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42B1 -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 Google Patents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42B1
KR100534442B1 KR10-2004-0011781A KR20040011781A KR100534442B1 KR 100534442 B1 KR100534442 B1 KR 100534442B1 KR 20040011781 A KR20040011781 A KR 20040011781A KR 100534442 B1 KR100534442 B1 KR 10053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topper
hanger bar
muffle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300A (ko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 행거(muffler hanger)가 결합되는 행거 바(hanger bar)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플러 행거와 결합되는 행거 바에서 걸림턱을 제거한 후 그 걸림턱이 제거된 행거 바에 핀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스토퍼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행거와 행거 바의 결합은 물론 그 이탈이 스토퍼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행거 바로부터 행거를 이탈시킬 때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 개선을 통해 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Hanger bar structure of 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 행거(muffler hanger)가 결합되는 행거 바(hanger bar)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플러 행거를 행거 바에 장착할 때 그 장착은 물론 이탈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머플러는 운전중 배기가스로 인한 진동이 많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행거(1)는 진동 흡수력과 내구성이 뛰어난 경질의 고무를 사용하고, 상기 행거(1)가 결합되는 행거 바(2)는 원형관의 끝단에 행거(1)를 장착한 후 그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한 걸림턱(3)을 성형시킨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머플러 행거(1)는 경질의 고무재질로 그 부피가 큰 관계로 이를 행거 바(2)이 장착시 과대한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장착 및 이탈에 따른 작업이 어려워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불편함이 따랐으며, 상기와 같이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바(2)의 표면이 손상되면서 조기 파손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행거(1)의 노화로 그 교환이 필요할 경우, 상기의 행거(1)가 행거 바(2)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 종래에는 행거(1)를 칼로 찢은 후에 상기의 행거(1)를 행거 바(2)로부터 이탈시킬 수밖에 없었는데, 상기와 같이 칼로 행거(1)를 찢을 때 타 부품(예; 튜브, 차체 도장면)도 함께 손상되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머플러 행거와 결합되는 행거 바에서 걸림턱을 제거한 후 그 걸림턱이 제거된 행거 바에 핀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스토퍼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행거와 행거 바의 결합은 물론 그 이탈이 스토퍼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행거 바로부터 행거를 이탈시킬 때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 개선을 통해 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와 스토퍼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토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토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와 스토퍼의 결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가 결합된 행거 바에서 스토퍼의 회전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중 배기가스로 인한 진동 발생시 머플러를 지지하도록 경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행거(11)와, 원형관 형태의 행거 바(12)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행거 바(12)는 행거(11)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끝단부를 반원모양으로서 장착홈부(21)가 형성되는 제 1,2 바(22)(23)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2 바(22)(23)의 사이에는 행거 바(12)와 행거(11)의 결합 및 그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각도(예; 90)로 회전하는 스토퍼(30)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장착홈부(21)가 위치하는 제 1,2 바(22)(23)의 내측면 중앙부위에는 각각 스토퍼(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핀(4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바(22)(23)의 상하단에는,
제 1,2 바(22)(23)로 스토퍼(30)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스토퍼(30)의 상하 유동을 방지시키는 유동방지턱(24)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스토퍼(30)는,
행거 바(12)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따기부(31)와,
유동방지턱(24)과 작용하면서 스토퍼(3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스토퍼(30)의 소정각도 회전시 장착홈부(21)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32) 및,
상기 제 1,2 바(22)(23)의 내측면 중심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40)이 삽입되는 핀홈(33)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운전 중 배기가스로 인한 진동 발생시 머플러를 지지하도록 행거 바(12)에 스토퍼(3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행거 바(12)는 행거(11)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끝단부를 반원모양으로서 장착홈부(21)가 형성되는 제 1,2 바(22)(23)로 분할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2 바(22)(23)의 사이로 스토퍼(3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행거 바(12)와 스토퍼(30)는 일직선을 이루게 되고, 아울러 상기 스토퍼(30)에 구성된 결합부(32)는 제 1,2 바(22)(23)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유동방지턱(24)에 의해 그 상하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 1,2 바(22)(23)의 내측면 중심부위에는 핀(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핀(40)은 스토퍼(30)에 형성된 핀홈(33)으로 삽입 체결된다.
이후, 상기 스토퍼(30)의 방향에서부터 행거 바(12)로 행거(11)를 결합시키면, 상기 스토퍼(30)의 모따기부(31)에 의해 상기 행거(11)의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0)를 핀(40)을 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즉, 90°회전시킨 후, 상기 회전된 스토퍼(30)를 하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30)의 결합부(32)는 제 1,2 바(22)(23)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홈부(21)로 삽입되는 바,
상기 행거 바(12)와 행거(11)는 스토퍼(30)에 의해 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행거(11)를 행거 바(12)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스토퍼(3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행거 바(12)는 물론 스토퍼(30)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행거(11)는 행거 바(12) 및 스토퍼(30)를 거쳐 그 이탈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플러 행거와 결합되는 행거 바에서 걸림턱을 제거한 후 그 걸림턱이 제거된 행거 바에 핀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스토퍼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행거와 행거 바의 결합은 물론 그 이탈이 스토퍼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행거 바로부터 행거를 이탈시킬 때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 개선을 통해 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머플러 행거와 행거 바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와 스토퍼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토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토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 바와 스토퍼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행거가 결합된 행거 바에서 스토퍼의 회전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행거 12; 행거 바
21; 장착홈부 22,23; 제 1,2 바
24; 유동방지턱 30; 스토퍼
31; 모따기부 32; 결합부
33; 핀홈 40; 핀

