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836B1 -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 Google Patents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836B1
KR100480836B1 KR10-2002-0045464A KR20020045464A KR100480836B1 KR 100480836 B1 KR100480836 B1 KR 100480836B1 KR 20020045464 A KR20020045464 A KR 20020045464A KR 100480836 B1 KR100480836 B1 KR 10048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proof
wood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097A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10-2002-004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8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 후면 차단 막대 또는 전, 후면판과 측면판 및 상, 하부 프레임 등 방음판의 외부 구성물 재질 전체를 목재 또는 재생 합성수지(예 : Recycled polyolefine) 또는 발포체(Form)로 하여, 각 구성물이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음판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음판의 전면 막대의 배열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등 제조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이동 및 설치 등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과 전, 후면차단막대 및 측면판으로 구성된 구성물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종래의 방음판에 있어서,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각 구성물이 결합되어 방음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물 전체의 재질이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A puzzle type Soundproof board using a wood or Recycled polyolefine}
본 발명은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 후면 차단 막대 또는 전, 후면판과 측면판 및 상, 하부 프레임 등 방음판의 외부 구성물 재질 전체를 목재 또는 재생 합성수지(예 : Recycled polyolefine) 또는 발포체(Form)로 하여, 각 구성물이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음판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음판의 전면 막대의 배열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등 제조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이동 및 설치 등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재질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사각 블럭 형상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며, 방음판 다수개가 상, 하로 적층됨과 동시에 좌, 우로 연속되면서 방음벽을 이루게 된다.
방음판의 형상과 모양은 천태만상이나, 그중 보편적이며 널리 알려진 방음판은 알루미늄판이나 철판으로 이루어진 박판을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전면판과 후면판 및 측면판으로 제작, 조립하거나, 상, 하부 프레임에 전, 후면고정막대 다수개를 고정시키고 측면판을 결합시켜서 완성된 것이다.
상기, 전면판과 후떤판의 외부면에 다양한 형태의 흡음구멍 또는 겔러리가 형성된 전면판과 일정형상으로 절곡된 후면판 사이에 흡음부재를 내장하고, 측면판으로 양측면을 차단하여 조립케 함으로써, 주변의 소음을 흡음하여 방음효과를 가지도록 하여(상기 흡음구멍 및 겔러리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음판의 형상과 모양은 다양하다.) 특히 학교주변이나 주택, 아파트 등의 도로 주변에 설치하여 방음벽을 이루게 된다.
최근에는 방음판(100)을 환경 친화적으로 개선시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방음판(10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금속제에서 목재 및 합성수지로 대체하여 자연미를 최대한 살리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음판(100)은 방음판(100)을 구성하는 상, 하부프레임(110),(120)과 전, 후면차단막대(130),(140) 또는 전, 후면판(130'),(140') 및 측면판(150)을 각각의 위치에 끼움 조립하고 이를 리벳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10)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완성하게 되나, 이는 고정수단(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멍(H)을 전, 후면차단막대(130),(140) 또는 전, 후면판(130'),(140') 및 측면판(150)에 형성한 후, 구멍(H)에 고정수단(10)을 삽입하여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구멍(H) 천공 작업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별도 부품이 소요되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등 제조 및 생산성의 저하와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방음판(100)이 대부분 금속제로 이루어져 있어 방음판(100)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제조 후, 보관 및 이송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 시에도 무게로 인한 적층 작업의 난해함과 일률적이 모양만 보여지는 등 이동성 및 설치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 후면 차단 막대 또는 전, 후면판과 측면판 및 상, 하부 프레임 등 방음판의 외부 구성물 재질 전체를 목재 또는 재생 합성수지(예 : Recycled polyolefine) 또는 발포체(Form)로 하여, 각 구성물이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음판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음판의 전면막대의 배열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등 제조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이동 및 설치등 작업성이 향상되도륵 하는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과 전, 후면차단막대 및 측면판으로 구성된 구성물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종래의 방음판에 있어서,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각 구성물이 결합되어 방음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물 전체의 재질이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보인 중간 생략된 평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인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110),(120)과 전, 후면차단막대(130),(140) 및 측면판(150)으로 구성된 구성물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종래의 방음판(100)에 있어서,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10)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각 구성물이 결합되어 방음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물 전체의 재질이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110)은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의 막대 상부면에 한쌍의 평행한 돌기(111)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내측으로 하향 단턱(1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과 대응하여 직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수평으로 형성되는 사각 막대 하부면에 한쌍의 평행한 홈(12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내측으로 상향 단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 하부프레임(110),(120)의 돌기(111) 및 홈(121)의 형상은 사각, 반원, 삼각형 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면차단막대(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상, 하부프레임(110),(120)의 전면 단턱(112), (122)에 안착되어 고정수단(10)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반원형 상의 막대이다.
후면차단막대(14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상, 하부프레임(110),(120)의 후면 단턱(112), (122)에 안착되어 고정수단(10)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사각판체 형상의 막대이다.
