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008B1 - 안전면도기 - Google Patents

안전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008B1
KR100523008B1 KR10-1998-0705352A KR19980705352A KR100523008B1 KR 100523008 B1 KR100523008 B1 KR 100523008B1 KR 19980705352 A KR19980705352 A KR 19980705352A KR 100523008 B1 KR100523008 B1 KR 10052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zor
braid assembly
braid
handl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210A (ko
Inventor
토마스 에이. 크리스트만
크리스토퍼 마틴 하웨스
Original Assignee
더 지렛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지렛트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지렛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1999007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Abstract

안전 면도기에서, 브레이드 조립체(2; 22; 52)는, 종방향 축에 대한 피봇 운동, 횡방향 축에 대한 피봇 운동, 및 종방향과 횡방향 축으로 한정된 평면에 대해 수직하는 하방향으로의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vement)을 구비하는 다수 자유도로, 손잡이와 상관하여 브레이드 조립체가 이동가능 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 디바이스(8; 28; 68; 70)를 구비하는 장착 구조로 손잡이에 장착된다. 종방향 및 횡방향 피봇 축은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스프링 현수(suspension)로 인하여 가변적으로 위치되어, 브레이드 조립체가 면도되는 피부 외형상 면에 밀착하는 추종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안전 면도기
본 발명은 안전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와, 그에 대한 브레이드 조립체의 동작을 허용하는 구조로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드 조립체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안전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술되는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레이드 조립체는 브레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가드(guard)와 캡 표면과의 사이에 위치한 예각 엣지를 가진 1개 이상의 신장(伸長) 브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장 브레이드 이외에, 예각 엣지에 설치된 구멍을 가진 포일(foils)로 이루어진 면도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하게 제안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드 조립체는, 사용자가 면도를 하는 동안에 피부와 접촉하는 면도기 부분의 피부 순응성을 유지하면서 브레이드 조립체의 동작을 허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현재 판매되는 많은 면도기들은 종축(본원에서 종축은 브레이드 엣지에 대해 평행한 축으로 정의하고, 횡축은 그 종축에 대해 수직하는 축으로 정의한다)을 중심으로 피봇동작을 하는 브레이드 조립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출원인의 선(先) 특허출원 GB-A-2116470호는 브레이드 조립체가 횡축을 중심으로 피복동작하는 면도기를 개시한 것이다. 그러나, 공지된 구조를 가진 면도기는 피부 외형상에 순응하여 변형되어야 하는 브레이드 조립체의 순응성이 손잡이에 대한 브레이드 조립체의 허용된 제한적인 자유스런 동작을 제약하는 것이다.
본원의 청구범위 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진 본원과 가까운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WO-A-8901394호는, 브레이드 조립체가 종축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브레이드 조립체의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상보면과 베어링 면을 서로 협력동작하게 하여, 그 자유단부에서 베어링 면을 가진 1쌍의 탄성-편향 핑거가 설치된 면도기 손잡이에 브레이드 조립체를 장착한 안전 면도기를 제안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설치된 고정 핑거는 브레이드 조립체가 손잡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베어링 면을 가진 핑거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동시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브레이드 조립체의 단부가 손잡이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면도 카트릿지 하부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카트릿지의 단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의거, 서로 떨어져 위치한 이산(離散)지점에서 브레이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탄성 현가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드 조립체와 손잡이를 구비하여,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운동, ㈁횡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운동, 그리고 ㈂종축과 횡축으로 형성된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하방향으로의 병진(竝進) 운동을 포함하는 상당히 자유스런 동작을 하는 브레이드 조립체가 손잡이와 상관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안전 면도기에서, 2개 분리 위치한 지지 지점이 브레이드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부가적으로 1개 분리 위치한 지지 지점이 상기 2개 분리 위치한 지지 지점과 접속하는 축에서 횡방향으로 이격 위치된 특징을 가진 안전 면도기를 제공한다.
독립된 탄성 현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적인 자유스런 동작은 브레이드 조립체가 피면도 피부 외부면에 보다 밀착되어 동반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종방향 피봇 축과 횡방향 피봇 축은 선-결정된 위치에 고정되지 않으며, 이들은 독립된 현가체로 인해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1개 이상의 신장 브레이드가 합체된 브레이드 조립체의 경우에, 브레이드 조립체가 종방향과 후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으로, 상기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에 대항하여 브레이드 조립체를 유지시키는 현가체를 채택할 수 있다.
