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231B1 -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231B1
KR100523231B1 KR10-2002-0049658A KR20020049658A KR100523231B1 KR 100523231 B1 KR100523231 B1 KR 100523231B1 KR 20020049658 A KR20020049658 A KR 20020049658A KR 100523231 B1 KR100523231 B1 KR 10052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and
piece
support
roa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537A (ko
Inventor
윤백상
Original Assignee
윤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백상 filed Critical 윤백상
Priority to KR10-2002-004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2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거리명이나 방향 등 도로와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알려주거나 지시하는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장착해 주는데 시용되어지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분할된 2등분밴드·3등분밴드·4등분밴드·8등분밴드와 관절밴드 및 보조밴드를 취사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로 조립설치할 수 있고, 횡관지지구에 형성된 받침편에 의해 횡관의 장착관을 받쳐 지지해 주므로 횡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횡관지지구의 내면과 횡관의 외면에 요철부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시켜 주므로 횡관을 견고하게 장착시킬 줄 수 있으며, 횡관에 장착되는 장착힌지는 행거와 메인장착편을 힌지봉으로 굴대 설치하고 메인장착편과 보조장착편에 형성된 결속편에 의해 도로표지판의 장착돌편을 회전가능하게 파지하여 지지축이 상하 이중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므로 도로표지판에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힌지봉과 도로표지판의 장착돌편에 의해 압력이 완화되어 도로표지판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므로 바람이 심하게 부는 상태에서도 운전자가 도로표지판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장착장치{A Foundation Appratus For Traffice-Control Sign Plate}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거리명이나 방향 등 도로와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알려주거나 지시하는데 사용되어지는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장착시키기 위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주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장착밴드의 장착편에 한 쌍의 장착턱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횡관지지구를 보다 견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되 장착밴드를 다수개의 밴드로 용도에 따라 별도의 보조밴드와 관절밴드에 의해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분할밴드에는 장착편을 형성하여 하나로 결합되는 장착밴드에 하나 이상의 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밴드에 설치되는 횡관지지구과 횡관에는 받침편과 장착관 및 요철부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횡관을 보다 견실하게 결합 및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며, 횡관과 도로표지판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장착힌지는 외부에서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도로표지판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항상 수직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에는 지주에 도로표지판을 설치함에 있어 도로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에 지지구(밴드)를 이용하여 걸이봉을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수평으로 고정되는 걸이봉에는 도로표지판을 통상의 경첩을 이용하여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되는 구조는 경첩의 일부가 용접에 의해 걸이봉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와 습기에 의해 용접부위가 부식되면서 약회되고 바람과 같은 충격이 가해지면 용접부위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인해 도로표지판이 한쪽의 경첩에 의해서만 매달려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도로표지판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하였으며, 도로표지판의 상측일부가 경첩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도로표지판 전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50985호 "안내판지지구"를 비롯하여 실용신안등록 제197247호 "지주부착용 표시판의 체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 "안내판 지지구조", 실용신안등록 제 263059호 "도로표지판 고정용 밴드조립체", 실용신안등록 제254410호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81392호 "안내표지판 설치용 행거" 등이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50985호 "안내판지지구"는 2등분으로 분할된 지지부(밴드)를 힌지부에 의해 결합시키되 일측 지지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볼트삽입홈에 볼트를 삽입하여 볼트공이 뚫어진 안내판을 결합시키고, 다른 지지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볼트장착공에 안내판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를 삽입하며, 플랜지의 외측을 돌출된 볼트에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안내판을 장착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2등분으로 분할된 밴드(지지부)의 크기(지름)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지주의 지름에 따라 밴드(지지부)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결합되는 한조의 밴드에는 하나 이상의 도로표지판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도 있으며, 가이드부의 볼트삽입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안내판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197247호 "지주부착용 표시판의 체결장치"는 밴드를 3등분하여 접속홈이 형성된 중앙밴드의 양측에 측면밴드를 암수레일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고 측면밴드는 통상의 볼트/너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며, 중앙밴드의 접속홈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횡관고정용구멍에는 상하면에 지지판이 일체형으로 고정된 소켓관을 장착하여 소켓관에 횡관을 장착시키되 소켓관의 내면 하단과 횡관의 외면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선과 요홈선을 결합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3등분 된 밴드가 항상 일정한 크기(지름)로 유지되어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지주의 지름에 따라 밴드(지지부)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결합되는 한조의 밴드에는 하나 이상의 도로표지판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도 있으며, 소켓관의 내면 하단과 횡관의 외면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선과 요홈선을 단순히 결합시켜 주는 것에 불과하므로 소켓관이 황관을 견실하게 받쳐지지해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 "안내판 지지구조"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2등분된 주밴드의 플랜지를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시키되 일측 주밴드의 외면에는 지지홈에 구비된 안내판지지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안내판지지구에는 상하로 구비되는 보강대를 이용하여 고정횡관을 장착하되 고정횡관에는 횡관을 삽입하여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횡관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판걸이홈에는 일측 고정판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판돌기를 삽입하여 장착시키되 상기 고정판돌기가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돌기가 없는 고정판에 의해 안내판의 상단에 형성된 안내판돌기를 파지하도록 하며, 안내판지지구의 지지홈에는 협지고정편의 지지돌기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대향되게 형성된 안내핀가이드의 사이에 안내판의 일측면을 삽입하여 통상의 볼트너트에 의해 장착하도록 하며, 4등분된 3개의 지지구편을 힌지에 의해 연결하되 각 지지구편에는 안내판지지구를 형성하여 안내판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8등분된 한쌍의 플랜지편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종래의 장치는 분할된 밴드는 나사를 체결해 주어야만 밴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나사머리가 떨어져 나가게 되면 밴드가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가 있고, 횡관을 고정횡관에 단순히 삽입하여 고정시켰으므로 고정횡관이 횡관을 견실하게 지지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2등분된 밴드는 하나의 보조밴드만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밴드가 항상 일정한 크기(지름)로 유지되어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며 따라서 지주의 지름에 따라 밴드(지지부)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횡관에 안내판을 장착시킬 때에 한쌍의 고정판으로 된 경첩을 횡관에 요지부동으로 장착 고정시키므로 바람이 불거나 하는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에 경첩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시켜 주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이 조금만 강하게 불어도 안내판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안내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운전가가 안내판을 읽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지지구편의 안내판지지구에 장착되는 협지고정편의 안내판가이드는 내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력과 파지력이 전무하여 앉내판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 263059호 "도로표지판 고정용 밴드조립체"는 횡관고정관에 형성된 고정브래킷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밴드유닛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지주에 장착하고, 고정브래킷의 횡관고정괸에 횡관을 단순히 삽입하여 볼트너트에 의해 역류시켜 주도록 된 것이나, 고정브래킷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밴드유닛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주므로 연결되는 밴드유닛의 숫자에 따라 형성되는 지름의 크기가 큰 편차를 유지하게 되므로 지주의 지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고정브래킷의 횡관고정관에 횡관을 단순히 삽입하여 고정시키므로 지지력이 약하고 표지판에 가해지는 바람의 압력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지 못하고 횡관과 횡관고정관에 전달되므로 횡관고정관이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볼트공이 점진적으로 확개되면서 결속력이 약화되면서 표지판이 삼히게 흔들리거나 요동을 하게 되며 심지어는 위치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54410호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는 브래킷이 대향되게 형성된 중앙밴드의 양측에 측면밴드를 힌지에 의해 연결하고 인접하는 측면밴드의 양단부를 통상의 볼트/너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브래킷의 내면 선단에 수직레임홈을 형성하여 체결판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브래킷의 내면과 체결판에 타원공을 일치되게 통공하여 횡관소켓관을 삽입하여 장착하되 체결판에서 타원공의 상하에 안내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횡관소켓관을 중앙밴드와 체결판에 통공된 타원공에 삽입하여 다소 견실하게 장칙시킬 수 있으나, 중앙밴드와 측면밴드가 일정한 크기로 고정화 되어 있으므로 지주의 지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횡관소켓관에 횡관을 단순히 삽입하여 결합시키므로 지지력이 약하여 표지판의 무게에 의해 횡관이 하측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도 있으며, 결속되는 한조의 밴드에 하나의 횡관만을 설치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81392호 "안내표지판 설치용 행거"는 횡관의 저면에 안네홈을 형성하여 브래킷의 