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072B1 - 수세식 대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072B1
KR100526072B1 KR10-1999-7006297A KR19997006297A KR100526072B1 KR 100526072 B1 KR100526072 B1 KR 100526072B1 KR 19997006297 A KR19997006297 A KR 19997006297A KR 100526072 B1 KR100526072 B1 KR 10052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oilet
connection pipe
upstream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076A (ko
Inventor
가야하라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8/000070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0761A1/ja
Publication of KR2000007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변기 본체(1)와, 이 변기 본체(1)의 배수구로부터의 세정수를 외부에 형성된 배수구까지 인도하는 트랩 장치(10)로 이루어진 수세식 대변기이다. 변기 본체(1)는 보울부(3)와, 이 보울부의 배수구(4)에 연결된 상승 관(5)과, 그 상승 관(5)에 연결된 하강 관(6)과, 변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앞면까지 연장하는 커버부로서의 스커트부(7)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주입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잇다. 변기 본체(1)는 하면과 후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변기 본체의 후면에는 변기 본체로부터의 꺾임부(8)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세식 대변기{Water flush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 본체와 트랩(trap) 장치가 별체(別體)로 구성된 수세식 대변기 및 그러한 대변기를 주입 성형하기 위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대변기를 그의 트랩 부분까지 포함하여 일체(一體)로 주입 성형하는 경우에는, 그 트랩 부분이 변기의 측면에서 노출되어, 디자인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렵혀지기 쉽고 세척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변기 본체 주위에 스커트(skirt)부를 설치하고 이 스커트부 내에 트랩 장치를 수납하도록 한 수세식 대변기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72,689호 및 국제 공개 WO95/27833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스커트부를 변기 본체 주위에 설치한 경우에는, 성형용 금형의 구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변기 본체와 트랩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변기 본체와 트랩을 별체(別體)로 성형하고, 후에 트랩을 변기 본체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국제 공개 WO95/27833호에 개시된 변기에서는, 하면만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트랩을 후에 부착하는 작업이 어렵다. 한편, 미국 특허 제4,672,689호에 개시된 변기에서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의 하면과 후면이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트랩 장치(101)를 후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4,672,689호에 개시된 변기에서는, 배수관의 위치에 맞추어 트랩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배수관을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매우 번거롭다.
또한, 변기의 하면과 후면이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스커트부(102)의 후방 가장자리 부분(103)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트랩 장치를 부착하는 작업 시에 그 부분에 균열 또는 파손이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커트부(10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하지만, 주입 성형 시에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고, 생산 비용도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변기 본체와 트랩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변기 본체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트랩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트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도 5는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상류측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상류측 접속관의 시일(seal)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상류측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류측 접속관의 평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트랩 장치의 상류측 접속관의 평면도.
도 10의 (a) 및 (b)는 트랩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하류측 접속관이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경우의 접합부의 단면도.
도 13은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과 변기 본체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의 (a) 내지 (c)는 트랩 장치의 길이 조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하류측 접속관과 변기 본체의 접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과 유사한 사시도.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변기 본체와 트랩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고정용 절결부 주변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 단면도.
도 20은 고정용 절결부 주변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수평 단면도.
도 21은 변기의 개구부의 폐쇄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랩 장치의 사시도.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랩 장치의 사시도.
도 24는 트랩 장치의 일부가 변기 본체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들 중, 특히 벽면 배수형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성형용 금형 장치의 림(rim) 금형과 본체 금형에 의해 성형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체 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의 사시도.
도 28은 상부 금형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맞춘 상태의 수직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변기 본체의 수직 단면도.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입 성형용 금형 장치의 본체 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금형 장치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맞춘 상태의 수직 단면도.
도 33은 도 31의 금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변기 본체의 수직 단면도.
