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788B1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788B1
KR100533788B1 KR1020050078269A KR20050078269A KR100533788B1 KR 100533788 B1 KR100533788 B1 KR 100533788B1 KR 1020050078269 A KR1020050078269 A KR 1020050078269A KR 20050078269 A KR20050078269 A KR 20050078269A KR 100533788 B1 KR100533788 B1 KR 10053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isplay panel
aging
cooling fan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05007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28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에이징 장치(110)의 지지기판(112)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판(112)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자(102)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구동을 수행하는 에이징 공정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2)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냉각 기류를 불어주기 위한 냉각 팬(120)을 왕복운동수단(13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표면을 고르게 냉각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A cool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panel aging}
본 발명은 대화면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장치 분야에 대하여 주로 서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에이징 장치는 TFT LCD의 발광 패널의 에이징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를 배제하지 아니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 또는 패널이라 함)에서는 가스 방전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발광시켜 컬러 표시를 하고 있다. 기판상에는 격벽에 의해서 구획된 표시 셀이 설치되어, 각 표시 셀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PDP에는 크게 나누어 구동 방식으로서 AC형과 DC형이 있고, 방전 형식으로는 면방전형과 대향방전형의 두 가지가 있지만, 고선명화, 대화면화 및 제조의 간편성으로 인해, 현 상태에서는 3 전극 구조의 면방전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AC형 면방전의 PDP의 구조는 한쪽의 기판상에 평행하게 인접한 표시 전극쌍을 구비하며, 또 한쪽의 기판상에는 표시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과, 격벽 및 형광체층을 갖고 있고, 형광체층을 비교적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형광체에 의한 컬러 표시에 적합하다.
이러한 PDP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징으로서, 액정 패널과 비교해서 고속의 표시가 가능한 것, 시야각이 넓은 것, 대형화가 용이한 것, 자발광형(自發光型)이기 때문에 표시 품질이 높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최근 특히 주목을 모으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의 표시 장치나 가정에서 대화면의 영상을 즐기기 위한 표시 장치로서 각종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PDP의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은 PDP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 등의 투명한 전면측의 기판(1)상에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으로 쌍을 이루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표시 전극(2)이 복수열 형성되고, 그리고 그 전극 그룹을 피복하도록 유전체층(3)이 형성되고, 그 유전체층(3)상에는 보호막(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측의 기판(1)에 대향 배치되는 배면측의 기판(5)상에는,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의 표시 전극(2)과 교차하도록, 절연체층(6)으로 덮힌 복수열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어드레스 전극(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 전극(7) 사이의 절연체층(6)상에는 어드레스 전극(7)과 평행하게 복수의 격벽(8)이 배치되고, 이 격벽(8) 사이의 측면 및 절연체층(6)의 표면에 형광체층(9)이 설치된다.
이들의 기판(1)과 기판(5)은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의 표시 전극(2)과 어드레스 전극(7)이 거의 직교하도록, 미소한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주위가 밀봉되고, 방전 공간에는 예컨대 네온과 크세논의 혼합가스가 방전 가스로서 봉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 공간은 격벽(8)에 의해서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표시전극(2)과 어드레스 전극(7)의 교점이 위치하는 복수의 방전 셀이 설치되고, 그 각 방전 셀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이루어진 형광체층(9)이 한 색상씩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는 PDP의 전극 배열을 나타내는 배선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어드레스 전극은 M행 × N열의 매트릭스 구성이며, 행방향에는 M행의 스캔 전극(SCN 1 내지 SCN M ) 및 서스테인 전극(SUS 1 내지 SUS M )이 배열되고, 열방향에는 N열의 어드레스 전극(D 1 내지 D N )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구성의 PDP에서는, 어드레스 전극과 스캔 전극 사이에 기록 펄스(write pulse)를 인가함으로써, 어드레스 전극과 스캔 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을 하여, 방전 셀을 선택한 후에,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교대로 반전하는 주기적인 유지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서 유지 방전을 하여, 소정의 표시를 하는 것이다.
도 7은 PDP를 조립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PDP(10)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전면 프레임(11)과 금속제의 배면 커버(12)로 구성되고, 전면 프레임(11)의 개구부에는 광학 필터 및 패널(10)의 보호를 겸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전면 커버(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전면 커버(13)에는 전자파의 불필요한 복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예컨대 은증착이 실시된다. 또한, 배면 커버(12)에는 PDP(10) 등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 구멍(12a)이 설치되어 있다.
