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361B1 -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361B1
KR100526361B1 KR10-2002-0047201A KR20020047201A KR100526361B1 KR 100526361 B1 KR100526361 B1 KR 100526361B1 KR 20020047201 A KR20020047201 A KR 20020047201A KR 100526361 B1 KR100526361 B1 KR 10052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predetermined
receiv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035A (ko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김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진 filed Critical 김호진
Priority to KR10-2002-004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3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신수단;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판독수단; 및 상기 수신수단에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거리판독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소지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eventing los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신용카드, 현금 등은 지갑 등에 넣어 항상 자신의 주머니에 보관하거나, 시계, 목걸이 등은 항상 자신의 몸에 차고 다니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자신의 주머니에 지갑이 있는지 없는지, 혹은 자신의 팔에 시계가 채워져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고 생활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요금을 지급하기 위해서 지갑이나 신용카드를 꺼낸 후 또는 세수 등을 하기 위해 시계를 풀러 놓은 후 깜박 잊고 지갑, 신용카드 등을 다시 집어넣지 않아 지갑, 신용카드 등을 분실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또한,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 소매치기 등을 당하는 경우에도 평소에 지갑 등에 신경을 덜 쓰기 때문에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물품의 소지자가 자신의 소지품에 대해 주의를 많이 기울이는 방법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있지 않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지품이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분실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지품이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신수단;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판독수단; 및 상기 수신수단에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거리판독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판독수단; 및 상기 수신수단에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거리판독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수단;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수신장치에 송출하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및 상기 전원수단의 전원레벨을 감지하여 소정레벨 이하인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레벨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용 송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서부터 수신된 경우 제1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소정의 시간 이상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의 송신장치(110)는 제1식별정보저장수단(111), 신호발생수단(112), 전원수단(113) 및 전원레벨감지수단(114)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신장치(120)는 수신수단(121),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 거리판독수단(123), 제어수단(124), 출력수단(125) 및 입력수단(126)을 포함하고 있다.
제1식별정보저장수단(111)에는 송신장치(110)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신호발생수단(112)은 제1식별정보저장수단(111)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수신장치(120)에 송신한다. 무선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반송파를 발생시키고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를 이용하여 FM(Frequency Modulation) 또는 AM(Amplitude Modulation)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를 발생시키는 간격에도 제한이 없다. 계속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전송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1초 간격, 2초 간격 등과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수단(113)은 신호발생수단(112)에서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수신장치(120)로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수단(113)은 일반적인 전지 형식이나 충전지 형식 모두 가능하다.
전원레벨감지수단(114)은 전원수단(113)의 전원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감지하여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고신호는 송신장치(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고, 수신장치(120)에 전송되어 수신장치(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다. 수신장치(120)에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제1식별정보저장수단(111)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전원레벨 경고신호가 어느 송신장치에서 전송이 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신장치(110)에 LED나 스피커 등을 설치하여 반짝이게 하거나 소리가 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고, 신호발생수단(112) 또는 자체적으로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수신장치(120)에 전송하여서 수신장치(120)를 통하여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송신장치(11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동전 모양, 집게 모양 등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가방이나 지갑 등에 집어넣을 수 있게 제작될 수도 있고, IC(Integrated Circuit)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또는 신용카드, 회원카드 자체가 본 발명의 송신장치(110)를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카드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또는 신용카드 등에 포함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ATM(Auto Teller Machine) 등에 충전기가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현금을 찾을 때마다 자동으로 충전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120)의 수신수단(121)은 송신장치(110)의 신호발생수단(112) 또는 전원레벨감지수단(114)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무선신호가 전원레벨에 대한 경고를 위한 신호인지 또는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인지 확인한다.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는 각 송신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어서, 하나의 수신장치(12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송신장치(110) 또는 송신장치가 구비된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거리판독수단(123)은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한 송신장치의 거리를 판독한다.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거리를 판독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어떤 특정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가지 예로 무선신호가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판독할 수 있다. 즉, 송신장치(110)에서 일정한 세기로 송출한 무선신호는 수신장치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강도가 약해질 것이므로 수신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그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이때 거리판독수단(123)은 수신수단(121)에서 복호화 과정에서 증폭된 신호가 아닌 수신된 신호 자체를 가지고 거리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 사이에 옷 등의 장애물이 있는지의 여부, 송신장치(110) 내의 전원이 충분한가 여부에 따라서 같은 거리에서 전송된 무선신호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므로 정확한 거리의 계산은 어려울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정확한 거리측정이 아니고 송신수단 또는 송신수단이 구비된 소지품이 소정 거리 이상 떨어졌을 경우 소지품 소지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므로 정확한 거리가 판독이 되지 않더라도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송신장치(110)가 소정 거리 이상 멀어졌다는 정도만 판독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무선신호의 세기만 가지고 송신장치(110)의 거리를 판독하더라도 충분하다.
