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592B1 -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592B1
KR100525592B1 KR10-2004-0007941A KR20040007941A KR100525592B1 KR 100525592 B1 KR100525592 B1 KR 100525592B1 KR 20040007941 A KR20040007941 A KR 20040007941A KR 100525592 B1 KR100525592 B1 KR 10052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ylindrical
chamber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472A (ko
Inventor
한상영
Original Assignee
한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영 filed Critical 한상영
Priority to KR10-2004-000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5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어촌 생활용수 시설의 소독에 적합한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약품용해실이 마련되어 있고, 약품용해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결합된 캡을 갖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약품용해실 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되 종단이 약품용해실내의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수직부분을 갖게 형성된 원수 유입관과, 약품용해실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소독 약품이 수납되며 원수 유입관의 수직부분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게 하부에 관삽입홀 및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약품 수납통 및 원통형 약품 수납통에서 배출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약품용해실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소독액 배출관을 구비한다. 이러한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의하면, 무동력에 의해 소독처리를 할 수 있고,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소독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식수 수용가 인근의 관정이나 물탱크와 연결된 관로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disinfector for provisional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동력에 의해 소독약품을 용해시켜 식수를 소독처리할 수 있도록 된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간이상수도는 광역 상수도로부터 공급수 라인의 연결이 불가능한 오지의 마을이나 장소에 설치된 것을 말한다.
계곡수, 지하수 또는 암반침출수 등을 수원으로 사용하는 간이상수도의 경우 통상적으로 수원의 낙차를 이용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수 수용가 보다 높은 위치에 집수조를 설치한다. 또한, 집수조는 충분한 낙차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식수 수용가 보다 멀리 떨어진 산이나 언덕에 일일 식수 소비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수량을 저수할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된다.
이러한 간이 상수도의 경우 집수조에 취수된 물 속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 할 수 있는 소독설비가 집수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집수조가 식수 수용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관리가 어렵고, 집수조에 저수되는 물의 저수량이 많아 대형 설비가 필요한 점 때문에 실질적으로 집수조에 소독설비를 구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35460호에는 간이 상수도관으로부터 분류된 후 다시 합류될 수 있게 유입 분류관과 유출분류관을 설치하고, 유입분류관과 유출분류관 사이에 격벽 및 소독약품이 담긴 망통체를 갖는 간이상수도의 소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간이 상수도 소독장치는 소독약품이 담긴 망통체가 바닥까지 연장되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어, 망통체가 물에 잠기는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간이 상수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에 따른 소독약품의 용해 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고형상의 소독약품인 클로로칼키의 경우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는 8시간 정도면 완전히 용해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에서는 소독약품이 물에 잠기게 되기 때문에 소독약품의 용해속도가 빨라 농도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유입분류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원수가 망사통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구조되어 있어 유입분류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원수의 낙하방향에 위치한 소독약품이 상대적으로 빨리 녹거나, 원수의 낙하방향 맞은편으로 소독약품이 이동되어 소독약품이 망사통내에서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망사통 내에 내장시킨 소독약품의 편중 상태에 따라 소독약품의 용해속도의 편차가 커져 소독약품의 농도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소독약품의 농도제어가 용이한 구조의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는 내부에 약품용해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약품용해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결합된 캡을 갖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상기 약품용해실 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되 종단이 상기 약품용해실내의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수직부분을 갖게 형성된 원수 유입관과; 상기 약품용해실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소독 약품이 수납되며 상기 원수 유입관의 수직부분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게 하부에 관삽입홀 및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약품 수납통; 및 상기 원통형 약품 수납통에서 배출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약품용해실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소독액 배출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약품 수납통은 일정한 외경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 머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 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입구 내측면에는 동일 높이 상에 상기 안내홈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패턴이 상기 출입구의 개방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높이가 다른 상기 돌기 패턴 상호 간은 인접된 돌기패턴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한 위치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수직부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U자형 부분을 갖게 연결된 역류방지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부분의 상부 종단에 결합되며 상면이 막혀있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홀이 형성된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수 유입관 및 상기 소독액 배출관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각각 설치된 다.
또한, 상기 원통형 수납통은 상기 수직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상으로 일정 거리 범위내에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수납통의 저면에는 상기 원통형 수납통이 상기 약품용해실의 수면높이에 연동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부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주머니;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가 간이 상수도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독장치(100)는 하우징(110),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 원수 유입관(160) 및 소독액 배출관(170)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외부케이스(111)와 약품용해실(115)을 구비한다.
외부케이스(111)는 약품 용해실(115)의 출입구(116) 부분이 일부 노출되게 약품용해실(115) 외측에 설치된 하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a) 상면에서 상기 약품 용해실(115)의 출입구 부분(116)을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된 덮개(111b)를 구비하다.
