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918B1 -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918B1
KR100531918B1 KR10-2003-0070182A KR20030070182A KR100531918B1 KR 100531918 B1 KR100531918 B1 KR 100531918B1 KR 20030070182 A KR20030070182 A KR 20030070182A KR 100531918 B1 KR100531918 B1 KR 10053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ow
oil
pip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301A (ko
Inventor
임복규
Original Assignee
임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복규 filed Critical 임복규
Priority to KR10-2003-007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9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7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using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블로바이 가스 환원관로 상에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성분과 유증기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가스 안내관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스 안내관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와 제1환원관로로 연결되며, 그 하부 일측은 오일팬의 일측과 오일순환관로로 연결되는 윤활유 정화유닛; 엔진의 배기 메니폴드의 일측에 체결되고,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지지봉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과 제2환원관로로 연결되는 유증기 정화유닛; 상기 흡기관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관로로 블로바이 가스를 나선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과 제3환원관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 케이스 내부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윤활유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검출센서; 상기 제1환원관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환원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가스차단밸브;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단부 오일순환관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순환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오일순환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SYSTEM FOR TREATING BLOW-BY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케이스 내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통으로 환원시키는 환원관로 상에서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및 유증기 성분을 제거하여 환원시키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은 연료와 공기를 연소실로 유입시켜 이를 압축 폭발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고, 이의 상,하 왕복운동을 크랭크 기구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게 된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작동중 압축 및 폭발 행정과정에서 연소실내에는 고압이 형성되며, 이 고압가스 중 일부가 크랭크 케이스 또는 록커 아암 커버내로 블로바이 된다.
이러한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는, 운전중인 엔진의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 내부로 스며드는 배기가스 및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기로 배출될 경우, 심각한 대기오염을 유발시키게 되고, 윤활유 등의 오일을 열화시키거나, 각종 부품을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블로바이 가스를 모아 흡기계통을 통해 다시 연소실로 환원시키는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에 따라 오픈타입, 시일드타입, 클로즈드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먼저, 상기 오픈타입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도 12와 같이, 실린더 헤드 커버(102)와 흡기 메니폴드(104)를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 경로중에 유량조절밸브(106)를 설치하여, 크랭크 케이스(108) 내부로 대기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드타입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도 13과 같이, 에어 클리너(110)의 외측과 실린더 헤드 커버(102)를 연결시킨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로즈드타입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오픈타입에서와 같이 실린더 헤드 커버(102)와 흡기 메니폴드(104)를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 경로중에 유량조절밸브(106)가 설치되며, 크랭크 케이스(108)와 에어 클리너(110) 내측을 연결시킨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각 타입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연소실로 공급되는 블로바이 가스 중에서 윤활유 혹은 유증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윤활유 혹은 유증기의 성분이 함유된 블로바이 가스를 그대로 연소시키게 됨으로 배기가스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게 되며, 이로써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블로바이 가스가 에어 클리너(110)의 엘리먼트를 통과하는 경우, 에어 클리너(110) 내 엘리먼트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 케이스 내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통으로 환원시키는 환원관로 상에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성분을 필터링하여 오일팬으로 재순환시키는 윤활유 정화유닛과, 유증기 성분을 필터링하는 유증기 정화유닛을 구성하여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및 유증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배기가스 저감 및 에어 클리너의 엘리먼트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은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관로의 일측으로 환원시키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서,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가스 안내관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스 안내관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와 제1환원관로로 연결되며, 그 하부 일측은 오일팬의 일측과 오일순환관로로 연결되는 윤활유 정화유닛; 엔진의 배기 메니폴드의 일측에 체결되고,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지지봉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과 제2환원관로로 연결되는 유증기 정화유닛; 상기 흡기관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관로로 블로바이 가스를 나선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과 제3환원관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 케이스 내부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윤활유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검출센서; 상기 제1환원관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환원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가스차단밸브;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단부 오일순환관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순환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오일순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윤활유 정화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증기 정화유닛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은 엔진(10)의 크랭크 케이스(13)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관로(3)의 일측으로 환원시키게 되는데, 그 구성은 크게, 윤활유 정화유닛(20), 유증기 정화유닛(30), 복수개의 분사노즐 (40), 가스농도감지센서(50), 오일검출센서(60), 가스차단밸브(70), 및 오일순환밸브(80)를 포함한다.
즉, 엔진룸 내에 설치되어 흡입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1)가 흡입공기를 이송하는 흡기관로(3)에 설치된다.
