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947B1 -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947B1
KR100533947B1 KR10-2003-0014188A KR20030014188A KR100533947B1 KR 100533947 B1 KR100533947 B1 KR 100533947B1 KR 20030014188 A KR20030014188 A KR 20030014188A KR 100533947 B1 KR100533947 B1 KR 10053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undproof
shape
present
sound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863A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10-2003-001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9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적고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방음판용 제작 자제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임의 단부 가공 형상에 따라 상,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측면 프레임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파이프 본체 상, 하부면 중 일면의 전, 후방을 단턱지도록 절곡 돌출시켜 방음막대 고정부를 형성하되, 단턱 전방에 홈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서 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홈에 끼워져 방음막대 고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방음막대 고정부에 볼트 고정되는 방음막대의 단부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자 형상의 보조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Frame structure for soundproof panel}
본 발명은 방음판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적고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방음판용 제작 자제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임의 단부 가공 형상에 따라 상,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측면 프레임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소음 다발 지역에서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소음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경우, 소음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차음형 방음판과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음형 방음판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방음판은 대부분 전, 후면판에 무수한 타공 또는 갤러리를 형성하여 내부에 충진된 흡음부재로 소음을 유도함으로써, 소음이 흡음부재를 통과하면서 소멸되도록 하는 판체형 방음판이 있고, 상, 하부 프레임에 방음막대를 고정 설치하고, 내측에 흡음 부재 또는 합판 등을 개재시켜서된 방음막대형 방음판으로도 구분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방음판은 그 구성물이 많고, 판체형의 경우 그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설치 작업이 번거로우며, 이에 따라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방음막대를 이용하는 방음판의 경우, 종래에는 상, 하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이 각각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를 각각 별도의 가공 제조 장치를 통해 제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낮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 다른 형상으로 프레임이 제작되어 상, 하부 및 측면에 적용 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피가 적고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방음판용 제작 자제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임의 단부가공 형상에 따라 상,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측면 프레임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파이프 본체 상, 하부면 중 일면의 전, 후방을 단턱지도록 절곡 돌출시켜 방음막대 고정부를 형성하되, 단턱 전방에 홈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서 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홈에 끼워져 방음막대 고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방음막대 고정부에 볼트 고정되는 방음막대의 단부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자 형상의 보조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측면 프레임으로 가공된 상태를 보인 구성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상, 하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으로 설치되어 방음막대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방음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상, 하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및 방음막대의 다른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인 방음판용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파이프 본체(101) 상, 하부면 중 일면의 전, 후방을 단턱(102)지도록 절곡 돌출시켜 방음막대 고정부(103)를 형성하되, 단턱(102) 전방에 "ㄱ"자 형상의 홈(104)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서 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홈(104)에 끼워져 방음막대 고정부(10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방음막대 고정부(103)에 볼트 고정되는 방음막대(200)의 단부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끼움돌기(105)가 형성된 "]"자 형상의 보조 프레임(1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 하에 방음막대 고정부(103)가 마주보도록 대칭 설치하게 되면 상, 하부 프레임(110),(120)이 되며, 프레임(100)을 양단의 방음막대 고정부(103)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 하부 프레임 고정부(131)가 형성된 측면 프레임(130)으로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음판(1000)의 외곽 테두리가 되는 프레임(100)을 하나의 형상으로 된 파이프로 구성하되,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방향과 프레임(100) 양단의 방음막대 고정부(103)를 절단 가공하는 상태에 따라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및 측면 프레임(130)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이들을 첨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시켜 방음판(1000)의 테두리를 구성한 후, 상, 하부 프레임(110),(120)의 방음막대 고정부(103)에 방음막대(200)를 볼트 고정시키고, 내부에 흡음부재(300)를 충진시키게 되면 하나의 방음판(1000)이 완성되는데, 고정되는 다수개의 방음막대(200)를 밀착시키게 되면 차음형 방음판이 되고, 각 방음막대(200)를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게 되면 흡음형 방음판이 되며, 흡음형 방음판에서 흡음부재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제작(선출원 기술)하면 식생 방음판이 된다.
상기, 방음막대(200)는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및 이를 병행하여 설치 가능한 것으로 이는 방음판(10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음막대(200)는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및 이를 병행하여 설치 가능한 것으로 이는 방음판(10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100)으로 설치되는 방향과 프레임(100) 양단의 방음막대 고정부(103)를 절단 가공하는 상태에 따라 상, 하부 프레임(110),(120)과 측면 프레임(130)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프레임(100) 자체를 서로 다른 성형 가공 장치에서 성형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각기 다른 공정으로 진행할 필요가 없어 제조성이 향상되며,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 부피를 갖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음판과 같이 보관 및 이송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방음판(1000)의 와곽이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100)으로 이루어져 있어 방음판(1000)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판(1000)자체 하중을 견디는 힘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막대(140)가 상, 하부 프레임(110),(120)의 단턱(102) 내측의 방음막대 고정부(103)에 볼트 고정 설치되며, 방음막대(200) 단부 즉, 볼트로 고정되는 부분을 보조 프레임(100')이 외부와 차단하여 재질이 목재인 방음막대(140)를 빗물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하게 되므로 방음막대의 볼트 고정부위가 썩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며, 방음막대(200)가 목재가 아닌 합성수지인 경우에도 볼트 고정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음판(1000) 자체의 깔끔하고 미려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방음막대 고정부(103) 양단에 단턱을 일률적으로 형성하여 상, 하부 프레임(110),(120) 및 측면 프레임(130)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것도 프레임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막대(200)를 반원형 막대로 예시하였으나, 삼각 및 사각 등 다각형 막대로도 적용 가능하며, 사각 판체로도 적용 가능하며, 이를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피가 적고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방음판용 제작 자제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임의 단부 가공 형상에 따라 상,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측면 프레임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막대 단부 즉, 볼트로 고정되는 부분을 보조 프레임이 외부와 차단하여 재질이 목재인 방음막대를 빗물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하게 되므로 방음막대의 볼트 고정부위가 썩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며, 방음막대가 목재가 아닌 합성수지인 경우에도 볼트 고정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음판 자체의 깔끔하고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상부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방음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 하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및 방음막대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프레임 101 : 프레임 본체
102 : 단턱 103 : 방음막대 고정부
104 : 홈 105 : 끼움 돌기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측면 프레임 200 : 방음막대
300 : 흡음부재