이용되는 탄성 현가체의 수가 반드시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3개를 최소 개수로 선택한다. 편의적으로, 본원에서는 4개 현가체를 채택하였으며, 브레이드 조립체의 프레임의 각 코너에 인접하여 마주 대하는 쌍으로 현가체를 배치한 것을 예로 들었다. 상기 현가체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스프링, 보우 (bow)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wire torsion spring)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관 코일 압축 스프링을 가진 스트러트(strut)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영구 장착 브레이드 조립체로 이루어진 면도기와, 교환형 카트릿지 형태의 브레이드 조립체를 가진 면도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교환형 카트릿지 형태의 브레이드 조립체인 경우에, 현가체는 카트릿지에 합체되어져 손잡이와 탈착식 접속을 하거나 또는, 이들이 손잡이에 고정되고 그리고 카트릿지가 공지된 방식으로 슬라이딩 접속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카트릿지 캐리어에 접속되거나 또는 카트릿지에서 직접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이다.
안전 면도기는 일반적으로 손잡이와 손잡이에 설치된 브레이드 유닛 또는 브레이드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브레이드 조립체는 손잡이에 영구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전체 면도기는 면도기가 면도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면도날이 무디어지게 되면 폐기된다. 그리고, 다르게는, 면도날이 무디어졌을 때에 브레이드 조립체를 손잡이에서 결합해제 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면도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교체식 브레이드 조립체는 착탈동작으로 대체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러한 교체식 브레이드 조립체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재에서 그 명칭을 "카트리지"라고 칭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독립된 현가 시스템이 장착된 면도기의 상부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의 하부 부분은 발명과 관련성이 희박하여서 명확한 설명을 기하기 위해 그 도시를 하지 않고, 상부 부분(1) 만을 도시하였다. 손잡이의 상부 부분(1)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6)이 있는 카트릿지(2)가 장착되고, 앞뒤로 병렬 배치된 엣지를 가진 1쌍의 신장 브레이드(3)는 가드(5)와 캡 표면(4) 사이에 장착된다.
브레이드는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카트릿지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거나 또는 복귀 탄성요소에 의해 발휘되는 반력에 대항하여 하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카트릿지(2)는 카트릿지 프레임의 코너에 인접하여 카트릿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독립된 현가체에 의해 손잡이의 상부 부분(1)에 접속된다. 각각의 현가체는 서로에 대해 예각으로 감김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 형성된 2개 아암(10,11)을 가진 감김부(9)을 구비한 토션 스프링(8)으로 구성된다. 아암(10,11)의 자유 단부는 카트릿지와 손잡이에 각각 결합되어 카트릿지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양호하게, 아암의 내부 방향으로 굽어진 부분은 카트릿지와 손잡이의 상부 부분의 단부에 설치된 구멍에 회전동작을 할 수 있게 삽입된다. 현가체 토션 스프링(8)은 카트릿지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와 상관되어 위치된 대기위치(rest position)로 카트릿지를 치우치게 한다. 상기 대기위치는 브레이드 조립체가 브레이드 유닛에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탄성 현가체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로 정의한다. 카트릿지가 4개 위치로 분산된 이산지점에서 독립적으로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손집이와 상관한 동작에 따르는 상당히 자유스런 동작을 할 수 있다. 특히, 카트릿지는 사용하는 중에 다음과 같은 것에 의해 카트릿지가 받게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동작을 하게 된다.
㈀화살표(12)로 나타낸 하방향으로의 병진 운동;
㈁카트릿지의 종방향 연장 축을 중심으로 한 유효한 피봇동작에서 발생하는, 카트릿지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하방향 변위;
㈂횡축을 중심으로한 유효한 피봇동작 또는 상하요동(tilting)으로 발생하는 카트릿지의 어느 일 단부의 하방향 변위.