제어수단(124)은 수신된 신호가 송신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이고, 전원레벨을 알리는 경고신호인 경우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전원의 보충 또는 교체가 필요한 송신장치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된 무선장치가 소정 거리 이상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한 것으로 판독되는 경우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송신장치(110)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 중 수신수단(121)을 통하여 수신되지 않은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송신장치(110)를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출력수단(125)은 제어수단(124)의 신호에 따라 전원의 보충 또는 교체가 필요한 송신장치(110)를 알리는 신호 및 수신장치(120)와 소정 거리 이상 멀리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판독되거나 수신자체가 되지 않는 송신장치(110)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되는 신호의 형태는 제한이 없다. 알람이나 벨소리와 같은 형태로 발생되는 것도 가능하며, 진동 또는 불빛의 반짝거림(램프기능)과 같은 형태로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출력을 통하여 발생되는 출력신호가 어떤 송신장치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지 및 어떠한 원인(거리 또는 전원)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지에 대해 나타낼 수도 있지만, 각 송신장치(10)에 따라 각각 다른 출력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신장치에 제1송신장치, 제2송신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1송신장치가 소정 거리 이상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a라는 벨소리를 발생시키고, 제1송신장치의 전원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다는 경고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b라는 벨소리를 발생시키고, 제2송신장치가 소정 거리 이상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라는 벨소리를 발생시키고, 제2송신장치의 전원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다는 경고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d라는 벨소리를 발생시키는 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입력수단(126)은 각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하기 위한 입력을 받고 출력수단의 출력 등을 설정한다.
식별정보를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하기 위해 입력을 받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일 예로 각 송신장치에 식별정보에 상당하는 일련번호를 기재하여 놓고 입력수단을 키입력장치의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송신장치에 기재된 일련번호를 보고 직접 키를 눌러 입력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소정의 설정을 하고 송신장치를 수신장치에 접촉시키거나 소정 거리 이내에 두면 수신장치가 자동으로 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 중 본 발명의 적용을 받을 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는 10개이지만 실제로 사용자는 현재 그 중 5개의 물품만 소지하고 있는 경우 나머지 5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을 받게 하면 사용자는 계속하여 자신의 소지품이 분실되었다는 신호를 받게 될 것이므로 미리 자신이 현재 소지하고 있는 물품에 구비되어 있는 송신장치(110)의 식별정보만 본 발명의 적용을 받게 설정하여 상기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다.
입력수단(12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적용을 받을 식별정보의 입력을 받으면 입력받은 사항은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어수단(124)에 저장이 될 수도 있다. 제어수단(124)은 입력받은 사항에 따라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할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120)는 수신장치(120) 자체의 기능만 하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지만,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일반인이 소지하는 무선단말기에 그 기능이 추가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1을 통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무선신호가 식별정보를 변조하여 발생한 신호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무선신호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신호뿐만 아니라 고유의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 때 각 송신장치(110)는 각 송신장치 고유의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각 수신장치(120)의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는 등록되어 있는 각 송신장치(110)의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다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기능은 도 1에서 설명된 부분과 대동소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수신장치(120)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먼저 분실을 방지할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입력수단(126)을 통하여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하여 등록하거나, 이미 식별정보가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 중 분실을 방지할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선택하여 등록한다(201).
수신수단(121)은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먼저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202, 203).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후속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시하고,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후속절차를 진행한다.
이 때에도 사용되는 무선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뿐만 아니라 고유의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신호도 될 수 있다. 수신수단(121)은 일정한 주파수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를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저장되어 있는 주파수신호와 비교하여 등록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인지를 파악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수신수단(121)은 먼저 전원레벨을 알리는 경고신호인가를 판단하여(204), 전원레벨을 알리는 경고신호인 경우 이를 제어수단(124)에 알리고, 제어수단(124)은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전원의 교체 또는 보충이 필요한 송신장치가 있음을 상기 송신장치를 특정하는 신호와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209).
수신된 무선신호가 전원레벨을 알리는 경고신호가 아닌 경우, 거리판독수단(123)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서 송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205) 소정 거리 이상에서부터 송신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역시 제어수단(124)에 이를 알리고, 제어수단(124)은 출력수단(125)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소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 송신장치(110)가 있음을 상기 송신장치를 특정하는 신호와 함께 알리게 된다.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제2식별정보저장수단(122)에 등록된 식별정보 중 수신되지 않은 식별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여(207), 수신되지 않은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송신장치를 특정하는 신호와 함께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208).