상기 흡기관로(3)는 흡기 메니폴드(5)를 통하여 엔진(10)의 연소실(7)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소실(7)은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 메니폴드(9)를 통하여 배기관로(11)와 연결된다.
이러한 엔진의 흡배기 계통에서, 상기 엔진룸 내의 고정체(15)에는 윤활유 정화유닛(20)이 장착되는데, 이 윤활유 정화유닛(2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17)의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19)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가스 안내관(21)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스 안내관(21)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13)와 제1환원관로(23)로 연결되며, 그 하부 일측은 오일팬(25)의 일측과 오일순환관로(27)로 연결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20)은 상기 필터 하우징(17)이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오일순환밸브(80)와 연결되는 오일챔버(29)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17)의 상부에는 이를 밀폐시키도록 덮개(31)가 체결되고, 상기 덮개(31)의 일측에는 제2환원관로(33)와 연결되는 연결구(35)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31)의 중앙에서는 외부의 제1환원관로(23)와 상기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안내관(21)이 그 상단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 가스 안내관(21)의 하단은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필터 하우징(17)의 하부 오일챔버(29)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 안내관(21)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19)가 그 중앙에는 관통홀(37)을 형성하여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며, 이 필터 디스크(19)의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가스 유출구(39)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각 필터 디스크(19) 사이사이의 상기 가스 안내관(21)에는 간격링(41)이 하나씩 끼워져 각 필터 디스크(19)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디스크(19)에 형성되는 가스 유출구(39)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을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일방향으로의 가공버어를 그대로 두어 윤활유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필터 핀(43)으로 형성하여 블로바이 가스 내에 함유된 윤활유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30)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의 배기 메니폴드(9)의 상에 체결되는데, 그 구성은 히터 하우징(45)의 내부에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47)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지지봉(49)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20)과 제2환원관로(33)로 연결되어 유증기를 증발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30)을 배기 메니폴드(9)에 장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장착위치는 미도시된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통의 일측에 구성하여 배기가스의 열을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30)은 엔진(10)의 배기 메니폴드(9)의 일측에 히터 하우징(45)이 2개소에서 밴드(51)로 밴딩 체결되고, 이 히터 하우징(45)의 외부면에는 삼각돌기 형상으로 다수개의 흡열핀(53)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히터 하우징(45)의 전후방에는 각각 전,후방 커버(55,57)가 체결되는데, 이 전,후방 커버(55,57)에는 각각 제2환원관로(33)와 제3환원관로(59)가 연결된다.
상기 히터 하우징(45)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지지봉(49)이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전,후방 커버(55,57)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61,63)를 통하여 지지되고, 이 지지봉(49)에는,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47)가 그 중앙에 관통홀(65)을 형성하여 상기 히터 하우징(45)의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가열 디스크(47)는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가스 유출구(67)가 형성되고, 상기 각 가열 디스크(47) 사이사이의 상기 지지봉(49)에는 간격링(69)이 하나씩 끼워져 가열 디스크(47)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 디스크(47) 상의 가스 유출구(67)에도 상기 필터 디스크(19)에 형성되는 가스 유출구(39)와 마찬가지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을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일방향으로의 가공버어를 그대로 두어 유증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가열 핀(44)으로 형성하여 블로바이 가스 내에 함유된 유증기의 흡착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히터 하우징(45)의 측면 하부 일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슬러지 배출구(7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에어 공급구(73)가 형성되어 내부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분사노즐(40)은 상기 흡기관로(3)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관로(3)로 블로바이 가스를 나선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30)과 제3환원관로(59)로 연결되는데, 상기 분사노즐(40)은 상기 흡기관로(3)내에 분사되는 블로바이 가스가 스월을 일으키도록 흡기관로(3)의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환원관로(59)와 분기관로(75)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50)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13)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 케이스(13) 내부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일검출센서(60)는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20)의 필터 하우징(17)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윤활유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차단밸브(70)는 상기 제1환원관로(23)와 상기 필터 하우징(17)의 내부에 구성되는 가스 안내관(21)을 연결하도록 필터 하우징(17)의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50)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환원관로(23)를 