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834B1 -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3834B1 KR100533834B1 KR10-2004-0029236A KR20040029236A KR100533834B1 KR 100533834 B1 KR100533834 B1 KR 100533834B1 KR 20040029236 A KR20040029236 A KR 20040029236A KR 100533834 B1 KR100533834 B1 KR 100533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er
- resistance value
- transfer belt
- intermediate transfer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the surrounding tube being closed at one end, e.g. return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06—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with variable shape, e.g. with modified tube ends, with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33—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ist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중간전사벨트 및 전사롤러를 이용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중간전사벨트 상의 영역별 저항값이 기록된 메모리,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전사롤러와 접하는 전사영역을 탐색하는 전사위치판단부,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후,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연산된 전기적신호에 따라 전사롤러를 구동하는 전사유닛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에 대응되는 적절한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화질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을 측정하여 그 저항값에 대응되는 최적의 전사전압을 설정하여 인가함으로써 전사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 개발에 힘입어, 컴퓨터뿐만 아니라 프린터, 스캐너 등의 주변기기의 보급도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프린터의 경우, 각 제조업체에서 앞다투어 개발에 참여함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도트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보다 인쇄품질, 인쇄속도, 인쇄시의 소음 등의 측면에서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레이저 프린터도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레이저 프린터는 그림신호로 변조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드럼에 토너를 묻힌 다음, 이 드럼을 종이에 누르면서 높은 열로 토너를 정착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프린터를 의미한다.
레이저 프린터의 동작을 살피면, 크게, 대전(Charging) , 노광(writing), 현상(Developing), 전사(Transfering), 정착(Fusing)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화상이 인쇄된다. 대전이란, 대전기에 고압(약 7000V 정도)을 인가하여,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해 드럼표면 상에 (-) 전하가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노광이란, (-)전하가 형성된 드럼 표면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주사하여 (-) 전하를 글자형태로 소멸시킴으로써 잠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현상이란 현상롤러 및 드럼을 미세한 간격으로 서로 회전시켜 (-) 성분을 가진 토너 입자들이 잠상부분에 달라붙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전사란, 드럼 및 전사기 사이에 용지가 지나갈 때 전사기에 소정 전사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종이 이면에 (+) 전하를 형성시켜 드럼표면에 형성된 (-) 토너 입자를 종이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착이란, 종이 위에 형성된 토너를 적당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완전히 융착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 단계를 거치면, 용지 상에 화상이 형성되어 출력된다.
한편, 컬러 프린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CMYK의 4가지 색깔의 토너를 이용하여 컬러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 경우, 선명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4개의 감광체를 이용하여, 토너 색깔 별로 인쇄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사과정에서는 각 색깔의 토너를 정확한 위치에 표시하기 위하여, 중간전사벨트(Intermediate Transfer Belt : ITB)를 이용하여 2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여 2단계로 전사작업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중간전사벨트(10), 구동롤러(20), 4개의 T1 전사롤러(30 내지 60), 4개의 감광체 드럼(OPC drum : 35 내지 65), T2 전사롤러(70), 및 T2 백업롤러(80)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35 내지 65)은 각각 현상과정을 통해 K(blacK), C(Cyan), M(Magenta), 및 Y(Yellow)에 해당하는 토너가 잠상부분에 부착되게 된다. 각 감광체 드럼(35 내지 65)에 대응되는 T1 전사롤러(30 내지 60)가 중간전사벨트(1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감광체 드럼(35 내지 65) 표면에 부착된 토너는 각 T1 전사롤러(30 내지 60)의 전사작용에 의해 중간전사벨트(10) 표면에 1차적으로 옮겨지게 된다. 이 경우, 중간전사벨트(10)상에 위치하는 위치마크(11)를 인식하여 각 감광체드럼(35 내지 65) 및 T1 전사롤러(30 내지 60)의 동작 동기를 맞춤으로써 하나의 컬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10)상에 형성된 컬러 이미지는 T2 전사롤러(70) 및 T2 백업롤러(80)사이에서 다시 2차 전사작용을 거쳐 종이(90)위에 옮겨지게 된다. 