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644B1 -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 Google Patents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644B1
KR100533644B1 KR10-2004-0024225A KR20040024225A KR100533644B1 KR 100533644 B1 KR100533644 B1 KR 100533644B1 KR 20040024225 A KR20040024225 A KR 20040024225A KR 100533644 B1 KR100533644 B1 KR 10053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iezoelectric
guide housing
lens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699A (ko
Inventor
강병우
최형민
류정호
석일우
민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6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용 촛점거리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압전구동수단을 이용한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 압전구동수단에 이송부재가 일정한 예압으로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일체화함으로써 조립에 의한 예압편차를 감소시켜 동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전판이 측면에 부착된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압전구동수단을 이용한 렌즈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수단; 상기 렌즈수단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장착된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힌지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압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구동수단에 이송부재가 일정한 예압으로 가압되며 접촉하도록 일체화하여 조립에 의한 예압편차를 감소시키고, 이로인해 동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Lens module having improved driving stability}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용 촛점거리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압전구동수단을 이용한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구동수단에 이송부재가 일정한 예압으로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일체화함으로써 조립에 의한 예압편차를 감소시켜 동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술은 필름을 사용하는 아나로그 카메라 기술에서 화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기술이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어 개인이동통신 기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디지털 카메라를 탄생시켰다.
개인이동통신 기기, 예를 들면 셀룰러폰 등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은 화상센서의 화소수(pixel)에 의해 결정되는데, 최근에는 그 화소수가 점차 커져서 100만 화소급 이상의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개인이동통신 기기가 출시되고 있거나 출시될 예정이다.
개인이동통신 기기 등에 장착되는 초소형 카메라는 초기에 주로 오락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으나, 최근 100만 화소급 이상의 화상이 실현됨으로써 오락적 성격의 카메라 수준을 넘어 정식 카메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정식 카메라로 인식됨에 따라 일반 디지털 카메라가 갖춘 광학 줌(zoom) 기능 및 자동초점(auto focus) 조절기능이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특별히 짧은 스트로크 및 초소형의 구동부를 가진 렌즈모듈의 설계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0014767호에서는 초소형 렌즈모듈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초소형 렌즈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형의 금속튜브(112)와 상기 금속튜브(112)의 측면에 부착된 압전플레이트(114)로 구성된 압전구동수단(110)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초소형 렌즈모듈은 이송부재(102)와 결합되어 케이스(104)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렌즈(106,106')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압전플레이트(114)에 위상차를 갖는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금속튜브(112)에는 굽힘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그 중앙부에서 회전형 변위가 발생된다.
이러한 금속튜브(112)를 이송부재(102)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도록 접촉시키면 이송부재(10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렌즈(106,106')는 상기 이송부재(10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4)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초소형 렌즈모듈은 부품가공 및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이송부재(102)와 가이드축(103) 간의 평행도 오차를 줄이고 렌즈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선되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102)는 상술한 압전구동수단(110)의 금속튜브(112)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며, 모터하우징(122)내에 장착된다. 상기 압전구동수단(110)은 지지부재(108)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08)는 상기 모터하우징(122) 내에 예압스프링(109)과 함께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4)와 모터하우징(122)이 결합되면, 상기 금속튜브(112)와 상기 이송부재(102)는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되며 접촉되어 상기 압전구동수단(110)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102)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지지부재(108)의 후방에 설치되는 예압스프링(109)에 의해 상기 금속튜브(112)가 상기 이송부재(102)에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되며 접촉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모터하우징(122)과 케이스(104)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금속튜브(112)와 이송부재(102)의 접촉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의 접촉상태는 구동력의 전달효율 및 렌즈위치 정확도와 관계있는 작동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렌즈모듈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작동시 불균일한 소음과 진동의 발생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구동수단(110)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102)에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가 안정적으로 예압을 이루며 서로 접촉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압전구동수단(110)의 X방향 움직임은 상기 금속부재(112)가 이송부재(102)에 안정적으로 예압을 이루도록 접촉되기 위해 필요하나, Y,Z방향 움직임은 불필요하며 X,Y,Z방향의 회전 움직임도 또한 불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는 상기 지지부재(108)가 상기 모터하우징(122)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움직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가 안정적으로 예압을 이루며 서로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압전구동수단(110)의 Z방향 회전을 방지해야 한다. 이는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의 접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하우징(122)의 내부에는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122a)가 설치되는데, 상기 위치검출센서(122a)도 상기 모터하우징(122)과 케이스(104)의 결합상태에 따라 그 검출위치나 감도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검출센서(122a)가 상기 모터하우징(122)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조립완료 후 상기 위치검출센서(122a)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모터하우징(122)과 케이스(104)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조립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도 상기 모터하우징(122)과 케이스(104)를 분리해야만 했다.