상기, 후면차단막대(140)는 각각의 막대가 연속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끼움돌기(141)와 끼움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150)은 직사각 형상으로 되면서 상, 하부프레임(110),(120)의 양측단의 사이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면 양측의 길이방향 모서리 부분에 상, 하부 프레임(110),(120)의 단턱(111),(121)과 같은 높이의 단턱(151)이 형설되어 있다.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물에 의해 결합되어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음판(100)의 내측에 흡음재(160)가 충진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10)은 못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끝이 예리하여 박음 고정이 가능한 어떠한 것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방음판(100)의 재질은 그 구성물의 내구성 필요여부 및 가공의 형태에 따라 원목, 합판 집성체, 압축 톱밥 성형물 등을 방음판(100) 각 구성물의 모양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재질이 목재인 것은 물론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와 같은 합성수지계열을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 밖에도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10)을 박아서 각 구성물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
예컨대 발포 합성수지 및 폐플라스틱 등,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경량으로 가공 가능한 합성수지류 등이 이에 속한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요지가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10)을 박아서 방음판(100)의 구성물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110),(120)의 양측단 내측면 사이에 측면판(150)을 고정설치하고, 각각의 후면차단막대(140)를 끼움돌기(141)와 끼움홈(142)에 연속적으로 끼우면서 결합시키되, 고정수단(10)을 이용하여 상, 하부프레임(110),(120)의 후면 단턱(111),(121)예 고정시키고, 상, 하부프레임(110),(120)과 후면차단막대(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흡음재(160)를 충진시킨 후, 전면차단막대(130)를 상, 하부 프레임(110),(120)의 전면 단턱(111),(121) 부분에 안착시키면서 고정수단(10)으로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측면판(150)의 단턱(151)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전, 후면차단막대(130),(140)는 측면판(150)의 단턱(151)에 고정수단(10)으로 고정하게 되며, 전, 후면차단막대(130),(140)의 길이 및 배열 상태에 따라, 흡음재(160) 사이사이에 지지판(152)을 설치하여 고정수단(10)으로 전, 후면차단막대(130),(140)의 양단을 고정하게 되며, 방음판(100)의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전, 후면 차단막대(130)를 가로 및 세로 또는 사선으로 배치하여 방음판(100)의 적층 시, 퍼즐식으로 보여져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하부프레임(110),(120) 및 측면판(150)의 외측면에 전, 후면차단막대(130),(140)를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전, 후면차단막대(130),(140)를 유격 없이 조밀하게 고정하여 차음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실시 예로 하였으나, 첨부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 후면차단막대(130),(140)를 고정시켜 흡음형 방음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흡음형 방음판의 경우 첨부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생이 가능하도록 흡음재(160) 내의 씨앗이 식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음재(160)는 세라소일과 같은 인공 토양, 퍼자이트와 암면이 혼재된 것 또는 지룡토와 퍼라이트가 혼재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음재(160) 내에 혼합된 식물의 씨앗이 성장할 수 있도록 흡음재(160)에 수분을 공급하는 삼투압 방식이 적용되는 물공급관(170)을 적층되는 각 방음판(100)의 상, 하부프레임(110),(120)을 관통시켜 구성하여 공급되는 수분을 각 방음판(100)의 흡음재(160)에 고르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정해진 형태로 가공된 상, 하부프레임(110),(120)과 전, 후면차단막대(130),(140) 및 측면판(150)으로 이루어진 방음판(100)을 고정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시켜 조립이 가능하므로, 그 조립이 용이하며, 자체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방음판(100)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물의 재질이 목재 또는 합성수지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구성물의 내구성 필요여부 및 가공의 형태에 따라 윈목, 합판 집성체, 압축 톱밥 성형물 등을 방음판(100) 각 구성물의 모양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컨데, 상, 하부프레임(110),(120)은 굴곡이 많고 전, 후면이 절곡되게 되므로, 압축 톱밥 성형물로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 후면차단막대(130),(140)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원목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판(150)은 합판 집성체 또는 압축 톱밥 성형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음판(100) 구성물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포 합성수지 또는 폐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류로 전, 후면판(130'),(140')을 사출 성형하여 방음판(100)을 제조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면판(130')에는 타공 또는 겔러리를 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전, 후면판 또는 전, 후면 차단 막대와 측면판 및 상, 하부 프레임 등 방음판의 외부 구성물의 재질 전체를 목재로 하여, 각 구성물이 고정수단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음판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음판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제조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이동 및 설치 등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방음판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방음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보인 중간 생략된 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방음판 110 : 상부 프레임