참조부호 113a 및 113b는 잠금장치이다.
외부케이스(111)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약품용해실(115)은 외부 케이스(11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약품용해실(115)은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을 입출시킬 수 있는 출입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16)는 캡(148)에 의해 밀폐될 수 있게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입구(116)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선 및 이 나사선과 결합되는 캡(148)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선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호 결합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호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렇게 캡(148) 및 출입구(116)의 외측면에 왼나사산이 형성되면, 일반인들은 시계방향으로 잠김는 구조에 익숙하기 때문에 약품용해실(115)을 임의로 개폐하고자 익숙한 열림 방향으로 즉, 캡(148)을 왼쪽으로 돌려도 캡(148)이 열리지 않게 되어 보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덥개(148)의 내측면에는 실링용 링(149)이 마련되어 있다.
약품용해실(115)과 외부케이스(111) 사이 공간은 단열소재(미도시)로 충진되어 있다.
외부케이스(111)와 약품용해실(115)에 충진된 단열소재는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변화에 대해 약품용해실9115) 내부의 온도 변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소독약품의 용해도의 편차를 줄이고, 동파 및 폭염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출입구(1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148)이 결합되는 출입구(116)의 내측면은 개방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기 패턴(131 내지 134)이 형성되어 있다.
원수 유입관(160)은 하우징(110) 외측에서부터 약품 용해실(115) 내측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원수 유입관(160)은 하우징(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약품용해실(115) 내까지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60a)과, 출입구(116)의 중심에서 출입구(116) 방향으로 일정길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160c) 및 수평부분(160a)과 수직부분(160c) 사이에 절곡되어 적어도 하나의 U자형 부분을 갖게 연결된 역류방지부분(160b)을 갖는다.
수직부분(160c)의 종단에는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가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는 수직부분(160c)의 상부 종단부분에 결합되며 상면이 막혀있고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유출홀(163a)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의 상면은 갓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출홀(163a)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유출홀(163a)을 통해 유출되는 원수가 갓형 부분에 간섭되어 우산형으로 하방으로 고루게 분사될 수 있다.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는 수직부분(160c)의 종단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다.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는 수직부분(160c)의 종단과의 결합구조는 수직부분(160c)의 외경과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의 내경을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게 대응되게 형성하는 방식과,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은 소독약품 예를 들면 고형상의 클로로칼키(200)를 내장시킬 수 있게 된 약품 수납 용기이다.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은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소재 예를 들면 투명 아크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은 몸통부분(141)과 플렌지 머리부(145) 및 캡(146)을 구비한다.
몸통부(141)는 일정한 외경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일부 및 저면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141a)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41)의 저면에는 원수 유입관(160)의 수직부분(160c)이 관통될 수 있는 관삽입홀(141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통부(141)의 저면에는 공기주머니(220)가 설치된다.
공기주머니(220)는 원통형 수납통(140)이 약품용해실(115)의 수면높이에 연동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공기주머니(220)는 몸통부(141)의 배출구(141a)가 폐쇄되지 않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부재에 의해 몸통부(141)에 결합하면된다.
플렌지 머리부(145)는 몸통부(141) 상면에서 몸통부(141)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분에 몸통부(14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캡(146)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홀(147)이 형성되어 있다.
플렌지 머리부(145)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안내홈(145a)(145b)(145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안내홈(145a)(145b)(145c)이 120도 만큼씩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약품 용해실(115)의 출입구(116)의 내측면에는 돌기패턴(131 내지 134)이 수직상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패턴(131 내지 134)은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의 플랜지 머리부(145)에 형성된 안내홈(145a)(145b)(145c)과 정합되는 위치로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을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이 각 돌기패턴(131 내지 134)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된 돌기패턴(131 내지 134) 끼리는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야만 안내홈(145a)(145b)(145c)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돌기 패턴(131 내지 134) 사이의 간격은 플랜지 머리부(145)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 플랜지 머리부(145)가 지지될 수 있게 플랜지 머리부(145)의 두께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출입구(116)의 개방단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제1돌기패턴(131), 제2돌기패턴(132), 제3돌기패턴(134) 및 제4돌기패턴(1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패턴(131) 및 제3돌기패턴(133)은 수직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3개의 돌기(131a)(131b)(131c)(133a)(133b)(133c)가 배열되어 있고, 제2돌기패턴(132) 및 제4돌기패턴(134)은 제1돌기패턴(131)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각각 3개의 돌기(132a)(132b)(132c)(134a)(134b)가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을 제2돌기패턴(132)과 제3돌기패턴(133) 사이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플랜지 머리부(145)의 안내홈(145a)145b)(145c)이 제1돌기패턴(131)의 각 돌기(131a)(131b)(131c)와 정합되는 위치로 적절하게 회전시킨 다음 하방으로 이동하면 안내홈(145a)145b)(145c)이 제1돌기패턴(131)을 통과할 수 있다. 플랜지 머리부(145)는 제1돌기패턴(131)을 통과한 이후 제2돌기패턴(132)의 돌기(132a)(132b)(132c)에 의해 하방으로 진출이 차단된다. 따라서, 다시 안내홈(145a)145b)(145c)이 제2돌기패턴(132)에 정합되는 위치로 플랜지 머리부(145)를 회전시킨 다음 하방으로 이동하면 안내홈(145a)145b)(145c)이 제2돌기패턴(132)을 통과한다. 이후, 플랜지 머리부(145)의 안내홈(145a)145b)(145c)이 제2돌기패턴(132)과 제3돌기패턴(133)의 각 돌기에 대응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켜 놓으면, 플랜지 머리부(145)는 제2돌기패턴(132)과 제3돌기패턴(133) 사이에서 지지된다. 도 3에서는 플랜지 머리부(145)가 제3돌기패턴(133)과 제4돌기패턴(134)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참조부호 117은 최하단에 있는 돌기패턴(134)과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의 몸통부(1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출입구(116)의 내측면으로부터 링형태로 돌출된 지지링부분이다. 지지링부분(117)은 생략될 수 있다.