한편, 구동롤러(20)는 중간전사벨트(10)를 적정 속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사작용을 하는 T1 전사롤러(30 내지 60) 및 T2 전사롤러(70)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은 전체 중간전사벨트(10)의 평균저항값을 이용하여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4개의 감광체 드럼(35 내지 65) 및 T1 전사롤러(30 내지 60)를 이용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중간전사벨트(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중간전사벨트(10)의 각 영역은 재질의 차이, 제조과정에서의 환경변화 등에 의해 저항값이 달라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중간전사벨트(10)의 저항값이 높은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중간전사벨트(10), T1 전사롤러(30 내지 60) 및 T2 전사롤러(70)사이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약해지게 되고, 저항값이 낮은 영역에서는 전류값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값이 높은 영역에서는 중간전사벨트(10) 상의 토너가 제대로 용지방향으로 옮겨지지 않으므로 컬러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게 되고, 저항값이 낮은 영역에서는 용지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구멍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값에 대응되는 구동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최적의 전사환경을 유지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중간전사벨트 상의 영역별 저항값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전사롤러와 접하는 전사영역을 탐색하는 전사위치판단부,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후,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상기 전기적신호에 따라 상기 전사롤러를 구동하는 전사유닛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사위치판단부는, 상기 중간전사벨트상에 형성된 위치마크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마크가 인식된 시점부터 카운팅된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전사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압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반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류 중 하나를 상기 전기적신호로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형성방법은, (a)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상기 전사롤러와 접하는 전사영역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독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롤러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는,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 형성된 위치마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위치마크를 인식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의 전사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압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반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류 중 하나를 연산하여 상기 전기적신호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형성방법은, (d) 상기 전사롤러에 소정 시간 동안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사영역 및 상기 전사롤러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테스트 전압 및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연산하고 기록하는 단계, (f)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회전시켜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상기 전사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전 영역에서 상기 저항값이 연산되어 기록될 때까지 상기 (d)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으로부터 평균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저항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적신호의 기준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대응되는 소정의 변화량을 상기 기준값에 반영하여 상기 전기적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제어부(110), 메모리(120), 전사위치판단부(130), 전사유닛구동부(140), 및 전사유닛(150)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인쇄명령 및 인쇄대상데이터가 PC로부터 전송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엔진파트(미도시)를 제어하여 급지, 노광, 현상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전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사유닛(150)을 구동하여야 한다. 전사유닛(150)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10), T1 전사롤러(30 내지 60), 구동롤러(20), T2 전사롤러(70), T2 백업롤러(80)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전사유닛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사유닛(150)에 소정의 전사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전사작용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소정값을 미리 측정하여 전사전압 또는 전류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전사위치판단부(130)는 중간전사벨트(10)상에 표시된 위치마크(11)를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위치마크(11)를 인식하여 전사롤러(70)가 중간전사벨트(10)와 접하는 전사영역이 중간전사벨트(10)상의 어느 영역인지를 판단한 후, 제어부(110)에 통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전사위치판단부(130)는 위치마크(11)가 한번 인식된 후, 다음 인식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중간전사벨트(10)의 회전주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마크(11)가 인식된 시점부터 카운팅된 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의 전사영역이 중간전사벨트(10)의 어느 영역인지 그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마크(11)가 한번 인식된 후 다시 인식될 때까지의 시간을 1주기로 잡고 전사벨트(10)의 회전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수학식 1에서 T는 중간전사벨트(10)가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t는 위치마크(11)가 지나고 난 후부터 카운팅된 시간, L은 중간전사벨트(10)의 전체길이, 그리고, l은 위치마크(11)로부터 전사영역이 이격된 거리를 의미한다. 즉, 위치마크(11)가 인식된 후 t시간이 흘렀다면, 센서는 위치마크(11)로부터 (L * t)/T 만큼 회전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중간전사벨트(10)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및 전사롤러(70)간의 중간전사벨트(10)의 길이가 x라면, 현재 전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사영역은 위치마크(11)로부터 x + (L * t)/T 떨어진 위치가 된다.