도 34는 도 31의 금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변기 본체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도 35는 종래의 수세식 대변기의 사시도.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기의 측면에서의 트랩부의 노출이 없어 디자인성(性)이 향상되고, 변기 본체의 개방된 후면부의 기계적 강도 부족을 보완하고, 또한, 상이한 "러프-인"(rough-in)(변기의 후면측의 벽과 바닥의 배수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 치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본체와, 이 변기 본체로부터의 세정수를 외부에 형성된 배수구까지 인도하는 트랩 장치로 이루어진 수세식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보울(bowl)부와, 트랩부, 및 그 트랩부와 상기 트랩 장치를 덮는 트랩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트랩 커버부는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 및 후면부를 제외한 스커트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변기 본체로부터의 꺾임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트랩부는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하강 관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 장치는 상기 하강 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floor)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을 접속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트랩 시일(seal)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가 상류측 접속관, 하류측 접속관 및 연결관에 결쳐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기 물 체류부가 상류측 접속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변기 본체는 상류측 접속관과 하류측 접속관 중 하나를 통해 바닥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변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수단을 상류측 접속관과 하류측 접속관 중 하나 또는 변기 본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랩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변기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랩 장치의 하류측 접속관의 배수측의 개구부에 개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초킹(choking)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랩 장치가 상류측 접속관, 하류측 접속관 및 연결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들 관의 접속 시의 위치결정을 위한 대응 수단이 상기 관들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수단은 서로 맞물리는 오목부와 볼록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 장치가 상류측 접속관, 하류측 접속관 및 연결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관의 외경이 상류측 접속관 및 하류측 접속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여, 연결관이 상류측 접속관 및 하류측 접속관에 대하여 액밀(液密)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 상류측 접속관 및 하류측 접속관이 키이(key)와 키이 홈에 의해 서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본체의 보울부와, 그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는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는 하강 관과, 변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앞면까지의 부분을 덮는 커버부, 및 변기 본체의 개방된 후면부 주위에 형성되는 꺾임부를 주입 성형하기 위한 본체 금형과, 림(rim)부를 성형하기 위한 림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금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및 좌우측 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보울부와 상기 상승 관 및 하강 관의 상부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고,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상승 관 및 하강 관의 하부 부분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과 상기 꺾임부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며, 상기 좌우측 금형은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면과 상기 꺾임부의 외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의 주입 성형을 위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본체의 보울부와, 그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는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는 하강 관과, 변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앞면까지의 부분을 덮는 커버부, 및 변기 본체의 후면부를 주입 성형하기 위한 본체 금형과, 림부를 성형하기 위한 림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금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및 좌우측 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보울부와 상기 상승 관 및 하강 관의 상부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고,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상승 관 및 하강 관의 하부 부분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과 상기 후면부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며, 상기 좌우측 금형은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의 주입 성형을 위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변기 본체와 트랩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변기 본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트랩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변기 본체(1)는 그의 상부에 림(rim)부(2)를 구비하고 있고, 그 림부(2)는 별도로 성형된 후에 변기 본체(1)에 접합된다. 그 림부(2)는 그의 후방 부분에 급수실(2a)을 가지고 있고, 그 급수실(2a) 위에 로 탱크(low tank)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실(2a)로부터 세정수가 보울(bowl)부(3)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 위치하는 림 통수로(通水路)(2b)에 공급된다.
변기 본체(1)는 보울부(3), 그 보울부의 배수구(4)에 연속하는 상승 관(5), 그 상승 관(5)에 연속하는 하강 관(6), 및 변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앞면까지의 부분을 덮는 커버부로서의 스커트(skirt)부(스커트 형상으로 된 부분)(7)를 일체로 하여 주입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또한 그의 하부와 후면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변기 본체(1)의 후면부에는 변기 본체로부터의 꺾임부(8)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스커트부(7)의 하부 부분에는 트랩 장치를 통하여 변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절결부(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절결부(9)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 절결부(9)와 대칭으로 제2의 절결부(9)가 스커트부(7)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변기 본체(1)에서는, 변기 본체(1)가 별도로 성형된 후에 보울부의 후방 판(3a) 및 제트(jet) 분출구(4a)의 상부 판(3b)이 접착된다.
트랩 장치(10)는 하강 관(6)의 하단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11)과, 바닥(floor)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12), 및 상류측 접속관(11)과 하류측 접속관(12)를 접속하는 연결관(13)으로 구성된다.
