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691B1 - 이미지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691B1
KR100528691B1 KR1019980055229A KR19980055229A KR100528691B1 KR 100528691 B1 KR100528691 B1 KR 100528691B1 KR 1019980055229 A KR1019980055229 A KR 1019980055229A KR 19980055229 A KR19980055229 A KR 19980055229A KR 100528691 B1 KR100528691 B1 KR 10052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sensing
array panel
pixel signal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776A (ko
Inventor
문범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6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에 대한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의 비디오신호 까지도 생성하기에 적합한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촬영장치는 다수의 광 감지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감지 어래이 패널과,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화소신호들을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포맷하는 디지타이저와,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 화소신호들을 1라인분씩 순차적으로 샘플링함과 동시에 샘플링되어진 화소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디지타이저 쪽으로 전송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촬영 장치 {Apparatus for Taking Image}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비디오신호를 제공하는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에 대한 비디오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과학·산업 분야에서는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 및/또는 X-선 등을 이용하는 이미지 촬영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미지 촬영장치로는 X-선 촬영장치 및 지문 체취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촬영장치에는 피사체를 통과하거나 또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어진 X-선 또는 적외선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포토-감지 어레이 패널 (Photo-Sensitive Array Panel)이 사용되고 있다. 포토-감지 어래이 패널은 대형화 및 고해상도에 대한 사용자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능한 많은 화소들을 가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미지 촬영장치는 포토-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전기적신호들을 수집함과 아울러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포맷화하는 데이터 수집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 수집회로는 비디오신호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토-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전기적신호들을 일정한 시간 내에 입력하여야 한다. 나아가, 데이터 수집회로는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화상에 대한 비디오신호를 제공하도록 요구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회로는 포토-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전기적신호들을 좀 더 빠른 속도로 입력하게끔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데이터 수집회로는 포토-감지 어래이 기판으로부터의 전기적신호들을 한계 속도 이상으로 입력하기 곤란하게 되어 있다.
실제로, 이미지 촬영장치는 도1 에서와 같이 감지 어래이 패널(10)에 접속되어진 게이트 드라이버(12) 및 판독 드라이버(14)를 구비한다. 감지 어래이 패널(10)에는 다수의 감지 셀들(SC)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게 된다. 다수의 감지 셀(SC)들 각각은 패널전압라인(PVL)와 기저전압라인(GVL) 사이에 접속되어진 포토 센서(PS) 및 충전 캐패시터(CC)와, 충전 캐패시터(CC)에 충전되어진 전압신호를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쪽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라 함)(TMC)로 구성된다. TFT(TMC)의 게이트 단자는 게이트 버스 라인(GBL)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12)에 접속되게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12)는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게이트 버스 라인들(GBL)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다수의 감지 셀들(SC)에 의해 감지된 화소신호들이 1 라인분씩 판독 드라이버(14)에 공급되게 한다. 판독 드라이버(14)는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들(ABL)로부터 1라인분의 상관화소신호들을 병렬로 입력하여 직렬로 디지타이저(Digitizer)(16)에 공급하게 된다. 상관화소신호는 감지화소신호(SPS)와 참조화소신호(RPS)를 포함한다. 감지화소신호(SPS)는 포토센서(PS)에 의해 충전 캐패시터(CC)에 충전되어진 전압을 가지게 되는 반면에 참조화소신호(RPS)는 충전 캐패시터(CC)가 초기화된 때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을 가지게 된다. 