걸침돌기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브래킷에는 대향되게 형성된 플레이트를 연접시켜 서로 중첩되는 연결부를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시키며, 대향되는 플레이트의 요입부에 의해 표지판의 걸이부를 파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종래의 행거는 횡관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연결부와 표지판을 파지하는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축착되어 있으므로 바람이 불게되면 표지판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있고, 흔들리는 표지판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도 표지판을 읽을 수 없어 도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되며, 브래킷의 연결부와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너트가 쉽게 풀리면서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표지판이 탈락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할된 밴드를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시켜 지주에 설치하고 분할 밴드에 장착편을 형성하여 도로표지판을 설치하며, 횡관에는 힌지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을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분할된 밴드는 분할밴드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결합시키거나 별도로 형성되는 보조밴드와 관절밴드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고, 장착편이 형성된 분할밴드를 복수개 연결시킬 수 있으며, 횡관지지구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을 보다 견실하게 지지해 주며, 횡관에 도로표지판을 설치할 때에 이중축으로 유지되도록 설치하도록 개선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밴드를 2등분, 3등분, 4등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밴드를 취사 선택하여 연결시켜 지주의 지름에 비례하여 그 크기(지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장착편이 형성된 분할밴드를 복수개 연결시켜 일조로 형성되는 밴드에 복수개의 도로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관에 도로표지판을 설치할 때에 장착힌지에 의해 이중축으로 설치하도록 하여 도로표지판에 가해지는 충격이 하측축에 의해 완화시키면서 상측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지도록 하여 도로표지판을 수직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장착힌지의 행거와 장착편을 연결시키는 힌지봉을 억지끼움하되 행거와 장착편이 자유스럽게 회전되어지도록 하여 힌지봉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도로표지판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착틀을 이용하여 밴드의 횡관지지구에 도로표지판을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밴드의 횡관지지구에 설치되는 장착틀의 장착편의 내면에 돌띠를 형성하여 도로표지판을 보다 견실하게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원통형의 밴드를 2등분·3등분·4등분·8등분의 분할밴드로 분할하되 분할밴드를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 및 관절밴드(62)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분할밴드에 형성된 장착편(11)에 횡관지지구(20)를 고정시키고 횡관지지주(20)에는 횡관(25)을 장착하며, 횡관(25)의 하측에는 장착힌지(30)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3)을 설치하되 장착편(11)이 형성된 분할밴드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개의 도로표지판(3)을 설치하며, 분할밴드에 형성된 장착편(11)에는 고정판(51)의 저면에 한쌍의 장착판(52)이 대향되게 형성된 장착틀(50)을 설치하고 장착판(52)의 사이에 도로표지판(3)의 일측을 끼워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2등분·3등분·4등분·8등으로 분할된 분할밴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장착밴드(10)로 형성한 것과,
분할밴드의 측단면에 형성된 숫힌지부(15) 또는 암힌지부(16)를 한쌍의 암힌지부(16)가 형성된 관절밴드(62) 또는 한쌍의 숫힌지부(15)가 형성된 보조밴드(61)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 준 것과,
분할밴드의 장착편(11)에 장착되는 횡관지지구(20)의 밑판 내측에는 받침편(23)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의 밑판에 장착홈(26-1)이 하측으로 통공된 장착관(26)을 형성하여, 받침편(23)을 장착관(26)에 밀접하게 삽입 결합시켜 받침편(23)이 장착관(26)을 받쳐 지지하도록 한 것과,
횡관지지구(20)의 내면과 횡관(25)의 외면에는 요철부(29)·(29-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킨 것과,
도로표지판(3)을 횡관(25)에 장착시키는 장착힌지(30)는, 행거(31)의 상면측에 장착헤드(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관(26)에 삽입시키고, 행거(31)의 저면과 메인장착편(35)의 상면에는 힌지편(33)·(36)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힌지봉(34)으로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며, 하측부에 결속편(40)·(45)이 형성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을 당접시켜 통상의 볼트(65)와 너트(66)로 결합시킨 것과,
장착편(11)에는 장착되는 장착틀(50)의 장착판(52)의 내면에 돌띠(54)를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장착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장착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장착장치(1)의 전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장착장치(1)에서 장착밴드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는 횡관지지구와 횡관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장착힌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8a와 도 8b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표지판의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장착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된바와 같이, 지주(2)에 설치 고정되는 장착밴드(10)와, 상기 장착밴드(10)에 장착되는 횡관지지구(20)와, 상기 횡관지지구(20)에 결합되는 횡관(25)과, 상기 횡관(25)과 도로표지판(3)을 연결시켜주는 장착힌지(30)로 구성하였다.