상류측 접속관(11)은 플레이트(14)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고, 그의 상단부에는 대직경부(11a)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직경부(11a)의 내측면과 하강 관(6)의 외측면 사이에 시일 링(seal ring)(15)이 끼워진다. 그러나, 시일 링(15)을 별도의 부품으로서 끼우는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직경부(11a)의 내측면에 일체로 시일(seal)부(1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시일부(1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부(11a)의 외측을 덮는 타입으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시일부(16)의 내측에 하강 관(6)의 하단부를 보유하는 스커트부(16a)가 형성된다. 이 스커트부(16a)는 하강 관(6)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치수로 되어, 스커트부(16a)의 하단과 대직경부(11a) 사이의 틈(11b)을 작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세정수가 대직경부(11a)와 스커트부(16a) 사이의 틈내로 거의 침입할 수 없게 되고, 사이펀 효과(siphon effect)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하류측 접속관(12)은 플레이트(17)에 의해 바닥에 고정된다. 이 플레이트(17)에는, 상기한 절결부(9)의 부착용 구멍(9a)을 통하여 변기 본체(1)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7a)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끼워지는 플랜지(flange)부(20)(도 13 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그 플레이트(17)는, 구멍(17a)을 다수 개 마련하고 체결 볼트(19)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장착 또는 부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은 한쪽 단부에서는 상류측 접속관(11)내에 끼워지고, 반대측 단부에서는 하류측 접속관(12) 외부에 끼워지며, 상류측 접속관(11)과 하류측 접속관(12) 및 연결관(13)에 걸쳐 있는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류측 접속관(12)에까지 연장하는 물 체류부(18)를 형성함으로써, 물 흐름의 저항 없이 사이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 절수(節水)에 효과적으로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 접속관(11)에만 물 체류부(1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절수에 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것보다는 약간 불리하지만, 관들의 접속부에서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상류측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류측 접속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트랩 장치의 상류측 접속관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접속관(11)의 벽 부분(11c)이 경사져 있어, 수평 계단부(11d)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수평 계단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류측 접속관(11)내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초기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사이펀 효과를 발생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많은 물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배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고 절수 효과도 얻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계단부(11d)의 면적을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평 계단부의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류측 접속관(11)내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초기 수량이 적은 변기의 경우라도, 사이펀 효과를 조기에 발생시킬 수 있고, 효과적인 배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a)는 트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접속관(11) 및 연결관(13)에는 서로 맞물리는 오목부(11e) 및 볼록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13) 및 하류측 접속관(12)에는 서로 맞물리는 오목부(13b) 및 볼록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류측 접속관(11)과 하류측 접속관(12) 및 연결관(13)이 원형 관인 경우라도, 비틀린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0(b)는 트랩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관(13)의 외경이 상류측 접속관(11) 및 하류측 접속관(1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상류측 접속관(11) 및 하류측 접속관(12)에는 키이(key) 홈(11f, 12f)을 형성하고, 연결관(13)에는 상기 키이 홀(11f, 12f)에 끼워맞춤되는 키이(13f)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연결관(13)이 액밀(液密) 상태로 슬라이드하여 상류측 접속관(11) 및 하류측 접속관(12)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13)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1은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2는 하류측 접속관이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경우의 접합부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류측 접속관(12)이 관 본체(12b)와 상부 보울 부분(12c)으로 분할되어 있다. 하류측 접속관이 곡선 형태인 경우, 하류측 접속관이 단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없기 때문에, 하류측 접속관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류측 접속관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합부에서의 강도 저하 및 누수의 문제가 있지만, 이러한 문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의 형상을 계단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접합할 때, 상부 보울 부분(12c)이 클램프에 의해 관 본체(12b)에 대해 압박될 필요가 있는데, 상부 보울 부분(12c)에 리브(rib)(12d)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연결관(13)의 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변기의 후면측의 벽과 바닥의 배수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러프-인(rough-in)"이라 부르는데, 연결관(13)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그 "러프-인"의 길이에 맞추어 트랩 장치(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a)는 "러프-인"의 길이가 12인치인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는, 상류측 접속관(11)과 하류측 접속관(12) 사이에 하나의 연결관(13)만이 사용된다.
그리고, "러프-인"의 길이가 10인치인 경우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이 생략될 수 있고, 체결 볼트(19)가 플레이트(17)의 맨 바깥쪽에 위치한 구멍(17a)에 끼워진다. 그리고, "러프-인"의 길이가 14인치인 경우에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관(13)이 연결되고, 체결 볼트(19)가 플레이트(17)의 맨 안쪽에 위치한 구멍(17a)에 끼워진다.