디지타이저(16)는 판독 드라이버(14)로부터 직렬로 입력되는 상관화소신호들 각각을 차동·증폭하여 화소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그 화소신호들을 포맷 함으로써 비디오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12), 판독 드라이버(14) 및 디지타이저(16)는 타이밍 제어기(Timing Controller)(18)로부터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또한, 판독 드라이버(14)는 도2 에서와 같이 상관 더블 샘플링 셀 어래이(20)와 쉬프트 레지스터(22) 사이에 접속되어진 스위치 셀 어래이(24)를 구비한다. 상관 더블 샘플링 셀 어래이(20)는 도1 의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n개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들(ABL1 내지 ABLn)에 각각 접속되어진 n개의 상관 더블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로 구성되게 된다. 이들 상관 더블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 각각은 제1 샘플링 클럭에 의해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Vd)을 샘플링/홀딩 함으로써 감지화소신호(SPS)를 샘플링 한다. 아울러, 상관 더블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 각각은 제2 샘플링 클럭(SHC2)에 의해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Vd)을 샘플링/홀딩 함으로써 감지화소신호(RPS)를 샘플링 하게 된다. 또한, 상관 더블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에 의해 샘플링 되어진 감지화소신호들(SPS) 및 참조화소신호들(RPS)은 스위치 셀 어래이(24)에 공급되게 된다. 쉬프트 레지스터(22)는 직렬 접속되어진 n개의 쉬프트 셀들(SR1 내지 SRn)를 가진다. 이들 쉬프트 셀들(SR1 내지 SRn) 각각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쉬프트 클럭(DSHC) 및 반전된 쉬프트 클럭(DSHCB)에 응답하여 캐리신호(CSS)를 순차적으로 우측의 쉬프트 셀(SR)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들 쉬프트 셀들(SR1 내지SRn)의 동작에 의하여, 쉬프트 레지스터(22)에서는 순차적으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을 가지게 되는 n개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스위치 셀 어래이(24)에는 n개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n개의 스위치 셀들(STC1 내지 STCn)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n개의 스위치 셀들(STC1 내지 STCn) 각각은 쉬프트 셀로부터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을 가질 때 상관 더블 샘플링 셀(CDSC)로부터의 감지화소신호(SPS)와 참조화소신호(RPS)를 도1 의 디지타이저(18) 쪽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n개의 스위치 셀들(STC1 내지 STCn) 각각은 쉬프트 셀(SR)로부터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공통적으로 응답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 트랜지스터(MN1,MN2)로 구성된다. 제1 스위치 트랜지스터(MN1)는 상관 더블 샘플링 셀(CDSC)로부터의 감지화소신호(SPS)를 그리고 제2 스위치 트랜지스터(MN2)는 참조화소신호(RPS)를 각각 도1 의 디지타이저(16) 쪽으로 전송한다.
나아가, 도2 의 상관 더블 샘플링 셀들(CDSC) 각각은 도4 에서와 같이 제어용 적분 증폭부(30)에 병렬 접속되어진 제1 및 제2 샘플러(32A,32B)를 구비한다. 제어용 적분 증폭부(30)는 연산증폭기(30A)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진 캐패시터(Cf) 및 PMOS 트랜지스터(MP1)를 가진다. PMOS 트랜지스터(MP1)는 도5 에서와 같이 수평 주사 기간 마다 일정기간 로우논리를 가지는 리세트 신호(RST)에 의해 턴-온 됨으로써 연산증폭기(30A)의 출력단자에 기준전압(Vref)과 동일한 전압이 나타나게 한다. 이와는 달리, 리세트 신호(RST)가 로우논리에서 하이논리로 상승 할 때부터(즉, 상승에지에서부터) 제어용 적분 증폭기(30A)는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을 적분·증폭하게 된다. 한편,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감지 셀들(SC) 각각에 포함되어진 TFT(TMC)는 도5 에서와 같이 리세트신호(RST)의 상승에지로부터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된 시점으로부터 제2 소정 기간 하이논리로 인에이블되는 스캐닝신호(LSS)에 의해 충전 캐패시터(CC)에 충전되어진 전압이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을 경유하여 연산증폭기(30A)의 반전단자에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어용 적분 증폭기(30)는 게이트 드라이버(12)에서 하이논리의 스캐닝신호(LSS)가 발생되는 기간에 감지 셀(SC)로부터의 전기적신호를 적분·증폭하게 된다. 제1 샘플러(32A)는 도5 에서와 같이 리세트신호(RST)의 상승에지와 스캐닝신호(LSS)의 상승에지 사이의 구간에서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1 샘플링 클럭(SHC1)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 샘플러(32B)는 도5 에서와 같이 스캐닝신호(LSS)의 하강에지 이후에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2 샘플링 클럭(SHC2)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샘플러(32A)에 의해서는 참조화소신호(RPS)가 그리고 제2 샘플러(32B)에 의해서는 감지화소신호(SPS)가 각각 샘플링 되게 된다. 