상술한 종래의 렌즈모듈은 상기 예압스프링(109)이 상기 지지부재(108)에 편심지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모터하우징(122)내에서 상기 지지부재(108)의 원활한 이동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상기 금속부재(112)가 상기 이송부재(102)와 예압을 이루며 접촉하지 못하거나 그 접촉상태가 불량한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8)가 상기 모터하우징(122)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의 안정적인 접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Z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없으며, 상기 모터하우징(122)과 케이스(104)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금속부재(112)와 이송부재(102)의 접촉상태가 상이해져 상기 렌즈모듈 작동성의 편차가 크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전구동수단에 이송부재가 일정한 예압으로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일체화함으로써 조립에 의한 예압편차를 감소시켜 동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전판이 측면에 부착된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압전구동수단을 이용한 렌즈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수단;
상기 렌즈수단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장착된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힌지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압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하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부재는 나선부가 형성된 축형상이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렌즈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압전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직선방향의 이송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렌즈수단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상기 렌즈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수단은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렌즈수단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상기 이송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중앙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그 일단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이 케이스와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1)은 렌즈수단(10), 동력전달수단(30), 및 압전구동수단(50)을 포함하고 있는데, 우선 렌즈수단(1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수단(10)은 렌즈(12)와 상기 렌즈(12)가 고정되는 렌즈홀더(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렌즈홀더(14)는 개구(14a), 안내홀(14b), 및 나선홀(1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홀더(14)의 개구(14a)에는 렌즈(12)가 장착되는데, 상기 렌즈(12)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장착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14)에는 바람직하게 위치검출부(15)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동력전달수단(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이송부재(32)와 가이드 하우징(3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은 전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을 가지며, 그 후방 양측 하단에는 단부에 고정홀(36a)이 형성된 고정부(36)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후방 중앙부에는 리브(34a)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리브(34a)는 지지부(38)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부(38)는 상기 리브(34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하우징(34)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8)의 하단부에는 관통의 지지홀(3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에는 이송부재(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재(32)는 그 일부분에 나선부(32a)가 형성된 축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2)의 나선부(32a)는 상기 렌즈홀더(14)에 형성된 나선홀(14c)과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3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렌즈홀더(14)는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렌즈수단(10)이 두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렌즈수단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재(32)는 상기 렌즈수단(10)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하우징(34)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수단(1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에는 상기 렌즈홀더(14)에 형성된 안내홀(14b)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홀더(14)를 안내하는 안내부재(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42)는 상기 이송부재(32)와 평행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4)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지지부(38)에는 센서장착개구(38b)가 형성되어 상기 렌즈수단(1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위치감지수단(7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은 상기 지지부(38)의 후면에 볼트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14)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위치검출부(15)가 상기 위치감지수단(7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상기 렌즈수단(10)의 위치가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수단(70)으로는 광센서나 근접센서가 적용가능하며 그 밖의 각종 센서류 등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압전구동수단(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구동수단(50)은 금속부재(52)와 상기 금속부재(52)의 측면에 부착된 압전판(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압전구동수단(50)은 지지부재(56)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56)는 상기 압전구동수단(50)을 고정하기 위해 그 일측면으로 돌출된 고정암(56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6)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힌지부(56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에는 스프링(58)이 결합되는 돌기(5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56)의 고정암(56a)에는 압전구동수단(50)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56)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고정부(36)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56)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56b)는 상기 고정부(36)와 지지부(38)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36)의 고정홀(36a)과 상기 힌지부(56b)에 형성된 관통홀 및 지지부(38)의 지지홀(38a)에는 힌지축(44)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56)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에 힌지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56)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56c)에는 스프링(58)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38)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44)이 삽입되는 고정홀(36a), 관통홀 및 지지홀(38a)의 내경에는 메탈부시 또는 메탈베어링 등을 삽입하여 상기 압전구동수단(50)의 힌지축에 대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그밖의 흔들림이나 조립유격에 의한 미세회전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전구동수단(50)은 가이드 하우징(34)에 힌지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58)에 의한 탄성력은 상기 압전구동수단(50)의 금속부재(52)가 상기 이송부재(32)에 일정한 예압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렌즈모듈은 케이스(104')와 모터하우징(122')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형상의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각종 제품등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하우징(34)은 그 후방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도 가능하다. 