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378A - 커피제조기 - Google Patents

커피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378A
KR19980056378A KR1019960075646A KR19960075646A KR19980056378A KR 19980056378 A KR19980056378 A KR 19980056378A KR 1019960075646 A KR1019960075646 A KR 1019960075646A KR 19960075646 A KR19960075646 A KR 19960075646A KR 19980056378 A KR19980056378 A KR 1998005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kettle
filter basket
extraction
coffe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378A/ko
Publication of KR1998005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378A/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는, 커피액이 저류저장된 필터바스켓의 추출구를 통하여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 상기 커피액을 추출 및 미추출시키는 추출수단이 구비된 커피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액이 누출됨이 없이 상기 주전자로 안내되도록 상기 추출구의 하단에 패킹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은 필터바스켓의 추출구의 하단에 커피액을 안내함과 동시에 표면장력이 없는 패킹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시에 발생되는 커피액의 낙수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피제조기
본 발명은 커피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서 발생되는 커피액의 낙수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킨 커피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제조기는 어퍼바디(10)와 로우바디(20)가 상하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어퍼바디(10)의 상측에는 톱커버(30)가 조립되어 있고, 상기 로우바디(20)의 하단에 조립된 로우프론트(40) 의 상면에는 범랑홀더(41)를 매개로범랑(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범랑(42)의 하단에는 히터(43) 와 물리턴관(44)이 고정판(45)에 의해 결착되어 상기 범랑(42)을 예열시키도록 되어있고, 상기 로우프론트(40)내의 다수의 부품들을 커버하도록 그 하단에 베이스커버(50)가 결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톱커버(30)의 일측에는 탱크커버(60)가 한지축(61)를 매개로 결착되어 상기 어퍼바디(10)내의 탱크(11)에 냉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여닫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탱크(11)의 하단에는 냉수관(80) 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어퍼바디(10) 의 온수유출관(12)의 하단에는 상기 냉수관(70)내를 흐르는 냉수가 물리턴관(44)에서 상기 히터(43)에 의해 온수로 되어 흐르도록 온수관(7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톱커버(3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유출관(12)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분배하는 온수분배기(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톱커버(30)의 중심에는 상기 온수분배기(80)를 통해 온수가 소량 및 대량 분배되도록 콘트롤하는 콘트롤노브(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수분배기(80)의 하단에는 온수분배기(80)를 통해 유입된 온수와 원두커피분말(P)이 적당량 희석되어 커피액(S)을 제조하는 필터어세이부(9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우프론트(40)와 필터어세이부(90)의 사이에는 필터어세이부(90) 내에서 제조된 커피액(S)을 적당한 온도가 되도록 히터(43)로 가열하여 구미에 맞는 커피액(S)을 수용하는 주전자(100)가 탈착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필터어세이부(9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보디(91)와, 상기 필터보디(91)내에 설치되어 커피액(S)이 추출되는 추출구(92a)가 형성된 필터바스켓(92)과, 상기 필터바스켓(92)내에 설치되어 원두커피분말(P)이 온수와 희석되어 커피액(S)로 필터링되도록 미세한 메쉬가 형성된 필터(9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전자(100)는 필터어세이부(90)에서 낙하추출되는 커피액(S)을 받아 히터(43)열에 의해 예열시킴과 동시에 저류저장시키는 유리재의 내열용기(101)와, 상기 내열용기(10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내열용기(101)의 일측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부착되는 합성수지재의 손잡이(102)와, 상기 내열용기(101)의 상부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추출수단를 동작시켜 커피액(S)의 낙하추출을 유도하면서 그 커피액(S)이 상기 내열용기(101) 내부로 유입되도록 손잡이(102)의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용기뚜껑(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바스켓(92)의 하부에는 주전자(100)의 상부와 접촉시 시이소운동에 의해 상승동작되면서 통로가 폐쇄된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를 개방시키도록 추출수단(200)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수단(200)은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를 