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627B1 -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627B1
KR100526627B1 KR10-2005-0036682A KR20050036682A KR100526627B1 KR 100526627 B1 KR100526627 B1 KR 100526627B1 KR 20050036682 A KR20050036682 A KR 20050036682A KR 100526627 B1 KR100526627 B1 KR 10052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oil
filter system
pressure
oi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569A (ko
Inventor
궝영준
Original Assignee
유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산업(주) filed Critical 유원산업(주)
Priority to KR10-2005-003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6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유입.배출덕트 내벽면에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의 차압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메인MPU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실행 및 종료함으로서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일필터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상,하부측에 오일의 배출덕트와 유입덕트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하부측 격판에 의하여 필터엘레먼트가 그 내주연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 중앙부에 상기 필터엘레먼트를 역세척하기 위한 유압식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오일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연산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에 의해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을 위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MPU와, 상기 메인MPU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실행시간, 알람동작시간, 공압액츄에이터의 실린더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5타이머, 차압대역, 센서종류, 필터종류를 설정하는 제1딥스위치로 이루어져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 조건을 설정하는 초기설정부와, 상기 메인MPU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을 인위적으로 강제 실시하는 수동모드버튼 및 강제로 정지시키는 리셋버튼으로 이루어진 버튼조작부와, 상기 메인MPU의 또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펌프 구동시 온상태로 접점되는 펌프구동스위치, 상기 오일필터 시스템의 하우징 내벽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두개의 차압접점이 연동되어 온상태로 접점되는 차압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유입.배출덕트 내벽면에 설치되어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로 이루어지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메인MPU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필터 시스템 내부의 압력레벨과 역세척 진행상태, 선택된 센서종류, 전원 공급상태를 발광다이오드 점등으로 표시하는 램프표시부와, 차압 값 및 역세척회수를 수치로 나타내는 수치표시부로 이루어져 시스템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MPU의 다른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종 출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보드와, 아날로그보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신호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입력신호에 의해 부저와 공압액츄에이터 및 개폐밸브를 구동하고 세척회수, 전압.전류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메인MPU의 일측단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메인MPU의 이상 발생시 보조기능을 갖는 서브MPU와, 상기 메인MPU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진단 및 메인MPU에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회로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Automatic control device of oil filter system}
본 발명은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유입.배출덕트 내벽면에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의 차압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메인MPU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실행 및 종료함으로서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일필터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한편, 차압테이블 설정에 의해 각 차압 동작점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수행시간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차압 값을 디지털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필터엘레먼트의 종류 및 오염정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필터 시스템이란 선박의 엔진의 윤활유, 각종 기계설비에 공급되는 윤활유 및 냉각유, 가공유 등을 공급하기 전에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일필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1)가 설치된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오일필터 시스템(100)은 하우징(110)의 상,하부측에 오일의 배출덕트(112)와 유입덕트(111)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하부측 격판(113)에 의하여 필터엘레먼트(114)가 그 내주연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공간 및 오일의 유입공간이 되는 하부공간으로 각각 분리되며, 상기 격판(113)에는 각각의 필터엘레먼트(114) 내부로 오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11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에는 회전축(116)이 해당 공간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공간에는 상기 회전축(116)과 함께 연동 회전하는 축동엘보관(117)이 지지대(117b)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데, 상기 축동엘보관(117)의 상단부에는 격판(113)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축동엘보관(117)과 함께 격판(113)의 외주연부를 따라 회전하는 커버판(117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판(117a)은 유입덕트(111)를 통하여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이 필터엘레먼트(114)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1개 내지 2개의 유입공(115)을 커버함과 동시에 해당 필터엘레먼트(114)의 내부공간을 축동엘보관(117)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축동엘보관(117)으로부터 지지대(117b)를 거쳐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118)에는 공압액츄에이터(119)에 의하여 그 개폐가 조정되는 볼밸브(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는 하우징(110)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회전축(20)이 전동기구(32)(傳動機具; 동력전달기구) 및 수동레버(33)에 의하여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회전축(116)과 연결 설치되며, 그 양측에는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덕트(111) 및 배출관(118)으로부터 개폐밸브(122)(124)를 구비한 상태로 연장되는 유입라인(121) 및 배출라인(123)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데, 상기 배출관(118)과 배출라인(123)의 연결지점은 볼밸브(120) 이전에 해당하는 위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1)의 회전축(20)과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회전축(116)을 연결하는 상기 전동기구(32)는 액츄에이터(1)의 회전축(20)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래칫과,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회전축(116)에 고정되어 상기 래칫이 맞물리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레버(33)는 액츄에이터(1)의 고장시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회전축(116)을 인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일필터 시스템(100)을 가동시키게 되면, 하우징(110)의 유입덕트(111)를 통하여 격판(113)의 하부공간으로 오일이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오일이 격판(113)에 형성된 유입공(115)을 거쳐 각각의 필터엘레먼트(114) 내부로 공급됨으로서,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엘레먼트(114)에 의하여 필터링(Filtering) 되며, 이러한 필터링 과정을 거쳐 정화된 오일은 하우징(110)의 배출덕트(112)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필터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게 되면, 필터엘레먼트(114)의 내측벽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부착되어 필터엘레먼트(114)에 의한 오일의 정화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시스템에 부하가 걸리게 됨으로서, 필터엘레먼트(114)에 의하여 일정 시간동안 오일을 정화시킨 다음에는 필터엘레먼트(114)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Back washing)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오일필터 시스템(100)을 통한 오일의 공급 및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유입라인(121)과 배출라인(123)에 설치된 개폐밸브(122)(124) 및 배출관(118)에 설치된 볼밸브(120)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상기 개폐밸브(122)(124)의 개방과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를 통한 오일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액츄에이터(1)가 작동하게 된다.