개폐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오일순환밸브(80)는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20)의 하단부 오일순환관로(27) 상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검출센서(60)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순환관로(27)를 개폐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차단밸브(70)와 상기 오일순환밸브(80)는 상기 제어기(9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V)가 솔레노이드(S)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검출된 크랭크 케이스(13)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차단밸브(70)를 온(ON) 제어하여 제1환원관로(23)를 개방시키고, 상기 오일검출센서(60)가 윤활유 정화유닛(20)의 오일챔버(29) 내 윤활유를 검출하면, 오일순환밸브(80)를 온(ON)제어하여 오일순환관로(27)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의 작동은, 엔진(10)의 연소실(7)로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어 압축 폭발시킴으로써 엔진(10)을 구동시키는 압축 및 폭발 행정과정에서 연소실(7)내에는 고압이 형성되어 고압가스 중 일부가 크랭크 케이스(13)내로 블로바이 되면,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50)는 크랭크 케이스(13)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기(9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90)는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검출된 크랭크 케이스(13)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차단밸브(70)를 온(ON) 제어하여 제1환원관로(23)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 케이스(13)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환원관로(23)와 윤활유 정화유닛(20)의 가스 안내관(21)을 통하여 필터 하우징(17)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윤활유 입자 및 더 미세한 유증기는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19)에 접촉되어 걸러지면서 블로바이 가스와 일부 유증기만이 가스 유출구(39)를 통하여 상승하게 되며, 제2환원관로(33)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필터 디스크(19)에 접촉되어 걸러진 윤활유 성분은 액체 상태로 필터 하우징(17)의 하부 오일챔버(29)로 떨어져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환원관로(33)를 통하여 배출된 블로바이 가스와 일부 유증기는, 도 10에서와 같이, 유증기 정화유닛(30)의 히터 하우징(45) 일측으로 공급되며,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47)를 거치면서 유증기 성분이 가열 디스크(47)에 흡착되어 제거되며, 순수한 블로바이 가스 성분만이 가열 디스크(47)의 가스 유출구(67)를 통하여 제3환원관로(59)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상기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47)는 히터 하우징(45)을 통하여 배기 메니폴드(9)로부터 배기가스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데, 상기 유증기가 이에 닿으면, 흡착과 동시에 그 열에 의해 유증기 성분을 소결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제3환원관로(59)를 통하여 빠져나온 순수한 블로바이 가스는 분기관로(75)를 통하여 각 분사노즐(40)로 공급되어 흡기관로(3)로 분사된다.
이 때,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하여 흡기관로(3) 내에 블로바이 가스를 사선방향으로 분사하여 스월을 발생시킴으로써, 외부 공기와 잘 썩이도록 하여 다시 연소실(7)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7)의 하부 오일챔버(29)에 저장되는 윤활유는 상기 오일검출센서(60)가 설치된 위치까지 저장되어 오일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되면, 그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기(90)는 오일순환밸브(80)를 온(ON)제어하여 오일순환관로(27)를 개방시킴으로써, 저장된 오일이 다시 오일팬(25)으로 리턴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필터 하우징(17)의 하부 오일챔버(29)는 엔진(10)의 오일팬(25)보다 높은 위치에서 저장된 윤활유가 중력에 의해 흘러 들어가도록 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30)의 히터 하우징(45) 내부에서 가열 디스크(47)에 의해 유증기 성분을 소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등의 불순물은, 히터 하우징(45)의 측면 하부 일측에 구성되는 슬러지 배출구(71)를 열고, 에어 공급구(73)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주기적으로 청소를 함으로써 유증기 정화유닛(3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중인 엔진(10)의 연소실(7)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3) 내부로 스며드는 배기가스 및 혼합기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 내에 윤활유 및 유증기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흡기계통으로 환원시켜 엔진의 성능향상은 물론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고, 윤활유 등의 열화를 방지하며, 각종 부품을 부식시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 내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통으로 환원시키는 환원관로 상에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성분을 필터링하여 오일팬으로 재순환시키는 윤활유 정화유닛과, 유증기 성분을 소결시켜 필터링하는 유증기 정화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블로바이 가스내에 윤활유 및 유증기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배기가스 저감은 물론 에어 클리너의 엘리먼트 등 각종 부품의 유증기 성분에 의한 수명단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윤활유 정화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윤활유 정화유닛에 적용되는 가스 안내관과 필터 디스크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증기 정화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유증기 정화유닛에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유증기 정화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유증기 정화유닛에 적용되는 지지봉과 가열 디스크의 조립 사시도,
도 8은 도 3과 도 7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정화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정화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정화유닛의 내부 슬러지 배출 작동시의 상태도, 및
도 12 내지 도 14는 종래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의 각 타입별 구성도이다.