즉, 지지부재(56)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56b)가 상기 지지부(38)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44)에 의해 힌지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은 그 하부에 고정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56)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56b)가 상기 지지부(38)에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8)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38)에 기계적인 강도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인데, 상기 다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압전구동수단이 고정된 지지부재와 가이드 하우징이 결합되는 구조만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구동수단(50')이 고정된 지지부재(56')는 그 상부에 힌지부(56b')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상부에 힌지고정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도 7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후방 상단에 고정부(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36')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구동수단(50")이 고정된 지지부재(56")는 중앙부에 힌지부(56b")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중앙부에 힌지고정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56")의 양단 후면은 스프링(5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렌즈수단이 두개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렌즈수단의 갯수는 변경가능하며 이에 따라 이송부재와 압전구동수단의 갯수도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에 의하면 압전구동수단과 이송수단을 일체화시켜 조립이나 그 밖의 가공공차에 따른 금속부재와 이송수단의 접촉상태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구동수단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힌지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금속부재와 이송수단간의 접촉상태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모듈과 케이스 및 모터하우징을 완전히 독립시켜 각종 제품에 적용시 케이스 및 모터하우징의 형상변경에 자율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수단(70,70',70")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34,34',34")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부(38,38',38")에 볼트결합시킴으로써 렌즈모듈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용이하게 위치의 미세 조정과 조립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전구동수단에 이송부재가 일정한 예압으로 가압되며 접촉하도록 일체화하여 조립에 의한 예압편차를 감소시키고, 이로인해 동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전구동수단과 이송부재의 접촉상태의 편차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으며, 위치감지수단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위치감지수단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렌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렌즈모듈의 문제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이 케이스와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렌즈수단 12..... 렌즈
14..... 렌즈홀더 30..... 동력전달수단
32..... 이송부재 34..... 가이드 하우징
36..... 고정부 38..... 지지부
50..... 압전구동수단 52..... 금속부재
54..... 압전판 56..... 지지부재
58..... 스프링 70..... 위치감지수단

Claims (8)

  1. 압전판이 측면에 부착된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압전구동수단을 이용한 렌즈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수단;
    상기 렌즈수단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장착된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힌지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압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하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나선부가 형성된 축형상이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렌즈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압전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직선방향의 이송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렌즈수단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상기 렌즈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수단은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렌즈수단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상기 이송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구동수단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중앙부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적어도 그 일단이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KR10-2004-0024225A 2004-04-08 2004-04-08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KR10053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25A KR100533644B1 (ko) 2004-04-08 2004-04-08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25A KR100533644B1 (ko) 2004-04-08 2004-04-08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99A KR20050098699A (ko) 2005-10-12
KR100533644B1 true KR100533644B1 (ko) 2005-12-06

Family

ID=3727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25A KR100533644B1 (ko) 2004-04-08 2004-04-08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756B1 (ko) 2005-11-09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49B1 (ko) * 2006-03-28 2007-12-17 주식회사 뮤타스 예압 수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DE112007001349T5 (de) * 2006-09-26 2009-04-09 Nec Tokin Corp., Sendai Linsenmodul
KR100705653B1 (ko) * 2006-09-27 2007-04-09 (주)베스텍비젼 핸디형 카메라
KR100942666B1 (ko) * 2008-04-29 2010-02-16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756B1 (ko) 2005-11-09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99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802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9031689B (zh)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装置
US7702227B2 (en) Optical device having blur correction function
US7457060B2 (en) Lens driving device
US7747149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image-blur correction/reduction system
US9030765B2 (en) Optical apparatus including decentering/tilting adjustment mechanism
US7634190B2 (en) Lens module with focusing mechanism
GB2457383A (en) Light shield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prings which hold a light shield in a balanced state between two optical components
KR100533644B1 (ko) 구동 안정성이 향상된 렌즈모듈
KR20090062574A (ko) 렌즈 이동 장치
JPH07199027A (ja) 光学素子駆動装置
CN117616764A (zh) 转动机构及其摄像模组、驱动装置及其电子设备
JP2003098420A (ja) 光学素子駆動装置
JP3912365B2 (ja) レンズ移動機構、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CN113900214A (zh) 光学单元
JP3762723B2 (ja) 光学素子駆動装置
KR20050021953A (ko) 줌 렌즈 유닛
JP2003050343A (ja) 光学素子駆動装置
KR100638722B1 (ko) 렌즈 이송장치
JP200723280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23280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2567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110040048A (ko)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이송 장치
JP2011002729A (ja) ガイド機構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光学系の位置決め方法
JP200727948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