즉,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유입라인(121)과 배출라인(123)을 통한 유압의 흐름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의 회전축(20)이 지속적인 양방향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데, 액츄에이터(1)의 회전축(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전동기구(32)의 래칫이 구동기어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치를 탄력적으로 넘어가게 되고, 액츄에이터(1)의 회전축(2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전동기구(32)의 래칫이 구동기어의 기어치에 걸려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회전축(116)을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에 설치된 회전축(20)의 양방향 회전운동이 상기 전동기구(32)를 거쳐 오일필터 시스템(100)에 설치된 회전축(116)의 일방향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110)의 하부공간에서 회전축(116)과 함께 연동 회전하도록 설치된 축동엘보관(117)이 지지대(117b)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축동엘보관(117)의 커버판(117a)이 격판(113)의 외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면서 격판(113)에 형성된 필터엘레먼트(114)의 유입공(115)을 1개 내지 2개씩 순차적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동엘보관(117)의 커버판(117a)에 의하여 그 내부로의 오일 유입이 차단되는 1개 내지 2개의 필터엘레먼트(114)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작용하는 유압이 필터링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필터엘레먼트(114)를 외부에서 가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필터엘레먼트(114)의 내측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탈락됨과 동시에 축동엘보관(117) 및 볼밸브(120)를 구비하는 배출관(1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터엘레먼트(114)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작업(Back washing)이 모든 필터엘레먼트(114)를 걸쳐 1회 내지 수 회 정도 수행된 다음에는, 유입라인(121)과 배출라인(123)에 설치된 개폐밸브(122)(124) 및 배출관(118)에 설치된 볼밸브(120)를 폐쇄시키게 되는 데, 상기 개폐밸브(122)(124)의 폐쇄와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의 작동 또한 자동적으로 중지됨으로서 오일의 정상적인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일필터 시스템(100)에 액츄에이터(1)가 설치되어 필터엘레먼트(114)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오일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유입.배출덕트 내벽면에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의 차압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메인MPU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실행 및 종료함으로서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일필터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한편, 차압테이블 설정에 의해 각 차압 동작점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수행시간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차압 값을 디지털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필터엘레먼트의 종류 및 오염정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를 도 2 및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일필터 시스템(100)을 선박에 적용하여 자동제어장치(200), 오일필터 시스템(100), 엔진(400), 엔진제어부(500)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장치(200)는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의 압력(또는 압력차)을 검출하여 그 압력값을 외부적으로 보여줌은 물론,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역세척을 실행시킬 뿐만 아니라, 한계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이 발생 할 경우에는 엔진제어부(300)로 경고사인을 보내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장치(200)를 도 3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200)의 블록도로서,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연산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에 의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을 위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MPU(210)와, 상기 메인MPU(210)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실행시간, 알람동작시간, 공압액츄에이터의 실린더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5), 차압대역, 센서종류, 필터종류를 설정하는 제1딥스위치(256)로 이루어져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조건을 설정하는 초기설정부(250)와, 상기 메인MPU(210)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을 인위적으로 강제 실시하는 수동모드버튼(231) 및 강제로 정지시키는 리셋버튼(232)으로 이루어진 버튼조작부(230)와, 상기 메인MPU(210)의 또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펌프 구동시 온상태로 접점되는 펌프구동스위치(241), 상기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하우징(110) 내벽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두개의 차압접점(243a) (243b)이 연동되어 온상태로 접점되는 차압스위치(242),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배출덕트(111)(112) 내벽면에 