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990B1 -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990B1
KR100525990B1 KR10-2003-0099639A KR20030099639A KR100525990B1 KR 100525990 B1 KR100525990 B1 KR 100525990B1 KR 20030099639 A KR20030099639 A KR 20030099639A KR 100525990 B1 KR100525990 B1 KR 10052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front cover
hammer
selecto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297A (ko
Inventor
강춘구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9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4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in which the tool bit or anvil is hit by an impuls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0도 등 간격으로 12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커버를 실린더케이스에 스크류로 고정하여 실렉터에 핀 형상을 만들고, 비트가이드와 키 형상으로 연결하여 축 방향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회전시 상기 비트가이드와 동시에 회전하며, 축 방향으로 전진시 상기 실렉터의 핀 형상이 프론트커버와 분리된 상태에서 각도조절 후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서 다시 상기 실렉터의 핀 형상이 상기 프론트커버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해머의 치즐 비트 사용시 비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여 정밀작업이 가능한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of bit angle for hammer}
본 발명은, 파쇄용 해머(hammer)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즐(chisel) 비트(bit) 사용시 비트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머는 모터의 회전력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실린더 내에서 스트라이커, 앤빌의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를 비트에 전달하여 파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구이다.
도 1은 종래 파쇄용 해머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블록 제 1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해머 역시 모터의 회전력을 피스톤(125)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실린더 내에서 스트라이커(129), 앤빌(139)의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를 비트에 전달한다.
프론트커버(132)의 내부는 비대칭 스플라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비트를 한 방향으로 삽입하게 된다. 가이드 핀(138)은 가이드 핀 홀더(135) 및 프론트커버(132)에 조립되어 비트의 장착시 리테이너(133)를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핀 서포트 플레이트(165)에 의해서 후퇴되어 비트를 장착하며, 리테이너(133)를 놓게 되면, 스프링(134)의 힘에 의해서 가이드 핀 홀더(135)에 삽입되고 비트를 고정하여 빠지지 않데 한다. 비트의 탈착시 상기 장착과 같이 리테이너(133)를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핀 서포트 플레이트(165)와 가이드 핀(138)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되고 이 때 비트를 착탈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버 링(137)은 프론트커버(132)에 고정되어 리테이너(133)를 정 위치에 고정하며 분진유입을 방지하고, 리테이닝 링(37)은 가이드 핀 홀더(135)를 프론트커버(132)에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즉 종래의 해머에 있어서 비트는, 프론트커버(132)에 장착되며, 프론트커버(132)는 실린더케이스(130)에 나사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로는 사용자가 치즐 비트를 사용하여 파쇄 작업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작업을 행할 수 없는 폐단과 아울러 정밀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즐 비트 사용시 비트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30도 등 간격으로 12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커버(14)를 실린더케이스(23)에 스크류(18)로 고정하여 실렉터(9)에 핀 형상을 만들고, 비트가이드(15)와 키 형상으로 연결하여 축 방향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회전시 상기 비트가이드(15)와 동시에 회전하며, 축 방향으로 전진시 상기 실렉터(9)의 핀 형상이 프론트커버(14)와 분리된 상태에서 각도조절 후 스프링(7)의 압력에 의해서 다시 상기 실렉터(9)의 핀 형상이 상기 프론트커버(14)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의 각도조절 및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는, 도 1 및 2에서의 프론트커버(132)를, 도 3및 4에서와 같이 비트가이드(15)와 프론트커버(14)로 분리하고, 프론트커버(14)는 실린더 케이스(23)에 스크류(18)를 이용해서 고정하며, 프론크커버(14)의 측면에 30도 등 간격으로 12개의 홀(16)을 형성하고 있다.
실렉터(9)는 내부에 키 형상으로 비트 가이드(15)와 연결되어 비트 가이드(15)와는 축 방향으로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렉터(9)도 등 간격으로 핀 형상이 돌출되어 프론트 커버(14)에 고정한다.
실렉터(9)를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핀 형상이 프론트 커버(14)에서 분리되고, 키 형상을 통해서 비트 가이드(15)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 가능하며, 원하는 30도 간격으로 각도를 조정 후 놓게 되면, 다시 스프링(7)의 힘에 의해서 프론트 커버(14)의 홀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실렉터 커버(10)는 실렉터(9)에 조립하며, 실렉터(9)를 회전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3에서 비트의 장, 탈착 구조는 도 1의 종래 구조와 동일하다.
비트 가이드(15)는 내부는 비대칭 스플라인 구조로 되어 있고, 비트를 한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며, 비트 가이드(15)는 프론트 커버(14)에 삽입된다.
가이드 핀(6)은 가이드 핀 홀더(4) 및 프론트 커버(14)에 조립되어 비트의 장착시 리테이너(2)를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핀 서포트 플레이트(5)에 의해서 후퇴되어 비트를 장착하며, 리테이너(2)를 놓게되면, 스프링(7)의 힘에 의해서 가이드 핀 홀더(4)에 삽입되고 비트를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한다.
한편, 비트의 탈착시에는, 장착과 같이 리테이너(2)를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핀 서포트 플레이트(5)와 가이드 핀(6)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되고 이 때 비트를 탁착할 수 있다.
러버 링(1)은 비트 가이드(15)에 고정되어 리테이너(2)를 정 위치에 고정하며, 분진 유입을 방지한다. 리테이닝 링(3)은 가이드 핀 홀더(4)를 비트 가이드(15)에 고정한다.
비트의 각도 조절 기능을 위해서 프론트 커버(14)는 측면에 30도 등 간격으로 12개의 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 케이스(23)에 스크류(18)로 고정된다.
실렉터(9)는 프론트커버(14)에 각도 조절 및 고정을 위해서 90도 등 간격으로 4개의 핀 형상을 만들고 내측에 키 형상을 형성하여 비트 가이드(15)와 축 방향 상대운동을 허용하며, 실렉터(9)를 회전시 키 형상으로 비트 가이드(15)를 회전시킨다.
실렉터(9)를 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면, 실렉터(9)의 핀 형상이 프론트 커버(14)와 분리되며, 실렉터(9)를 회전시키면 비트 가이드(15)와 동시에 회전하며,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킨 후 놓게 되면, 스프링(7)의 압축력에 의해서 프론트 커버(14)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리테이닝 링(8)은 실렉터(9)의 축 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머의 치즐 비트 사용시 비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여 정밀작업이 가능한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파쇄용 해머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러버 링 2 : 리테이너
3, 8: 리테이닝 링 4 : 핀 홀더
5 : 플레이트 6 : 가이드 핀
7 : 스프링 9 : 실렉터
10 : 실렉터 커버 14 : 프론트 커버
15 : 비트 가이드 18 : 스크류
23 : 실린더케이스