111 : 돌기 112 : 단턱
120 : 하부 프레임 121 : 홈
122 : 단턱 130 : 전면차단막대
130': 전면판 140 : 후면차단막대
141 : 끼움돌기 142 : 끼움홈
140': 후면판 150 : 측면판
151 : 단턱 152 : 지지판
160 : 흡음재 170 : 물흡수관
10 : 고정수단

Claims (3)

  1. 상, 하부 프레임(110),(120)과 전, 후면차단막대(130),(140) 및 측면판(150)으로 구성된 구성물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종래의 방음판(100)에 있어서, 끝이 예리한 고정수단(10)의 간단한 박음 작업에 의해 각 구성물이 결합되어 방음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물 전체의 재질이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2. 제 1항에 있어서, 전, 후면 차단막대(130),(140)를 가로 및 세로 또는 사선으로 배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3. 제 1항에 있어서, 방음판(100)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인공토양 또는 퍼라이트를 주제로 한 토양을 내장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KR10-2002-0045464A 2002-07-31 2002-07-31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KR10048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464A KR100480836B1 (ko) 2002-07-31 2002-07-31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464A KR100480836B1 (ko) 2002-07-31 2002-07-31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097A KR20040012097A (ko) 2004-02-11
KR100480836B1 true KR100480836B1 (ko) 2005-04-07

Family

ID=3732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464A KR100480836B1 (ko) 2002-07-31 2002-07-31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38B1 (ko) * 2006-03-03 2007-04-13 김상종 친환경 가설방음패널
KR100866845B1 (ko) * 2006-05-15 2008-11-05 박기성 방음판
KR100781779B1 (ko) * 2006-07-03 2007-12-04 박기성 방음판
KR100759863B1 (ko) * 2007-01-11 2007-09-18 박종영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599521B1 (ko) * 2015-06-16 2016-03-10 주식회사 해승이엔씨 멀티방음판 및 이 멀티방음판을 이용한 스마트방음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31U (ko) * 1998-03-21 1998-06-05 김해근 반사형 목재 방음판
KR20000049538A (ko) * 2000-04-06 2000-08-05 기승철 프라스틱 중공패널 표면층에 가공목재가 결합된복합소재패널.
KR200196912Y1 (ko) * 2000-02-22 2000-09-15 기승철 프라스틱 중공패널에 흡음재 와 치장용 간살부재가결합된 복합소재 방음패널.
KR20010074016A (ko) * 2000-12-07 2001-08-04 정운익 3중 방음패널 및 방음벽 구조
KR200234764Y1 (ko) * 2000-11-27 2001-09-26 주식회사 케이.알 소음방지용 방음패널의 전면치장부재
KR200265869Y1 (ko) * 2001-10-25 2002-02-25 박자영 식생 방음판의 방음 막대 고정 구조
KR200271993Y1 (ko) * 2001-12-27 2002-04-1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20030027134A (ko) * 2001-09-12 2003-04-07 박기성 목재 방음판의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31U (ko) * 1998-03-21 1998-06-05 김해근 반사형 목재 방음판
KR200196912Y1 (ko) * 2000-02-22 2000-09-15 기승철 프라스틱 중공패널에 흡음재 와 치장용 간살부재가결합된 복합소재 방음패널.
KR20000049538A (ko) * 2000-04-06 2000-08-05 기승철 프라스틱 중공패널 표면층에 가공목재가 결합된복합소재패널.
KR200234764Y1 (ko) * 2000-11-27 2001-09-26 주식회사 케이.알 소음방지용 방음패널의 전면치장부재
KR20010074016A (ko) * 2000-12-07 2001-08-04 정운익 3중 방음패널 및 방음벽 구조
KR20030027134A (ko) * 2001-09-12 2003-04-07 박기성 목재 방음판의 구조
KR200265869Y1 (ko) * 2001-10-25 2002-02-25 박자영 식생 방음판의 방음 막대 고정 구조
KR200271993Y1 (ko) * 2001-12-27 2002-04-1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097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05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 structural panels
US8252137B2 (en) Building panel having plant-imitating structural core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US20070062146A1 (en) Wall element and structure constructed therewith
KR100480836B1 (ko)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JP2004141123A (ja) 緑化可能な自立構造物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KR200419654Y1 (ko)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방음판
KR200294881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CN209556223U (zh) 一种具有良好性能的平缝pvc发泡墙板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CN208918099U (zh) 一种木-混凝土组合楼板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200234764Y1 (ko) 소음방지용 방음패널의 전면치장부재
KR100630845B1 (ko)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KR200271993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535659B1 (ko) 프라스틱 중공패널 표면층에 가공목재가 결합된복합소재패널.
CN217461616U (zh) 一种基于si住宅体系的装配式木屋结构
CN109415899A (zh) 施工装置和方法
KR102075876B1 (ko) 아까시 나무 방음패널
JP6932879B1 (ja) 蟻溝付き板材で造る多目的利用の支柱。
KR102171485B1 (ko) 라돈흡착형 방라돈 목재플라스틱 복합체 패널
KR100463918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533947B1 (ko) 방음판용 프레임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