물론, 상술된 동작은 구별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면도를 하는 중에 카트릿지가 지나가는 피부 외형상에 가깝게 따르도록 가드와 캡 표면이 임의적으로 조합되어 발생하는 동작인 것이다. 상기 카트릿지는 면도기 손잡이에 대하여 고정된 선-결정된 종축과 횡축을 중심으로 피봇동작을 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면서, 현가체 탄성체에 의해 피봇동작 축의 유리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들떠(float)있게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 카트릿지가 움직일 수 있는 허용 동작범위를 크게 할 필요는 없다.
카트릿지가 토션 스프링(8)에 의한 운동에 강력하게 대항하여 유지되는 방향은, 브레이드 엣지에 대해 평행한, 카트릿지의 종방향(길이방향)이다. 또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피봇 운동 또는 편요(yaw) 운동을 초래할 수 있는 카트릿지의 어느 일 단부의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화살표(13)로 나타낸 후방향으로의 병진 운동도 저지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독립된 현가체는 대향된 쌍으로 배치된 4개 보우 스프링(28)으로 구성된 것이다. 카트릿지(22)는, 프레임의 단부 벽에 슬롯에서의 동작을 안내하고 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브레이드 캐리어(33)에 있는 3개 브레이드(3)를 갖는 프레임(6)을 구비한다. 각각의 보우 스프링(28)의 상부 아암(31)은 클램프(34)에 의해 카트릿지 프레임에 강력하게 접속된 L형상 자유 단부를 가진다. 도2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요소에는 보우 스프링의 상부 아암(31)이 자유롭게 그를 통해 지나가는 노치가 설치된다. 보우 스프링의 하부 아암(30)의 자유 단부는, 부착된 현가 스프링으로 카트릿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탈성이 있는 클램프 구조로, 면도기 손잡이에 접속되는 부착지점을 형성한다.
보우 스프링이 카트릿지의 단부 보다는 중앙에 더 가깝게 배치되었지만 이러한 배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손잡이와 상관된 카트릿지의 동작에 대하여 대체로 동일한 수준의 자유스런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된 병진운동과 각 운동[㈀~㈂]이 이루어진다.
도4는 손잡이의 상부 부분(51)이, 엑슬 핀(65)이 회전식으로 수용되는 신장 보어가 있는 4개 베어링 블록(64)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엑슬 핀은 횡방향 관통 보어(67)가 있는 그 외측 단부에서 확장 헤드(66)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보어(67)내로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직립 스트러트(68)에는 코일 스프링(70)의 상부 단부가 대항하여 작용하는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플랜지(69)가 그 상부 단부 근처에 설치되며, 스프링은 스트러트에 동축(同軸)으로 장착되고 엑슬 핀에 안착되어 있는 그 하부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스프링(70)은 스트러트의 하부 단부에 제공된 확장부 또는 대기요소(도시 않음)가 엑슬 핀의 확장 헤드(66)에 대항하여 맞닿아 있는 대기위치로 상방향으로 스트러트(68)에 힘을 가한다. 각각의 스트러트의 상부 단부는 브레이드 조립체 또는 카트릿지(52)의 프레임(56)에 회전식 피봇동작으로 접속된다. (브레이드 조립체의 프레임은 도1에만 도시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 있는 것과 같은 가드와 캡 표면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 신장 브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함) 편의에 의해, 각각의 스트러트(68)는 카트릿지 프레임의 인접 단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보(相補) 슬롯(72)에 수용되고 그 상부 단부에 고정된 볼과 같은 요소를 갖는다. 적어도 1쌍의 종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엑슬 핀(65)은, 그리고 가능하다면 양쪽 쌍의 엑슬 핀은, 그 내부 단부에 키결합된 아이(eye) 부재(75)를 가지고, 그리고 상당히 강력한 장력 스프링(76)이 직립 스트러트(68)가 상기 회전 위치로 엑슬 핀(65)이 치우치도록 장력 스프링용으로 손잡이 상단 부분(51)에 고정된 스프링 앵커(77)와 상기 아이 부재 사이에 접속된다.