Claims (1)

  1.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30도 등 간격으로 12개의 홀(16)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커버(14)를 실린더케이스(23)에 스크류(18)로 고정하여 실렉터(9)에 핀 형상을 만들고, 비트가이드(15)와 키 형상으로 연결하여 축 방향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회전시 상기 비트가이드(15)와 동시에 회전하며, 축 방향으로 전진시 상기 실렉터(9)의 핀 형상이 프론트커버(14)와 분리된 상태에서 각도조절 후 스프링(7)의 압력에 의해서 다시 상기 실렉터(9)의 핀 형상이 상기 프론트커버(14)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KR10-2003-0099639A 2003-12-30 2003-12-30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KR10052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39A KR100525990B1 (ko) 2003-12-30 2003-12-30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39A KR100525990B1 (ko) 2003-12-30 2003-12-30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97A KR20050070297A (ko) 2005-07-07
KR100525990B1 true KR100525990B1 (ko) 2005-11-04

Family

ID=3726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639A KR100525990B1 (ko) 2003-12-30 2003-12-30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9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97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0484B2 (ja) 締結具駆動工具用の打込深さ調節機構
CN100360266C (zh) 钻孔/起子机的侧手柄
JP4672604B2 (ja) 回転工具の加工深さ調整装置
RU2007149524A (ru) Головка бура для бурения глубокой скважины
JP2017001148A (ja) 打撃工具
US10040184B2 (en) Rear handle
US9205548B2 (en) Impacting tool
ATE373760T1 (de) Zurückziehbarer einsatzschlüssel mit einsatztreibmitteln
JP2003205423A (ja) ブレード着脱機構
BR9814077A (pt) Dispositivo de percussão rotativa para perfuração direcional em rocha, e, ferramenta de retroalargador para uso na perfuração de rochas
KR100525990B1 (ko) 해머의 비트 각도 조절장치
US20180207783A1 (en) Portable Power Tool
JP2004513791A (ja) 岩石破壊型衝撃装置
ATE454248T1 (de) Motorisch angetriebener bohrhammer
DE60035732D1 (de) Bohrhammer
CN106806986A (zh) 一种可调档位的微针种植手具
JP2008183683A (ja) 電動工具
WO2017024352A1 (en) Oscillating power tool
KR20050106361A (ko) 레일 천공기
JP2007046419A (ja) ポップアウト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911155A (ja) 衝撃工具の工具保持装置
US1338019A (en) Drilling, riveting, and like machine
CN100395082C (zh) 用于组装液压碎石机的外壳和本体的装置
KR100505921B1 (ko) 해머드릴의 해머, 해머드릴 기능변환장치
JPH10277965A (ja) 先端工具保持装置の防塵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