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806B1 -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806B1
KR100531806B1 KR10-2003-0005960A KR20030005960A KR100531806B1 KR 100531806 B1 KR100531806 B1 KR 100531806B1 KR 20030005960 A KR20030005960 A KR 20030005960A KR 100531806 B1 KR100531806 B1 KR 10053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displacement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fric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535A (ko
Inventor
박관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806B1/ko
Priority to US10/756,514 priority patent/US20040144137A1/en
Priority to CNA2004100024411A priority patent/CN1519417A/zh
Publication of KR2004006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댐퍼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1바디의 마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바디와; 일 측은 상기 마찰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마찰면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 측은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바디에 접촉되게 개재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시 제1변위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변위 이상에서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전달을 줄일 수 있어 진동 전달에 기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COMBINATION TYPE DAMPE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전달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댐퍼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1)과, 캐비넷(11)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1)와, 터브(21)의 내부에 터브(2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22)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11)은 전면에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3)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개구(13)의 일측 연부에는 개구(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5)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넷(11)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터브(21)가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터브(21)의 내부에는 캐비넷(11)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드럼(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터브(21)의 후방 단부에는 드럼(22)의 회전축(2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24)이 구비된 스파이더(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파이더(23)의 후방측면에는 드럼(22)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25)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드럼구동모터(25)는, 스파이더(23)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스테이터(26)와, 스테이터(26)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소정의 공극을 두고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드럼(22)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터(27)를 구비하고 있다.
터브(21)의 상부영역에는 터브(21)를 현수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캐비넷(11)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스프링(29)이 구비되어 있으며, 터브(21)의 하측에는 터브(21)의 상하방향을 따른 진동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댐퍼(31)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댐퍼(31)는, 일측은 캐비넷(21)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내부에 마찰면(33)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바디(32)와, 일측은 터브(21)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1바디(32)의 내부에 소정 삽입되는 제2바디(34)와, 제2바디(34)와 제1바디(32)의 마찰면(33)사이에 개재되어 마찰면(33)에 접촉되는 마찰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제1바디(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바디(34)의 외경면에는 마찰부재(36)가 소정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수용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바디(32)의 개구 영역은 제2바디(34)와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시(37)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드럼세탁기에 있어서는, 제1바디(32)는 캐비넷(11)과 일체로 결합되고 제2바디(34)는 터브(21)에 일체로 유동가능하되게 결합되고 제1바디(32)와 제2바디(34)는 마찰부재(36)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드럼(22)의 구동시 발생되는 크고 작은 진동은 터브(21) 및 댐퍼(31)를 통해 모두 캐비넷(11)에 전달되어 진동 및 소음을 유발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탈수시 드럼(22)은 정상적인 탈수속도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진동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과도속도구간을 거치게 되지만, 제1바디(32)와 마찰부재(36)의 마찰력은 항상 일정하도록 되어 있어, 과도속도구간에서 요구되는 비교적 큰 댐핑력에 맞춰 마찰부재(36)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경우 정상 탈수속도구간에서 제1바디(32)의 진동이 제2바디(34)에 전달되는 진동의 전달율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고, 정상 탈수속도구간에서 요구되는 댐핑력에 맞춰 마찰부재(36)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경우 과도속도구간에서 진동의 전달율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전달을 줄일 수 있는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1바디의 마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바디와; 일 측은 상기 마찰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마찰면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 측은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바디에 접촉되게 개재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시 제1변위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변위 이상에서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바디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봉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스폰지로 형성되며, 외경면에 상기 스폰지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링의 내경면에는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외경면에는 상기 제2바디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함몰된 내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바디를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용부는 함몰방향에 대해 저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양 측부와의 틈새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 측부를 구비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링의 내경면에는 상기 제1변위 보다 작은 제2변위 미만에서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을 탄성변형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외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수용부는 상기 제1변위보다 작은 제3변위 미만에서 상기 제2바디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면을 탄성변형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럼을 구비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마찰면을 구비하여 상기 터브 및 상기 캐비넷중 어느 하나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디와; 일측은 상기 제1바디의 마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 및 상기 캐비넷중 다른 하나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바디와; 일 측은 상기 마찰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마찰면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 측은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바디에 접촉되게 개재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시 제1변위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변위 이상에서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조합형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댐퍼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조합형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합형 댐퍼(41)는, 일측이 터브(21) 또는 캐비넷(11)중 어느 하나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내부에 마찰면(43)이 형성되는 제1바디(42)와, 일측은 터브(21) 또는 캐비넷(11)중 다른 하나에 상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1바디(42)의 내부에 소정 깊이 삽입되는 제2바디(47)와, 제1바디(42)의 마찰면(43)에 마찰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52)와, 마찰부재(52)와 제2바디(47)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1)가 제1변위(d1) 미만으로 진동하는 경우 탄성변형되고 제1변위(d1) 이상으로 진동하는 경우 마찰부재(52)와 일체로 유동되는 탄성부재(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조합형 댐퍼(41)가 드럼 세탁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제1바디(42)는 터브(21)에 결합되며 제2바디(47)는 캐비넷(11)에 결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바디(4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터브(21)와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바디(42)의 내부에는 마찰면(4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측 단부에는 제2바디(47)와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시(45)가 결합되어 있다.