장착밴드(10)는 도 2 내지 도 4c에 구체적으로 예시된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밴드를 용이하게 원통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등분, 3등분, 4등분, 8등분으로 분할하여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로 형성하였다.
상기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의 외면 중앙에는 장착홈(11-1)이 구비된 장착편(11)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고,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의 일측단부에는 결속편(60) 또는 암힌지부(62)와 숫힌지부(6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였으며, 타측단부에는 숫힌지부(61) 또는 암힌지부(62)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였다.
특히,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에 형성되는 장착편(11)의 전면 양측단에 장착단턱(17)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장착면(17-1)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장착단턱(17)과 장착면(17-1)에 의해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횡관지지구(20)를 보다 견실하게 장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의 일측단부에는 결속편(60)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였고 결속편(60)의 상하측에 체결공을 통공하여 서로 대향되는 결속편(60)는 체결공을 통해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밴드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의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외에 보조밴드(61)와 관절밴드(62)를 구비하여 분할밴드의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였는데, 보조밴드(61)와 관절밴드(62)는 양단에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를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양단에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가 형성된 연결밴드(17)를 구비하여 분할된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를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a 내지 도 5c는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횡관지지구(20)와 그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횡관지지구(20)를 형성함에 있어 양측면을 수직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하부를 만곡형으로 형성하되, 만곡형으로 형성된 상하면의 외측에는 보강돌테(22)를 형성하였고,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에서 일측면에는 한쌍의 안착돌띠(21)를 이격 형성하여 볼트(28)의 머리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양 측면에는 볼트(28)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체결공을 이격 통공하되 체결공이 안착돌띠(2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은 횡관지지구(20)과 동일한 형상모양으로 형성하되 크기만을 축소시키고 체결공을 동일한 위치에 통공하였다.
상기 횡관지지구(20)에 횡관(25)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치되는 체결공에 볼트를 삽입시키되 안착돌띠(21)의 사이에 통공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28)를 먼저 삽입하고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볼트(28)의 선단에 너트(28-1)를 나사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장착하도록 하였다.
특히, 횡관지지구(20)의 하측 내면 중앙에 지지봉(24)이 구비된 받침편(23)을 형성하고, 횡관(25)의 저면 중앙에는 장착홈(26-1)이 하측으로 개방된 장착관(26)을 일체로 형성하여, 횡관지지구(20)에 횡관(25)을 결합시키면 받침편(23)의 외측으로 장착관(26)이 끼워지면서 도 5c에 예시된바와 같이 받침편(23)의 지지봉(24)이 장착관(26)의 상면과 밀접하게 연접되고 받침편(23)이 장착관(26)을 견실하게 지지하여 횡관(25)이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횡관지지구(20)의 내주면과 횡관(25)의 외주면에는 요철부(29)(29-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요철부(29)(29-1)는 삼각형·사각형·사다리꼴형·반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횡관지지구(20)와 그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횡관지지구(2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면의 외측에는 보강돌테(22)를 형성하였고, 양측면에서 일측면에는 한쌍의 안착돌띠(21)를 이격 형성하여 볼트(28)의 머리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양측면에는 볼트(28)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체결공을 이격 통공하되 체결공이 안착돌띠(2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
상기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은 횡관지지구(20)과 동일한 형상모양의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크기만을 축소시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체결공을 동일한 위치에 통공하였다.