이들 제1 및 제2 샘플러들(32A,32B)에 의해 참조화소신호(RPS) 및 감지화소신호(SPS)의 샘플링이 완료된 이후에 스위치 셀 어래이(24)에 의해 상관화소신호의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화소신호의 샘플링 동작과 전송동작이 1라인분의 화소신호들 판독되게 위하여 교번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진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감지 셀들(SC)로부터의 화소신호들을 디지타이저(16) 쪽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샘플링 및 전송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므로 라인 판독 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동영상의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에 대한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의 비디오신호 까지도 생성하기에 적합한 이미지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는 다수의 광 감지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감지 어래이 패널과,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화소신호들을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포맷하는 포맷팅 수단과,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 화소신호들을 1라인분씩 순차적으로 샘플링함과 동시에 샘플링되어진 화소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포맷팅 수단 쪽으로 전송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6 및 도8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6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 사용되는 판독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6 의 판독 드라이버는 상관 쿼드 샘플링 셀 어래이(40)와 쉬프트 레지스터들(42) 사이에 접속되어진 스위치 셀 어레이(44)와, 상관 쿼드 샘플링 셀 어래이(40) 및 스위치 셀 어래이(44) 사이에 접속되어진 모드 절환 셀 어래이(46)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관 쿼드 샘플링 셀 어래이(40)는 도1 의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n개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들(ABL1 내지 ABLn)에 각각 접속되어진 n개의 상관 쿼드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로 구성되게 된다. 이들 n개의 상관 쿼드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 각각은 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는 도7 에서와 같은 제1 및 제2 샘플링 클럭(SHC1,SHC2)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Vd)을 샘플링 함으로써 참조화소신호(RPS) 및 감지화소신호(SPS)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들 n개의 상관 쿼드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 각각은 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는 도7 에서와 같은 제3 및 제4 샘플링 클럭(SHC3,SHC4)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Vd)을 샘플링 함으로써 참조화소신호(RPS) 및 감지화소신호(SPS)를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관 쿼드 샘플링 셀들(CDSC1 내지 CDSCn) 각각은 기수번재 감지 셀로부터의 상관화소신호와 우수번째 상관화소신호를 모드 절환 셀 어래이(44)에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쉬프트 레지스터(42)는 직렬 접속되어진 n개의 쉬프트 셀들(SR1 내지 SRn)를 가진다. 이들 쉬프트 셀들(SR1 내지 SRn) 각각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쉬프트 클럭(DSHC) 및 반전된 쉬프트 클럭(DSHCB)에 응답하여 캐리신호(CSS)를 순차적으로 우측의 쉬프트 셀(SR)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들 쉬프트 셀들(SR1 내지SRn)의 동작에 의하여, 쉬프트 레지스터(42)에서는 순차적으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을 가지게 되는 n개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쉬프트 레지스터(42)에서는 발생되는 3개의 스위치 제어신호들은 스위치 셀 어래이(44)에 포함되어진 n개의 스위치 셀들(STC1 내지 STCn)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스위치 셀 어래이(44)에 포함되어진 n개의 스위치 셀들(STC1 내지 STCn)은 쉬프트 레지스터(42)로부터의 n개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드 절환 셀 어래이(46)에 포함되어진 n개의 모드 절환 셀들(MSC1 내지 MSCn)으로부터의 n개의 상관화소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디지타이저(16) 쪽으로 전송하게 된다. 모드 절환 셀 어래이(46)에 포함되어진 n개의 모드 절환 셀들(MCS1 내지 MCSn)은 라인 판독 기간 마다 반전되는 모드 절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관 쿼드 샘플링 셀(CDSC)로부터의 두쌍의 상관화소신호를 교번적으로 스위치 셀(STC) 쪽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n개의 모드 절환 셀들(MCS1 내지 MCSn)은 기수번재 라인 판독 기간에서는 상관 쿼드 샘플링 셀(CDSC)로부터의 두쌍의 상관화소신호중 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서 샘플링되어진 상관화소신호를 스위치 셀(STC) 쪽으로 공급하는 반면에 우수번재 라인 판독 기간에서는 상관 쿼드 샘플링 셀(CDSC)로부터의 두쌍의 상관화소신호중 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서 샘플링되어진 상관화소신호를 스위치 셀(STC) 쪽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들 쿼드 상관 샘플링 셀 어래이(40)와 모드 절환 셀 어래이(46)에 의하여, 화소신호의 샘플링 동작과 화소신호의 전송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라인 판독 기간이 종래의 이미지 촬영장치에서의 것 보다 1/2 로 짧아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화상의 비디오신호 까지도 생성되게 된다.