도4의 면도기의 독립 탄성 현가체는 카트릿지(52)가 대기위치로부터 도1을 참고로 기술된 ㈀~㈂운동과 동일한 수준의 자유스런 동작으로, 스프링(70,76)에 의하여 편향(偏向)되는 위치로 동작한다. 카트릿지의 각각의 코너에서의 하방향 변위는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한 스프링(70)과 상관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스트러트(68)에 의해 허용된다. 스트러트(68)의 소 각운동(a small degree of angular movement of the struts)은 장력 스프링(76)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축을 중심으로 하는 엑슬 핀(65)의 회전에 의해 허용되며, 그러한 각운동이 종축을 중심으로 카트릿지가 피봇운동을 허용할 필요를 있게 한다. 스프링(76)은 면도를 하는 중에 통상적으로 마주치는 힘에 대한 카트릿지의 후방향 운동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강한 세기의 것이다. 카트릿지의 종방향 운동은 카트릿지 프레임과 스트러트와의 사이에 접합으로 방지된다.
부가적인 설명으로, 스트러트는 브레이드 조립체에 고정 결합되지 않는 것이다. 즉, 각 스트러트(68)의 상단부는 브레이드 조립체의 프레임에 피봇동작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적절하게 각각의 스트러트(68)는 스롯(72)에 수용되는 그 상단부에서 볼을 가진다. 따라서, 브레이드 조립체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각각의 스트러트(68)에 대한 브레이드 조립체의 피봇동작 회전이 발생하며, 그리고 예를 들어 브레이드 조립체의 일 단부가 타 단부에 대한 하방향의 힘을 받는, 횡축을 중심으로 하는 브레이드 조립체의 피봇동작을 하면, 브레이드 조립체는 각각의 스트러트(68)에 대한 피봇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면도기는 본 발명의 일 예인 것이고, 다른 독립된 현가 시스템도 면도를 하는 중에 피부 외형상면에 밀착하여 따르도록 카트릿지 운동이 상당히 자유스럽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범위 내에서 필요한 변경 및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서로 떨어져 위치한 이산(離散)지점에서 브레이드 조립체(2;22;52)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수 탄성 현가체(8;28;68;70)를 포함하는 구조로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드 조립체(2;22;52)와 손잡이를 구비하여, ㈀브레이드 조립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운동, ㈁브레이드 조립체의 횡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운동, ㈂종축과 횡축으로 형성된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하방향으로의 병진 운동 중, 어느 일 운동 또는 그 조합된 운동을 하는 자유스런 동작으로 브레이드 조립체가 손잡이와 상관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안전 면도기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는 2개 지지 지점이 브레이드 조립체의 종방향(길이방향)으로 이격져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2개 지지 지점을 연결하는 축을 횡단하는 횡방향으로 있는 부가의 일 지지 지점이 이격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현가체는 브레이드 조립체를 대기위치로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드 조립체가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운동 중의 어느 일 운동 또는 그 조합운동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4개 탄성 현가체(8;28;68;70)를 서로 마주 대하는 쌍으로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 조립체의 프레임의 각 코너 근방에 지지 지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체는 탄성부재(8;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보우 스프링(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체는, 브레이드 조립체(52)에 피봇 결합된 스트러트(68)와, 상기 스트러트(68)와 동축(coaxial)으로 있는 압축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9.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체는 브레이드 조립체 프레임(6;56)에 직접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면도기.