이렇게 하여, 연결관(13)를 절단하지 않고 "러프-인"의 길이에 맞추어 연결관(13)을 조정하는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을 착오 없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15에서, 바닥의 배수구 쪽에 있는 하류측 접속관(12)의 개구부(23)내에 조절 링(22)을 탈착 가능하게 끼워, 그 개구부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이 조절 링이 하류측 접속관의 배수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초킹(choking)부이다). 그러나, 이 조절 링(22)은 하류측 접속관(12)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울부(3)의 배수구(4)로부터 트랩 장치(10)로 흐르는 세정수와 오물의 양에 따라 하류측 접속관(12)의 개구부(23)의 개구 면적, 조절 링(22), 및 하류측 접속관(12)에 형성된 계단부(22')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절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6은 하류측 접속관과 변기 본체의 접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7)가 플랜지부(20)를 통해 바닥에 고정되고, 변기 본체(1)가 그 플레이트(17)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변기 본체(1), 플레이트(17) 및 플랜지부(20)가 체결 볼트(21)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러프-인" 치수가 변경되어도 변기 본체(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변기 본체(1)에 형성되는 부착용 구멍(9a)을 다수 개 형성하고 있다. 도 1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변기 본체(1)의 반대측에도 다른 부착용 구멍(9a)이 대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 개의 부착용 구멍(9a)을 형성하는 대신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의 각 측면에 타원 형상의 기다란 구멍(9b)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플레이트(17)와 플랜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변기 본체와 트랩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탱크(1a)가 변기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트랩 장치(10)와의 결합을 위한 절결부(9)가 변기 본체(1)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변기 본체의 후방 하부에 절결부(9)가 형성되는 경우, 건조 단계 중에 그 후면부의 양끝이 꺾이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9)의 내측부에 공동(空洞)부(9b)를 마련하여, 이 부분을 파이프와 같이 굽힘에 대하여 강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9)를 모서리에 마련하지 않고 약간 전방에 위치시키는 것과 함께 그 내측에 공동부(9b)를 마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1은 변기 본체의 개구부의 폐쇄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결부(9)와 후면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변기 본체에서, 외관을 좋게 하고, 부당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절결부(9)의 내면 및 변기 본체(1)의 후면 개구부의 주위에 면(面) 파스너(fastener)(9c)를 부착하는 한편, 절결부(9)를 덮는 덮개(40)와 변기 본체(1)의 후면 개구부를 덮는 덮개(41)에도 면 파스너(40a, 41a)를 부착하여, 덮개(40, 41)를 절결부 및 후면 개구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시 도 18로 돌아가면, 트랩 장치(10)를 구성하는 하류측 접속관(12)은 플레이트(17)를 통하여 바닥에 고정되고, 상류측 접속관(11)은 바닥에의 부착을 위해 플레이트(14)에 형성된 다수의 부착용 구멍(14a)을 통해 바닥에 고정된다. 또한, 플레이트(14)에는,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변기 본체(1)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용 구멍(14b)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용 구멍(14b)은 T자 형태로 되어 있어, 상류측 접속관이 바닥에 고정된 후라도 변기 본체(1)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변기 본체를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바닥으로부터의 볼트(42)들이 상류측 접속관(11)에 부착된 플레이트(14)를 통과하고, 이들 볼트(42)에 의해 플레이트(14)를 통하여 변기 본체(1)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있으나,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바닥으로부터의 볼트(43)들이 하류측 접속관(12)측의 플레이트(17)를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17)가 프레임(44)에 고정되고, 이 프레임(44)이 상류측 접속관(11)의 플레이트(14)에 고정된 다음, 볼트(45)들에 의해 플레이트(14)와 변기 본체(1)를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즉, 플레이트(17)가 바닥에 직접 고정되고, 플레이트(14)가 트랩 장치와 변기 본체를 결합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금속 부착물(46)이 프레임(44)의 후단부를 벽에 고정하고, 이 프레임(44)이 위로부터 플레이트(1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4는 트랩 장치의 일부가 변기 본체의 설치를 위한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기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로서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 지지대(30)상에 변기 본체(1)를 설치하여 변기 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여, 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트랩 장치를 구성하는 상류측 접속관(11)이 그 지지대(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관(13), 하류측 접속관(12) 및 플레이트(17)는 "러프-인" 조정을 위해 지지대(30) 및 상류측 접속관(11)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상류측 접속관(11)과 하강 관(6) 사이는 연결관(31)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연결관(31)을 별개로 형성하는 대신에, 상류측 접속관(11)을 더욱 상방으로 연장시킨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들 중, 측벽 배수형의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상류측 접속관(11)과 유사한 형상의 배관(32)을 후면측으로 향하도록 부착하여, 벽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여기서, 배관(32)에는 플레이트(33)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플레이트(33)에는, 바닥에 플레이트(33)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34)과 그 플레이트(33)에 변기 본체(1)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35)은 "T"자 형태로 되어 있어, 변기 본체(1)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변기 본체(1)를 주입 성형하는 금형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의 림(rim)부(2)는 림 금형에 의해 별체(別體)로 성형되고, 후에 접착된다. 그리고, 림부(2)를 제외한 변기 본체(1)는 본체 금형에 의해 주입 성형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변기 본체(1)에서는, 보울(bowl)부의 후방 판과 제트 분출구의 상부 판이 후의 공정에서 접착된다.