도8 은 도6 의 상관 쿼드 샘플링 셀(CDSC)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8 에 있어서, 상관 쿼드 샘플링 셀(CDSC)은 제어용 적분 증폭부(50)에 병렬 접속되어진 제1 내지 제4 샘플러(52A 내지 52D)를 구비한다. 제어용 적분 증폭부(50)는 연산증폭기(50A)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진 캐패시터(Cf) 및 PMOS 트랜지스터(MP1)를 가진다. PMOS 트랜지스터(MP1)은 도7 에서와 같이 수평 주사 기간 마다 일정기간 로우논리를 가지는 리세트 신호(RST)에 의해 턴-온 됨으로써 연산증폭기(50A)의 출력단자에 기준전압(Vref)과 동일한 전압이 나타나게 한다. 이와는 달리, 리세트 신호(RST)가 로우논리에서 하이논리로 상승 할 때부터(즉, 상승에지에서부터) 제어용 적분 증폭기(50)는 도1 의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 상의 전압(Vd)을 적분·증폭하게 된다. 한편, 감지 어래이 패널(10) 상의 감지 셀들(SC) 각각에 포함되어진 TFT(TMC)는 도7 에서와 같이 리세트신호(RST)의 상승에지로부터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된 시점으로부터 제2 소정 기간 하이논리로 인에이블되는 스캐닝신호(LSS)에 의해 의해 충전 캐패시터(CC)에 충전되어진 전압이 아날로그 버스 라인(ABL)을 경유하여 연산증폭기(50A)의 반전단자에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어용 적분 증폭기(50)는 도1 의 게이트 드라이버(12)에서 하이논리의 스캐닝신호(LSS)가 발생되는 기간에 감지 셀(SC)로부터의 전기적신호를 적분·증폭하게 된다. 제1 샘플러(52A)는 도7 에서와 같이 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 해당하는 리세트신호(RST)의 상승에지와 스캐닝신호(LSS)의 상승에지 사이의 구간에서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1 샘플링 클럭(SHC1)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 샘플러(52B)는 도7 에서와 같이 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 포함되는 스캐닝신호(LSS)의 하강에지 이후에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2 샘플링 클럭(SHC2)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샘플러(52A)에 의해서는 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 대한 참조화소신호(RPS)가 그리고 제2 샘플러(52B)에 의해서는 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 대한 감지화소신호(SPS)가 각각 샘플링 되게 된다. 제3 샘플러(52C)는 도7 에서와 같이 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 해당하는 리세트신호(RST)의 상승에지와 스캐닝신호(LSS)의 상승에지 사이의 구간에서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3 샘플링 클럭(SHC3)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4 샘플러(52D)는 도7 에서와 같이 우수번째 라인판독기간에 포함되는 스캐닝신호(LSS)의 하강에지 이후에 하이논리 상태로 인에이블 되는 제4 샘플링 클럭(SHC4)에 응답하여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샘플러(52C)에 의해서는 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 대한 참조화소신호(RPS)가 그리고 제4 샘플러(52D)에 의해서는 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SC)에 대한 감지화소신호(SPS)가 각각 샘플링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샘플러들(52A,52B)에 의해서는 기수번째 라인상의 감지 셀에 대한 참조화소신호(RPS) 및 감지화소신호(SPS)가 샘플링되고, 제3 및 제4 샘플러들(52C,52D)에 의해서는 우수번째 라인상의 감지 셀에 대한 참조화소신호(RPS) 및 감지화소신호(SPS)가 샘플링 되게 된다. 다시 말하여, 기수번째 라인 상의 감지 셀과 우수번재 라인 상의 감지 셀이 교번되게 샘플림 됨과 동시에 그 화소신호들이 교번되게 디지타이저 쪽으로 교번적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라인 판독 기간이 현저하게 짧아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화상의 비디오신호 까지도 생성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이들 쿼드 상관 샘플링 셀 어래이(40)와 모드 절환 셀 어래이(46)에 의하여, 화소신호의 샘플링 동작과 화소신호의 전송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라인 판독 기간이 종래의 이미지 촬영장치에서의 것 보다 1/2 로 짧아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는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동화상의 비디오신호 까지도 생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미지 촬영장치가 설명되었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변경 및 수정에 의해 본 발명을 다른 형태로 실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도1 은 종래의 이미지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2 는 도1 의 판독 드라이버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3 은 도2 에 도시된 판독 드라이버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도4 는 도2 에 도시된 상관 더블 샘플링 셀의 상세 회로도.
