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629B1 -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629B1
KR100528629B1 KR10-2003-0003751A KR20030003751A KR100528629B1 KR 100528629 B1 KR100528629 B1 KR 100528629B1 KR 20030003751 A KR20030003751 A KR 20030003751A KR 100528629 B1 KR100528629 B1 KR 10052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signal
induction
main body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629A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성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6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은, 시각장애인 안내를 위해 시설물에 설치되는 본체장치와;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휴대되며 유도버튼,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 구성하되; 본체장치는; 초기유도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범위를 본체장치를 기준한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으로 정의하고,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보다 짧으며 시각장애인에게 위치안내서비스방송 가능한 범위를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으로 정의하며, 제1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초기유도 접근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유도신호음을 발생하고,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안내 서비스 방송을 가청적으로 제공하며,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는; 제1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접근 신호음을 발생하며, 시각장애인의 유도버튼입력에 따라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중 하나의 버튼입력에 따라 제3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인권보장 차원에서 장애인 복지는 일반적으로 장애의 예방, 재활, 소득·의료보장 및 각종 복지서비스의 제공, 교육기회의 확대, 고용의 확대, 편의시설의 확보 등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중 장애인복지를 위한 편의시설의 확보는 장애인이 사회에 참여하고 통합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 시설, 설비 및 사회적 정보에 대해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 및 접근할 수 있는 제도 및 조치들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하며 강구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장애인들중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이동 편의시설의 대표적인 일 예로는 옥외 및 옥내(지하철 통로 등)의 인도에 설치된 위치표시용 점자블록과 유도표시용 점자블록이 있다. 위치표시용 점자블록은 점 형태의 블록으로서 보행 유도선의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목적지점 등의 위치를 표시해 주기 위한 용도이며, 유도표시용 점자블록은 선 형태의 블록으로서, 블록 위치에서 보행자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시각 장애인을 목적지까지 유도해 주는 역할을 해주고 있으나 옥외용인 경우 주로 신호등이 설치된 신호대 주변에 국한되어 설치된 경우가 많아 신호대에서 다소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시각 장애인이 여전히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다른 이동 편의시설의 일 예로는 음향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가 있다. 음향 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는 시각장애인이 규정된 방송에 의해 횡단보도 및 공공건물을 유도음에 따라 타인의 도움이 없어도 자력으로 횡단 및 시설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중 음향 신호기는 주로 횡단보도 유도음향 및 유도음성을 제공해주는 장치로서 횡단보도가 있는 신호대에 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음성 유도 신호기는 공공건물, 관공서, 지하철 시설물을 자력으로 찾을 수 있도록 유도음성을 제공해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향 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신호기가 설치된 신호대 등과 같은 시설물까지 가서 사용자가 작동버튼 등을 직접 눌러야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시각 장애인들이 자력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자칫 넘어지거나 기둥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히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요즈음에 들어 이러한 단점을 보강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리모콘식 휴대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시각장애인용 리모콘식 휴대장치는 시각 장애인이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음향 신호기 또는 음성 유도 신호기를 근거리범위에서 무선 작동시켜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케 해준다. 