KR10-1998-0705352A 1996-01-16 1997-01-16 안전면도기 KR100523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00818.0 1996-01-16
GBGB9600818.0A GB9600818D0 (en) 1996-01-16 1996-01-16 Safety razors
PCT/GB1997/000121 WO1997026119A1 (en) 1996-01-16 1997-01-16 Safety raz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210A KR19990077210A (ko) 1999-10-25
KR100523008B1 true KR100523008B1 (ko) 2005-12-29

Family

ID=1078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352A KR100523008B1 (ko) 1996-01-16 1997-01-16 안전면도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960004B1 (ko)
JP (1) JP3980060B2 (ko)
KR (1) KR100523008B1 (ko)
CN (1) CN1116967C (ko)
AT (1) ATE202307T1 (ko)
AU (1) AU722992B2 (ko)
BR (1) BR9707293A (ko)
CA (1) CA2242529C (ko)
CZ (1) CZ290857B6 (ko)
DE (1) DE69705326T2 (ko)
ES (1) ES2158482T3 (ko)
GB (1) GB9600818D0 (ko)
PL (1) PL182457B1 (ko)
RU (1) RU2171174C2 (ko)
WO (1) WO1997026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5501D0 (en) * 1997-07-22 1997-10-01 Gillette Co Safety razors
WO2001039937A1 (en) 1999-11-29 2001-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aver provided with a shaving head having a sub-frame and a main frame
US20040020053A1 (en) 2000-10-16 2004-02-05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US7152512B1 (en) 2002-04-18 2006-12-26 American Safety Razor Razor handle with spring fingers
GB2411141B (en) * 2004-10-14 2006-03-22 Mark Richard Hesketh Shaving device having multiple razor blades
US8061041B2 (en) * 2007-02-14 2011-11-22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GB2462086A (en) 2008-07-22 2010-01-27 Alon Coresh Articulated Shaving Set
US9144914B2 (en) 2011-06-30 2015-09-29 Rolling Razor, Inc. Razor cartridge with reduced part count and expanded range of motion
US9457486B2 (en) 2013-03-13 2016-10-04 Rolling Razor, Inc Shaving cartridge with individual blade guards
DE202013003009U1 (de) 2013-04-01 2013-06-26 Axel R. Hidde Mechanischer Komfort-Rasierer
RU2664071C2 (ru) * 2016-08-30 2018-08-14 Леонид Сергеевич Раткин Безопасная бритва
JP6755836B2 (ja) 2017-07-24 2020-09-16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首振り式剃刀
US11541560B2 (en) 2018-03-01 2023-01-03 Rolling Razor, Inc. Precision razor with low cost assembly
JP2021515642A (ja) * 2018-03-30 2021-06-24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CN109514230B (zh) * 2018-12-29 2023-06-20 温州美葆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手动剃须刀全自动组装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3414A (en) * 1919-07-10 1922-07-18 John F Blything Safety razor
CH246324A (de) * 1945-11-19 1946-12-31 Gisiger Armin Rasierapparat.
GB2116470B (en) * 1982-03-12 1985-09-25 Gillette Co Safety razors
FR2619045B1 (fr) * 1987-08-07 1989-12-29 Conversy Francois Rasoir comprenant un manche et une tete articulee a celui-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0857B6 (cs) 2002-10-16
JP2000503222A (ja) 2000-03-21
GB9600818D0 (en) 1996-03-20
EP0960004B1 (en) 2001-06-20
ATE202307T1 (de) 2001-07-15
DE69705326D1 (de) 2001-07-26
ES2158482T3 (es) 2001-09-01
DE69705326T2 (de) 2001-11-29
PL327852A1 (en) 1999-01-04
PL182457B1 (pl) 2002-01-31
CA2242529C (en) 2002-05-07
BR9707293A (pt) 1999-07-20
WO1997026119A1 (en) 1997-07-24
CZ224898A3 (cs) 1999-03-17
CA2242529A1 (en) 1997-07-24
AU1394797A (en) 1997-08-11
JP3980060B2 (ja) 2007-09-19
RU2171174C2 (ru) 2001-07-27
KR19990077210A (ko) 1999-10-25
AU722992B2 (en) 2000-08-17
CN1212647A (zh) 1999-03-31
EP0960004A1 (en) 1999-12-01
CN1116967C (zh)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008B1 (ko) 안전면도기
US5953825A (en) Safety razors
JP3414730B2 (ja) 安全剃刀
EP0638015B1 (en) Razor with a movable cartridge
CA2296626C (en) Safety razors
EP2121252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flexible razor blade assembly
EP0903205B1 (en) Razors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US5347714A (en) Movable blade shaving cartridge
EP1405701B1 (en) Linkage mechanism providing a virtual pivot axis for hair removal apparatus with pivotal head
EP0858868B1 (en) Razor head with moveable blade package
EP0267044A1 (en) Dry shavers
AU749012B2 (en) Razors which actively flex a razor head in response to shaving forces
WO1991019596A1 (en) Razor blade assembly
AU1868202A (en) Shaving razor using blade cartridge and blade cartridge therefor
CA2235115A1 (en) Razor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US20040055156A1 (en) Safety razor
JP3085974B2 (ja) カミソリヘッド
US20070245576A1 (en) Shaving implement
KR20240022271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