설치되어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 이루어지는 신호입력부(240)와, 상기 메인MPU(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의 압력레벨과 역세척 진행상태, 선택된 센서종류, 전원 공급상태를 발광다이오드 점등으로 표시하는 램프표시부(280b)와, 차압 값 및 역세척회수를 수치로 나타내는 수치표시부(280b)로 이루어져 시스템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0)와, 상기 메인MPU(210)의 다른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종 출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보드(260)와, 아날로그보드(2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신호입력부(24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입력신호에 의해 부저(BZ)와 공압액츄에이터(119) 및 개폐밸브(122)(124)를 구동하고 세척회수, 전압.전류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270)와, 상기 메인MPU(210)의 일측단에 인터페이스(31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메인MPU(210)의 이상 발생시 보조기능을 갖는 서브MPU(300)와, 상기 메인MPU(21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진단 및 메인MPU(210)에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회로(2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조작부(230)는 수동모드버튼(231)과 리셋버튼(232)으로 구성되는데, 수동모드버튼(231) 기능은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필터엘레먼트(114)를 강제로 역세척을 강행 시키려고 할 경우에 사용되며, 이러한 강제 역세척은 동작 시간의 설정에 따라서 그 설정시간에 만 시행하고, 서브MPU(300)에서 역세척을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 메인보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서브보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때 사용되며, 리셋버튼(232)은 역세척 동작 및 알람기능을 강제로 종료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신호입력부(240)는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는 미도시된 오일펌프 구동시 온상태로 접점되는 펌프구동스위치(241)와, 상기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하우징(110) 내벽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두개의 차압접점(243a)(243b)이 연동되어 온상태로 접점되는 차압스위치(242)와,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배출덕트(111)(112) 내벽면에 설치되어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2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종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제1, 제2압력전달(Pressure Transmitter)센서(244)(245)와 차압스위치(D.P.G.S or D.P.S)(242)를 혼재함으로써 기능의 다양화를 추구하고 있다.
즉, 상기 2개의 압력전달센서(244)(245)의 역할은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입.출구측 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며, 0~20kg/㎠ 범위의 압력신호를 메인MPU(210)에서 디지털 수치화시켜 입.출구측의 압력차를 고속 연산 처리하고, 이 연산된 압력차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할 때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실행과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차압스위치(242)의 역할은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 압력이 일정레벨에 도달되면 두개의 차압접점(243a)(243b)이 온상태로 접점되며, 이 차압접점(243a)(243b) 신호에 의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실행 신호로 사용 될 뿐만 아니라, 알람구동부(271)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상의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 및 차압스위치(242)는 제1딥스위치(256)의 조작에 의해 양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초기설정부(250)는 각종 동작시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5)와, 디스플레이부(280)인 차압대역표시부(285)의 제6 내지 제10발광다이오드(LD1~LD10)를 점등시키기 위한 차압대의 압력 값을 조정하는 스위치인 제1딥스위치(2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타이머(251)는 역세척 동작을 위한 설정된 차압 값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때 역세척 동작을 수행시키게 하는 것으로 1~9초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제2타이머(252)는 역세척 동작 조건에 의한 역세척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정지하고 다시 동작 조건을 검색하며 설정시간은 1~9분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제3타이머(253)는 역세척 동작 조건이 없이도 설정된 시간에 의해 강제 역세척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1~9시간까지 설정이 가능하며, 제4타이머(254)는 알람 동작을 위한 설정된 차압 값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될 때 알람릴레이를 동작시키는 것이고, 제5타이머(256)는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상단부에 있는 실린더 드라이브의 동작 주기를 1~9초까지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딥스위치(256)는 제1 내지 제8포트(D1~D8)가 있으며, 제1 내지 제3포트(D1~D3)는 차압대역표시부(285)의 제6 내지 제10발광다이오드(LD1~LD10)를 점등시키기 위한 차압대의 압력 값을 조정하는 스위치로서 아래 표 1의 설정에 따라서 그 압력 값을 절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 1) 제1딥스위치(256)인 제1 내지 제3포트(D1~D3)의 접점에 따른 차압대역 설정표.