상기 횡관지지구(20)에 횡관(25)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치되는 체결공에 볼트를 삽입시키되 안치돌띠(21)의 사이에 통공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28)를 먼저 삽입하고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볼트(28)의 선단에 너트(28-1)를 나사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장착하도록 하였다.
특히, 횡관지지구(20)의 내면 양측과 횡관(25)의 외면 양측에 요철부(29)·(29-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횡관(25)을 횡관지지구(20)에 삽입시키면 요철부(29)·(29-1)가 견실하게 결합되어 지지력을 강화시키고 횐관(25)이 흔들리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횡관지지구(20)의 하측 내면 중앙에 지지봉(24)이 구비된 받침편(23)을 형성하고, 횡관(25)의 저면 중앙에는 장착홈(26-1)이 하측으로 개방된 장착관(26)을 일체로 형성하여, 횡관지지구(20)에 횡관(25)을 결합시키면 받침편(23)의 외측으로 장착관(26)이 끼워지면서 도 5c에 예시된바와 같이 받침편(23)의 지지봉(24)이 장착관(26)의 상면과 밀접하게 연접되고 받침편(23)이 장착관(26)을 견실하게 지지하여 횡관(25)이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에 예시된바와 같이 횡관지지구(20)에 장착되는 횡관(25)에는 장착힌지(30)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3)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착힌지(30)는 도 7a 내지 도 7d에 예시된바와 같이, 횡관(25)에 설치되는 행거(31)와, 상기 행거(31)와는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메인장착편(35)과, 상기 메안장착편(35)과는 통상의 볼트(65)/너트(66)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보조장착편(44)으로 형성하였다.
행거(31)는 상측에 장착헤드(32)를 형성하였고 하측에 힌지공(34)이 횡으로 통공된 한쌍의 힌지편(33)을 이격 형성하였다.
메인장착편(35)은 상측에 힌지공(36-1)이 통공된 힌지편(36)을 형성하였고 중간에는 한쌍의 장착공(39)을 이격시켜 통공하였으며 하측에는 결속편(40)을 호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행거(31)의 힌지편(33)의 사이에 메인장착편(35)의 힌지편(36)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일치되는 힌지공(34)(36-1)에 힌지봉(50)을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되, 상기 힌지봉(50)의 일단에 요철부(51)를 형성하여 요철부(51)를 힌지공(34)에 장착시킬 때에 망치와 같은 도구로 타격하여 억지끼움시켜 힌지봉(5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메인장착편(35)의 하측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착편(44)은 상측부에 한쌍의 장착공(46)을 메인장착편(35)에 통공된 장착공(39)과 일치하도록 통공하였고 하측에는 호형으로 되는 결속편(45)을 형성하였다.
특히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의 대향면에는 결속돌편(43)과 결속편(47) 및 결속돌부(41)와 결속요부(48)를 서로 대응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하여 보다 견실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결속편(39)(45)는 서로 연접되는 단부를 수직중심선상(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θ만큼 편향되게 형성하였으며, 서로 당접되는 결속편(39)과 결속편(45)의 단부를 만곡형의 결속돌부(42)와 결속요부(49)로 형성하여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 더욱 견실하게 결합 설치되는 도로표지판(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바와 같이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편(11)에 도로표지판(3)을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장착틀(50)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장착틀(50)은 상·하단에 볼트너트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판(51)의 저면에 한쌍의 장착판(52)을 대향되게 형성하되 각 장착판(52)의 내면에는 돌띠(54)를 형성하여, 장착판(52)의 사이에 도로표지판(3)을 설치(장착)하였을 때에 돌띠(54)가 도포표지판(3)의 양면을 밀착되면서 견실하게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판장착장치(1)의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도로변에 기히 설치되어 있는 지주(2)에 장착밴드(10)를 흘러내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 고정시킨다.