지지링부분(117)이 생략될 경우 플랜지 머리부(145)를 제4돌기패턴(134) 하방으로 위치시켰을 때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이 원수 유입관(160)의 수직부분(160c)의 하부 종단으로부터 수평상으로 절곡된 부분까지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이 도달하였을 때 출입구(116)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각 요소의 크기 및 간격을 결정하면 된다.
또 다르게는 제4돌기패턴(134)과 지지링부분(117)까지에 해당하는 수직거리에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을 수직상으로 슬라이딩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수직 가이드레일(미도시)을 안내홈(145a 내지 145c)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돌기 패턴(131 내지 134)과 수직 가이드레일 형성 위치를 상호 반대로 즉, 출입구(116)의 개방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방까지 수직 가이드레일을 먼저 형성시키고, 수직가이드레일 하방에 앞서 설명된 돌기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의 지지높이를 일정높이로 조정하고자 할 때는 돌기패턴(131 내지 134)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면 되고, 수면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 되게 할 경우에는 돌기 패턴(131 내지 134)를 벗어난 부분에 위치시키면 된다.
소독액 배출관(170)은 약품 용해실(115)의 바닥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하부징(110) 외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원수 유입관(160) 및 소독액 배출관(170) 상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67)(17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소독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 상수도관(10)로부터 분류될 수 있게 원수 유입관(160)을 결합하고, 소독액 배출관(170)을 간이상수도관(10)의 본류와 다시 합류할 수 있게 간이상수도관(10)에 결합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의 소독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리가 용이한 식수 수용가 부근 예를 들면 관정 또는 물탱크 부근의 관로상의 간이 상수도관(10)과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독액 배출관(170)과 간이상수도관(10)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물이 진행하는 전방의 간이 상수도관에 임시 저수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이 상수도관(10)에 연결된 소독장치의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의 마개(146)를 열고 소독약품 예를 들면 고형상의 클로로칼키(200)를 적절량 채운 다음 출입구(116)를 통해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좌우로 회전 및 하강시키면서 적절한 높이의 돌기패턴(131 내지 134)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한다. 이때,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를 미리 분리시켜 놓은 상태에서 원수 유출관(160)을 진입시키면 수직부분(160c)이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의 관수납홀(141b)을 통해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 내부로 진입된다.
다음은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를 수직부분(160c)에 결합한다.
이후, 간이상수도관(10)으로부터 분류되어 소독장치(100)의 약품 용해실(115) 내로 유출되는 원수의 유량을 밸브(160)(170)를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유출되는 유량에 따른 소독약품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소독약품이 내장된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의 돌기패턴(131 내지 134) 사이의 지지위치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소독약품은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을 약품용해실(115)내에 설치한 다음 투입해도 된다.
또한, 원통형 약품수납통(140)을 약품 용해실(115)의 수면높이에 따라 수직상으로 연동되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제4돌기패턴(134) 하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플랜지 머리부(145)의 홀(147)을 캡(146)으로 막고, 출입구(116)를 다시 캡(148)으로 잠그고 난 다음 잠금장치(113)에 자물쇠를 채우면 된다.
