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405B1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405B1
KR100525405B1 KR10-2003-0017801A KR20030017801A KR100525405B1 KR 100525405 B1 KR100525405 B1 KR 100525405B1 KR 20030017801 A KR20030017801 A KR 20030017801A KR 100525405 B1 KR100525405 B1 KR 10052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ilter basket
drinking water
coffe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219A (ko
Inventor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4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과;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내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도록 온수 통로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과; 식수가 공급되며,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 중 상기 필터 바스켓의 온수 통로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 내부의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온수 및 커피 추출액이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도 조절이 가능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커피 메이커는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커피포트에 자동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식수 저장통(20)과, 필터 바스켓부(30)와, 커피포트(40)와, 히터(도시는 생략함) 그리고, 온수 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식수 저장통(20)은 상기 본체(10) 내의 상단 후방측에 구비되며, 커피 추출을 위한 식수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는 걸름망이 장착되는 부위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피포트(40)는 추출된 커피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도시는 생략함)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며,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관(50)은 그 일단이 상기 식수 저장통(2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며, 히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된 식수를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는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는 다수의 온수 공급공(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에 걸름망을 장착한 상태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커피를 투입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발열되어 온수 공급관(50) 내의 식수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되는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50)을 따라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으로 유동한 후 상기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의 온수 공급공(51)을 통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내부로 제공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원두커피의 원액이 추출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하단에 위치된 커피포트(40) 내부에 저장된다.
그러나, 전술한 일련의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추출하는 커피에 대한 농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을 가진다.
즉, 추출하는 커피의 농도 조절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커피포트(40) 내부에 저장된 커피에 식수를 직접 추가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과;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내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도록 온수 통로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과; 식수가 공급되며,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 중 상기 필터 바스켓의 온수 통로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 내부의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온수 및 커피 추출액이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된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크게 본체(110)와, 식수통(120)과, 필터 바스켓(130)과, 온수 공급수단과, 개폐수단과, 커피포트(170) 그리고, 히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식수통(120)은 상기 본체(110)내 상부 공간의 후방측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식수가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식수통(120)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식수 공급공(121)을 가지며, 상기 식수 공급공(121)은 개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상기 본체(110)내 상부 공간 중 상기 식수통(120)의 전방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걸름망이 장착된다. 특히,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저부가 개구된 상태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내측 둘레면 상에는 도시한 도 3과 같이 상기 필터 바스켓(130)에 장착되는 걸름망을 통과하는 유로와는 구획된 별도의 유로를 가지는 온수 통로(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 통로(131)는 그 상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수가 상기 필터 바스켓(130) 내부에 안착되는 걸름망 내의 원두커피를 거치지 않고 곧장 상기 커피포트(17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즉,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상기 온수 통로(131)를 이루는 일련의 격벽에 의해 걸름망을 통과하는 유로와 상기 걸름망을 통과하지 않는 유로 등 두 개의 서로 구획된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온수 통로(131)는 온수가 투입되는 부위 즉, 상부측 부위(131a)가 온수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하부측 부위(131b)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상기 온수 통로(131)로 온수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온수 통로(131)의 하부측 부위는 개구된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저부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수단은 식수가 공급되며, 상기 필터 바스켓(130) 내측을 향하여 상기 식수통(120)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151a,151b)을 가지며, 크게 샤워헤드(151)와, 온수 공급관(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샤워헤드(151)는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상측을 덮도록 넓게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분무홀(151a,15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온수 공급관(152)은 일단이 상기 식수통(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샤워헤드(151)에 연결되어 상기 샤워헤드(151)로 식수통(120)에 저장된 식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샤워헤드(151)의 각 분무홀(151a,151b) 중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온수 통로(131)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151a)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수단은 상기 본체(110) 내의 상기 샤워헤드(151)와 상기 필터 바스켓(1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손잡이(161)와 차단판(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손잡이(161)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162)은 상기 손잡이(1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온수 통로(131)의 상측에 형성된 분무홀(151a)을 폐쇄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개폐수단은 상기 온수 통로(131)의 상측에 위치된 각각의 분무홀(151a)마다 하나씩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차단판(162)이 상기 온수 통로(131)에 대응하는 다수의 분무홀(151a)을 모두 차단하거나 혹은, 손잡이(161)의 회동 정도에 따라 일부만 차단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이러한 구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커피포트(170)는 상기 본체(110)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을 통과한 온수 및 커피 추출액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180)는 상기 온수 공급관(152)을 유동하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히터(180)는 커피포트(170)의 저부에 위치도록 하여 상기 커피포트(170)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의 경우 온수 공급관(152)은 상기 히터(180)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를 유동하는 식수가 상기 히터(180)에 의한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원두커피의 추출을 원한다면 걸름망을 필터 바스켓(130)에 장착한 후 상기 걸름망 내부에 원두커피를 투입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따라 손잡이(161)를 조작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진한 커피를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개폐수단을 이루는 손잡이(161)를 조작하여 차단판(162)이 분무홀(151a)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2a 및 도 4a와 같다.
이 때, 상기 차단판(162)이 폐쇄하는 분무홀(151a)은 온수 통로(131)의 직상방에 위치된 분무홀(151a)이며, 대략 걸름망의 상측에 형성된 분무홀(151b)들은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커피 메이커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터(180)를 발열하면 온수 공급관(152) 내부에 위치된 식수는 가열됨과 더불어 증기압에 의해 상기 온수 공급관(152)을 타고 상승하면서 외부로 개방된 부위 즉, 다수의 분무홀(151a,151b)이 형성된 샤워헤드(151)로 공급된다.