PDP(10)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섀시 부재(14)의 전면에 열전도 시트(15)를 거쳐서 접착함으로써 유지되고, 그리고 섀시 부재(14)의 후면측에는 PDP(10)를 표시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회로 블럭(16)이 설치되어 있다. 열전도 시트(15)는 PDP(10) 및 회로 블럭(16)에 탑재된 표시 구동을 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PDP(10)에서 발생한 열을 섀시 부재(14)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방열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섀시 부재(14)의 회로 블럭(16)이 배치되는 쪽에 공냉을 위한 팬을 설치하여, 섀시 부재(14)에 열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또한, 회로 블럭(16)은 PDP(10)의 표시 구동과 그 제어를 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PDP(10)의 연부에 인출된 전극 인출부에 섀시 부재(14)의 4변의 연부를 넘어서 연장하는 복수의 가요성 배선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섀시 부재(14)의 후면에는 회로 블럭(16)을 설치하거나, 배면 커버(12)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부(14a)가 다이 캐스트 등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섀시 부재(14)는 알루미늄 평판에 고정 핀을 고정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AC형의 PDP는 크게 나누어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우선, 전면 패널은 전면측의 유리 기판상에 투명 도전막에 의한 전극을 형성한 후에, 은(Ag) 등의 전극 재료를 인쇄, 소성(燒成)하여 버스 전극을 형성함으로 써 표시 전극을 설치하고, 그 위에 유전체 유리 재료를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그 후 산화마그네슘(MgO) 보호막을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하여 제작된다.
한편, 배면 패널은 배면측의 유리 기판상에 은(Ag) 등의 전극 재료를 인쇄, 소성하여 어드레스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리 재료를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절연체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어드레스 전극을 구획하는 형태로 격벽을 형성하고, 그 격벽 사이에 형광체 재료의 도포, 소성에 의해 형광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와 같이 각각 소정의 공정을 거친 후에는, 배면 패널의 주위에 밀봉 유리 프리트(frit)를 도포하고, 전면 패널과 중첩시킨 후, 밀봉 유리 플리트를 가열 용융시키는 밀봉 공정에 의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의 외주부를 밀봉 유리로 밀봉한다. 그 후,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 사이에 형성된 방전 공간에 대하여, 가열하면서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 공정을 수행하고, 그 후 내부의 방전 공간에 방전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도입함으로써 PDP가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PDP의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PDP의 방전 특성은 시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일본 특허공개 제 1999-213891 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 2002-75207 호 공보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소정 시간 방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에이징 공정(aging process)을 수행하여 방전 특성을 안정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특성 안정화를 위한 에이징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방전으로 인한 발광에 수반하는 유리 기판상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글라스 표면상의 각 지점에 있어서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냉각 취약 부분이 존재함에 따른 고열로 인한 비정상 방전 현상, 글라스 표면이 고르지 않게 냉각됨으로 인한 얼룩 현상 및 이로 인한 에이징 품질 저하, 글라스 주연의 비발광부와 발광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글라스 파손 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전체 평균 온도의 상승으로 에이징 조건 약화의 요인이 되어 에이징 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PDP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구동을 행하는 에이징 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PDP를 복수의 냉각 팬(28)을 구비한 에이징 장치에 설치하고, 그 에이징 장치의 복수의 냉각 팬(28)으로 PDP표면 글라스(21)를 냉각하면서 에이징하는데, 이 때, PDP의 실제 사용시에 인가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마그네슘(MgO)표면의 활성화와 물성 안정을 위해 방전을 시키고, 소정시간, 예컨대 4시간 정도 PDP를 실제로 점등시켜 표시 구동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 때, PDP표면 글라스(21) 각 부분에 기류가 균일하게 불어지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불균일 냉각 현상 및 냉각 공백 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냉각 공백 부위는 고온에 따른 비정상 방전 특성을 나타내게 되고, 글라스 표면 각 지점 간의 온도 편차로 인한 얼룩이 나타난다. 또한,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방전부와 비방전부의 온도편차가 확대되어 글라스의 균열 또는 파손에 이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냉각 팬(28)을 바둑판식으로 배열하여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고정된 소형 냉각 팬(28)에 의한 냉각 방식은 고정된 패턴을 갖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복수의 냉각 팬(28)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간섭으로 인한 냉각 불균일 문제 및 냉각 팬(28) 중심 직하에 해당하는 부분 등 일부 영역의 냉각 취약성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형 냉각 팬의 중심 직하 부분과 기류 형성 조건에 따라 냉각 기류가 약하게 부는 부분에 해당하는 패널 표면 글라스에 냉각 취약성 부분(S)이 나타나며, 이 부분은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열로 인한 비정상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대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 글라스(21)가 고르게 냉각되지 않음으로써 온도 편차에 따른 얼룩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한다. 나아가, 복수의 냉각팬으로 인한 냉각 방식은 기류 간섭으로 인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내측의 방전부(30)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방전부(30)와 주연측의 비방전부(32)간의 온도 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글라스가 균열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주연측의 비방전부에 비하여 중앙측의 방전부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글라스 표면의 온도 편차로 인하여 글라스의 파손이 생기는 것이다. 