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400B1 -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400B1
KR100529400B1 KR1020050016568A KR20050016568A KR100529400B1 KR 100529400 B1 KR100529400 B1 KR 100529400B1 KR 1020050016568 A KR1020050016568 A KR 1020050016568A KR 20050016568 A KR20050016568 A KR 20050016568A KR 100529400 B1 KR100529400 B1 KR 10052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lime
roller
hopp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팔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우창환경산업
합자회사 금강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우창환경산업, 합자회사 금강개발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우창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5001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에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잔골재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호퍼의 배출측에 설치되고,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의 접지면이 기밀되도록 밀착 설치되고, 그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회전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하부에 설치되고,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접지면 사이를 통과시켜 마찰 가압된 후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 내 호퍼의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 동력전달을 위한 모터와 그 모터의 축과 복수의 회전롤러의 각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의 최종단 가이드부를 통해 낙하되는 잔골재를 외부로 배출 이송시키는 배출 컨베이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DEVICE FOR REMOVING WASTE ASCON ASPHALT AND WASTE CONCRETE CALCAREOUS}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건축 또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중 석회질 성분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잔골재를 고정롤러와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복수의 분리수단을 이용한 강한 마찰 가압식으로 잔골재에 부착된 석회질과 아스팔트 성분을 박피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건설시장 못지 않게 재건축 시장도 틈새 시장으로서 각광받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재건축 시장은 혐오 시설이면서도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불가분하게 꼭 필요한 시설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서울 및 대도시권에서는 도시상권 및 주거시설이 다른 지역보다 많고 또한 주거시설 및 상권이 과포화 상태로 다른 인접지역까지 상권 및 주거시설이 점차 광역화되는 실정이며, 이런 서울 및 대도시권의 신규지역은 점차 줄어들어 더 이상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많이 거주해온 오래된 건축물 등을 재건축하게 되었다.
이러한 재건축 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은 콘크리트, 철근, 폐목재, 토사, 아스팔트, 암석, 토사, 합성수지, 지류 및 비닐류의 다양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분리 선별시에는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나 현재 대부분은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도 분리/선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모든 재건축 현장의 폐기물을 매립하여 폐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인해 활용 가능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고, 무분별한 건축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해 토양의 오염 및 자연환경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석회질 성분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건축폐기물의 경우 토양의 오염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자연환경의 보호에도 역행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건축 또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많은 건설폐기물중 파쇄와 자선 및 분류 공정을 거쳐 생산된 석회질 성분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잔골재로부터 고정롤러와 회전롤러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분리수단을 통해 강한 마찰 가압방식으로 석회질과 아스팔트 성분을 박피시켜 양질의 재생 골재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한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부에 지지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그 하부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석회질 및 아스팔트 성분이 부착된 잔골재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상기 호퍼의 배출측에 설치되고,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의 접지면이 기밀되도록 밀착 설치되고, 그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회전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하부에 설치되고,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접지면 사이를 통과시켜 마찰 가압된 후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 내 호퍼의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측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고, 그 모터의 축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의 각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상기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의 최종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의 최종단 가이드부를 통해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를 외부로 배출 이송시키는 배출 컨베이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는 하우징 본체(100),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 동력전달수단(300), 및 배출 컨베이어수단(40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에는 구조물의 안정적인 지지 및 유지를 위한 지지 프레임(101)이 연결 설치되고, 그 하부 일측으로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석회질 및 아스팔트 성분이 부착된 잔골재(2)가 투입되는 호퍼(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은 상기 호퍼(103)의 배출측에 설치된 고정롤러(201)와, 상기 고정롤러(201)와 대응하는 위치에 기밀되게 설치되어 회전축(20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203)와, 상기 고정롤러(201)와 회전롤러(203)의 하부에 설치되어 마찰 가압된 후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2)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0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은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내 호퍼(103)의 하부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의 각 고정롤러(201)와 회전롤러(203)에는 마찰 가압력의 증대를 통해 투입된 잔골재(2)로부터 석회질 및 아스팔트의 분리가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 처리된 고무피막(205)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외측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모터(301)가 설치되고, 그 모터(301)의 축(미도시)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203)의 각 회전축(202)을 연결시키는 구동벨트(30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 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의 최종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의 최종단 가이드부(204)를 통해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2)를 외부로 배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대한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단계별로 마련된 파쇄와 자선과 선별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공정을 거쳐 생산된 잔골재(2)가 컨베이어 벨트(1)를 통해 이송된 후 상기 호퍼(103)에 투입된다.
이어서, 상기 호퍼(103)로 낙하 투입된 잔골재(2)는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 즉 고정롤러(201)와 회전롤러(203) 사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고정롤러(201)와 회전롤러(203) 사이에 공급된 잔골재(2)는 상기 회전롤러(203)의 회전에 의해 강한 마찰로 가압되어진 후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부(204)로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롤러(201)는 상기 하부징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롤러(203)는 상기 모터(301)와 구동벨트(302)를 통해 회전축(202)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그러한 상기 회전롤러(203)는 고정된 상기 고정롤러(201)와 기밀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잔골재(2)에 강한 마찰과 가압을 전달하고, 그로인해 잔골재(2)에 부착된 석회질 및 아스팔트 성분을 박피시키고, 탈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박피 및 탈리가 이루어지는 잔골재(2)는 다단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을 통해 2차 및 3차로 박피 및 탈리가 가속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을 일예로서 3개를 설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다단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200)을 통해 석회질 및 아스팔트 성분의 박피가 이루어진 잔골재(2)는 상기 최종단 가이드부(204)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배출 컨베이어수단(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수단(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잔골재(2)와 성회질 성분 및 아스팔트 성분은 별도의 선별처리 공정을 통해 완전히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에 의하면, 재건축 또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중 석회질 성분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잔골재를 고정롤러와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복수의 분리수단을 이용한 강한 마찰 가압식으로 잔골재에 부착된 석회질과 아스팔트 성분을 박피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석회질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잔골재로부터 양질의 재생 골재 생산이 가능하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재생 골재의 대체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자원의 낭비를 줄여 자원 부족을 해결하며, 또한 석회질과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의 매립량을 최소화시켜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본체 101 : 지지 프레임
102 : 배출구 103 : 호퍼
200 :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 201 : 고정롤러
202 : 회전축 203 : 회전롤러
204 : 가이드부 205 : 고무피막
300 : 동력전달수단 301 : 모터
302 : 구동벨트 400 : 배출 컨베이어수단