지주(2)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밴드(1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바와 같이, 결속편(60)이 각각 형성된 하나씩의 2등분밴드(12)와 3등분밴드(13) 및 다수개의 보조밴드(61)와 관절밴드(62)를 서로 연결시켜 형성하되 인접하게 되는 장착편(60)을 통상의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주었고, 2등분밴드(12)에만 장착편(11)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하나의 도로표지판(3)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3a에 예시된 장착밴드(10)는 장착편(60)과 숫힌지부(15)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2등분밴드(12)를 이용하여 형성하였는데, 각 2등분밴드(12)의 숫힌지부(15)에 암힌지부(16)를 결합시켜 연결하고, 인접하게 되는 장착편(60)을 통상의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주되 일측의 2등분밴드(12)만을 장착편(11)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하나의 도로표지판(3)만을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b에 예시된 장착밴드(10)는 3개의 4등분밴드(14)와 결속편(60)이 구비된 두개의 8등분밴드(18)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 특징으로서, 4등분밴드(14)의 양단에 형성된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를 결합하여 설치하되 장착편(11)이 4등분밴드(14)의 양측에 단순형으로 된 4등분밴드(14)를 연결하고 이들 4등분밴드(14)의 외측에 8등분밴드(18)를 연결하고, 대향하게 되는 8등분밴드(18)의 결속편(60)을 통상의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주었으며, 특히 조립되는 4등분밴드(14) 또는 8등분밴드(18)의 사이를 필요에 따라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가 형성된 별도의 연결밴드(17)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장착밴드(10)를 설치함에 있어, 도 4a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편(11)이 형성된 2개의 2등분밴드(12)를 서로 조립하여 2개의 도로표지판(3)을 양측에 설치할 수 있고,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편(11)이 형성된 2개의 4등분밴드(14)와 단순형으로 된 하나씩의 3등분밴드(13) 및 8등분밴드(18)로 조립하여 2개의 도로표지판(3)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c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편(11)이 형성된 3개의 4등분밴드(14)와 단순형으로 된 2개의 8등분밴드(18)를 조립하여 3개의 도로표지판(3)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밴드(10)에는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줌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도로표지판(3)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2등분밴드(12)·3등분밴드(13)·4등분밴드(14)·8등분밴드(18)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11)에 횡관지지구(20)를 장착고정시키되 횡관지지구(20)의 상하측에는 돌편(19-1)이 장착편(11)의 장착홈(11-1)에 삽입되는 리브플레이트(19)를 장착하여 횡관지지구(2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고, 횡관지지구(20)에 횡관(25)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통상의 볼트/너트로 억류 고정시켜 주며, 횡관(25)의 장착홈(26-1)에는 짧은 스페이서를 먼저 삽입하고 이어 장착힌지(30)의 장착헤드(32)·긴 스페이서·장착힌지(30)의 장착헤드(32)·짧은 스페이서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에 횡관(25)의 선단에 캡(27)을 씌워 폐쇄시킨다.
특히 짧은 스페이서와 긴 스페이서의 양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을 뚫어 통상의 볼트스크류를 나사 결합시키되 볼트스크류가 장착관(26)에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스페이어의 요동을 방지하고 장착힌지(30)를 강력하게 구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횡관(25)에 장착된 장착힌지(30)에는 통상의 도로표지판(3)을 조립 설치해 주게 되는데, 보조장착편(44)을 메인장착편(35)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보조장착편(44)과 메인장착편(35)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편(40)(45)에 도로표지판(3)의 장착돌편(4)을 끼워 파지시키되, 길게 형성된 결속편(40)에 결속공(5)을 삽입시켜 준 상태에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의 장착공(39)(46)에 볼트(52)를 끼우고 너트(53)를 나사결합시켜 줌으로써 도로표지판(3)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또, 지주(2)에 고정된 장착밴드(10)에 도로표지판(3)을 직접 설치해 주고자 할 때에는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틀(50)의 고정판(51)을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장착편(11)에 장착 고정시키고, 고정판(51)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판(52)의 사이에는 도로표지판(3)의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돌편(4)이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도로표지판(3)의 일측단부를 삽입시키되 장착판(52)에 통공된 장착공(52-1)과 도로표지판(3)에 통공된 장착공(6)을 일치시켜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켜 준다.
