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100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100B1
KR100529100B1 KR10-2003-0066898A KR20030066898A KR100529100B1 KR 100529100 B1 KR100529100 B1 KR 100529100B1 KR 20030066898 A KR20030066898 A KR 20030066898A KR 100529100 B1 KR100529100 B1 KR 10052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upport
chassis base
plasma displa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439A (ko
Inventor
김명곤
김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100B1/ko
Priority to US10/924,724 priority patent/US20050067550A1/en
Priority to CNA2004100825886A priority patent/CN1601580A/zh
Publication of KR2005003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하고, 스탠드의 기둥부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스탠드-섀시 베이스 결합구조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공정 단순화, 생산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PLASMA DISPLAY DEVICE AND CHASSIS BASE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섀시 베이스와 스탠드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원하는 화상(image)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략, 외부 전원 구동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원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상기 PDP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chassis base), 그리고 상기 섀시 베이스의 PDP가 장착되는 반대편에장착되는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PDP모듈(즉, PDP, 섀시베이스, 회로기판들의 결합체) 전후에 케이스가 부착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과정에서 PDP모듈을 세워두거나, 완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세워둘 수 있도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스탠드가 구비되고, 이러한 스탠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섀시 베이스에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섀시 베이스에 스탠드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를 수용하기 위한 스탠드 가이드를 별도의 구조물로 제작하여, 고정용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섀시 베이스에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스탠드 및 스탠드 가이드는 아래와 같은 불편이 따르는 것이었다.
먼저, 별도 구조물의 스탠드 가이드 없이도 스탠드를 섀시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거나, 섀시 베이스에 스탠드 가이드를 스크류 체결 등을 통해 고정하는 과정을 해소할 수 있다면,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또한, 제품 사양에 따라서는 스탠드가 요구되지 않는 (일예로, 벽걸이 전용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스탠드의 필요여부에 따라서 별도 구조물의 스탠드 가이드의 결합여부를 구분하여야 하는 제작공정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공정에서 스탠드 가이드의 불필요한 결합/해체 작업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하면, 스탠드 가이드에 스탠드가 결합할 때 쉽게 스탠드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섀시 베이스에 확고히 고정된 스탠드 가이드에 스탠드를 고정용 스크류 등을 통해 고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스크류 고정 작업 및/또는 스크류 고정된 스탠드의 해체작업을 해소할 수 있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과정이 단순화되고,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 부품수의 감소 및/또는 생산공정의 단순화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감소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섀시 베이스 및 스탠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섀시 베이스는 일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 그리고 다른 면에는 구동회로가 장착될 수 있는 섀시 베이스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에 결합하는 스탠드로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이 고정되는 스탠드 기둥부 및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 베이스는 프레스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후 벤딩 또는 드로잉 공정을 포함하는 부가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2,3지지부를 포함하고, 제3지지부에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스탠드 기둥부는 상기 제3지지부의 관통홀에 삽입되고, 제1,2지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 섀시 베이스 반대측으로 탄성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탠드 지지부 구조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스탠드 기둥부의 말단에는 스토퍼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탠드 기둥부의 섀시 베이스 반대측에는 제3지지부의 관통홀 내면과 간섭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두께 및 상기 돌기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3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에는 스크류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threaded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탠드와 결합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섀시 베이스는, 전술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섀시 베이스에 관하여 설명한 다양한 특징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그 사시도를,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사시도를, 도 3은 도 2의 A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와 스탠드의 결합된 상태에 관한 것으로서, 도 5는 그 사시도를,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B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를, 도 7은 도 5의 C 부분의 C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를, 도 8은 도 5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섀시 베이스(100) 및 상기 섀시 베이스(100)에 결합하는 스탠드(400)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 베이스(100)의 일면(180)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5)(PDP)이 부착되고, PDP(185)가 부착되는 반대편 면(190)에는 구동회로(595)(도 5 참조)가 장착된다.