제1딥스위치(256)포트 차압대역표시부(285)의 발광다이오드(LD6~LD10)
LD6 LD7 LD8 LD9 LD10
D1 D2 D3 역세척 동작 알람동작
오프 오프 오프 0.2kgf/㎠ 0.4kgf/㎠ 0.5kgf/㎠ 0.7kgf/㎠
오프 오프 0.2kgf/㎠ 0.4kgf/㎠ 0.5kgf/㎠ 0.8kgf/㎠
오프 오프 0.2kgf/㎠ 0.4kgf/㎠ 0.6kgf/㎠ 0.8kgf/㎠
오프 0.2kgf/㎠ 0.4kgf/㎠ 0.7kgf/㎠ 0.9kgf/㎠
오프 오프 0.3kgf/㎠ 0.5kgf/㎠ 0.7kgf/㎠ 0.9kgf/㎠
상기 제1딥스위치(256)의 제4포트(D4)는 차압스위치(242)의 사용 유·무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오프 상태일때는 접속되어도 기능하지 않고, 온 상태일때 작동하게 되고, 제5포트(D5)는 필터엘레먼트(114)의 종류를 구분하여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6포트(D6)는 역세척 시간과 역세척 간격 시간의 설정시간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변환내용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제1딥스위치(256)인 제6포트(D6)의 접점에 따른 역세척 시간 설정표.
시 간 온(on) 오프(off) 비 율
역세척 시간 1초 1분 1/60 배
역세척 간격 시간 15초 1시간 1/240배
또한, 제1딥스위치(256)의 제7포트(D7)는 통신회로(290)와 외부 컴퓨터를 연결하여 시스템을 진단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진단시에는 온으로 설정하고 아닐 경우에는 오프로 설정해야 하며, 제8포트(D8)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오프상태로 두어야 한다.
상기 신호출력부(270)는 아날로그보드(26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차압스위치(243) 접점으로 인해 알람 간격 시간이 연속 감지될 경우 알람장치(BZ)를 구동하는 알람릴레이(271)와, 역세척 동작 1회 마다 AC 220V를 역세척 회수표시부(282)에 인가하는 카운터구동부(272)와, 역세척시 조건시 220VAC 전원전압을 출력하여 액츄에이터(1) 구동을 위한 개폐밸브(122)(124)를 제어하는 무접점릴레이(273)와, 역세척에 의해 오염된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볼밸브(120)를 개폐시키는 공압액츄에이터(119)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구동부(274)와,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의 차압(0~20kgf/㎠) 값을 압력수치표시부(21)에 표현하기 위해 압력차에 비례하는 전류(4~20mA)를 출력하는 전류출력부(275)와,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의 차압(0~20kgf/㎠) 값을 압력수치표시부(21)에 표현하기 위해 압력차에 비례하는 전압(0~10V)를 출력하는 전압출력부(276)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80)는 각종 동작상태를 발광다이오드 점등으로 표시하는 램프표시부(280a)와, 차압 및 역세척회수를 수치로 나타내는 수치표시부(280b)로 구성된다.
상기 램프표시부(280a)는 메인MPU(210) 및 서브MPU(300)에 전원공급시 점등되는 파워표시부(283)와, 역세척이 진행되는 요인에 따라 점등되는 역세척 상태표시부(284)와, 오일필터 시스템(100)내 압력 값을 각각 다르게 설정해 설정 압력값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램프가 점등되는 차압대역표시부(285)와, 압력신호가 수신되는 센서의 종류를 표시하고 오일필터 시스템(100)에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의 구동상태를 알려주는 센서구동표시부(286)로 구성된다.
상기 수치표시부(280b)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의 차압 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차압표시부(281)와, 현재까지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역세척이 진행된 횟수를 표시하고 수동 숫자 조정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역세척 회수표시부(282)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워표시부(283)는 제1, 제2발광다이오드(LD1)(LD2)로 이루어지며, 메인MPU(210)에 전원공급시 제1발광다이오드(LD1)가 점등되며, 서브MPU(300)에 전원공급시 제2발광다이오드(LD2)가 점등되어 메인MPU(210) 및 서브MPU(300)가 정상 동작중인 상태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역세척 상태표시부(284)는 제3 내지 제5발광다이오드(LD3~LD5)로 이루어지며, 제3발광다이오드(LD3)는 오일필터 시스템(100)에서 역세척이 진행될때 점등되고, 제4발광다이오드(LD4)는 차압스위치에서 입력받은 차압 값에 의한 역세척 작동시 점등되며, 제5발광다이오드(LD5)는 역세척 주기 시간 설정 값에 의한 역세척 작동시 점등되어 역세척 진행상태 및 진행요인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압대역표시부(285)는 제6 내지 제10발광다이오드(LD6~LD10)로 이루어지며, 제6발광다이오드(LD6)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의 압력차가 설정될 경우 점등되고, 제7발광다이오드(LD7)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 압력이 0.2kgf/㎠~ 0.3kgf/㎠로 설정되어 그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 점등되고, 제8발광다이오드(LD8)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 압력이 0.4kgf/㎠~0.5kgf/㎠로 설정되어 그 이상일 경우에 점등된다.