Claims (12)

  1.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관로의 일측으로 환원시키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에 있어서,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가스 안내관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스 안내관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와 제1환원관로로 연결되며, 그 하부 일측은 오일팬의 일측과 오일순환관로로 연결되는 윤활유 정화유닛;
    엔진의 배기계통의 일측에 체결되고,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를 일정간격으로 끼운 지지봉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과 제2환원관로로 연결되는 유증기 정화유닛;
    상기 흡기관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관로로 블로바이 가스를 나선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과 제3환원관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 케이스 내부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윤활유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검출센서;
    상기 제1환원관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환원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가스차단밸브;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의 하단부 오일순환관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순환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오일순환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정화유닛은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오일순환밸브가 장착되는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을 밀폐시키도록 그 상부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제2환원관로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중앙에 상단이 체결되어 외부의 제1환원관로와 연결되며, 하단은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부 오일챔버로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중공의 가스 안내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 안내관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필터 디스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 디스크 사이사이의 상기 가스 안내관에는 간격링이 하나씩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필터 디스크는
    그 일단면 상에 그 가스 유출구의 가공버어를 필터 핀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정화유닛은
    엔진의 배기계통의 일측에 밴딩 체결되고, 외부면에는 삼각돌기 형상으로 다수개의 흡열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히터 하우징과;
    상기 히터 하우징의 전후방에 각각 체결되며, 각각 제2환원관로와 제3환원관로가 연결되는 전,후방 커버와;
    상기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전,후방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통하여 지지되는 지지봉;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봉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가열 디스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열 디스크 사이사이의 상기 지지봉에는 간격링이 하나씩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가열 디스크는
    그 일단면 상에 그 가스 유출구의 가공버어를 가열 핀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히터 하우징의 측면 하부 일측에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에어 공급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흡기관로내에 분사되는 블로바이 가스가 스월을 일으키도록 흡기관로의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환원관로와 분기관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밸브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가 전후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순환밸브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가 전후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차단밸브를 온(ON) 제어하여 제1환원관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오일검출센서가 윤활유 정화유닛의 오일챔버 내 윤활유를 검출하면, 오일순환밸브를 온(ON)제어하여 오일순환관로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KR10-2003-0070182A 2003-10-09 2003-10-09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KR10053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182A KR100531918B1 (ko) 2003-10-09 2003-10-09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182A KR100531918B1 (ko) 2003-10-09 2003-10-09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301A KR20050034301A (ko) 2005-04-14
KR100531918B1 true KR100531918B1 (ko) 2005-11-29

Family

ID=3723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182A KR100531918B1 (ko) 2003-10-09 2003-10-09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17B1 (ko) * 2016-03-29 2017-03-09 (주) 지엔씨에너지 블로바이 가스의 유수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301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66C (zh) 清除内燃机曲轴箱窜缸气的方法和装置
US5709185A (en) Lubricating system for four-stroke-cycle engine
KR100284846B1 (ko) 확동크랭크케이스환기시스템내의기체처리장치
KR20070007254A (ko) 크랭크케이스 배출물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US7007459B2 (en) Exhaust gas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6173630A (ja) Pcvシステム内のガス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KR100531918B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JP2005140104A (ja) クランクケース
KR100435731B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오일분리기
KR20180033215A (ko) 디젤 오염 제어 시스템
KR100891709B1 (ko) 블로우바이가스의 가열정화장치
KR100380684B1 (ko) 배기밸브 냉각장치
GB2262134A (en) I.c. engine crankcase gas treatment system
KR19980028710U (ko) 엔진의 헤드커버
KR950005822B1 (ko) 블로바이 가스와 오일의 유도분리구조를 갖는 캠샤프트 커버
KR100623652B1 (ko) 블로우 바이 가스 제어장치
KR0139655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여과장치
KR0124053Y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 배출 튜브구조
ES2135081T3 (es) Dispositivo para la separacion de aceite y/o hollin y/o sustancias extrañas contenidos en una corriente de aire, de gas y/o de vapor.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9980032311U (ko) 케니스터를 구비한 자동차 엔진의 egr 및 pcv 장치
KR19980017401U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0469371B1 (ko) 오일 재생 장치
KR100219206B1 (ko) 오일분리겸용 피이.씨.브이 밸브
KR100218776B1 (ko) 자동차 엔진의 오일 자동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