하지만 요즈음의 리모콘식 휴대장치는 시각 장애인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선 휴대장치의 작동버튼을 수시로 눌러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음향 신호기 또는 음성 유도 신호기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휴대장치의 작동버튼을 눌러도 소용이 없고 음향 신호기 또는 음성 유도신호기 근처에 왔었어도 어느 시점에서 음향신호기 또는 음성 유도 신호기가 작동할지를 알 수가 없으므로 작동버튼을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눌러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신호기 및 음성유도 신호기 모두에서 작동 가능하며 시각장애인의 안전과 편리를 도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장치와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간 쌍방향 교신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주도권과 선택권을 가지면서 비장애인의 소음피해를 최소화 함과 아울러 아주 유효하며 시기적절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시각 장애인 안내를 위해 시설물에 설치되는 본체장치와; 상기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휴대되며 유도버튼,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장치는; 초기유도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범위를 본체장치를 기준한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으로 정의하고, 상기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보다 짧으며 시각장애인에게 위치 안내서비스방송 가능한 범위를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초기유도 접근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유도신호음을 발생하고, 상기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안내 서비스 방송을 가청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는;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접근 신호음을 발생하며, 시각장애인의 유도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중 하나의 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제3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 안내를 위해 시설물에 설치되며 음향신호기나 음성유도신호기를 포함하는 본체장치와, 상기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휴대되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본체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내로 주기적으로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과정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접근 신호음을 발생하는 제2과정과,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이 휴대장치 유도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고, 본체장치는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유도신호음을 발생하는 제3과정과, 시각장애인이 휴대장치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중 하나를 버튼입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 위치안내 서비스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가 송출되고, 본체장치는 상기 초기유도 접근 거리반경보다 적어도 짧은 위치안내 서비스거리 반경내에서 상기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안내 서비스 방송을 제공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체장치(6)와,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본체장치(6)와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는 시각장애인(8)에게 안전과 편리를 도모하는 적절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쌍방향 무선 교신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장치(6)는 시각장애인이 규정된 방송에 의해 횡단보도 및 공공건물을 유도음에 따라 타인의 도움이 없어도 자력으로 횡단 및 시설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통상 "음향 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라 칭해진다. 음향 신호기(6)는 도 1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 근처의 신호등(2)을 거치하고 있는 신호대(4)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유도음향 및 유도음성을 제공해준다. 음성 유도 신호기는 도 1에 미도시되었지만 공공건물, 관공서, 지하철 시설물을 자력으로 찾을 수 있도록 유도음성을 제공해준다.
음향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와 같은 본체장치(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12)의 범위내에 초기유도에 대응된 제1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초기 유도 접근거리 반경(12)은 시각장애인(8)이 본체 장치(6)의 서비스 유도 지점에 초기 접근함을 인식하도록 해주는 거리 범위이다. 상기 초기 유도 접근거리 반경(12)은 본체장치(6)를 기준으로 해서 수십 미터이며, 바람직하게는 20미터정도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8)이 상기 초기 유도 접근거리 반경(12)내로 보행하게 되면 시각장애인(8)이 휴대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는 본체장치(6)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제1무선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그에 응답하여 시각장애인(8)에게 접근 신호음을 송출한다.
시각장애인(8)은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접근 신호음을 듣고서 본인이 서비스 유도 접근지역에 도달했음을 인식하게 되고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를 이용하여 유도 요구를 할 수 있다. 즉 시각 장애인(8)이 유도요구에 대응된 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로부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가 본체장치(6)로 무선 송출된다. 본체장치(6)는 상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유도 신호음을 발생한다.