상기 제9발광다이오드(LD9)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 압력이 0.5kgf/㎠~ 0.7kgf/㎠로 설정되어 그 이상의 압력차가 발생할 경우에 점등되고, 제10발광다이오드(LD10)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 압력이 0.7kgf/㎠~0.9kgf/㎠의 압력차가 발생할 경우 점등되어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 압력레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압력차의 수치는 상기 제1딥스위치(256)를 이용하여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센서구동표시부(286)의 제11, 제12발광다이오드(LD11)(LD12)는 차압스위치(242)의 동작에 의해 차압접점(243a)(243b)이 온상태로 접점시 점등되며, 제13발광다이오드(LD13)는 오일필터 시스템(100)내부에 오일을 공급하는 미도시된 오일펌프 구동시 점등된다.
상기 통신회로(290)는 외부 컴퓨터와 본 발명의 자동제어장치(200)를 서로 연결하는 포트로서 현재 자동제어장치(200)의 내부 기기 상태를 진단 및 내부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외부 컴퓨터를 통해 알람기능, 역세척 카운터, 역세척 진행여부, 오일공급용 실린더 드라이브의 진행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브MPU(300)는 메인MPU(210)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메인MPU(210)가 하는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작동의 연속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서브MPU(300)에 연결된 제2딥스위치(320)의 제9 내지 제11포트(D9~D11)설정에 의해 시스템을 변경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9포트(D9)는 필터엘레먼트(114)의 종류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온일때 엘.오(L.O)필터가 선택되고 오프일때는 에프.오(F.O)필터가 선택되며, 제10포트(D10)는 역세척 동작조건에 의한 역세척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정지하고 다시 동작 조건을 검색하게 되는데, 온일 경우에는 2분으로 설정되고, 오프일 경우는 4분으로 설정되며, 제11포트(D11)는 역세척 동작 조건이 없이도 설정된 시간에 의해 강제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시간 주기를 결정하는 스위치로 온상태일때는 4시간으로 설정되고 오프일때는 6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서브MPU(300)와 메인MPU(210)는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서브MPU (300)는 메인MPU(210)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양자의 MPU는 몇몇 차이점을 내재하고 있는데, 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서브MPU(300)는 역세척 동작이 수동모드버튼(231)의 조작에 의해서 만 동작하게 되고, 차압스위치(242) 및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에 의한 동작은 불가능하며, 알람 출력기능이 없으며, 디스플레이부(280)의 파워표시부(283)와 차압표시부(281) 만 동작시키고, 상기 메인MPU(210)에서는 전원 투입시 디스플레이부(280)의 전체 램프가 약 1초 간격으로 2회 점멸 후에 정상 동작을 하고 제1딥스위치(256)의 제1 내지 제3포트(D1~D3)에 의한 차압 테이블 선택이 잘못되었을 경우 차압표시부(281)에 에러표시가 나타나는데 서브MPU(300)에는 이런 기능 없이 바로 동작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초기 동작조건의 설정과정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압력전달센서 선택에 따른 차압에 의한 역세척 실행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차압스위치선택 및 동작주기 시간 설정에 따른에 따른 역세척 실행시의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시 각종 구동 시간 정보를 초기설정부(250)의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5)로서 설정하며,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 및 유출구의 차압 설정에 의한 역세척 실행과, 인위적인 시간 설정에 의한 역세척 실행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즉,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 및 유출구의 차압에 의한 역세척을 실행할 경우 제1타이머(251)를 조작하여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동작을 위한 설정 차압 값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때 역세척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해 차압 값 유지시간을 1~9초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한편, 인위적인 시간 설정에 따라 필터엘레먼트(114)를 역세척 실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3타이머(253)를 조작하여 설정된 시간에 의해 강제 역세척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1~9시간 범위내에서 시간 주기를 설정한다.
이어서 제1타이머(251) 시간 설정으로 차압에 의한 역세척을 실행하거나, 또는 제3타이머(253) 시간 주기 설정에 의한 강제 역세척 동작 실행 조건을 부여한 다음, 제2타이머(252)를 조작하여 실제 필터엘레먼트(114) 역세척 실행 시간을 1~9분 범위내에서 설정한다.
또한, 제4타이머(254)를 조작하여 알람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제5타이머(256)를 조작하여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상단부에 있는 공압액츄에이터(119)의 실린더 드라이브의 동작 주기를 1~9초 범위내에서 설정한다.