제어부(110)는 전사위치판단부(130)에서 확인한 현재 전사영역에 위치하는 중간전사벨트(10)의 저항값을 메모리(12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메모리(120)에는 중간전사벨트(10)의 각 영역별 저항값이 사전에 측정되어 기록되게 된다. 영역별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10)는 추출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T1 전사롤러(30 내지 60) 및 T2 전사롤러(70) 각각에 대한 최적의 전기적신호(즉, 전사전압 또는 전류)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정된 전사전압 또는 전류를 전사유닛(150)에 인가하도록 전사유닛구동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전사벨트(10)의 각 위치별 저항값 뿐 아니라, 각 저항값에 대응되는 최적의 전사전압값을 미리 연산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제어부(110)가 직접 전사전압값을 연산하지 않고 이를 독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사유닛구동부(140)는 T1 전사롤러(30 내지 60) 및 T2 전사롤러(70)에 각각 결정된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은 메모리(120)에 기록된 중간전사벨트(10)의 영역별 저항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T2 백업롤러(80)는 중간전사벨트(10) 및 T2 전사롤러(70)사이에서 전사작용이 원할하게 이행되도록 중간전사벨트(10)를 T2 전사롤러(7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도 3에서, 테스트 전압(VT)를 인가하면,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IT는 측정된 전류값, VT는 테스트 전압, R1은 백업롤러(80)의 저항값, R2는 T2 전사롤러(70)의 저항값, 그리고, RB는 중간전사벨트(10)의 저항값을 의미한다. T2 백업롤러(80) 및 T2 전사롤러(70)의 저항값(R1, R2)이 사전에 측정된 값이라면, 수학식 2로부터 중간전사벨트(10)의 저항값(RB)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중간전사벨트(10)의 표면상에 위치마크(11)를 형성함으로써, 중간전사벨트(10)를 위치마크(11)로부터 소정간격으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사작업이 진행중인 부분과 위치마크(11)와의 거리를 파악하여, 중간전사벨트(10)상에서 어느 영역인지를 확인하고, 측정된 저항값(RB)을 해당 영역의 저항값으로 메모리(120)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중간전사벨트(10)를 이동시킨 후, 다시 저항값을 측정하여 다음 영역의 저항값으로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전사벨트(10)의 전영역에 대해서 저항값을 측정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되어 메모리(120)에 영역별로 저장된 저항값 그래프이다. 도 4에 따르면, 위치마크(11)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각 영역(P1, P2, ... P10)을 구분한 경우, 각 영역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항값의 차이는 재질 자체가 차이가 나거나, 제조 과정에서의 환경의 차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110)에서 메모리(120)에 저장된 영역별 저항값에 따라 조절한 전사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따르면, 기준전사전압(Vref)을 기준으로 각 영역(P1, P2, ..., P10)별로 소폭 감소되거나 증가된 전압값이 최적 전압값으로 결정된다. 기준전사전압(Vref)이란 중간전사벨트의 평균저항값에 따른 전사전압값을 의미한다. 제어부(110)는 각 영역상에서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여 전사전압값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변화량을 기준전사전압(Vref)에 반영함으로써 일정한 전사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전사전압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사전류를 변화시켜 전사환경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영역에서 일정한 전류를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한편, 도 5에서는 각 영역 내에서는 일정한 전압값을 산출하고 있다. 저항값의 변화에 일일이 대응하는 전압값을 산출하게 되면 연산 부담이 가중되므로 각 영역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일정 영역내에서는 동일한 전압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전사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중간전사벨트(10)상에 표시된 위치마크(11)를 인식하여 현재 전사작업이 진행되는 영역을 확인하게 된다(S610).
이에 따라, 전사영역이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현재 전사영역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하게 된다(S620).
제어부(110)는 메모리(120)로부터 독출된 저항값에 따라 최적의 전사전압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S630). 이 경우, T1 전사롤러(30 내지 60) 및 T2 전사롤러(70)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전사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된 전사전압을 이용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640). 이에 따라, 전사작업에 적합한 크기의 전사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되므로, 전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질의 열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로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일단 구동롤러(20)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10)를 회전시키면서(S710), 중간전사벨트(10)상의 위치마크(11)를 인식하게 된다(S720).
이에 따라, 위치마크(11)와 현재 T2 전사롤러(70)를 지나는 영역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T2 전사영역을 확인하게 된다(S730). 이 경우, 위치마크(11)가 인식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함으로써 T2 전사영역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TS)동안 테스트 전압(VT)을 백업롤러(80) 및 T2 전사롤러(70) 사이에 인가하고, 그 때의 전류를 측정한다(S740).