이러한 소독장치(100)는 원수 유입관(160)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수직부분(160c) 및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163)를 통해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의 중심위치에서 방사상으로 하방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에 내장된 소독약품에 고루게 접촉될 수 있어 생성된 소독액의 농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소독약품(200)이 약품 용해실(115)의 수면에 대해 잠기지 않게 하거나, 일부만 잠기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소독약품의 용해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소독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소독액은 소독액 배출관(170)을 통해서 간이상수도관(10)의 본류와 다시 합류시켜 본류의 원수를 적절한 농도로 희석시키기 때문에 설비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소독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소독액의 농도는 본류와 합류한 이후 인체에 해롭지 않는 적절한 농도를 갖도록 소독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앞서 설명된 원통형 약품 수납통(140)의 설치 높이 및 밸브 및 소독약품의 내장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의하면, 이러한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에 의하면, 무동력에 의해 소독처리를 할 수 있고,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소독약품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소독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식수 수용가 인근의 관정이나 물탱크와 연결된 관로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가 간이 상수도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하우징 140: 원통형 약품 수납통
160: 원수 유입관 170: 소독액 배출관

Claims (6)

  1. 내부에 약품용해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약품용해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결합된 캡을 갖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상기 약품용해실 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되 종단이 상기 약품용해실내의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수직부분을 갖게 형성된 원수 유입관과;
    상기 약품용해실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소독 약품이 수납되며 상기 원수 유입관의 수직부분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게 하부에 관삽입홀 및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약품 수납통; 및
    상기 원통형 약품 수납통에서 배출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약품용해실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소독액 배출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약품 수납통은
    일정한 외경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 머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 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입구 내측면에는 동일 높이 상에 상기 안내홈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패턴이 상기 출입구의 개방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높이가 다른 상기 돌기 패턴 상호 간은 인접된 돌기패턴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한 위치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수직부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U자형 부분을 갖게 연결된 역류방지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분의 상부 종단에 결합되며 상면이 막혀있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홀이 형성된 사이드 분출 가이드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 및 상기 소독액 배출관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수납통은 상기 수직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상으로 일정 거리 범위내에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수납통의 저면에는 상기 원통형 수납통이 상기 약품용해실의 수면높이에 연동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부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주머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KR10-2004-0007941A 2004-02-06 2004-02-06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KR10052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41A KR100525592B1 (ko) 2004-02-06 2004-02-06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41A KR100525592B1 (ko) 2004-02-06 2004-02-06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959U Division KR200348325Y1 (ko) 2004-02-06 2004-02-06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472A KR20050079472A (ko) 2005-08-10
KR100525592B1 true KR100525592B1 (ko) 2005-11-02

Family

ID=3726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941A KR100525592B1 (ko) 2004-02-06 2004-02-06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65B1 (ko) 2006-07-10 2007-04-09 (주) 시온텍 고체염소 예상교환시기를 예측가능한 확산작용을 이용한 무동력 고체염소 포화용액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0996949B1 (ko) 2008-09-03 2010-11-29 주식회사 고려산업 수조용 소독약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66B1 (ko) * 2006-09-22 2007-01-12 (주)서흥이엔지 간이상수도용 무동력 약액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간이상수도 시설
KR100798427B1 (ko) 2006-11-23 2008-01-28 김태희 손 소독기
KR101563088B1 (ko) * 2014-07-14 2015-10-26 주식회사 엔케이 밸러스트수 살균처리용 약제저장 및 용해장치
CN114538718B (zh) * 2022-03-24 2023-12-26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站全系污废水污染物价值耦合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65B1 (ko) 2006-07-10 2007-04-09 (주) 시온텍 고체염소 예상교환시기를 예측가능한 확산작용을 이용한 무동력 고체염소 포화용액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0996949B1 (ko) 2008-09-03 2010-11-29 주식회사 고려산업 수조용 소독약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472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592B1 (ko)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CA2696334A1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twist bottle valve
PL220123B1 (pl) Dystrybutor wody do programowalnego uzdatniania wody
US20090090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illing and emptying of a fluid container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US20160362285A1 (en) Bottom-loading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hot water sanitizing features
PT1739060E (pt)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
KR200348325Y1 (ko) 간이 상수도용 소독장치
KR101871795B1 (ko) 사이펀 발생 기능 향상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US10370181B1 (en) Air conditioning drain treatment apparatus
CN101897287A (zh) 用于盆栽的滴灌灌水器
US9102557B2 (en) Chlorination device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WO2005003042A1 (ja) ミネラル水供給装置
JP2000117263A (ja) 固型薬剤連続自動溶出装置
JP3543305B2 (ja) 汚水浄化槽用薬筒
KR101136424B1 (ko) 소독약품 자동투입장치
KR200245661Y1 (ko)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JP3657804B2 (ja) 水利用装置
JP2005187076A (ja) 水利用装置
KR20110005443A (ko) 상수도 및 수조의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KR20020095854A (ko)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KR20090006677U (ko)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RU22984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ющего механизма для введения хим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CN218403771U (zh) 一种uv杀菌茶吧饮水机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