다음은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제1딥스위치(256)를 사용하여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 및 유출구의 차압 대역 및 차압스위치(242)의 사용 유.무, 필터엘레먼트(114)의 종류를 설정한다.
즉,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포트(D1~D3)의 접점을 조정하여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 및 유출구의 차압에 의해 역세척을 실행하도록 차압대역을 설정하고, 제4포트(D4)의 접점을 조정하여 차압스위치(242)의 사용 유.무를 설정하고, 제5포트(D5)의 접점을 조정하여 필터엘레먼트(114) 종류를 각각 설정한다.
이와 같이 초기설정부(250)의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5)와 제1딥스위치(256)를 조정하여 초기 구동 조건을 설정한 상태에서 도 5에 의해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유입 및 유출구의 차압 설정에 의한 역세척 실행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자동제어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시스템을 초기화(단계 701)시킨 다음, 초기설정부(250)에서 세팅된 정보를 읽어들여(단계 702)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 후 압력센서의 종류를 읽어(단계 703)들이는 초기설정 판독과정(L1)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초기설정 판독과정(L1)에서 압력센서가 압력전달(PT)센서로 설정됨이 판단(단계 704)되면 이 시점부터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압력전달센서(244)는 오일필터 시스템(100) 하우징(110)의 오일 유입부분의 압력을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2압력전달센서(244)는 하우징(110)의 오일 유출부분의 압력을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는 A/D변환기(220)를 경유함에 따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메인MPU(210)로전송된다.
상기 메인MPU(210)에서는 A/D변환기(220)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판독(단계 705)하여 차압 값을 연산(단계 706)하고, 이 연산된 차압 값을 디스플레이부(280)인 차압표시부(281)에 차압 값을 수치로 나타(단계 707)내는 차압연산과정(L2)을 수행한다.
상기 차압연산과정(L2)의 실행이 완료되면 연산된 차압 값이 제1딥스위치(256)의 제1 내지 제3포트(D1~D3) 접점에 의해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단계 708)하게 되며, 이 연산된 차압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초기설정부(250)의 제1타이머(251)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현재의 차압 값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단계 709)하는 역세척 실행조건 판독과정(L3)을 수행한다.
상기 역세척 실행조건 판독과정(L3)에서 연산된 일정한 차압 값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인 차압대역표시부(285)의 제6 내지 제10발광다이오드(LD6~LD10) 중에서 해당되는 어느 하나를 점등(단계 710)시켜 현재 차압 값의 정도를 표시(단계 710)함과 동시에 역세척 상태표시부(284)의 제3, 제4발광다이오드(L3)(L4)를 점등시켜 현재 차압에 의해 역세척이 진행중임을 알리는 한편, 아날로그보드(260)를 통해 알람구동부(271), 밸브구동부(273), 액츄에이터구동부(274)를 제어하여 부저(BZ)를 구동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1) 구동을 위한 개폐밸브(122)(124)를 개방 및 공압액츄에이터(119)를 구동하여 볼밸브(120)를 개방(단계 712)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1)가 구동되어 필터엘레먼트(114)를 역세척하게 되며(단계 713), 이 역세척 실행시간은 초기설정부(250)의 제2타이머(252)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제1역세척 실행과정(L4)을 수행한다.
상기 제1역세척 실행과정(L4)을 진행하면서 메인MPU(210)에서는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수하게 되며, 이 계수된 시간이 제2타이머(252)에서 설정된 시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714)되면 부저(BZ)를 오프시키고 개폐밸브(122)(124)와 볼밸브(120)를 차단(단계 715)함과 동시에 카운터구동부(272)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역세척 회수표시부(282)에 카운터를 증가(단계 716)시킴으로써 필터엘레먼트(114)를 역세척하는 제1역세척 중단과정(L5)을 실행하여 일련의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차압스위치선택 및 동작주기 시간 설정에 따른에 따른 역세척 실행시의 동작흐름도로서, 상기 초기설정 판독과정(L1)에서 제1딥스위치(256)의 설정에 의해 차압스위치(242)가 선택됨이 판단(단계 717)되면 차압접점(243a)(243b)의 온,오프상태를 읽어들이게(단계 718)된다.