등록된 식별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은 송신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송신장치가 무선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한 정도의 거리 이상에 위치해 있는 경우이므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서 전원의 교체 또는 보충을 하게 하거나 분실된 소지품이 없는지를 찾아보게 하여 빠른 시간 안에 사용자가 자신의 소지품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제2실시예의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과 같으며 다만 송신장치(310)에 전원수단 대신에 전원발생수단(313)이 있고, 수신장치(320)에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327)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송신장치(310)에 별도의 전원이 없고 수신장치(320)의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327)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을 발생시켜 이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킨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현재 RF 카드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원레벨감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기본적으로 신호발생수단(312)을 통하여 매번 신호를 발생할 때마다 수신장치(320)의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327)으로부터 전원공급무선신호를 받아 전원을 발생하여 무선신호를 발생하므로 별도의 전원레벨을 판단할 필요가 없고, 또한 송신장치(310)와 수신장치(320)의 거리가 멀어서 전원발생수단(313)에서 수신하는 전원공급무선신호의 강도가 약해서 전원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발생수단(312)에서 발생하는 무선신호의 세기도 약해질 것이어서 수신장치(320)의 거리판독수단(323)에 의해서 송신장치(310)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음이 감지될 것이므로 굳이 전원레벨감지수단이 있지 않아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아무 지장이 없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식별번호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고유의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무선신호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함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수신장치(320)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흐름도와 거의 동일하지만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전원공급무선신호를 각 송신장치(310)에 전송하여 각 송신장치가 수신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무선신호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며, 수신된 무선신호가 전원레벨을 알리는 경고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수신장치(320)에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각 송신장치(310)에 전송하고, 바로 전송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발생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시간에 송신되는 모든 식별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알기 위해 소정 시간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에도 차이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신장치(110, 310)는 신용카드(501), 신분증(502), 각종 회원권(503), 가방 및 개인 휴대품(504), 어린이 목걸이(505) 등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신장치(120, 320)는 핸드폰, PDA(510) 등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어 각종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소지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능한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낸 개략도

Claims (26)

  1.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신수단;
    복수개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식별정보저장수단;
    상기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식별정보 중 분실방지에 사용될 무선신호송신수단에서 송출하는 식별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판독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거리판독수단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2.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방지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식별정보저장수단;
    상기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식별정보 중 분실방지에 사용될 송신장치에서 송출하는 식별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판독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거리판독수단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전원공급무선신호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는 소정의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시스템은
    상기 제어수단의 경고 신호에 따라 어떤 식별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소정거리 이상에서 수신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은
    상기 전원수단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가 되었을 경우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레벨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수단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 간격마다 한 번씩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
  14. 삭제
  15.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복수개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소정의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방지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수단;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수신장치에 송출하는 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발생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시스템용 송신장치.
  16.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신장치가 복수개의 식별정보를 저장받는 단계;
    (b)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저장된 복수개의 식별정보 중 분실방지에 사용될 식별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발생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단계;
    (e)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신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방법은
    (h)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의 레벨을 감지하여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전원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i)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전원레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충전 또는 전원의 교체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3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
  20. 삭제
  21.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 또는 상기 송신장치가 구비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신장치가 복수개의 식별정보를 저장받는 단계;
    (b)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저장된 복수개의 식별정보 중 분실방지에 사용될 식별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수신장치가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신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경고신호 출력시에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식별정보에 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경고신호 출력시에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은 무선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식별정보에 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방법은
    (g)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소정의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전원레벨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h)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전원레벨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충전 또는 전원의 교체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3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방법.