시각장애인(8)은 본체장치(6)로부터 발생되는 유도 신호음을 듣고서 본체장치(6)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행을 하게 되며 보행하면서 위치 안내서비스를 받기 위한 요구를 계속적으로 시도할 것이다. 시각장애인(8)이 위치안내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범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안내서비스 거리반경(14)으로서 초기 유도 접근 거리반경(12)에 비해 짧은 거리이다. 상기 위치안내 서비스 거리반경은 수미터로서 바람직하게는 7-10미터이다.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에 구비된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확인버튼을 누르면서 시각장애인(8)이 위치안내 서비스 거리 반경(14)내에 들어가게 되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로부터 위치 안내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가 본체장치(6)로 무선 송출된다. 본체장치(6)는 상기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상황에 맞는 위치 안내 서비스를 가청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본체장치(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대(6)에 설치된 음향신호기이면 음향신호기는 신호체계에 따른 음향신호 및 안내 방송을 송출한다. 예컨대, 음향신호기는 현재 신호등 상태가 적색신호이면 "빨간불이 커졌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음성 안내방송을, 현재 신호등 상태가 녹색신호이면 "녹색불이 커졌습니다. 건너가도 좋습니다."라는 음성 안내방송과 함께 귀뚜라미 소리 울림을, 현재 신호등 상태가 녹색점멸신호(또는 황색등)이면 이면 "위험하오니 다음 신호를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음성 안내방송과 함께 귀뚜라미 울림음을 송출한다. 그리고 본체장치(6)가 공공건물, 관공서, 지하철 시설물 등에 설치된 음성 유도 신호기이면 음성 유도 신호기는 자력으로 찾을 수 있도록 유도음성을 제공해준다. 예컨대, 특허청 앞에 설치된 음성 유도 신호기는 "여기는 특허청 앞입니다."라는 유도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위치안내 본체장치(6)중 신호대(4)에 주로 설치되는 음향 신호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음향 신호기는 크게, 본체 송수신부와, 전원공급부(54)와, 신호비교부(50), 정전압부(52), 신호 제어 회로부(48), 안내 음성 및 음향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 송수신부는, 안테나(20), RF수신기(22), 복조부(24), 국부발진기(25), IF증폭부(26), 파형 정형부(28), 디지털 디코딩부(30),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코드 설정부(32), 및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58), 디지털 코딩부(62), RF송신부(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신호 비교부(50)는 적색과 녹색 신호등에 대한 신호를 비교한다. 신호 제어회로부(48)는 본체장치 전반에 걸쳐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안내음성 및 음향 안내부는 멜로디 음향 발생부(36), 목적지 확인을 위한 제4 음성합성부(38), 적색신호 확인을 위한 제1음성합성부(42), 녹색신호 확인을 위한 제2음성합성부(44), 녹색점멸신호 확인을 위한 제3음성합성부(46), 음성 증폭기(40), 스피커(SP)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 장치(6)중 음향 신호기의 블록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본체장치(6)중 음성 유도신호기도 도 2의 블록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단지 도 2에서는 적색신호 확인, 녹색신호 확인, 및 녹색점멸 확인을 위해 3개의 음성 합성부(42,44,26)가 구비되지만 음성 유도신호기는 음성 유도 안내하는 하나의 음성 합성부만 구비되는 것이 다소 상이한 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는, 크게, 휴대장치 송수신부와, 전원공급부(96), 유도버튼 SW1과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SW2와 음성 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 SW3을 포함하고 있는 기능버튼부(82), 접근 신호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휴대장치 송수신부는, 안테나(70), RF수신기(84), 복조부(86), 디지털 디코딩부(88), RF송신부(72), 변조부(74), 발진부(76), 디지털 코딩부(78), 및 코드 설정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접근신호 발생부는 멜로디 음향 발생부(92), 음향 출력부(94) 및 스피커(SP)로 구성된다.
본체장치(6)인 음향신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12) 범위내에 초기유도에 대응된 제1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무선신호의 송출주기는 수십초로서 바람직하게는 10∼2O초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음향신호기(6)의 본체 송신부에서 디지털 코딩부(62)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8)에 의해서 10∼2O초범위중 하나로 송출주기로 코드 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제품고유코드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RF송신부(64)로 출력하고, RF송신부(64)는 국부발진기(25)에 의해서 제1 무선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된 제1무신신호는 안테나(20)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방사된다. 본체장치(6)인 음향신호기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방사되는 제1 무선신호의 출력 범위는 도 1에 도시된 초기 유도 접근거리 반경(12)으로서 일 예로 2O미터정도이다. 상기 초기 유도 접근 반경(12)은 시각장애인(8)이 본체 장치(6)의 서비스 유도 지점에 초기 접근함을 인식하도록 해주는 거리이다.
시각 장애인(8)이 초기 유도 접근거리 반경(12)내로 보행하게 되면 본체장치(6)로부터 송출된 제1무선신호는 시각장애인(8)이 휴대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휴대장치 수신부에 수신되고, 상기 휴대장치(10)의 제어에 의해 시각장애인(8)에게 접근 신호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장치(6)로부터 송출된 제1무선신호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안테나(70), RF수신부(84), 복조부(86)를 통해서 디지털디코딩부(88)에 인가된다. 수신 디지털 디코딩부(88)는 제1무선신호에서 디코딩된 제품고유코드가 코드 설정부(90)에 의해 설정된 고유코드와 일치하면 멜로디 음향 발생부(92)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멜로디 음향 발생부(92)가 구동되어 접근 신호음이 발생되며, 발생된 접근 신호음은 증폭기(94)에 의해서 증폭되고 스피커(SP)를 통해서 시각 장애인(8)에게 가청적으로 제공된다.