다음으로, 수학식 2에 IT, VT, R1, R2값을 대입하여 RB값을 연산한 후, 메모리(120)에 저장하게 된다(S750). 그리고 나서, 중간전사벨트(10)를 이동시켜 다음 영역의 저항값을 연산한 후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10)의 전영역에서 저항값이 연산되었다고 판단되면(S760), 각 영역별 저항값을 평균하여 평균저항값을 계산한다(S770).
다음으로, 평균저항값을 이용하여 기준전사전압 또는 전류를 결정하게 된다(S780).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저항값의 변화에 대응되도록 기준전사전압 또는 전류값을 변화시켜 인가함으로써 언제나 동일한 전압환경에서 전사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전사벨트를 복수개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저항값을 측정한 후 저항값에 대응되는 최적의 전사전압 또는 전류를 연산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가 길어지더라도 적절한 전사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질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로 저항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3의 방식으로 연산된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 그래프,
도 5는 도 4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사전압 그래프,
도 6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로 전사전압을 조정하여 프린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로 저항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간전사벨트 20 : 구동롤러
30, 40, 50, 60 : T1 전사롤러 35, 45, 55, 65 : 감광드럼
70 : T2 전사롤러 80 : T2 백업롤러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
130 : 전사위치판단부 140 : 전사유닛구동부
Claims (8)
- 중간전사벨트 및 전사롤러를 이용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이 기록된 메모리;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상기 전사롤러와 접하는 전사영역을 탐색하는 전사위치판단부;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후,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상기 전기적신호에 따라 상기 전사롤러를 구동하는 전사유닛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사위치판단부는,상기 중간전사벨트상에 형성된 위치마크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마크가 인식된 시점부터 카운팅된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전사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압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반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류 중 하나를 상기 전기적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중간전사벨트 및 전사롤러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a)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상기 전사롤러와 접하는 전사영역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b)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독출하는 단계; 및(c)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롤러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a)단계는,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 형성된 위치마크를 인식하는 단계;상기 위치마크를 인식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상기 카운팅된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의 전사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압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반비례하여 변하는 전사전류 중 하나를 연산하여 상기 전기적신호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 제4항에 있어서,(d) 상기 전사롤러에 소정 시간 동안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사영역 및 상기 전사롤러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e) 상기 테스트 전압 및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영역의 저항값을 연산하고 기록하는 단계;(f)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회전시켜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서 상기 전사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g)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전 영역에 대해서 상기 저항값이 연산되어 기록될 때까지, 상기 (d)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중간전사벨트의 각 영역별 저항값으로부터 평균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상기 평균저항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적신호의 기준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대응되는 소정의 변화량을 상기 기준값에 반영하여 상기 전기적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9236A KR100533834B1 (ko) | 2004-04-27 | 2004-04-27 |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9236A KR100533834B1 (ko) | 2004-04-27 | 2004-04-27 |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3826A KR20050103826A (ko) | 2005-11-01 |
KR100533834B1 true KR100533834B1 (ko) | 2005-12-07 |
Family
ID=3728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9236A KR100533834B1 (ko) | 2004-04-27 | 2004-04-27 |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3834B1 (ko) |
-
2004
- 2004-04-27 KR KR10-2004-0029236A patent/KR1005338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3826A (ko) | 2005-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60953B1 (en) |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gistration correction | |
US7885566B2 (en) | Toner consumption-calcula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sumption calculating method | |
JP4856998B2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 |
JP5653314B2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4116531B2 (ja) | 画像形成装置 | |
CN102402149B (zh) | 图像形成设备 | |
US839175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 |
CN101930198B (zh) | 图像形成装置 | |
US920761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6044234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tection timing of a density sensor | |
US817547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convey member with respect to the toner image position based on sensed indicies | |
JP2016161618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US945955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34610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set operation processing unit | |
JP4311202B2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補正データの更新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4885464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533834B1 (ko) |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
JP447844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1215796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1825485B1 (ko) | 멀티패스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530744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H11258923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50041204A (ko) | 전사롤러의 저항측정방법 | |
JP4044377B2 (ja)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露光方法及び装置 | |
KR100631195B1 (ko) | 중간전사벨트의 저항변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