이때,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에 설치된 필터엘레먼트(114)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필터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면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이 차압스위치(242)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차압접점(243a)(243b)이 온(on)상태로 접속되며, 메인MPU(210)는 상기 차압접점(243a)(243b)의 온,오프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단(단계 719)하게 되는 차압스위치 판독과정(L6)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차압스위치 판독과정(L6)에서 차압접점(243a)(243b)이 온상태로 접속됨이 판단되면 센서구동표시부(286)의 제11, 제12발광다이오드(LD11)(LD12)를 점등(단계 720)시켜 차압스위치(242)에 의한 역세척이 실행중임을 알림고, 아날로그보드(260)를 통해 알람구동부(271), 밸브구동부(273), 액츄에이터구동부(274)를 제어하여 부저(BZ)를 구동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1) 구동을 위한 개폐밸브(122)(124)를 개방 및 공압액츄에이터(119)를 구동하여 볼밸브(120)를 개방(단계 721)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1)가 구동되어 필터엘레먼트(114)를 역세척하게 되며(단계 722), 이 역세척 실행시간은 초기설정부(250)의 제2타이머(252)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제2역세척 실행과정(L7)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역세척 실행과정(L7)을 진행하면서 메인MPU(210)에서는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수하게 되며, 이 계수된 시간이 제2타이머(252)에서 설정된 시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723)되면 부저(BZ)를 오프시키고 개폐밸브(122)(124)와 볼밸브(120)를 차단(단계 724)함과 동시에 카운터구동부(272)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역세척 회수표시부(282)에 카운터를 증가(단계 725)시키는 한편, 차압접점(243a)(243b)이 오프상태로 전환됨이 판단(단계 726)될 경우 일련의 역세척 과정을 중단하는 제2역세척 중단과정(L8)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2역세척 중단과정(L8)에서 차압접점(243a)(243b)이 온상태로 계속 유지될 경우 제3타이머(253)에 설정된 역세척 주기 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단계 727)하게 되며, 역세척 주기 시간이 완료될 경우 역세척 상태표시부(284)의 제5발광다이오드(LD5)를 점등시켜 역세척 주기 시간에 의한 세척 상태임을 알림과 동시에 이어서 상기 제2역세척 실행과정(L7)과 제2역세척 중단과정(L8)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시간주기 판독과정(L9)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을 실행하는 단계로서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의 차압 값에 의한 역세척과, 차압스위치(242)의 접점의한 역세척과, 설정 주기 시간에 의한 강제 역세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의 모든 선택은 초기설정부(250)의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6)와 제1딥스위치(256)의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유입.배출덕트 내벽면에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제2압력전달센서의 차압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메인MPU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필터엘레먼트의 역세척실행 및 종료함으로서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일필터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압테이블 설정에 의해 각 차압 동작점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수행시간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차압 값을 디지털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필터엘레먼트의 종류 및 오염정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일필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와 오일필터 시스템 및 주변장치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4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초기 동작조건의 설정과정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압력전달센서 선택에 따른 차압에 의한 역세척 실행시의 동작흐름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 차압스위치선택 및 동작주기 시간 설정에 따른에 따른 역세척 실행시의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자동제어장치 210 : 메인MPU 220 : A/D변환기
230 : 버튼조작부 231 : 수동모드버튼 232 : 리셋버튼
233 : 펌프구동스위치 241 : 펌프구동스위치 242 : 차압스위치
243a, 243b : 차압접점 244 : 제1압력전달센서 245 : 제2압력전달센서
250 : 초기설정부 251~ 255 : 제1 내지 제5타이머
256 : 제1딥스위치 260 : 아날로그보드 271 : 알람구동부
272 : 카운터구동부 273 : 밸브구동부 274 : 액츄에이터구동부
275 : 전류출력부 276 : 전압출력부 280 : 디스플레이부
280a : 램프표시부 280b : 수치표시부 281 : 차압표시부
282 : 역세척 회수표시부 283 : 파워표시부 284 : 역세척 상태표시부
285 : 차압대역표시부 286 : 센서구동표시부 290 : 통신회로
300 : 서브MPU 310 : 인터페이스 320 : 제2딥스위치

Claims (1)

  1. (정정) 하우징(110)의 상,하부측에 오일의 배출덕트(112)와 유입덕트(111)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하부측 격판(113)에 의하여 필터엘레먼트(114)가 그 내주연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 중앙부에 상기 필터엘레먼트(114)를 역세척하기 위한 유압식 액츄에이터(1)가 설치되고, 개폐밸브(122)(124) 및 공압액츄에이터(119)에 의해 개폐가 조정되는 볼밸브(120)로 이루어진 오일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연산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에 의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을 위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MPU(210)와,
    상기 메인MPU(210)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차압 유지시간, 역세척 동작 주기시간, 역세척 실행시간, 알람동작시간, 공압액츄에이터의 실린더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5타이머(251~255), 차압대역, 센서종류, 필터종류를 설정하는 제1딥스위치(256)로 이루어져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 조건을 설정하는 초기설정부(250)와,