이 때, 식수통(120) 내의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152)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샤워헤드(151) 내부로 공급된 온수는 상기 샤워헤드(151)에 형성된 각 분무홀(151a,151b) 중 개방된 상태의 분무홀(151b) 즉, 걸름망의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151b)을 통해 상기 걸름망으로 제공되고, 상기 걸름망을 거치면서 원두커피와 혼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원두커피와 혼합된 온수는 계속해서 하부로 흘러내려 결국,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하측에 구비된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다.
이 때, 상기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 커피는 상기 커피포트(170) 저부측 공간상에 구비된 히터(180)에 의해 계속해서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사용자가 연한 커피를 원한다면 상기 사용자는 개폐수단을 이루는 손잡이(161)를 조작하여 차단판(162)이 분무홀(151a)을 개방하도록 한다.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2b 및 도 4b와 같다.
이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61)의 조작 정도에 따라서 상기 분무홀(151a)의 개방 정도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연한 커피를 원할 경우 상기 분무홀(151a)을 완전히 개방하고, 일반적인 연한 커피를 원할 경우 상기 분무홀(151a)을 대략 반 정도만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커피 메이커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터(180)를 발열하면 온수 공급관(152) 내부에 위치된 식수는 가열된 상태로 상기 샤워헤드(151)에 공급된다.
이와 함께 상기 샤워헤드(151) 내부로 공급된 온수는 상기 샤워헤드(151)에 형성된 각 분무홀(151a,151b) 중 개방된 상태의 분무홀(151b) 즉, 걸름망의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151b)을 통해 상기 걸름망으로 제공되어 상기 걸름망을 거치면서 원두커피와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커피는 필터 바스켓(130)의 저부를 통해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다.
이 때, 필터 바스켓(130)의 온수 통로(131) 상측에 위치된 분무홀(151a)로도 상기 샤워헤드(151)에 공급된 온수가 제공된다. 이의 경우 상기 분무홀(151a)을 통해 온수 통로(131)로 유입되는 온수는 상기 온수 통로(131)를 따라 유동하면서 곧장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는 상기 원두커피와 혼합되면서 생성된 커피와 섞여 상기 커피의 전체적인 농도를 연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저가의 비용으로 제품 만족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의 커피 메이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커피 메이커를 구성하는 필터 바스켓의 평면도
도 4a 는 커피의 농도 조절을 위한 개폐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 2a의 Ⅰ-Ⅰ 단면도도 4b 는 커피의 농도 조절을 위한 개폐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 2b의 Ⅱ-Ⅱ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20. 식수통
121. 식수 공급공 130. 필터 바스켓
131. 온수 통로 151. 샤워헤드
151a,151b. 분무홀 152. 온수 공급관
161. 손잡이 162. 차단판
170. 커피포트 180. 히터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대략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측 둘레면 상에는 별도의 유로를 가지는 온수 통로가 내향 돌출되어 이루어진 필터 바스켓;
    식수가 공급되며,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
    상기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필터 바스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온수 통로의 상측에 형성된 분무홀을 폐쇄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된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폐수단;
    상기 온수 공급수단 내부의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온수 및 커피 추출액이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수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분무홀이 형성된 샤워헤드와,
    일단이 상기 식수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샤워헤드에 연결되어 식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수통은 상기 본체 내부의 각 공간 중 상기 필터 바스켓의 후방측 공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스켓의 온수 통로는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에 비해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KR10-2003-0017801A 2003-03-21 2003-03-21 커피 메이커 KR10052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1A KR100525405B1 (ko) 2003-03-21 2003-03-21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1A KR100525405B1 (ko) 2003-03-21 2003-03-21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19A KR20040083219A (ko) 2004-10-01
KR100525405B1 true KR100525405B1 (ko) 2005-11-02

Family

ID=3736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801A KR100525405B1 (ko) 2003-03-21 2003-03-21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36B1 (ko) * 2009-05-14 2012-06-12 김명기 드립퍼 장치
KR101116227B1 (ko) * 2011-06-27 2012-02-20 이린아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19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104A (en) Food steamer
US4911067A (en) Infusion beverage maker
US20170295992A1 (en) Vacuum-operated beverage brewers and related brewing methods
KR101778722B1 (ko) 음료 제조 기계
EP2825081B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leanable brewing head
US6101924A (en) Coffee maker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KR101398674B1 (ko) 더치식 커피 추출기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KR20100121538A (ko) 음료 제조 공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물품들의 세트
US58161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ensing hot water or hot beverages
KR100525405B1 (ko) 커피 메이커
ATE243969T1 (de) Kaffeemaschine
KR100493313B1 (ko) 커피 메이커
KR101894843B1 (ko) 커피 드립퍼
KR102462790B1 (ko) 커피 추출 장치
KR200306275Y1 (ko) 홍삼액 추출기
KR200342136Y1 (ko) 커피 메이커
US6170387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eated beverage
KR200342134Y1 (ko) 커피 메이커
KR200342135Y1 (ko) 커피 메이커
JP3237195U (ja) 電気コーヒーメーカー
TWM570676U (zh) Hand-held electric coffee machine
KR200339331Y1 (ko) 스팀을 이용한 탕비기
KR19980056378A (ko) 커피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