Claims (2)

  1. 직사각 형상으로 하부에 지지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그 하부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석회질 및 아스팔트 성분이 부착된 잔골재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호퍼의 배출측에 설치되고,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의 접지면이 기밀되도록 밀착 설치되고, 그 외경이 엠보싱 처리된 고무 피막으로 씌워져 소정의 표면 마찰력과 가압력을 갖도록 된 회전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하부에 설치되고, 고정롤러와 회전롤러의 접지면 사이를 통과시켜 마찰 가압된 후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 내 호퍼의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측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고, 그 모터의 축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의 각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의 최종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석회질 및 아스팔트 분리수단의 최종단 가이드부를 통해 분리 낙하되는 잔골재를 외부로 배출 이송시키는 배출 컨베이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2. 삭제
KR1020050016568A 2005-02-28 2005-02-28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KR10052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68A KR100529400B1 (ko) 2005-02-28 2005-02-28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68A KR100529400B1 (ko) 2005-02-28 2005-02-28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400B1 true KR100529400B1 (ko) 2005-12-22

Family

ID=373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568A KR100529400B1 (ko) 2005-02-28 2005-02-28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4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446A (zh) * 2015-04-23 2015-09-02 四川和鼎环保工程有限责任公司 垃圾分料破碎装置
CN106732907A (zh) * 2017-01-05 2017-05-31 惠安盛泽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材料环保回收利用设备
CN108160196A (zh) * 2018-02-23 2018-06-15 王杰 一种尾矿中有价元素综合回收装置
KR102451305B1 (ko) * 2021-11-18 2022-10-06 주식회사 브리콘 롤 크러셔 장치
KR102549221B1 (ko) * 2021-12-29 2023-06-30 (주)웝스 섬유분말화 분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446A (zh) * 2015-04-23 2015-09-02 四川和鼎环保工程有限责任公司 垃圾分料破碎装置
CN106732907A (zh) * 2017-01-05 2017-05-31 惠安盛泽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材料环保回收利用设备
CN108160196A (zh) * 2018-02-23 2018-06-15 王杰 一种尾矿中有价元素综合回收装置
KR102451305B1 (ko) * 2021-11-18 2022-10-06 주식회사 브리콘 롤 크러셔 장치
KR102549221B1 (ko) * 2021-12-29 2023-06-30 (주)웝스 섬유분말화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400B1 (ko) 폐콘크리트 석회질 제거 및 폐아스콘 아스팔트 제거 장치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1181163B1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808442B1 (ko) 절구식 순환골재 박리 및 편석 제거장치
KR100755994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JP2006326434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05023895A3 (en) Dry separation of contaminants from polyester materials
KR100755990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KR200407908Y1 (ko) 재활용 골재용 표면박리 장치
KR19990017560A (ko)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KR100876584B1 (ko) 순환골재 표면박리시스템
KR100725842B1 (ko)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20030067112A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639416B1 (ko) 고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KR20070109737A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180885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200275796Y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KR100529399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골재의 석회질 제거 장치
KR100557905B1 (ko) 재활용 골재용 표면박리 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101078274B1 (ko) 순환굵은골재 미립분 제거장치
KR10046107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골재 생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