제2바디(47)는 제1바디(42)의 내부에 일측이 소정의 틈새를 두고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바디(42)의 내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는 봉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캐비넷(11)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바디(42)의 내부에 형성된 마찰면(43)의 내측에는 마찰부재(52)가 마찰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마찰부재(52)는 통상 스폰지에 그리스(grease)를 함침한 형태로 구현된다. 제1바디(42)의 반경방향을 따라 마찰부재(52)의 내측에는 마찰부재(52)가 마찰면(43)에 마찰접촉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형고리형상의 지지링(55)이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링(55)의 외면에는 마찰부재(52)가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링(55)의 내면에는 탄성부재(57)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부재(57)는 탄성변형이 우수한 고무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57)는 터브(21)의 진동시 제1변위(d1) 미만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제2바디(47)측으로 향할수록 제1바디(42)의 길이방향을 따른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양 측부(58)는 제1바디(42)의 반경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θ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바디(47)의 삽입측 끝단부에는 탄성부재(57)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측수용부(49)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수용부(49)의 양 측부(50)는 탄성부재(57)가 제1변위(d1) 미만에서 탄성변형되고 제1변위(d1) 이상에서 상호 접촉되어 일체로 유동될 수 있게 제1경사각(θ1)에 비해 큰 제2경사각(θ2)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터브(21)의 변위(d)가 제1변위(d1) 미만에서 진동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2) 및 지지링(55)은 마찰력에 의해 제1바디(42)와 일체로 진동하게 되며, 이 때, 탄성부재(57)는 제2바디(47)와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면서 터브(21)의 진동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제1바디(42)의 진동이 제2바디(47)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한편, 터브(21)의 변위(d)가 제1변위(d1) 이상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7)는 제1변위(d1)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제1바디(42)의 진동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제1바디(42)의 진동이 제2바디(47)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제1변위(d1) 이상에서는 유동방향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47)의 내측수용부(49)의 측벽(50)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링(55) 및 마찰부재(52)가 제1변위(d1) 이상의 유동 구간에서는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바디(42)의 유동에 저항을 가하여 제1바디(42)의 유동을 완화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댐퍼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도 7의 조합형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합형 댐퍼(61)는, 일측이 터브(21)에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내면에 마찰면(43)이 형성된 제1바디(42)와, 일측은 캐비넷(11)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1바디(42)의 내부에 소정 깊이 삽입되게 결합되는 제2바디(47)와, 제1바디(42)의 마찰면(43)에 마찰접촉되는 마찰부재(52)와, 마찰부재(52)와 제2바디(47) 사이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바디(42)의 반경방향을 따라 마찰부재(52)의 내측에는 마찰부재(5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거의 원형고리형상을 가지는 지지링(65)이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링(65)의 외경면에는 마찰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6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탄성부재(72)는, 터브(21)의 제2변위(d2) 미만에서 지지링(65)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는 제2탄성부재(73)와, 터브(21)의 제3변위(d3) 미만에서 제2바디(47)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는 제3탄성부재(77)와, 제2탄성부재(73) 및 제3탄성부재(77)의 사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73)는 지지링(65)을 향할수록 제1바디(42)의 길이방향에 대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3경사각(θ3)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링(65)에는 제2탄성부재(73)의 탄성변형 공간을 두고 제2탄성부재(73)의 외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외측수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수용부(68)의 양 측부(69)는 제2탄성부재(73)의 탄성변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경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θ4)을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탄성부재(77)는 제2바디(47)를 향할수록 제1바디(42)의 길이방향에 대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5경사각(θ5)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바디(47)의 외경면에는 제3탄성부재(77)의 탄성변형 공간을 두고 제3탄성부재(77)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내측수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수용부(49)의 양 측부(50)는 제3탄성부재(77)의 탄성변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에 대해 제6경사각(θ6)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73)는 제3탄성부재(77)에 비해 더 큰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2탄성부재(73)의 탄성력 및 제3탄성부재(77)의 탄성력의 합은 마찰부재(52)와 제1바디(42)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비해 작으며, 터브(21)의 변위(d)는 제1변위(d1)>제2변위(d2)>제3변위(d3)이고, 제1변위(d1)는 제2변위(d2)와 제3변위(d3)의 합인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터브(21)의 변위(d)가 제3변위(d3) 미만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탄성부재(77)는 제2바디(47)의 내측수용부(49)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터브(21)의 진동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제1바디(42)의 진동이 제2바디(47)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터브(21)의 변위(d)가 제3변위(d3) 이상 제2변위(d2) 미만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탄성부재(77)는 제2바디(47)의 내측수용부(49)의 양 측부(50)에 각각 접촉되고, 제2탄성부재(73)는 지지링(65)의 외측수용부(68)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터브(21)의 진동이 완화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바디(42)의 진동이 제2바디(47)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터브(21)의 변위(d)가 제2변위(d2) 이상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탄성부재(77)는 제3변위(d3) 미만에서 탄성변형되고, 제2탄성부재(73)는 제3변위(d3) 이상 제2변위(d2)미만에서 탄성변형되면서 각각 터브(21)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작용한다. 