시각장애인(8)은 본인이 휴대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접근 신호음을 듣고서 본인이 서비스 유도 접근지역에 도달했음을 인식하게되고,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를 이용하여 유도 요구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시각 장애인(8)이 유도요구에 대응된 유도버튼을 누르게 되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로부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가 본체장치(6)로 무선 송출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근 신호음을 들은 시각장애인(8)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기능버튼부(82)의 유도버튼 SW1을 누르게 되면 디지털코딩부(78)는 코드 설정부(80)에 의해 설정된 제품고유코드 및 유도요구신호에 대응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조부(74)는 국부발진기(76)에 의해서 유도요구에 대응된 디지털신호를 변조하여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하고, RF송신부(72) 및 안테나(70)를 통해서 공중으로 방사된다.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는 도 2의 본체장치(6)의 수신부에 인가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는 본체장치(6)의 안테나(20), RF수신부(22), 복조부(24), IF증폭부(26), 파형정형기(28)를 통해 수신되어 복조 정형되어 디지털 디코딩부(30)에 인가된다. 디지털 디코딩부(3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에서 디코딩된 제품고유코드가 코드 설정부(32)에 의해 설정된 고유코드와 일치하면 포토 커플러 PT1을 동작시켜 멜로디 음향 발생부(36)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멜로디 음향 발생부(36)가 구동되어 유도 신호음이 발생되며, 발생된 유도 신호음은 증폭기(40)에 의해서 증폭되고 스피커(SP)를 통해서 출력된다. 본체장치(6)의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된 유도 신호음은 시각 장애인(8)에게 제공되어, 시각장애인(8)의 보행 방향을 유도할 것이다.
시각장애인(8)이 본체장치(6)로부터 발생되는 유도 신호음을 듣고서 본체장치(6)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행을 하게 되며 보행하면서 위치 안내서비스를 받기 위한 요구를 계속적으로 시도할 것이다. 도 3의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기능버튼부(82)중에서 SW2는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이고, SW3은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인데, 시각장애인(8)은 자신의 위치 안내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SW2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 SW3의 별도 구비는 음향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가 서로 근접하였을 때에 시각 장애인(8)이 원하는 위치안내 서비스만을 선별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의 일 예와 같이, 본체장치(6)가 음향 신호기이면 시각 장애인(8)은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SW2를 누르게 되고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로부터 신호기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가 본체장치(6)로 무선 송출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근 신호음을 들은 시각장애인(8)이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10)의 기능버튼부(82)의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SW2를 누르게 되면 디지털코딩부(80)는 코드 설정부(80)에 의해 설정된 제품고유코드 및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예; 음향신호기용 확인 요구신호)에 대응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조부(74)는 국부발진기(76)에 의해서 음향신호기용 확인 요구에 대응된 디지털신호를 변조하여 제3 무선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하고, 주파수 변환된 제3 무선신호는 RF송신부(72) 및 안테나(70)를 통해서 공중으로 방사된다.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예; 음향신호기용 확인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는 도 2의 본체장치(6)의 수신부에 인가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는 본체장치(6)의 안테나(20), RF수신부(22), 복조부(24), IF증폭부(26), 파형정형기(28)를 통해 수신되어 복조 정형되어 디지털 디코딩부(30)에 인가된다. 디지털 디코딩부(30)는 상기 제3 무선신호에서 디코딩된 제품고유코드가 코드 설정부(32)에 의해 설정된 고유코드와 일치하면 포토 커플러(PT8)를 동작시켜 제4음성합성부(38)를 통해서 현재 목적지정보를 발생케 제어하고, 아울러 신호등(2)의 현재 상황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신호제어 회로부(48)로 인가한다. 신호제어 회로부(48)는 횡단보도 신호등(2)의 상태와 신호 비교부(50)의 신호에 따라 제1,제2,제3 음성 합성부(42,44,46)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신호등(2)이 적색신호일 경우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1을 트리거시켜 SCR1을 작동케하고 그에 따라 포토커플러 PT3이 동작하여 제1음성합성부(42)를 통해 적색신호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게 제어하고, 신호등(2)이 녹색신호로 변경되면 SCR2를 트리거시켜 SCR2를 작동케하고 그에 따라 포토커플러 PT4가 동작하여 제2음성합성부(44)를 통해 녹색신호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게 제어한다. 또한 신호등(2)이 녹색신호에서 녹색점멸신호로 변경되면 SCR3을 트리거하여 SCR3을 작동케하고 그에 따라 포토커플러 PT5가 동작하여 제3 음성합성부(46)를 통해 녹색점멸신호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게 제어한다. 이때 전원공급부(54)의 전원은 바로 각 회로부에 공급이 된다.