도5 는 도4 에 도시된 상관 더블 샘플링 셀의 각 부분의 동작 타이밍도.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이미지 촬영장치에 사용될 판독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7 는 도6 의 판독 드라이버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도8 은 도6 에 도시된 상관 쿼드 샘플링 셀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감지 어래이 패널 12 : 게이트 드라이버
14 : 판독 드라이버 16 : 디지타이저
18 : 타이밍 제어기 20 : 상관 더블 샘플링 셀 어래이
22,42 : 쉬프트 레지스터 24,44 : 스위치 셀 어래이
40 : 상관 쿼드 샘플링 셀 어래이
46 : 모드 절환 셀 어래이

Claims (3)

  1. 다수의 광 감지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감지 어래이 패널과,
    상기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화소신호들을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포맷하는 포맷팅 수단과,
    상기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 화소신호들을 1라인분씩 순차적으로 샘플링함과 동시에 샘플링되어진 화소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포맷팅 수단 쪽으로 전송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기수번째 화소신호들을 샘플링하기 위한 제1 샘플링 수단과,
    상기 제1 샘플링 수단과 교번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감지 어래이 패널로부터의 우수번째 화소신호들을 샘플링하는 제2 샘플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제1 샘플링 수단으로부터의 화소신호와 상기 제2 샘플링 수단으로부터의 화소신호가 교번적으로 상기 포맷팅 수단 쪽으로 전송되게 하는 모드 절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장치.
KR1019980055229A 1998-12-16 1998-12-16 이미지촬영장치 KR10052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229A KR100528691B1 (ko) 1998-12-16 1998-12-16 이미지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229A KR100528691B1 (ko) 1998-12-16 1998-12-16 이미지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776A KR20000039776A (ko) 2000-07-05
KR100528691B1 true KR100528691B1 (ko) 2006-02-28

Family

ID=1956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229A KR100528691B1 (ko) 1998-12-16 1998-12-16 이미지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850A (en) * 1992-03-19 1998-09-01 Sony Corporation Linear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sensor rows
EP0905787A2 (en) * 1997-09-26 1999-03-31 Sony Corporatio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H11266002A (ja) * 1998-01-22 1999-09-28 Eastman Kodak Co 集積cmosアクティブピクセルデジタルカメラ
KR200209712Y1 (ko) * 2000-07-25 2001-01-15 노기헌 유.브이 코팅장치
KR20040105454A (ko) * 2003-06-09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소자 및 그의 데이터 판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850A (en) * 1992-03-19 1998-09-01 Sony Corporation Linear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sensor rows
EP0905787A2 (en) * 1997-09-26 1999-03-31 Sony Corporatio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H11266002A (ja) * 1998-01-22 1999-09-28 Eastman Kodak Co 集積cmosアクティブピクセルデジタルカメラ
KR200209712Y1 (ko) * 2000-07-25 2001-01-15 노기헌 유.브이 코팅장치
KR20040105454A (ko) * 2003-06-09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소자 및 그의 데이터 판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77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218B2 (en) Event-based vision sensor
EP0587236B1 (en) Matrix display device with light sensing function
TWI263952B (en) Display device
US7750958B1 (en) Pixel structure
JP6894298B2 (ja) 非同期マルチモード焦点面アレイ
KR10110088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JP3817294B2 (ja) 固体撮像装置
WO1998036557A1 (en) Pixel array with high and low resolution mode
US8138804B2 (en)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US20030071195A1 (en) Sequential read-out method and system that employs a single amplifier for multiple columns
JP5258891B2 (ja) 表示装置
JP5116851B2 (ja) 表示装置
KR100528691B1 (ko) 이미지촬영장치
CN111643102A (zh) 一种平板探测装置及系统
KR100570961B1 (ko) 이미지촬영장치
JP4316478B2 (ja) 画像センサ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走査駆動器
KR100606408B1 (ko) 이미지촬영장치
JP4946486B2 (ja) 検出装置の駆動方法、検出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181703B2 (ja) 光電変換装置
KR20020040286A (ko) 빠른 초기화를 수행하는 엑스선 검출기
CN110010186B (zh) 移位寄存器、栅极驱动器电路、x射线检测面板及检测器
JP2001045377A (ja) Mos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6060294A (ja) 固体撮像素子
CN113017658A (zh) 光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920908A (zh) 感测电路以及感测信号的侦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