Claims (1)

  1.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파이프 본체(101) 상, 하부면 중 일면의 전, 후방을 단턱(102)지도록 절곡 돌출시켜 방음막대 고정부(103)를 형성하되, 단턱(102) 전방에 "ㄱ"자 형상의 홈(104)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서 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홈(104)에 끼워져 방음막대 고정부(10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방음막대 고정부(103)에 볼트 고정되는 방음막대(200)의 단부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끼움돌기(105)가 형성된 "]"자 형상의 보조 프레임(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KR10-2003-0014188A 2003-03-06 2003-03-06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KR10053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88A KR100533947B1 (ko) 2003-03-06 2003-03-06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88A KR100533947B1 (ko) 2003-03-06 2003-03-06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378U Division KR200316574Y1 (ko) 2003-03-04 2003-03-04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63A KR20040078863A (ko) 2004-09-13
KR100533947B1 true KR100533947B1 (ko) 2005-12-08

Family

ID=3736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188A KR100533947B1 (ko) 2003-03-06 2003-03-06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45B1 (ko) 2006-05-15 2008-11-05 박기성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45B1 (ko) 2006-05-15 2008-11-05 박기성 방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63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947B1 (ko)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KR20090008384U (ko) 목재 방음벽
KR200316574Y1 (ko)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JP4309746B2 (ja) 固定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外装材の施工構造
KR101005163B1 (ko) 조립식 방음판
KR200316573Y1 (ko) 방음판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판의 구조
KR100518238B1 (ko) 방음판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판의 구조
KR101576436B1 (ko) 건물 내장용 흡음판넬
KR200316395Y1 (ko) 방음판용 프레임
KR200419654Y1 (ko)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방음판
KR100480836B1 (ko)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KR100663224B1 (ko) 벽체 시공용 목재 장식 거푸집 조립체
KR100497932B1 (ko) 방음판용 프레임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100348686B1 (ko) 문틀조립체
KR20040081648A (ko) 방음판용 프레임
KR102201160B1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JPH073978A (ja) 組立式の下地材
KR200318168Y1 (ko) 방음판용 프레임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100519912B1 (ko) 건축용 흡음 옹벽 시설물
JP2006002502A (ja) 扉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26954A (ja) 無機繊維マツト
KR970005541Y1 (ko) 패널가설용 목심각재
EA012321B1 (ru) 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между удлине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каркаса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2006299683A (ja) フラッシュパネル
KR200417983Y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변형방지 및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