본체 금형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 하부 금형(32), 및 좌우측 금형(33)으로 구성되고, 상부 금형(31)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부(3)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1a)과, 상승 관(5)과 하강 관(6)의 상부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1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하부 금형(32)은 상승 관(5)과 하강 관(6)의 하부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2a)과, 스커트부(7)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2b), 및 꺾임부(8)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2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좌우측 금형(33)은 스커트부(7)의 외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3a)과, 꺾임부(8)의 외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33b)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을 조합시키고 또한 좌우측 금형(33)을 조합시킨 후, 상기 금형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空洞)(cavity)내에 주입 성형을 위한 진흙과 같은 재료를 유입(펌핑)시킴으로써, 보울부(3), 그 보울부(3)의 배수구(4)에 연속하는 상승 관(5), 그 상승 관(5)에 연속하는 하강 관(6), 변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앞면까지를 덮는 스커트부(7), 및 꺾임부(8)가 일체로 성형되고, 이에 의해, 하부 및 후면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변기 본체가 형성된다. 또한, 변기 본체의 배수구(4)측의 보울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 판(3a)과 제트 분출구(4a)의 상부 판(3b)을 접착 및/또는 부착시킴으로써 변기 본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상부 금형(31) 및 하부 금형(32)에서는, 보울의 후방 판(3a)과 제트 분출구(4a)의 상부 판(3b)이 후의 공정에서 별도로 접착 및 부착될 필요가 있으나, 제트 분출구의 상부 판(3b)이 생략되고 보울의 후방 판(3a)이 상승 관(5)의 일부를 겸하는 도 30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후의 공정에서의 접착 및/또는 부착이 필요없게 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주입 성형용 금형 장치의 본체 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맞추어진 상태에 있는 도 31의 금형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꺾임부(8)의 외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좌우측 금형(33)의 성형면(33b)들을 맞닿게 함으로써,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측이 페쇄되어 있는 변기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본체의 보울부와, 트랩부, 및 그 트랩부를 덮는 트랩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변기의 측면에서의 트랩부의 노출이 없어 디자인성(性)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변기가 쉽게 오염되지 않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랩부가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는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는 하강 관으로 이루어지고, 트랩 장치가 변기 본체의 배수구에 연속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되는 하류측 접속관으로 구성됨으로써, "러프-인" 치수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변기의 측면에서의 트랩부의 노출이 없어 디자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트랩 커버부가 하부와 후면부를 제외한 스커트부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및 후면부에서 개방된 변기 본체에 트랩 장치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변기 본체의 후면부에 꺾임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부 및 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하부 및 후면부의 개방에 의해 야기되는 강도 부족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디자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삭제
또한, 트랩 커버부가 하부를 제외한 스커트부에 형성되고, 변기 본체의 후면부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기 본체의 후면부의 폐쇄에 의해 변기 본체의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되는 하류측 접속관, 및 그 상류측 접속관과 하류측 접속관을 접속하는 연결관에 의해 트랩 장치를 형성하고, 이에 추가하여, 상류측 접속관과 하류측 접속관 및 연결관에 걸쳐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이펀 효과를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절수(節水)에 효과적이다.