  25. 삭제
  26. 제15항, 제16항, 제19항, 제21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47201A 2002-08-09 2002-08-09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01A KR100526361B1 (ko) 2002-08-09 2002-08-09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01A KR100526361B1 (ko) 2002-08-09 2002-08-09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35A KR20040014035A (ko) 2004-02-14
KR100526361B1 true KR100526361B1 (ko) 2005-11-08

Family

ID=373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01A KR100526361B1 (ko) 2002-08-09 2002-08-09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786A3 (en) * 2009-10-02 2011-08-11 Kevin Perry The lea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45B1 (ko) * 2017-06-30 2019-05-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밸브 잠금 알림 시스템 및 가스밸브 잠금 알림 방법
KR101990909B1 (ko) * 2018-11-15 2019-06-20 에이티온 주식회사 전력 소모가 적은 자산 관리 시스템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367A (ja) * 1992-08-20 1994-03-11 Fujitsu Ltd 忘却防止器
JPH06215281A (ja) * 1993-01-13 1994-08-05 Toshinori Sekine 忘れ物警報装置
JPH08186514A (ja) * 1994-12-28 1996-07-16 Sony Corp 警報システム及び送信/受信装置
KR960029575U (ko) * 1995-02-13 1996-09-17 강석구 미아 및 물품분실 방지장치
JPH09212757A (ja) * 1996-01-30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盗難忘れ物警報装置
KR19980024956U (ko) * 1998-04-25 1998-07-25 김계영 분실 방지 경보장치
US5801627A (en) * 1995-03-27 1998-09-01 Hartung; Dudley B. Portable loss-protection device
KR19990024247A (ko) * 1998-12-24 1999-03-25 박병용 원격도난방지와 원격착신표시 시스템
JP2000020855A (ja) * 1998-06-26 2000-01-21 Nippon Signal Co Ltd:The 離反警報装置
KR20000015554A (ko) * 1998-08-31 2000-03-15 김재동 라디오주파수의 발신신호를 이용한 소지품 분실방지용 송수신기
KR20000008788U (ko) * 1998-10-23 2000-05-25 이종행 분별 코드를 이용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KR20000030773A (ko) * 2000-03-15 2000-06-05 김형수 분실예방용 경보 시스템
KR20000009547U (ko) * 1998-11-06 2000-06-05 김정태 휴대품 분실 경고장치
KR20000037746A (ko) * 1998-12-02 2000-07-05 이상운 소지품 부착용 경보장치
US6127931A (en) * 1999-08-16 2000-10-03 Mohr; Robert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 person
KR20010001552U (ko) * 1999-06-29 2001-01-15 민건동 소지품과 유아이탈경보음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5708A (ko) * 2001-12-27 2003-07-04 홍병순 분실 및 도난 방지용 알에프 송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367A (ja) * 1992-08-20 1994-03-11 Fujitsu Ltd 忘却防止器
JPH06215281A (ja) * 1993-01-13 1994-08-05 Toshinori Sekine 忘れ物警報装置
JPH08186514A (ja) * 1994-12-28 1996-07-16 Sony Corp 警報システム及び送信/受信装置
KR960029575U (ko) * 1995-02-13 1996-09-17 강석구 미아 및 물품분실 방지장치
US5801627A (en) * 1995-03-27 1998-09-01 Hartung; Dudley B. Portable loss-protection device
JPH09212757A (ja) * 1996-01-30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盗難忘れ物警報装置
KR19980024956U (ko) * 1998-04-25 1998-07-25 김계영 분실 방지 경보장치
JP2000020855A (ja) * 1998-06-26 2000-01-21 Nippon Signal Co Ltd:The 離反警報装置
KR20000015554A (ko) * 1998-08-31 2000-03-15 김재동 라디오주파수의 발신신호를 이용한 소지품 분실방지용 송수신기
KR20000008788U (ko) * 1998-10-23 2000-05-25 이종행 분별 코드를 이용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KR20000009547U (ko) * 1998-11-06 2000-06-05 김정태 휴대품 분실 경고장치
KR20000037746A (ko) * 1998-12-02 2000-07-05 이상운 소지품 부착용 경보장치
KR19990024247A (ko) * 1998-12-24 1999-03-25 박병용 원격도난방지와 원격착신표시 시스템
KR20010001552U (ko) * 1999-06-29 2001-01-15 민건동 소지품과 유아이탈경보음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127931A (en) * 1999-08-16 2000-10-03 Mohr; Robert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 person
KR20000030773A (ko) * 2000-03-15 2000-06-05 김형수 분실예방용 경보 시스템
KR20030055708A (ko) * 2001-12-27 2003-07-04 홍병순 분실 및 도난 방지용 알에프 송수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786A3 (en) * 2009-10-02 2011-08-11 Kevin Perry The leash
US11105881B2 (en) 2009-10-02 2021-08-31 Kevin Perry Le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35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288B2 (en) Method for use in association with identification token and apparatus including identification token
US8094011B2 (en) Transceiver device for cell phones for tracking of objects
US718117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164555A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for preventing loss or theft
US7598875B2 (en) RFID tag-reading notif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US20070120698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roximity of personal articles
JP2005304002A (ja) 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BR102013023307A2 (pt)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método , e, aparelho sem fio
WO2004084080A1 (ja) 通信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287713A (ja) 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7005881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526361B1 (ko)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70964A (ja) 携帯情報端末機器による紛失予防システム
KR20150055304A (ko) 휴대품 분실 예방 시스템
WO2003056528A1 (en) Positioning system
JP2008077477A (ja) 携行品紛失防止システム
KR200488747Y1 (ko)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JPH10105663A (ja) Icカードの不正使用防止装置
KR101271632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KR20120017204A (ko) 도난방지시스템
KR101181397B1 (ko) 금융아이씨카드가 내장된 시계와 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US7832649B2 (en) Method of making a plurality of protected devices in communication with a background device
KR20070004179A (ko) 지갑 분실 방지장치
EP1457941A2 (en) Safekeeping device for credit card and similar cards of the same shape
KR200295365Y1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