Claims (3)

  1. 운전중 배기가스로 인한 진동 발생시 머플러를 지지하도록 경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행거와, 원형관 형태의 행거 바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행거 바는 행거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끝단부를 반원모양으로서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제 1,2 바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2 바의 사이에는 행거 바와 행거의 결합 및 그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스토퍼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장착홈부가 위치하는 제 1,2 바의 내측면 중앙부위에는 각각 스토퍼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핀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바의 상하단에는,
    제 1,2 바로 스토퍼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스토퍼의 상하 유동을 방지시키는 유동방지턱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행거 바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따기부와,
    유동방지턱과 작용하면서 스토퍼의 상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스토퍼의 소정각도 회전시 장착홈부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 1,2 바의 내측면 중심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이 삽입되는 핀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KR10-2004-0011781A 2004-02-23 2004-02-23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KR10053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81A KR100534442B1 (ko) 2004-02-23 2004-02-23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81A KR100534442B1 (ko) 2004-02-23 2004-02-23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00A KR20050083300A (ko) 2005-08-26
KR100534442B1 true KR100534442B1 (ko) 2005-12-07

Family

ID=3726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781A KR100534442B1 (ko) 2004-02-23 2004-02-23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00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292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wiper blade to wiper arm
KR10088995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66088B1 (ko) 와이퍼 암의 어댑터 및 그 체결구조
JP5525049B2 (ja) 自動車ワイパー用マルチアダプター
KR101173278B1 (ko) 멀티 어댑터용 커넥터
JP5965836B2 (ja) 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および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アッセンブリー
JP2008285140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973876B1 (ko) 템플릿 조립용 연결 클램프
KR10088995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34442B1 (ko) 머플러의 행거 바 구조
KR100932745B1 (ko)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장치의 아암 결속용 멀티 커넥터
JP2005083189A5 (ko)
JP2011172561A (ja) 鳥害防止具用の支持部材、鳥害防止用部材、これら支持部材及び鳥害防止用部材を用いて組み立てられた鳥害防止具
JP5086233B2 (ja) カプセルカートリッジ用接続構造体
JP4885936B2 (ja) 旋回作業車のアタッチメント脱落防止構造
JP4584825B2 (ja) ブレーキペダル組み付け構造
JP3179014U (ja) 足場用抜け止め具
KR100704606B1 (ko)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결합구조
JP4634471B2 (ja) ワイパーアーム
JP2014223911A (ja) ワイパーアームの締結構造
KR200191568Y1 (ko) 가방끈 걸고리쇠
JP3130022U (ja) 自転車用折畳装置
JP5858577B2 (ja) レンチ
JP2001303609A (ja) 旋回作業車のアタッチメント脱落防止構造
JP3082539U (ja) コーン用フック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