상기 섀시 베이스(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스탠드 지지부(110,120,130)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 지지부(110,120,130)는, 제1,2,3지지부(110,120,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3지지부(110,120,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 베이스(100)의 좌우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쌍의 지지부(110,120,13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섀시 베이스(100)의 우측에 형성된 제1,2,3지지부(110,120,13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섀시 베이스(100) 좌측에 형성된 지지부들에 관해서는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섀시 베이스(100)는 프레스(press) 또는 다이케스트(die-case)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섀시 베이스(100)는 프레스 제작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프레스 제작과정에서, 프레스 공정만에 의해 혹은 프레스 공정 후 벤딩(bending) 및/또는 드로잉(drawing)을 포함하는 추가공정에 의해 제1,2,3지지부(110,120,130)가 형성된다. 섀시 베이스(100)의 프레스 제작과정에서 제1,2,3지지부(110,120,130)가 형성되는 것에 관하여는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지지부(110,120,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하부에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2,3지지부(110,120,130)의 구체적인 형태에 관하여 도 2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3지지부(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하부 말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105)면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그리고 제3지지부(130)에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스탠드(400)와 섀시 베이스(100)가 결합하는 경우에, 이 관통홀(132)을 통해 스탠드(400)의 기둥부(450)가 삽입되는 것이다. 제3지지부(130)의 말단(134)은 제2지지부(120) 쪽으로 거의 수직하게 휘어진다.
제2지지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로부터 세워지는 좌우 측벽(124,126)(left and right walls)과, 상기 좌우 측벽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22)(concave portion)로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122)는, 일예로 원호(arc)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122)의 형태는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섀시 베이스(100)와 결합하게 되는 스탠드(400)의 기둥부(450)(도 5 참조)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것으로 족하다.
이와 같이 제2지지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를 이루는 판재의 굴곡에 의해 형성되므로, 약간의 탄성은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한 제2지지부(1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50)로부터 세워지는 좌우 측벽(114,116)(left and right walls)과, 상기 좌우 측벽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2)(concave portion)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120)의 오목부(122)에 관한 설명은 제1지지부(110)의 오목부(112)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지지부(110)에는, 스탠드(400)의 기둥부(450)의 최대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오목부(112)의 위쪽에 스토퍼(14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제1,2,3지지부(110,120,130)의 배열방향에 거의 수직하도록, 즉, 베이스 플레이트(150) 면에 거의 수직하도록 돌출된다. 또한, 스토퍼(140)의 끝 부분(142)은 제2지지부(120) 쪽으로 다시 거의 직각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제1,2지지부(110,120)의 오목부들(112,122)에는 스크류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제1,2나사홀(118,128)(threaded hole)이 형성된다. 제3지지부(130)의 수직말단(134)에는 스크류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 통과홀(138)(bolt receiving hole)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40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탠드는, 제1,2,3지지부(110,120,130)를 통해 섀시 베이스(100)에 결합하기 위한 기둥부(450), 그리고 상기 기둥부(450)에 연결된 바닥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의 말단(405)에는 전술한 제1지지부(110)의 스토퍼(140)의 말단(142)과 결합하기 위한 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450)에는, 상기 제1,2나사홀(118,128)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2관통홀(415,4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통과홀(138)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나사홀(435)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의 섀시 베이스 반대측, 즉, 상기 홈(410) 쪽 면에는, 제3지지부(130)의 관통홀(132) 내면, 즉, 제3지지부(130)의 말단(134)과 간섭하는 걸림돌기(4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430)가 제3지지부(130)의 말단(134)에 걸리게 되므로, 제3지지부(130)의 관통홀(132)에 삽입된 기둥부(450)는 그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관통홀(132)의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D)(도 2 참조)은, 스탠드(400)의 기둥부(450)의 두께(T)에 걸림돌기(430)의 돌출높이(h)를 합한 것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스탠드(400)의 기둥부(450)는 관통홀(132) 내에서 유격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120)의 탄성에 의해, 관통홀(132) 내의 기둥부(450)는 베이스 플레이트 반대편으로 눌리는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힘의 상호작용 및 걸림돌기(430)에 의해, 관통홀(132)에 삽입된 기둥부(450)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그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탠드(400)를 섀시 베이스(100)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탠드의 바닥부(460)를 섀시 베이스(100) 쪽으로 밀어 걸림돌기(430)의 높이(h) 이상 움직여 빼냄으로써 쉽게 탈거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400)와 섀시 베이스(100)의 결합/탈거 작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돌기(430)의 돌출 높이(h)는 0.5mm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걸림돌기의 돌출 높이(h)는 제1,2,3지지부(110,120,130)의 형태,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재질 및/또는 두께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섀시 베이스(100)는 프레스(press) 또는 다이케스트(die-case)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섀시 베이스(100)는 프레스 제작된 것으로 한다.