개폐하는 밸브씰(210)과, 상기 밸브씰(2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시이소운동되도록 필터바스켓(92)에 그 돌기(221)가 한지결합된 밸브레버(220)와, 상기 주전자(100)의 수납시 그 용기뚜껑(103)에 형성된 호형부(103a)와 접촉에 의해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밸브레버(220)의 일측을 눌러중에 따라 상기 밸브씰(210)이 지지된 밸브레버(220)의 타측을 동시 하강시켜 필터바스켓(92)의 제2관통구멍(92c)에 그 돌기(232)가 한지결합된밸브(230)와, 상기 밸브레버(220) 및 밸브씰(210)을 탄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시켜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을 폐쇄시키도록 밸브레버(220)와 필터바스켓(92)의 일측에 지지된 판스프링(2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피제조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전자(100)를 외측으로 꺼내면, 용기뚜껑(103)의 호형부(103a)와 접촉하고 있던 밸브(230)가 하강하면서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가 밸브씰(210)에 의해 폐쇄되고 이 상태에저 커피액(S)이 추출구(92a)의 내측 외주면 및 밸브씰(210)에 표면장력에 의해 고여 있게 되며, 상기 주전자(100)를 내열용기(101)의 범랑(42)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커피액(P)이 내열용기(101)로 유입되는 바, 일부의 커피액(S)은 상기 추출구(92a)와 밸브씰(210)에 표면장력에 의해 맺혀 있어 상기 주전자(100)가 범랑(42)으로 부터 빠진 후에 커피액(P)의 일부가 범랑(42)으로 낙하되어 사용자에게 품질상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서 발생되는 커피액의 낙수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킨 커피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는 커피액이 저류저장된 필터바스켓의 추출구를 통하여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 상기 커피액을 추출 및 미추출시키는 추출수단이 구비된 커피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액이 누출됨이 없이 상기 주전자로 안내되도록 상기추출구의 하단에 패킹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에 의한 커피제조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종래에 의한 커피제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종래에 의한 커피제조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를 분해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2 : 필터바스켓 92a : 추출구
92b : 패킹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의 추출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의 추출장치를 분해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바스켓(92)의 하단에는 상기 필터바스켓(92)내의 커피액(S)을 추출시키는 추출구(9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출구(92a)의 하단에는 상기 추출구(92a)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액(S)이 누출됨이 없이 상기 주전자(100)로 안내되도록 패킹(92b)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바스켓(92)의 하부에는 상기 추출구(92a)로 추출되는 커피액(S)이 패킹(92b)을 거쳐 주전자(100)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 주전자(100)로 추출 및 미추출시키는 추출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추출수단(200)은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를 개폐하는 밸브씰(210)과, 상기 밸브씰(2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시이소운동되도록 필터바스켓(92)에 그 돌기(221)가 힌지결합된 밸브레버(220)와, 상기 주전자(100)의 수납시 그 용기뚜껑(103)에 형성된 호형부(103a)와 접촉에 의해 상승동작되면서 상기밸브레버(220)의 일측을 눌러줌에 따라 상기 밸브씰(210)이 지지된 밸브레버 (220)의 타측을 동시 하강시켜 필터바스켓(92)의 제2관통구멍(92c)에 그 돌기(232)가 힌지결합된 밸브(230)와, 상기 밸브레버(220)및 밸브씰(210)을 탄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시켜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을 폐쇄시키도록 밸브레버(220)와 필터바스켓(92)의 일측에 지지된 탄스프링(2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탱크커버(60)를 개방하여 탱크(11)내로 냉수를 적당량 공급하고, 상기 필터어세이부(90)를 상기 톱커버(30)와 엊갈리도록 좌측이나 우측으로 힘을 가하여 돌려 그 내에 설치된 필터(93)내로 원두커피분말(P)을 넣고 반대로 힘을 가하여 필터어세이부(90)가 상기톱커버(30)의 하측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 후 전원을 인가하면,전원에 의해서 히터(43)가 예열되어 히터(43)의 외주면에 집속된 물리턴관(44)내를 흐르는 냉수에 열을 가하여 냉수가 온수로 되어 온수관(71)를 통해 온수유출관(12)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승된 온수는 상기 톱커버 (30)내의 온수분배기 (80) 의 관통구멍(81)을 통해 필터(93)의 내부로 자연낙하됨으로써 필터(93)내에 일정량 투입된 원두커피분말(P)에 공급되고, 이 원두커피분말(P)과 온수가 희석된 물(예컨대, 커피액 ; S)은 필터(93)를 통과함과 동시에 필터바스켓(92)내에 저류 저장된다.