또한, 도 9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밴드(10)의 횡간지지구(20)에 장착된 횡간(25)의 선단에 지지바(57)에 고정된 장착편(58)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지지바(5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도로표지판(3-1)의 배면에 고정된 찬넬(55)을 고정밴드(56)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도로표지판(3-1)을 다른 방법에 의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는, 분할된 2등분밴드·3등분밴드·4등분밴드·8등분밴드와 관절밴드 및 보조밴드를 취사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지주에 따라 크기에 맞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밴드의 장착편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장착단턱에 의해 횡관지지구를 보다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횡관지지구에 형성된 받침편에 의해 횡관의 장착관을 받쳐 지지해 주므로 횡관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횡관지지구의 내면과 횡관의 외면에 요철부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시켜 주므로 횡관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장착시킬 줄 수 있고, 횡관에 장착되는 장착힌지는 행거와 메인장착편을 힌지봉으로 굴대설치하고 메인장착편과 보저장착편에 형성된 결속편에 의해 도로표지판의 장착돌편을 회전가능하게 파지하여 지지축이 상하 이중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므로 도로표지판에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힌지봉과 도로표지판의 장착돌편에 의해 압력이 완화되어 도로표지판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바람이 많이 부는 상태에서도 운전자가 도로표지판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의 전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서 장착밴드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서 장착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서 횡관지지구와 횡관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서 횡관지지구와 횡관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서 장착힌지의 구 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8a와 도 8b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 장착장치에 의해 설치 되는 도로표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로표지판장착장치 2. 지주 3.3-1. 도로표지판
10. 장착밴드 11. 장착편 12. 2등분밴드
13. 3등분밴드 14. 4등분밴드 15. 숫힌지부
16. 암힌지부 17. 장착단턱 17-1. 장착변
18. 8등분밴드 20. 횡관지지구 23. 받침편
25. 횡관 26. 장착관 29.29-1. 요철부
30. 장착힌지 31. 행거 35. 메인장착편
44. 보조장착편 50. 장착틀 55. 찬넬

Claims (9)

  1. 원통형의 밴드를 2등분·3등분·4등분·8등분의 분할밴드로 분할하되 분할밴드를 숫힌지부(15)와 암힌지부(16) 및 관절밴드(62)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분할밴드에 형성된 장착편(11)에 횡관지지구(20)를 고정시키고 횡관지지주(20)에는 횡관(25)을 장착하며 횡관(25)의 하측에는 장착힌지(30)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3)을 설치하되 장착편(11)이 형성된 분할밴드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개의 도로표지판(3)을 설치하며, 분할밴드에 형성된 장착편(11)에는 고정판(51)의 저면에 한쌍의 장착판(52)이 대향되게 형성된 장착틀(50)을 설치하고 장착판(52)의 사이에 도로표지판(3)의 일측을 끼워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2등분·3등분·4등분·8등으로 분할된 분할밴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장착밴드(10)로 형성한 것과,
    분할밴드의 측단면에 형성된 숫힌지부(15) 또는 암힌지부(16)를 한쌍의 암힌지부(16)가 형성된 관절밴드(62) 또는 한쌍의 숫힌지부(15)가 형성된 보조밴드(61)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 준 것과,
    분할밴드의 장착편(11)에 장착되는 횡관지지구(20)의 밑판 내측에는 받침편(23)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횡관지지구(20)에 삽입 장착되는 횡관(25)의 밑판에 장착홈(26-1)이 하측으로 통공된 장착관(26)을 형성하여, 받침편(23)을 장착관(26)에 밀접하게 삽입 결합시켜 받침편(23)이 장착관(26)을 받쳐 지지하도록 한 것과,
    횡관지지구(20)의 내면과 횡관(25)의 외면에는 요철부(29)·(29-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준 것과,
    도로표지판(3)을 횡관(25)에 장착시키는 장착힌지(30)는, 행거(31)의 상면측에 장착헤드(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관(26)에 삽입시키고, 행거(31)의 저면과 메인장착편(35)의 상면에는 힌지편(33)·(36)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힌지봉(34)으로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며, 하측부에 결속편(40)·(45)이 형성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을 당접시켜 통상의 볼트(65)와 너트(66)로 결합시킨 것과,