제4 음성합성부(38)를 통해서 출력되는 현재 목적지정보의 일 예를 들면, "여기는 특허청앞 신호등입니다."라는 안내방송이 출력될 수 있다. 신호등의 현재상태가 적색신호일 경우 제1 음성합성부(42)를 통해서 "빨간불이 커졌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음성 안내방송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등의 현재상태가 녹색신호일 경우에는 제2 음성합성부(44)를 통해서 "녹색불이 커졌습니다. 건너가도 좋습니다."라는 음성 안내방송이 출력됨과 아울러 멜로디 음향 발생부(36)를 통해서 귀뚜라미 소리 울림의 멜로디 음이 발생된다. 신호등의 현재상태가 녹색점멸신호이면 제3 음성 합성부(46)을 통해서 "위험하오니 다음 신호를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음성 안내방송과 아울러 멜로디 음향 발생부(36)를 통해서 귀뚜라미 소리 울림의 멜로디 음이 발생된다.
본체장치(6)로부터의 상기한 음성 안내방송 및 귀뚜라미 소리 울림, 또는 음성 안내방송에 의해서 시각 장애인(8)은 본인이 있는 위치 및 상태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서비스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전원공급부(54)는 2개의 전원트랜스포머(T1,T2)를 사용하고 녹색점멸신호시 음성 증폭기(40)의 전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54)와 정전압부(52)간에 위치한 커패시터 C95,C96은 높은 용량을 사용한다. 그래서 전원이 공급 충분히 되지 않는 동안은 커패시터 C95,C96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이 각 회로부에 공급되게 한다. 한편 본체장치(6)의 외부에 부착된 수동조작부(56)는 휴대장치(56)가 없을 경우에 안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장치와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간 쌍방향 교신을 통한 시각장애인이 편리하면서도 적절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위치안내 본체장치인 음향 신호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신호등 4: 신호대
6: 본체장치 10: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
12: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 14: 위치안내 서비스 거리 반경
SW1: 유도버튼 SW2: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SW3: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

Claims (6)

  1. 삭제
  2.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 안내를 위해 시설물에 설치되는 본체장치와; 상기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휴대되며 유도버튼,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장치는;
    초기유도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범위를 본체장치를 기준한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으로 정의하고, 상기 초기유도 접근거리반경보다 짧으며 시각장애인에게 위치 안내서비스방송 가능한 범위를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초기유도 접근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유도신호음을 발생하고, 상기 위치안내서비스 거리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의 위치안내 서비스 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안내 서비스 방송을 가청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는;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접근 신호음을 발생하며, 시각장애인의 유도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중 하나의 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제3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장치는 음향신호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장치는 음성 유도 신호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5. 시각 장애인 안내를 위해 시설물에 설치되며 음향신호기나 음성유도신호기를 포함하는 본체장치와, 상기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휴대되는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본체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내로 주기적으로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과정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접근 신호음을 발생하는 제2과정과,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내에서 시각장애인이 휴대장치 유도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 유도요구에 대응된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고, 본체장치는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유도신호음을 발생하는 제3과정과,
    시각장애인이 휴대장치 음향신호기용 확인버튼 및 음성유도 신호기용 확인버튼중 하나를 버튼입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휴대장치로부터 위치안내 서비스요구에 대응된 제3 무선신호가 송출되고, 본체장치는 상기 초기유도 접근 거리반경보다 적어도 짧은 위치안내 서비스거리 반경내에서 상기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안내 서비스 방송을 제공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초기유도 접근거리 반경은 수십미터이고, 상기 위치안내 서비스 거리 반경은 수 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서비스 방법.