프레스 공정에서, 제2지지부(120)는 피어싱(piercing)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프레스 공정에서 피어싱된 후, 스토퍼(140)가 벤딩(bending) 및/또는 드로잉(drawing)에 의해 형성된다.
제3지지부(130)는, 프레스 공정에서 피어싱에 의해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이후 벤딩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수직하도록 세워지며, 스탠드의 걸림돌기(430)와 간섭하게 되는 관통홀 말단부분은 드로잉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이러한 제1,2,3지지부(110,120,130)의 형성과정은, 바람직한 일예의 형성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이로부터 변형된 다양한 과정에 의해 제1,2,3지지부(110,120,1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전술한 제1,2,3지지부(110,120,130)의 형성방식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섀시 베이스(100) 및 스탠드(400)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스탠드(400)의 기둥부(450)는 제3지지부(130)의 관통홀(132)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50) 내측으로 전진 삽입된다. 이 때, 기둥부(450)는 제2지지부(120)의 오목부(122)위에 놓이게 되며, 기둥부(450)의 말단(405)은 제1지지부(110)의 오목부(112) 위에 놓이게 된다.
기둥부(450)의 말단(405)은 제1지지부(110)의 스토퍼(140)에 의해 더 이상의 전진이 제한 되므로, 기둥부(45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이 때, 스토퍼(140)의 말단(142)은 기둥부 말단(405)의 홈(410)에 끼워지게 되고, 따라서, 기둥부(450)는 회전이 방지된다.
기둥부(450)가 최대한의 깊이로 제3지지부(130)의 관통홀(132)에 삽입된 때에는, 기둥부(450)의 걸림돌기(430)와 제3지지부(130)의 말단(134)과의 간섭으로 인해, 기둥부(45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섀시 베이스(100)에 별도로 부착되는 구조물 없이도, 그리고 그러한 구조물을 섀시 베이스(100)에 부착하는 선행과정이 없이도, 스탠드(400)는 섀시 베이스(100)에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탠드(400)의 섀시 베이스(100)에의 보다 확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관통홀(415)을 통해 제1나사홀(118)에, 제2관통홀(425)을 통해 제2나사홀(128)에, 그리고 볼트통과홀(138)을 통해 제3나사홀(435)에 각각 스크류 볼트를 체결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가 섀시 베이스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탠드와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도 스탠드와 섀시 베이스는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별도의 구조물을 섀시 베이스에 장착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므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스탠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피가 요구되나, 섀시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 지지부들에 의하면,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섀시 베이스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진다.
일예로, 종래기술에 따라 스탠드를 지지하기 위하여 51mm의 섀시 베이스 공간이 낭비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38mm의 공간으로도 동등한 결합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들 사이의 공간에 회로기판이 여유있게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간활용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매우 개선된 것이다.
섀시 베이스를 프레스 제작하는 경우에,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점은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스탠드의 걸림돌기와 섀시 베이스의 지지부와의 간섭에 의해 스탠드의 이탈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섀시 베이스 지지부의 스토퍼와 스탠드 기둥부의 말단 홈과의 결합에 의해 스탠드의 회전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A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로서, 섀시 베이스와 스탠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B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C 부분의 C1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15)

  1. 일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 부착되고 다른 면에는 구동회로가 장착될 수 있는 섀시 베이스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섀시 베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에 결합하는 스탠드로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이 고정되는 스탠드 기둥부, 및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 연결된 스탠드 바닥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섀시 베이스는 프레스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후 벤딩 또는 드로잉 공정을 포함하는 부가공정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2,3지지부를 포함하고,
    제3지지부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 기둥부는 상기 제3지지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제1,2지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 섀시 베이스 반대측으로 탄성을 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스탠드 기둥부의 말단에는 스토퍼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스탠드 기둥부의 섀시 베이스 반대측에는 제3지지부의 관통홀 내면과 간섭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스탠드 기둥부의 두께 및 상기 돌기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제1,2,3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에는 스크류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threaded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스탠드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탠드와 결합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배여되며 스탠드 기둥부와 대응하는 각 지점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스텐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0. 제9항에서, 상기 섀시 베이스는 프레스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2. 제10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프레스 가공후 벤딩 또는 드로잉 공정을 포함하는 부가공정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3. 제10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탠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2,3지지부를 포함하고,
    제3지지부는 상기 스탠드 기둥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1,2지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스탠드 기둥부에 섀시 베이스 반대측으로 탄성을 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4. 제13항에서, 상기 삽입되는 스탠드 기둥부의 최대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상기 제1,2,3지지부의 배열방향에 거의 수직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15. 제13항에서,
    상기 제1,2,3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에는 스크류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threaded hole)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 베이스.