통상 방전부의 온도가 120에 이르게 되면 글라스의 파손 현상이 생기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냉각장치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방전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지 못하여 글라스의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충분한 에이징 전압을 인가하지 못하여 에이징 조건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어 공정시간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대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 안정화를 위한 에이징 공정시 하나의 대형 팬을 형성하여 에어 실린더에 의해 대형 팬을 왕복운동시켜 팬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의 냉각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 기류간섭에 의한 냉각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르게 냉각시킴으로써, 에이징 공정 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냉각 공백 부위의 고열로 인한 비정상 방전, 부위별 온도 편차에 따른 얼룩 현상, 방전부와 비방전부의 큰 온도 편차에 의한 글라스 파손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균일한 고른 냉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불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던 종래의 에이징 공정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에이징 품질 향상 및 불량 감소를 가져 오고, 냉각 조건으로 인한 제약에서 해방되어 더욱 효과적인 에이징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하여 공정 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에이징 장치(110)의 지지기판(112)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판(112)에 설치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자(102)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구동을 수행하는 에이징 공정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2)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냉각 기류를 불어주기 위한 냉각 팬(120)을 왕복운동수단(13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 표면을 고르게 냉각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왕복운동수단(130)은 상기 에이징 장치(110)의 일측으로 에어 실린더(132)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132)의 작동으로 실린더 바(134)와 결합된 상기 냉각팬 프레임(122)을 반복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바(142)가 구비된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팬(120)이 결합된 냉각팬 프레임(122)의 양측 끝단이 상기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의 상기 가이드 바(142)에 지지되고, 에어 실린더(132)가 상기 냉각팬 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팬 프레임(122)이 상기 가이드 바(142)상에서 왕복운동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공정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여기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임)을 에이징 장치(110)의 지지대(112)상에 배치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자(102)에 도선(104)에 의해서 한쪽을 고주파 전원(106)에 접속하고, 다른 쪽을 접지한다. 고주파 전원(1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실제 사용시에 인가하는 전압보다도 높은 에이징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 마그네슘(MgO)표면의 활성화 및 물성 안정을 위해 방전시키고,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실제로 점등시켜 에이징을 행한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거의 수평이 되도록 에이징 장치(110)에 설치한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한 장씩 에이징 장치(110)에 설치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구동을 하는 에이징을 실시할 때, 에이징 장치(110)는 냉각 팬(120)과 왕복운동수단(130)이 구비된다.
냉각 팬(120)은 하나의 대형 팬으로 형성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냉각 팬(120)은 냉각팬 프레임(122)에 설치되어 냉각팬 프레임(122) 양측으로 형성된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에 형성된 가이드 바(142)상에서 왕복 운동수단(130)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 팬(120)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방에 설치된다.
왕복 운동수단(130)은 냉각 팬(120)이 결합된 냉각팬 프레임(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냉각팬 프레임(122)을 왕복 운동하게 하며, 따라서, 냉각팬 프레임(122)에 결합된 냉각 팬(120)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측에서 반복적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즉, 왕복운동수단(130)에 의해 냉각 팬(120)을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면을 고르게 공냉하면서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왕복운동수단(130)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에어 실린더(132)가 형성되고, 에어 실린더(132)의 실린더 바(134)가 냉각팬 프레임(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에어 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바(134)가 왕복 운동하게 형성되되, 실린더 바(134)의 일측 끝단이 냉각팬 프레임(122)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렇게 냉각팬 프레임(122)에 고정결합된 실린더 바의 왕복운동에 의해 냉각팬 프레임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의 가이드 바(142)에 지지되어 실린더(132)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바(142)상에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냉각팬 프레임에 결합된 냉각 팬(120)은 냉각팬 프레임과 함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132)를 컨트롤러(도시 없음)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공냉에 의한 에이징 수행시 냉각 팬(122)을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면 글라스의 냉각 취약성 부분없이 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물론 에어 실린더(132)에 의한 구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든 것이며, 이외에도 모터와 센서를 이용한 방식, 캠을 사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냉각팬의 왕복운동을 시킬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구성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에이징 공정 중 냉각 팬(120)에 의한 냉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징 장치(110)의 지지대(112)상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배치한 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으로 형성된 냉각 팬(120)이 냉각팬 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에이징 장치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140)의 가이드 바(142)상에 걸려 가이드 바(142)상에서 냉각 팬(120)이 결합된 냉각팬 프레임(122)이 에어 실린더(132) 등의 왕복운동 수단의 작동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상에서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냉각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실린더(132)에 의해 냉각 팬(122)을 반복적으로 왕복운동하여 냉각하는 냉각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수의 냉각 팬(28)에 의한 냉각 장치에 나타나는 냉각 취약성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냉각 효율이 뛰어나며 컨트롤러에 의한 에어 실린더(132)의 작동을 규칙적으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면 글라스의 온도 편차 없이 에이징 공정을 수행하여, 글라스의 비정상 방전과 얼룩이 방생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에이징 공정 중 디스플레이 패널(100) 표면 방전부(30)의 평균 온도를 낮춤으로써, 방전부(30)와 비방전부(32)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여 글라스의 온도 편차에 