흡수로 인해 내화층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특히, 상온 노출되어 내화층에 수분이 흡수된 상태에서 래들 내부에 커팅 콘이 위치할 경우 갑작스런 고열에 의해 흡수된 상태의 수분이 증발하며 팽창함에 따라 내화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이 래들 상에 위치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의 커버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슬래그 커팅 콘 제작방법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몸체 104; 래들
106; 손잡이 바 108; 용강
112; 출강구 114; 슬래그
116; 공간 122; 제 1 내화층
124; 제 2 내화층 126; 커버
130; 랩핑부재
Claims (19)
- 래들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몸체와;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래들의 출강구 측으로 유지되는 내화층과;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가 신축 가능하도록 팽창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랩핑되며 공기층이 구비된 연성재질의 랩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내화층이 상온 상태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종이 또는 수지 재질로 된 다수개의 이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은 크롬철석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은 산화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은 산화지르코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은 상기 완충부재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 제 1 내화층과, 상기 제 1 내화층의 바깥쪽 둘레에 상기 제 1 내화층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 2 내화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층은 산화지르코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화층은 산화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의 바깥쪽 둘레에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출강구의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노출되며, 외주에는 상기 랩핑부재가 랩핑된 손잡이 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5742A KR100535167B1 (ko) | 2004-01-29 | 2004-01-29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5742A KR100535167B1 (ko) | 2004-01-29 | 2004-01-29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2132U Division KR200353406Y1 (ko) | 2004-01-29 | 2004-01-29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8340A KR20050078340A (ko) | 2005-08-05 |
KR100535167B1 true KR100535167B1 (ko) | 2005-12-09 |
Family
ID=3726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5742A KR100535167B1 (ko) | 2004-01-29 | 2004-01-29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5167B1 (ko) |
-
2004
- 2004-01-29 KR KR10-2004-0005742A patent/KR1005351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8340A (ko) | 2005-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60409B (fi) | Anordning foer tillslutande av tapphaolet i ett metallurgiskt kaerl | |
US4396179A (en) | Device for introducing gas into molten metal | |
ATE26859T1 (de) | Gasspuelstein fuer metallurgische gefaesse. | |
KR100535167B1 (ko)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
US3373986A (en) | Metallurgical vessel with safety device | |
KR200353406Y1 (ko) | 래들 슬래그 커팅 콘 | |
CA2754323A1 (en) | Bottom pouring nozzle for arrangement in the bottom of a metallurgical vessel | |
JPS61227120A (ja) | 冶金学的容器中の溶融した金属を処理するための吹き込みランス | |
US20040100004A1 (en) | Refractory plug or brick for injecting gas into molten metal | |
US8603387B2 (en) | Water-cooled cover for a treatment vessel for metal melts | |
CN112191287B (zh) | 一种高温熔融物全自动释放机构及其控制方法 | |
KR101516785B1 (ko) | 침지노즐 | |
CN202367196U (zh) | 连铸滑动水口 | |
CN108127110B (zh) | 一种可保护出钢的钢水转运装置及可保护出钢的电炉炼钢系统 | |
JP2007167956A (ja) | セラミック台座石及び冶金容器 | |
CN2639312Y (zh) | 炼钢用挡渣件 | |
JP7333625B2 (ja) | 低圧鋳造用溶湯保持炉 | |
JP7347393B2 (ja) | 溶融金属収容容器の鉄皮構造及び溶融金属収容容器 | |
KR200462457Y1 (ko) | 슬래그 다트 | |
JP7342436B2 (ja) | 連続鋳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 | |
JPH0663707B2 (ja) | 溶融金属容器の出湯装置 | |
CN108130399B (zh) | 一种可保护出钢的电炉及电炉保护出钢的方法 | |
KR200272310Y1 (ko) | 래들용 슬래그 유출방지 스토퍼 | |
US4524958A (en) | Apparatus for closing the discharge aperture of a metallurgical vessel | |
JP2570421Y2 (ja) | 溶融金属ガス吹込み攪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