    상기 메인MPU(210)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필터엘레먼트(114)의 역세척을 인위적으로 강제 실시하는 수동모드버튼(231) 및 강제로 정지시키는 리셋버튼(232)으로 이루어진 버튼조작부(230)와,
    상기 메인MPU(210)의 또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펌프 구동시 온상태로 접점되는 펌프구동스위치(241), 상기 오일필터 시스템(100)의 하우징(110) 내벽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두개의 차압접점(243a)(243b)이 연동되어 온상태로 접점되는 차압스위치(242),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배출덕트(111)(112) 내벽면에 설치되어 오일의 유입 및 유출압력을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압력전달센서(244)(245)로 이루어지는 신호입력부(240)와,
    상기 메인MPU(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오일필터 시스템(100) 내부의 압력레벨과 역세척 진행상태, 선택된 센서종류, 전원 공급상태를 발광다이오드 점등으로 표시하는 램프표시부(280a)와, 차압 값 및 역세척회수를 수치로 나타내는 수치표시부(280b)로 이루어져 시스템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0)와,
    상기 메인MPU(210)의 다른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종 출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보드(260)와,
    아날로그보드(2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신호입력부(24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입력신호에 의해 부저(BZ)와 공압액츄에이터(119) 및 개폐밸브(122)(124)를 구동하고 세척회수, 전압.전류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270)와,
    상기 메인MPU(210)의 일측단에 인터페이스(31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메인MPU(210)의 이상 발생시 보조기능을 갖는 서브MPU(300)와,
    상기 메인MPU(21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진단 및 메인MPU(210)에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회로(2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KR10-2005-0036682A 2005-05-02 2005-05-02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KR10052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682A KR100526627B1 (ko) 2005-05-02 2005-05-02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682A KR100526627B1 (ko) 2005-05-02 2005-05-02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569A KR20050048569A (ko) 2005-05-24
KR100526627B1 true KR100526627B1 (ko) 2005-11-08

Family

ID=3724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682A KR100526627B1 (ko) 2005-05-02 2005-05-02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6B1 (ko) 2007-02-08 2008-08-26 선원밸브 주식회사 취수관용 차압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영점 조정 방법
KR101047423B1 (ko) * 2010-06-24 2011-07-07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냉난방 시스템의 차압비례제어방법
KR101054236B1 (ko) 2010-05-19 2011-08-08 박병근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97B1 (ko) * 2011-08-10 2013-03-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주증기 대기방출밸브 구동부 유압진단장치
CN114850582B (zh) * 2022-05-16 2023-12-05 中石化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沙市钢管分公司 一种用于高频焊管内毛刺打断装置及诊断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6B1 (ko) 2007-02-08 2008-08-26 선원밸브 주식회사 취수관용 차압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영점 조정 방법
KR101054236B1 (ko) 2010-05-19 2011-08-08 박병근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KR101047423B1 (ko) * 2010-06-24 2011-07-07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냉난방 시스템의 차압비례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569A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627B1 (ko) 오일필터 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US7617939B2 (en) Faucet mounted water filter
US20100308241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actuator in a pool or spa water line system
AU2002219561B8 (en) Water purifier
CN208975241U (zh) 一种过滤器、净饮机及智能马桶
US20040251743A1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devices in a vehicle
EP4170113A1 (en) Equipment for the automatic, integrated management of swimming pools
CN209590178U (zh) 减速机装配检测装置
AU2019220150B2 (en) Pressure sensor with integrated pump control
KR0175900B1 (ko) 정수기의 원수공급상태 감지장치
CN211283806U (zh) 一体式净水器
JP3590119B2 (ja) 浄水器
CN108619764A (zh) 一种过滤器、净饮机、智能马桶及智能马桶的控制方法
JP3483305B2 (ja) 自動水位制御装置
EP0653239B1 (en) Intelligent and all-bearing control circuit device of reserve osmosis drinking water machine
CN210974151U (zh) 具有网络控制功能的一体式智能纯净水机
CN114754160B (zh) 一种一体式智能阀门控制器
CN209155295U (zh) 一种自动报警过滤器
KR0172704B1 (ko) 수압변동에 따른 정수기 제어방법
KR0135331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스위치
JP2514232Y2 (ja) 浄水器
US9302920B1 (en) Integrated controller and method for a water filtration system
JPS6151709B2 (ko)
KR200209321Y1 (ko) 2 선식 수위조절기의 다단제어 및 교번제어 콘트롤러
KR100669652B1 (ko) Can 통신에 의한 휠 로더 제어기의 고장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