이 때, 소비자는 커피액(S)이 필터바스켓(92)내에 저장되기 전이나 또는 일정량 저장되는 시점에 빈 주전자(100)를 범랑(42)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빈 주전자(100)의 내열용기(101) 상부측 개구을 덮은 상태의 용기뚜껑(103)은 필터바스켓(92)의 하부에 설치된 추출수단(200)을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용기뚜껑(l03)의 상부중앙에 형성된 호형부(103a)는 내열용기(101)의 범랑(42)의 상부에 안착될 때 자동적으로 추출수단(200)의 밸브(230) 저면과 접촉됨으로써 밸브(230)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용기뚜정(103)의 호형부(103a)과 접촉되는 일측단이 상승동작되면서 밸브레버(220)의 후방측을 상승동작시킴과 동시에 전방측을 하강동작시키게 되고, 이 밸브레버(220)의 시이소운동에 따라 밸브레버(220)의 전방측에 지지된 밸브씰(210)은 막고 있던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를 개방시킴으로써 필터바스켓(92)내에 저류 저장된 커피액(S)이 외부로 추출되면서 밸브(23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31)을 통과함과 동시에 용기뚜껑(103)의 상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도1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추출되어 이 용기뚜껑(103)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부호도시안됨)을 통하여 내열용기(10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일정량 저류저장되는 커피액(S)은 범랑(42)의 하부면에 밀착고정된 히터(43)의 발열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됨으로, 소비자의 취향에 알맞게 보존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여러번 나누어 마시더라도 본래의 커피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주전자(100)에서 커피를 따라 마시고자 할 경우 주전자(100)를 외측으로 꺼내면 주전자(100)의 용기뚜껑(103) 상단에 형성된 호형부(103a)와 접촉하고 있던 상기 밸브(23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레버(220)의 시이소운동되면서 밸브레버(230)의 일측에 결합된 밸브씰(210)이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추출구(92a)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추출구(92a)의 하단에는 패킹(92b)이 삽입설치되어있어 상기 필터바스켓(92)의 커피액(S)이 상기 주전자(100)내로 전부유입되도록 안내하고 표면장력이 없으므로 물방울이 맺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주전자(100)의 인출 및 안착에 의한 낙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피제조기의 추출장치에 의하면, 필터바스켓의 추출구의 하단에 커피액을 안내함과 동시에 표면장력이 없는 패킹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시에 발생되는 커피액의 낙수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커피액이 저류저장된 필터바스켓의 추출구를 통하여 주전자의 인출 및 안착에 따라 상기 커피액을 추출 및 미추출시키는 추출수단이 구비된 커피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액이 누출됨이 없이 상기 주전자로 안내되도록 상기 추출구의 하단에 패킹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KR1019960075646A 1996-12-28 1996-12-28 커피제조기 KR19980056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46A KR19980056378A (ko) 1996-12-28 1996-12-28 커피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46A KR19980056378A (ko) 1996-12-28 1996-12-28 커피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378A true KR19980056378A (ko) 1998-09-25

Family

ID=6639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646A KR19980056378A (ko) 1996-12-28 1996-12-28 커피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97B1 (ko) * 1999-11-27 2002-08-09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가정용 중탕기의 농축액 낙하 방지구조
KR20030095120A (ko) * 2002-06-11 2003-1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착탈식 정수물탱크와 필터를 구비한 커피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97B1 (ko) * 1999-11-27 2002-08-09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가정용 중탕기의 농축액 낙하 방지구조
KR20030095120A (ko) * 2002-06-11 2003-1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착탈식 정수물탱크와 필터를 구비한 커피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8222A (en) Microwav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US4381696A (en) Microwave coffee making apparatus
US5865104A (en) Food steamer
US8028616B2 (en)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brew chamber
US5865095A (en) Coffee grinder and maker
US4911067A (en) Infusion beverage maker
US4667584A (en) Coffee kettle
JP3927225B1 (ja) 飲料抽出装置
US20060225577A1 (en) Beverage making device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and a water outlet
US528178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JP5628328B2 (ja) コーヒー抽出用の抽出ユニット
US4969392A (en) Gravity feed coffee maker
RU21284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жидкости для питья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KR19980056378A (ko) 커피제조기
US5219394A (en) Appliance for brewing beverages
USRE34482E (en) Appliance for brewing coffee/tea
US6170387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eated beverage
JP3080464B2 (ja) 飲料抽出装置
KR100525405B1 (ko) 커피 메이커
US3396654A (en) Coffee maker
KR200306275Y1 (ko) 홍삼액 추출기
JP3080467B2 (ja) 飲料抽出装置
WO1991012757A1 (en) Microwave brewing apparatus control valve and method of making a beverage
JPH05211946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