의한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왕복 운동수단(130)에 의해 규칙적으로 이동되는 대형 팬(122)이 송풍작용에 의해 편 중심부의 냉각 공백을 배제하여, 냉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부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시켜 냉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에이징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에이징 전압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산화마그네슘(MgO)표면의 활성화 및 물성 안정화를 위한 공정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게 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FT LCD 발광 패널 등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안정화를 위한 에이징 공정시 하나의 대형 팬을 형성하여 에어 실린더에 의해 대형 팬을 왕복운동시켜 팬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의 냉각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 기류간섭에 의한 냉각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르게 냉각시킴으로써, 에이징 공정 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냉각 공백 부위의 고열로 인한 비정상 방전, 부위별 온도 편차에 따른 얼룩 현상, 방전부와 비방전부의 큰 온도 편차에 의한 글라스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풍부한 풍량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균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고 부위별로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불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던 종래의 에이징 공정에 비해, 품질 향상과 불량 감소 및 에이징 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PDP의 에이징 공정시 냉각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PDP의 에이징 공정시 냉각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PDP의 에이징 공정시 소형팬에 의한 냉각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PDP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PDP의 전극 배열을 나타내는 배선도,
도 6은 PDP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2 : 단자
104 : 도선 106 : 고주파 전원
110 : 에이징 장치 112 : 지지기판
120 : 냉각 팬 122 : 냉각팬 지지프레임
130 : 이격 조정수단 132 : 에어 실린더
134 : 실린더 바 140 : 냉각팬 지지프레임
142 : 가이드 바

Claims (3)

  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에이징 장치(110)의 지지기판(112)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판(112)에 설치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자(102)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구동을 수행하는 에이징 공정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있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2)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냉각 기류를 불어주기 위한 냉각 팬(120)을 왕복운동수단(13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 표면을 고르게 냉각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장치(110)의 일측에 고정된 에어 실린더(132)의 작동으로 실린더 바(134)를 반복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실린더 바(134)에 결합된 냉각팬 프레임(122)이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3.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바(142)가 구비된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이 형성되고,
    냉각 팬(120)이 결합된 냉각팬 프레임(122)의 양측 끝단이 상기 냉각팬 지지프레임(140)의 상기 가이드 바(142)에 지지되고,
    에어 실린더(132)가 상기 냉각팬 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팬 프레임(122)이 상기 가이드 바(142)상에서 왕복 운동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KR1020050078269A 2005-08-25 2005-08-25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KR10053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69A KR100533788B1 (ko) 2005-08-25 2005-08-25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69A KR100533788B1 (ko) 2005-08-25 2005-08-25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3788B1 true KR100533788B1 (ko) 2005-12-06

Family

ID=3730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69A KR100533788B1 (ko) 2005-08-25 2005-08-25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20B1 (ko) * 2013-10-11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팬의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20B1 (ko) * 2013-10-11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팬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350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313158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3378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냉각 장치
KR1007284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방법 및 에이징 장치
US20060082274A1 (en) Panel assembly,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KR10087814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에이징 장치
US20090051290A1 (en) Plasma display panel
CN100449676C (zh) 等离子显示面板
JP200710305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92237B2 (ja) ガス放電パネルのエージング方法およびエージング装置
JP449687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ージング方法およびエージング装置
KR2005005226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7362B1 (ko) 평판표시장치의 전극구조
JP2002075207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した画像表示装置
KR20070013146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980011608A (ko) Pdp의 격벽 일체형 배면기판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396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3652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200629440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028033A (ko) 에이징 시스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JP201301640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700031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110933A (ko) 방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스 배기/주입방법
KR200501056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92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628

Effective date: 2007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28

Effective date: 200710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