한편, 터브(21)의 변위(d)가 제1변위(d1=d2+d3) 이상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제3탄성부재(77)는 제3변위(d3) 이상에서, 제2탄성부재(73)는 제2변위(d2)이상에서 각각 탄성변형한계를 초과하게 되어 각각 제2바디(47)의 내측수용부(49) 및 지지링(65)의 외측수용부(68)의 해당 측부(50,69)에 각각 접촉되어 마찰부재(52)가 제1바디(42)의 유동에 대해 고정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부재(52)와 제1바디(42)는 서로 마찰접촉된 상태로 상대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어 터브(21)의 진동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와, 일측이 제1바디의 내부에 소정 깊이 삽입되는 제2바디와, 제1바디의 내부에 마찰면에 마찰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와, 마찰부재와 제2바디사이에 제1변위 미만에서 탄성변형되어 마찰부재가 제1바디의 마찰면에 대해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제1변위 이상에서 마찰부재가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어 진동의 전달을 억제시킬 수 있는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댐퍼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댐퍼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조합형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댐퍼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도 7의 조합형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캐비넷 21 : 터브
22 : 드럼 25 : 드럼구동모터
42 : 제1바디 43 : 마찰면
47 : 제2바디 49 : 내측수용부
52 : 마찰부재 55 : 지지링
56 : 삽입홈 57 : 탄성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1바디의 마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바디와; 일 측은 상기 마찰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마찰면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 측은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바디에 접촉되게 개재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시 제1변위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변위 이상에서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봉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스폰지로 형성되며, 외경면에 상기 스폰지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의 내경면에는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외경면에는 상기 제2바디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함몰된 내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바디를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함몰방향에 대해 저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양 측부와의 틈새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 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의 내경면에는 상기 제1변위 보다 작은 제2변위 미만에서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을 탄성변형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외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수용부는 상기 제1변위보다 작은 제3변위 미만에서 상기 제2바디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면을 탄성변형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
  7.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럼을 구비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마찰면을 구비하여 상기 터브 및 상기 캐비넷중 어느 하나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디와; 일측은 상기 제1바디의 마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 및 상기 캐비넷중 다른 하나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바디와; 일 측은 상기 마찰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마찰면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 측은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바디에 접촉되게 개재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시 제1변위 미만에서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고정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변위 이상에서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마찰면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조합형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댐퍼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2003-0005960A 2003-01-29 2003-01-29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053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60A KR100531806B1 (ko) 2003-01-29 2003-01-29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10/756,514 US20040144137A1 (en) 2003-01-29 2004-01-14 Damper of washing machine
CNA2004100024411A CN1519417A (zh) 2003-01-29 2004-01-20 洗衣机的减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60A KR100531806B1 (ko) 2003-01-29 2003-01-29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535A KR20040069535A (ko) 2004-08-06
KR100531806B1 true KR100531806B1 (ko) 2005-11-30

Family

ID=3735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960A KR100531806B1 (ko) 2003-01-29 2003-01-29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659B1 (ko) * 2013-07-22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535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1616C2 (ru) Амортизатор
CN100417763C (zh) 洗衣机的阻尼器
US7971693B2 (en) Damper
EP1645678A2 (en) Washing machine
KR101330732B1 (ko) 세탁기와 그 밸런서
RU2599307C2 (ru) Радиальный гаситель вибраций со свободным ходом и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с демпфирующей системой, содержащей радиальный гаситель вибраций
US10011936B2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EP2917396B1 (en) Oscillation damper for a household appliance with rotating drum,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the damper
US7428954B2 (en) Dampe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531806B1 (ko)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JP2016137092A (ja) 洗濯機
JP6484461B2 (ja) 洗濯機
JP200704426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791981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511277B1 (ko) 조합형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0504869B1 (ko) 이단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0474348B1 (ko) 이단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649601B1 (ko) 세탁기용 댐퍼
CN114680675B (zh) 食物处理机
KR100617216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방지장치
CN112626790A (zh) 一种滚筒洗衣机洗涤筒组件及滚筒洗衣机
CN107558105B (zh) 波轮洗衣机
KR100471120B1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KR100535677B1 (ko) 드럼세탁기
KR100504270B1 (ko) 세탁기의 보조 밸런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