KR10-2003-0066898A 2003-09-26 2003-09-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KR10052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98A KR100529100B1 (ko) 2003-09-26 2003-09-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US10/924,724 US20050067550A1 (en) 2003-09-26 2004-08-23 Plasma display device and chassis base thereof
CNA2004100825886A CN1601580A (zh) 2003-09-26 2004-09-21 等离子体显示装置及其基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98A KR100529100B1 (ko) 2003-09-26 2003-09-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439A KR20050030439A (ko) 2005-03-30
KR100529100B1 true KR100529100B1 (ko) 2005-11-15

Family

ID=3437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98A KR100529100B1 (ko) 2003-09-26 2003-09-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67550A1 (ko)
KR (1) KR100529100B1 (ko)
CN (1) CN16015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14B1 (ko) * 2007-09-06 2008-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264822B2 (en) * 2009-03-30 2012-09-11 JVC Kenwood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ousing assembly configuration
CN102365911B (zh) * 2009-03-31 2014-04-30 三菱电机株式会社 基板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997A (en) * 1985-08-19 1987-03-03 Fadley Thomas C Suspended sheet-material support weight
DE9106022U1 (ko) * 1991-05-15 1991-07-25 Oesterreichische Doka Schalungstechnik Ges.M.B.H., Amstetten, At
JP2001042779A (ja) * 1999-07-29 2001-02-16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1345586A (ja) * 2000-06-02 2001-12-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084230A (ja) * 2001-09-07 2003-03-19 Canon Inc 表示装置
NL1019833C2 (nl) * 2002-01-25 2003-07-30 Vogel S Holding Bv Inrichting geschikt voor het ophangen van een component zoals een vlak beeldscherm alsmede een tussenplaat en drager.
US6585201B1 (en) * 2002-03-08 2003-07-01 Gregory Reed Detachable universal display mount
KR100465792B1 (ko) * 2002-07-0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515358B1 (ko) * 2003-09-04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7550A1 (en) 2005-03-31
CN1601580A (zh) 2005-03-30
KR20050030439A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363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storage frame and panel storage frame
US8446543B2 (en) Chassis assembly for display apparatus
JP2009139426A (ja) 画像表示装置
KR1005291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섀시 베이스
JP2011227357A (ja) 薄型表示装置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US20060160387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11849868B2 (en) Connecting device
KR1006309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7206278A (ja) 支持スタンド及び表示装置
EP1990815B1 (en) Display device
KR20020026107A (ko) 걸림볼트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의 설치구조
US7494105B2 (en) Antislip rubber member for support
CN210670037U (zh) 一种卫星信号接收器的高频头壳体
KR20080040156A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판넬용 고정대
KR200215435Y1 (ko) 전자통신장비 설치용 랙 어셈블리
KR200334300Y1 (ko) 전기전자기기
KR100691781B1 (ko) 피디피/엘씨디용 모듈베이스 및 모듈베이스의 사이드 서포트 조립방법
KR200385538Y1 (ko) 피디피/엘씨디용 모듈베이스의 사이드 서포트 조립구조
CN214988691U (zh) 限位装置、固定件、限位固定组件和被限位件固定装置
KR20060092532A (ko) 기판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7389613B2 (ja) 棚連結具および棚システム
JP7306208B2 (ja) パイプ部材のジョイント構造
KR10085252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거치 장치
KR1004200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샤시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샤시 베이스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