KR10-2003-0003751A 2003-01-20 2003-01-20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2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51A KR100528629B1 (ko) 2003-01-20 2003-01-20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51A KR100528629B1 (ko) 2003-01-20 2003-01-20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629A KR20040066629A (ko) 2004-07-27
KR100528629B1 true KR100528629B1 (ko) 2005-11-15

Family

ID=3735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751A KR100528629B1 (ko) 2003-01-20 2003-01-20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67B1 (ko) * 2018-01-24 2018-07-31 우영정보통신주식회사 위치 정보 제공용 비상 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39B1 (ko) * 2005-10-04 2007-03-30 (주)휴먼케어 음성 유도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863A (ja) * 1994-01-28 1995-10-03 Alps Electric Co Ltd 無線案内装置
KR960012781B1 (ko) * 1993-02-16 1996-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 시스템
JPH10263005A (ja) * 1997-03-24 1998-10-06 Ikeno Tsuken Kk 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の誘導システム用の端末装置と誘導装置
JPH1131992A (ja) * 1997-07-08 1999-02-02 Kiyuuhoku Electron:Kk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1344688A (ja) * 2000-05-31 2001-12-14 Isamu Miya 視覚障害者援助システム
JP2002277276A (ja) * 2001-03-21 2002-09-25 Toshiba Corp ガイドシステム
JP2002303532A (ja) * 2001-04-05 2002-10-18 Hitachi Ltd 視覚障害者の行動支援装置
JP2003310677A (ja) * 2002-04-22 2003-11-05 Nippon Signal Co Ltd:The 視覚障害者向け誘導装置及び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781B1 (ko) * 1993-02-16 1996-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 시스템
JPH07250863A (ja) * 1994-01-28 1995-10-03 Alps Electric Co Ltd 無線案内装置
JPH10263005A (ja) * 1997-03-24 1998-10-06 Ikeno Tsuken Kk 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の誘導システム用の端末装置と誘導装置
JPH1131992A (ja) * 1997-07-08 1999-02-02 Kiyuuhoku Electron:Kk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1344688A (ja) * 2000-05-31 2001-12-14 Isamu Miya 視覚障害者援助システム
JP2002277276A (ja) * 2001-03-21 2002-09-25 Toshiba Corp ガイドシステム
JP2002303532A (ja) * 2001-04-05 2002-10-18 Hitachi Ltd 視覚障害者の行動支援装置
JP2003310677A (ja) * 2002-04-22 2003-11-05 Nippon Signal Co Ltd:The 視覚障害者向け誘導装置及び誘導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67B1 (ko) * 2018-01-24 2018-07-31 우영정보통신주식회사 위치 정보 제공용 비상 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629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8699A (en) Identifier/locator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US20090032590A1 (en) Location, orientation, product and color ident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RU2503436C1 (ru) Способ ориентации, навиг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людей с нарушением зрительных функций и система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73534C2 (ru) Способ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инвалидов о прибывающих на остановку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ах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инвалидов при посадке в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3091794A (ja) 視覚障害者用誘導補助システム
RU120000U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риентации, навиг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людей с нарушением зрительных функций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KR100528629B1 (ko) 시각장애인용 안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30930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4227976B2 (ja) 案内装置
JP2001190589A (ja) 情報誘導案内システム
KR2018005110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72020A (ko) 시각장애인 전용 횡단보도 음성 안내장치
KR200274421Y1 (ko) 장애인 및 일반인 겸용 보행신호등 제어장치
JPH08190688A (ja) 歩行者案内装置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JP3995425B2 (ja) 短距離無線を応用した交通信号システム、これで用いるユーザ端末、および横断歩道の信号誘導方法
KR20070120739A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JP2023105914A (ja) Fmラジオ放送帯微弱電波送信機能を備えた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KR200193111Y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및 음향 신호 요청 송신장치
JPH07334076A (ja) 視覚障害者用の識別装置
JP3722705B2 (ja) 案内装置
JPH05168665A (ja) 視覚障害者誘導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補助杖
JPH05416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