    장착편(11)에는 장착되는 장착틀(50)의 장착판(52)의 내면에 돌띠(54)를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하는 분할밴드의 숫힌지부(15) 또는 암힌지부(16)는, 교호로 반복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절밴드(62)와 보조밴드(61)에 서로 연결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횡관지지구(20)의 내면과 횡관지지구(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부(29)·(29-1)는, 삼각형·사각형·사다리꼴형·반원형 중에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횡관지지구(20)의 밑판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편(23)의 상단에 지지봉(24)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봉(24)이 횡관(25)의 장착관(26)을 받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의 당접면에는 결속돌부(41)와 결속요부(48) 및 결속돌편(43)과 결속편(47)을 서로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속편(40)·(45)은 어느 일측의 결속편을 수직중심선상(0)에서 일측방향으로 ∠θ만큼 편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장착편(35)과 보조장착편(44)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속편(40)·(45)의 선단에는, 만곡형의 결속돌부(42)와 결속요부(49)를 대응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행거(31)의 힌지편(33)과 메인장착편(35)의 힌지편(36)을 결합시키는 힌지봉(34)은 그의 일측단부에 요철부(34-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분할밴드에 형성된 장착편(11)의 전면 양측에 장착단턱(17)을 대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KR10-2002-0049658A 2002-08-22 2002-08-22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KR10052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58A KR100523231B1 (ko) 2002-08-22 2002-08-22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58A KR100523231B1 (ko) 2002-08-22 2002-08-22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98U Division KR200300004Y1 (ko) 2002-09-26 2002-09-26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37A KR20040017537A (ko) 2004-02-27
KR100523231B1 true KR100523231B1 (ko) 2005-10-24

Family

ID=3732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658A KR100523231B1 (ko) 2002-08-22 2002-08-22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83B1 (ko) * 2008-05-30 2008-12-10 이현승 포스트
KR101544122B1 (ko) 2014-02-19 2015-08-12 렉스젠(주)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038B1 (ko) * 2012-08-22 2013-11-07 주식회사로드솔라 조명식 도로표시판 겸용 보조등을 위한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83B1 (ko) * 2008-05-30 2008-12-10 이현승 포스트
KR101544122B1 (ko) 2014-02-19 2015-08-12 렉스젠(주)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37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04Y1 (ko)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KR100523231B1 (ko)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US6481677B1 (en) Hanger
KR20010062888A (ko) 지주 연결장치
US20100272505A1 (en) Post coupling assembly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JP4488919B2 (ja) 信号灯器取付金具
WO2010150184A2 (en) A post and a banner
JP2002129695A (ja) 吊り金具用変向金具
KR101988855B1 (ko)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설치대의 가로대 연결용 클램프 기구
JP2006214205A (ja) 仮囲い等の支柱を鉛直姿勢で結合支持する支持杭とこの支持杭と支柱の締結装置
JP2791545B2 (ja) 防護柵
JP4755766B2 (ja)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固定装置
KR102476013B1 (ko) 암대 고정용 지주 고정구
JP3033026U (ja) 横引配管の取付装置
KR100421420B1 (ko) 폴대의각도조절이자유로운폴대연결체를구비한텐트
WO2000060193A1 (en) Barrier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barrier
CN217949348U (zh) 一种混凝土预埋件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KR200252273Y1 (ko) 안내판 설치용 행거
KR200164195Y1 (ko) 신호등및도로표지판설치용보의장착상태보강구조
JP3914836B2 (ja) 外壁支持構造
CN220435641U (zh) 一种消防管道固定支架
CN219457047U (zh) 一种箭头指示标牌
KR200491674Y1 (ko) 타프 처짐 방지용 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