또한, 사이펀 효과 발생 후의 배관 저항이 물 체류부에서는 작기 때문에, 유리한 배수 효과를 얻는데 매우 효과적인 높은 흡인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접속관에만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류측 접속관과 하류측 접속관과 연결관의 각 접속부에서의 누수 가능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트랩 장치의 하류측 접속관의 배수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초킹(choking)부를 제공함으로써, 보울부의 배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 및 오물의 양에 따라 변기 마다 최적의 배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와 바닥 사이에 높이 조절를 위한 지지대가 설치된 경우, 종래의 변기의 구조에서는 "러프-인" 치수가 다르면 그 대응이 용이하지 않아서 비용이 증가하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갯수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다수의 관으로 트랩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러프-인" 치수의 변화에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 내부에 트랩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디자인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성형용 금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주위에 트랩 커버부(스커트부)를 가지고 하부 및 후면부에서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에 꺾임부가 일체로 형성된 변기 본체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 금형를 사용하지 않고, 주위에 트랩 커버부를 가지고 후면부가 폐쇄된 변기 본체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2)

  1. 변기 본체와, 이 변기 본체로부터의 세정수를 외부에 형성된 배수구까지 인도하는 트랩 장치로 이루어진 수세식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보울(bowl)부와, 트랩부, 및 그 트랩부와 상기 트랩 장치를 덮는 트랩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트랩 커버부는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 및 후면부를 제외한 스커트(skirt)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변기 본체로부터의 꺾임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하강 관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 장치는 상기 하강 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floor)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을 포함하고, 트랩 시일(seal)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 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는, 그들 관의 접속 시의 위치결정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수단이 상기 변기 본체와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 중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수단이 상기 변기 본체와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상기 수단이 플레이트, 플랜지(flange)부, 그 플레이트와 플랜지부 및 변기 본체를 체결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변기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부착용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상기 수단이 플레이트, 플랜지부, 그 플레이트와 플랜지부 및 변기 본체를 체결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변기 본체에 형성된 타원 형상의 기다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변기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치의 상기 하류측 접속관의 배수측의 개구부에 개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초킹(choking)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하강 관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 장치는 상기 하강 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을 포함하고,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는, 그들 관의 접속 시의 위치결정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하강 관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 장치는 상기 하강 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을 접속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연결관에 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연결관에는, 그들 관의 접속 시의 위치결정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의 내경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여, 상기 연결관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 대하여 액밀(液密)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의 내경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여, 상기 연결관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 대하여 액밀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이 키이(key)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보울부의 배수구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승 관과, 그 상승 관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하강 관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 장치는 상기 하강 관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관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을 접속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트랩 시일을 형성하는 물 체류부가 상기 상류측 접속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접속관과 상기 하류측 접속관 및 상기 연결관에는, 그들 관의 접속 시의 위치결정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의 내경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여, 상기 연결관이 상기 상류측 접속관 및 상기 하류측 접속관에 대하여 액밀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KR10-1999-7006297A 1997-01-13 1998-01-12 수세식 대변기 KR100526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812 1997-01-13
JP3812 1997-01-13
JP9/292055 1997-10-24
JP292055 1997-10-24
PCT/JP1998/000070 WO1998030761A1 (fr) 1997-01-13 1998-01-12 Appareil de w.c. a chasse d'eau et dispositif de moulage par coulee dudit appar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76A KR20000070076A (ko) 2000-11-25
KR100526072B1 true KR100526072B1 (ko) 2005-11-08

Family

ID=5981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97A KR100526072B1 (ko) 1997-01-13 1998-01-12 수세식 대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0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134A (ja) * 1988-07-25 1990-02-05 Toto Ltd 水洗式大便器
JPH04161538A (ja) * 1990-10-22 1992-06-04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付き水洗便器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134A (ja) * 1988-07-25 1990-02-05 Toto Ltd 水洗式大便器
JPH04161538A (ja) * 1990-10-22 1992-06-04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付き水洗便器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76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956B1 (en) Water flush toilet bowl and a cast molding apparatus thereof
US11866921B2 (en) Toilet with non-vitreous flush engine
CN101932778B (zh) 排水连接件
JP3766979B2 (ja) 水洗式大便器及びその鋳込み成形用型装置
US4162548A (en) Water closets
KR100526072B1 (ko) 수세식 대변기
JPH03253628A (ja) 水洗式便器
JP2646928B2 (ja) 便器付属品の設置構造
JPH0235134A (ja) 水洗式大便器
JP2508414Y2 (ja) 便器洗浄タンク内の補助水管接続構造
GB2247256A (en) Hollow toilet seat for use as flushing component in w.c.
JPH06185102A (ja) 水洗便器
JPH0235135A (ja) 水洗式大便器
JP3136398B2 (ja) 排水ソ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便器の施工方法
CN218713671U (zh) 一种挂墙虹吸电磁阀式冲水马桶
JP2007039956A (ja) 浴室排水トラップ構造
JPH0310216Y2 (ko)
JP2533746B2 (ja) 簡易水洗用小便器
JP3635836B2 (ja) 汚物流し用高さ調整部材
CA2089949C (en) Angled water closet flange
US20100307620A1 (en) Roof drain receiver
CN111851681A (zh) 一种虹吸式坐便器
JP2502814Y2 (ja) 掃除流し
JPH0444695Y2 (ko)
JPH03156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